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희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희망은 심리학, 종교, 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심리학에서는 위기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긍정적인 감정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한 동기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의료 분야에서는 질병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긍정 심리학과 연관되어 연구된다. 문화와 사회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권한 부여와 관련되며, 문학과 예술에서는 상징, 줄거리 장치, 등장인물의 동기 부여로 활용된다. 종교에서는 믿음, 사랑과 함께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지며, 힌두교, 불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희망의 의미를 부여한다. 법학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희망권'으로도 논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제 - 모순
    모순은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주장이나 사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물의 내재적 대립으로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 명제 - 동어 반복
    동어반복은 같은 의미의 단어나 구절을 반복하는 표현 기법으로, 강조, 역설, 말장난 등의 효과를 위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불필요한 반복은 의미 전달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사용이 요구된다.
  • 감정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감정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희망
일반 정보
희망의 상징
희망의 상징
정의무엇인가를 바라고 기대하는 감정
관련 행동바람, 기대, 신뢰, 믿음
반대되는 감정절망
심리학적 관점
핵심 요소목표 (Goal)
경로 (Pathway)
의지 (Agency)
철학적 관점
관련 개념낙관주의
기대
믿음
종교적 관점
기독교기독교에서는 믿음, 사랑과 함께 중요한 미덕으로 여겨짐.
불교불교에서는 올바른 이해와 실천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강조하며, 희망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줌.
문화적 관점
문학많은 문학 작품에서 희망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짐.
사회적 관점
역할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공동체의 연대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함.

2. 심리학

조지 프레데릭 와츠의 우화, <상자의 바닥에 남아있었던 희망>, 1886년


심리학에서 희망은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 2009년 심리학자 바버라 프레드릭슨은 위기가 닥치면 희망이 저절로 생겨나 사람들을 새로운 창조적 가능성에 열어준다고 주장했다.[75] 프레드릭슨은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관점에서 도출된 행복, 기쁨, 용기, 권한 부여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매우 광범위한 아이디어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76] 희망적인 사람들은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스스로에게 계속 말하며, 이러한 낙관론은 순진한 '거짓 희망'이 아닌 현실적인 낙관론에 바탕을 둘 때 결실을 맺는다고 한다.[77][78]

심리학자 찰스 R. 스나이더는 희망을 목표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확고한 계획의 결합으로 보았다.[79][80] 그는 희망과 정신의 의지력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희망과 낙관주의의 차이는 전자가 개선된 미래로 가는 실용적인 경로를 포함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81] 알프레드 아들러나 에른스트 블로흐와 같은 철학자들도 인간 심리학에서 목표 추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82][83]

D. W. 위니콧은 아이의 반사회적 행동을 직계 가족 내 억제가 실패했을 때 더 넓은 사회에 의한 관리를 표현하는 "무의식적인 희망"으로 보았다.[84] 대상관계이론은 분석적 전이를 과거의 갈등과 트라우마가 새롭게 다루어질 수 있다는 무의식적인 희망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본다.[85]

현대 철학자 리처드 로티는 희망을 단순한 목표 설정 이상으로,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는 이유나 약속으로서의 메타 내러티브로 이해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인 로티는 기독교 이야기,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과거의 메타 내러티브가 거짓된 희망임을 증명했고, 이론이 사회적 희망을 제공할 수 없으며, 자유주의자는 사회적 희망에 대한 합의된 이론 없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믿는다.[21] 로티는 사회적 희망이 다시 존재하려면 새로운 약속의 문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22]

현실적인 기반이 있을 경우, 희망은 많은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너무 낙관적이면 실망과 환멸로 끝날 수 있다. 비현실적인 희망은 사람들을 신기루로 이끌고, 눈앞의 편안함과 기쁨의 순간을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며, 과도한 욕심으로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히게 한다.[70]

2. 1. 희망 이론



바버라 프레드릭슨은 위기가 닥칠 때 희망이 스스로 드러나면서 새로운 창의적인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주장한다.[4] 프레드릭슨은 큰 필요가 있을 때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관점 등 네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이끌어낸 행복과 기쁨, 용기, 권한 부여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유난히 폭넓은 아이디어가 생겨난다고 주장한다.[5] 이러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순진한 "헛된 희망"이 아닌 현실적인 낙관주의에 근거할 때 결실을 맺는다.[6][7]

심리학자 찰스 R. 스나이더는 희망을 목표의 존재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결정적인 계획의 결합으로 연결했다.[8] 알프레드 아들러는 인간 심리학에서 목표 추구의 중심성을 비슷하게 주장했으며,[9] 에른스트 블로흐와 같은 철학적 인류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10] 스나이더는 또한 희망과 정신적 의지력(강인함)의 연관성[11]뿐만 아니라 목표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문제 지향성)[12]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희망과 낙관주의의 차이점은 전자는 희망사항처럼 보일 수 있지만 후자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실용적인 방법을 찾는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13]

D. W. 위니콧은 아이의 반사회적 행동을 도움 요청, 즉 잠재의식적인 희망, 즉 핵가족 내에서의 억제가 실패했을 때 더 넓은 사회에서 통제권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바라는 암묵적인 욕구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14] 대상관계이론은 마찬가지로 분석적 전이가 과거의 갈등과 트라우마를 새롭게 처리할 수 있다는 무의식적인 희망에 의해 부분적으로 동기가 부여된다고 본다.[15]

긍정심리학 전문가인 스나이더는 희망과 용서가 건강, 직장, 교육 및 삶의 의미 등 삶의 여러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16] 그는 희망적인 사고방식을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목표: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삶에 접근하는 것
  • 방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는 것
  • 능동성: 변화를 일으키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것


다시 말해, 희망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을 파악하고, 능동적인 사고를 통해 그 방법을 활용하도록 스스로를 동기 부여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스나이더는 이 세 가지 요소를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키울 수 있는 사람들이 희망적인 사람들이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한 여러 가지 실현 가능한 방법을 상상하고, 장애물이 발생하더라도 끈기 있게 노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스나이더는 사람의 목표 달성에 대한 결의가 측정된 희망이라고 보는 "희망 척도"를 제안했다. 그는 성인 측정 희망과 아동 측정 희망을 구분했다. 스나이더의 성인 희망 척도는 '방법 사고'를 측정하는 4가지 질문, '능동성 사고'를 측정하는 4가지 질문, 그리고 단순히 채우기 위한 4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12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피험자는 8점 척도를 사용하여 각 질문에 응답한다.[17] 피벨(Fibel)과 헤일(Hale)은 스나이더의 희망 척도와 자신의 일반적 성공 기대 척도(GESS)를 결합하여 경험적으로 희망을 측정한다.[18] 스나이더는 심리 치료가 목표에 대한 집중을 돕고,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한 암묵지에 의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9] 마찬가지로, 관점과 현실 파악이라는 측면에서 '''희망 없음''', '''잃어버린 희망''', '''거짓된 희망''', '''진정한 희망'''을 구분하여 희망에 대한 '관점'과 '현실 파악'이 있다.[20]

희망관점갈망헌신
희망전망
왜곡된 현실
거짓된 희망
희망전망
정확한 현실
실제 희망
회의적없는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왜곡된 현실
잊혀진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정확한 현실
절망무력항복
현실의 파악
정보없음
일그러짐
거부된
정보
조심
동화



현대 철학자 리처드 로티는 희망을 단순한 목표 설정 이상으로, 보다 나은 미래를 기대하는 이유나 약속으로서의 메타 내러티브로 이해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인 로티는 기독교 이야기,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과거의 메타 내러티브가 거짓된 희망임을 증명했고, 이론이 사회적 희망을 제공할 수 없으며, 자유주의자는 사회적 희망에 대한 합의된 이론 없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믿는다.[21] 로티는 사회적 희망이 다시 존재하려면 새로운 약속의 문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22]

2. 2. 긍정심리학과 희망

바버라 프레드릭슨(Barbara Fredrickson)은 위기가 닥칠 때 희망이 스스로 드러나면서 새로운 창의적인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주장한다.[4] 프레드릭슨은 큰 필요가 있을 때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관점 등 네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이끌어낸 행복과 기쁨, 용기, 권한 부여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유난히 폭넓은 아이디어가 생겨난다고 주장한다.[5] 이러한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순진한 "헛된 희망"이 아닌 현실적인 낙관주의에 근거할 때 결실을 맺는다.[6][7]

심리학자 찰스 R. 스나이더(Charles R. Snyder)는 희망을 목표의 존재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결정적인 계획의 결합으로 연결했다.[8]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인간 심리학에서 목표 추구의 중심성을 비슷하게 주장했으며,[9] 에른스트 블로흐(Ernst Bloch)와 같은 철학적 인류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10] 스나이더는 또한 희망과 정신적 의지력(강인함)의 연관성[11]뿐만 아니라 목표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문제 지향성)[12]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희망과 낙관주의의 차이점은 전자는 희망사항처럼 보일 수 있지만 후자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실용적인 방법을 찾는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13]

D. W. 위니콧(D. W. Winnicott)은 아이의 반사회적 행동을 도움 요청, 즉 잠재의식적인 희망, 즉 핵가족 내에서의 억제가 실패했을 때 더 넓은 사회에서 통제권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바라는 암묵적인 욕구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14] 대상관계이론은 마찬가지로 분석적 전이가 과거의 갈등과 트라우마를 새롭게 처리할 수 있다는 무의식적인 희망에 의해 부분적으로 동기가 부여된다고 본다.[15]

긍정심리학 전문가인 스나이더는 희망과 용서가 건강, 직장, 교육 및 삶의 의미 등 삶의 여러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16] 그는 희망적인 사고방식을 구성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목표: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삶에 접근하는 것
  • 방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는 것
  • 능동성: 변화를 일으키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것


다시 말해, 희망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을 파악하고, 능동적인 사고를 통해 그 방법을 활용하도록 스스로를 동기 부여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스나이더는 이 세 가지 요소를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키울 수 있는 사람들이 희망적인 사람들이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향한 여러 가지 실현 가능한 방법을 상상하고, 장애물이 발생하더라도 끈기 있게 노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스나이더는 사람의 목표 달성에 대한 결의가 측정된 희망이라고 보는 "희망 척도"를 제안했다. 그는 성인 측정 희망과 아동 측정 희망을 구분했다. 스나이더의 성인 희망 척도는 '방법 사고'를 측정하는 4가지 질문, '능동성 사고'를 측정하는 4가지 질문, 그리고 단순히 채우기 위한 4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12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피험자는 8점 척도를 사용하여 각 질문에 응답한다.[17] 피벨(Fibel)과 헤일(Hale)은 스나이더의 희망 척도와 자신의 일반적 성공 기대 척도(GESS)를 결합하여 경험적으로 희망을 측정한다.[18] 스나이더는 심리 치료가 목표에 대한 집중을 돕고,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한 암묵지에 의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19] 마찬가지로, 관점과 현실 파악이라는 측면에서 '희망 없음', '잃어버린 희망', '거짓된 희망', '진정한 희망'을 구분하여 희망에 대한 '관점'과 '현실 파악'이 있다.[20]

희망관점갈망헌신
희망 전망
왜곡된 현실
거짓된 희망
희망 전망
정확한 현실
실제 희망
회의적없는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왜곡된 현실
잊혀진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정확한 현실
절망무력항복
현실의 파악
정보없음
일그러짐
거부된
정보
조심
동화



현대 철학자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는 희망을 단순한 목표 설정 이상으로, 보다 나은 미래를 기대하는 이유나 약속으로서의 메타 내러티브로 이해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인 로티는 기독교 이야기,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과거의 메타 내러티브가 거짓된 희망임을 증명했고, 이론이 사회적 희망을 제공할 수 없으며, 자유주의자는 사회적 희망에 대한 합의된 이론 없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믿는다.[21] 로티는 사회적 희망이 다시 존재하려면 새로운 약속의 문서가 필요하다고 말한다.[22]

3. 의료 분야

희망,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특정한 희망은 질병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희망은 환자들이 질병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 강한 심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98] 예를 들어, 희망은 과일과 채소를 먹고, 담배를 끊고,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하는 것과 같은 건강한 행동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이것은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질병이 처음부터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03]

높은 수준의 희망을 유지하는 환자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대한 예후가 개선되고 삶의 질이 향상된다.[99] 희망의 핵심 요소인 믿음과 기대는 엔도르핀을 방출하고 모르핀의 효과를 모방하여 만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고통을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이 과정을 통해 믿음과 기대는 만성 질환으로부터 회복될 가능성을 더 높게 만들 수 있는 신체에서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연쇄 반응은 희망이 이러한 환자의 회복을 돕는 유일한 변수인 플라시보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에서 특히 명백하다.[103]

여러 연구들은 질병으로부터 회복되는 기간 동안 희망의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회복 기간 동안의 절망감은 많은 경우 환자에게 불리한 건강 상태(회복 과정에 따른 우울증과 불안)를 초래했다.[100] 또한, 인지 치료 전이나 인지 치료 중에 더 많은 희망을 갖는 것은 참전 용사들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관련 우울증 증상의 감소로 이어졌다.[101] 희망은 또한 주관적인 건강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조현병 환자의 경우처럼 다른 정신 건강 장애에서 희망과 증상 심각도 사이의 연관성이 덜 명확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102]

치료 프로그램에 희망을 포함시키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환경 모두에 잠재력이 있다. 치료 개선 메커니즘으로서의 희망은 PTSD, 만성적인 신체적 질병, 그리고 다른 질병들 중에서도 말기 질환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101][102] 정신건강 실천에서, 임상의들은 희망 개입을 더 전통적인 인지 행동 치료법의 보충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02] 육체적 질병에 대한 지원 측면에서는 희망이 고통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엔돌핀과 엔케팔린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03]

하지만, 환자의 희망을 유지하면서 좋지 않은 예후를 전달하는 것은 의료 전문가에게 윤리적인 도전이 되기도 한다.[104]

3. 1. 주요 이론

긍정 심리학 전문가 스나이더(Snyder)는 희망이 건강, 일, 교육, 그리고 개인적인 의미와 같은 삶의 여러 측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 그는 희망적인 생각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로 목표, 경로, 기관을 제시했다.

  • 목표: 목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삶에 접근하는 것.
  • 경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는 것.
  • 기관: 변화를 추진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는 것.
[86]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 있는 희망을 표현한 장미꽃


스나이더는 이 세 가지 요소를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개인은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향한 여러 가지 실행 가능한 경로를 상상하며, 장애물에도 인내할 수 있는 희망적인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스나이더는 목표 달성에 대한 개인의 결심을 측정하는 "희망 척도"를 제안했다. 이 척도는 성인용과 아동용으로 구분되며, 성인용 척도는 12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질문은 '경로적 사고', '기관적 사고', 그리고 단순한 필러를 측정하며, 8점 척도로 응답한다.[87] 피벨과 헤일은 스나이더의 희망 척도와 그들의 성공을 위한 일반화된 기대 척도(GESS)를 결합하여 희망을 측정했다.[88]

스나이더는 정신치료가 목표에 집중하고 달성 방법에 대한 지식을 끌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89] 그는 또한 희망을 '전망'과 '현실 파악'으로 구분하여 '희망 없음', '잃어버린 희망', '거짓 희망', '진짜 희망'을 구별했다.[90]

희망관점갈망헌신
희망전망
왜곡된 현실
거짓된 희망
희망전망
정확한 현실
실제 희망
회의적없는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왜곡된 현실
잊혀진 희망
희망 없는 전망
정확한 현실
절망무력항복
현실의 파악
정보없음
일그러짐
거부된
정보
조심
동화



당대 철학자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는 희망을 목표 설정보다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는 약속이나 이유의 역할을 하는 메타 서술로 이해했다. 그는 과거의 메타내러티브가 잘못된 희망을 증명했으며, 사회적 희망의 합의된 이론 없이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91] 그는 사회적 희망이 다시 존재하기 위해서는 "약속의 문서"가 필요하다고 썼다.[92]

심리학 분야에서는 스나이더의 이론과 허스의 이론이 대표적이다. 스나이더는 희망을 인지적 기술로 보고, '기관적 사고'와 '경로적 사고'를 강조했다.[23] 그의 이론은 정신치료에서 목표 달성 메커니즘으로 활용된다.[94]

반면, 허스는 질병에 대처하는 개인의 미래 목표에 초점을 맞춘 이론을 제시했다.[24] 그는 희망을 "목표 달성을 향한 행동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데 이론적으로 필요한 동기적이고 인지적인 속성"으로 정의했다.[25] 허스는 개인이 자신의 건강을 직접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질병에 대처하는 방식에 대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

두 이론 모두 희망을 개인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고, 궁극적으로 더 큰 낙관주의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3. 2. 경험적 연구 결과

연구에 따르면, 희망, 특히 특정한 희망은 질병 회복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며, 환자에게 심리적 이점을 제공하여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98] 예를 들어, 희망은 과일과 채소 섭취, 금연, 규칙적인 신체 활동과 같은 건강한 행동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여 질병 회복 및 예방에 도움을 준다.[103] 높은 수준의 희망을 유지하는 환자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에 대한 예후가 개선되고 삶의 질이 향상된다.[99]

희망의 핵심 요소인 믿음과 기대는 엔도르핀을 방출하고 모르핀 효과를 모방하여 만성 질환 환자의 고통을 차단하며, 신체에서 연쇄 반응을 일으켜 회복 가능성을 높인다. 이러한 연쇄 반응은 플라시보 효과 연구에서 특히 명백하게 나타난다.[103]

질병 회복 기간 동안 절망감은 환자에게 우울증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건강 상태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100] 인지 치료 전이나 중에 더 많은 희망을 갖는 것은 참전 용사들의 PTSD 관련 우울증 증상 감소로 이어졌다.[101] 희망은 또한 주관적인 건강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조현병 환자의 경우처럼 다른 정신 건강 장애에서 희망과 증상 심각도 사이의 연관성이 덜 명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2]

2008년 연구 문헌 검토에서는 어떤 희망 개입이 가장 효과적인지, 그리고 어떤 환경(만성 질환, 만성 질환 대 말기 질환)에서 가장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종적 연구와 방법론적으로 건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102]

3. 3. 치료 프로그램 적용

치료 프로그램에 희망을 포함하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 환경 모두에 잠재력이 있다. 치료 개선 메커니즘으로서의 희망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만성 신체 질환, 말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101][102] 정신건강 실천에서 임상의들은 희망 개입을 전통적인 인지 행동 치료법의 보충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02] 신체 질환에 대한 지원 측면에서는 희망이 고통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엔돌핀과 엔케팔린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03]

희망이 환자의 회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경험적 연구와 이론적 접근을 통해 강력하게 뒷받침된다. 그러나 2008년 현재 문헌 검토에서는 어떤 희망 개입이 실제로 가장 효과적이고 어떤 환경(만성 질환 대 말기 질환)에서 가장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보다 종적이고 방법론적으로 건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102]

3. 4. 윤리적 문제

환자의 희망을 유지하면서 좋지 않은 예후를 전달하는 것은 의료 전문가에게 윤리적인 도전이다.[104] 치명적인 질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희망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반대하는 의사 결정에 근거한 두 가지 주요 주장이 있다. 첫 번째는 의사가 너무 많은 희망을 가지면 적극적으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사는 환자가 호전될 수 있다는 작은 희망을 붙잡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들고 많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하게 된다. 한 의사는 그녀가 자신의 환자에게 희망을 가졌던 것을 후회한다고 말했다. 만약 의사가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더라면 그 환자는 견디지 못했을 고통을 3년 더 겪어야 했다.[105] [34]

두 번째 주장은 희망과 소망 사이의 구분이다. 희망적인 사람들은 장애물을 고려하면서 최선의 행동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103] [33]에 따르면 "희망"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실제 상황에 대해 부정하는 것처럼, 희망적으로 생각하고 수동적으로 그 동작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너무 많은 희망을 갖는 것은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실적인 기반이 있을 경우, 희망은 많은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너무 낙관적이면 실망과 환멸로 끝날 수 있다. 비현실적인 희망은 사람들을 신기루로 이끌고, 눈앞의 편안함과 기쁨의 순간을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며, 과도한 욕심으로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히게 한다. 비현실적인 희망에 초점을 맞추면 사람들이 의학적 의사결정과 같은 중요한 주제에 대해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삶의 질과 좋은 죽음에 이르는 가능한 길을 비교 검토하거나, 죽음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하는 데 뒤처질 수 있다.[70]

4. 사회와 문화

희망(Hope)은 사회와 문화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세속적이거나 물질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중국과 인도의 부상은 칭디아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상하이 세계 금융센터, 부르즈 칼리파, 타이베이 101과 같은 현대 건축물의 등장은 경제 성장에 대한 희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106]

문화적 경계를 넘어선 희망은 시리아 난민 어린이들을 위한 유네스코의 교육 사업[107]이나 난민들의 식문화 지원[108]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4. 1. 한국 사회와 희망

현실적인 기반이 있을 때 희망은 많은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그러나 너무 낙관적이면 실망과 환멸로 끝날 수 있다. 비현실적인 희망은 사람들을 신기루로 이끌고, 눈앞의 편안함과 기쁨의 순간을 받아들이는 것을 방해하며, 과도한 욕심으로 다른 사람을 상처 입히게 한다. 비현실적인 희망에 초점을 맞추면 의학적 의사결정과 같은 중요한 주제에 대해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삶의 질과 좋은 죽음에 이르는 가능한 길을 비교하거나, 죽음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하는 데 뒤처질 수 있다.[70]

4. 2. 세계화와 희망

세계화와 관련하여 희망은 경제적, 사회적 권한 부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시아 일부 지역에 초점을 맞추면, 희망은 경제 성장 추구와 관련하여 세속적이거나 물질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과 인도 경제의 부상이 있으며, 이는 칭디아 개념과 관련이 있다. 또 다른 관련 예로는 상하이 세계 금융센터, 부르즈 칼리파, 타이베이 101 건설과 같이 부상하는 경제에서 현대 건축의 사용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원산지 국가 내에 만연한 희망을 불러일으켰다.[35] 혼란스러운 환경에서는 희망이 문화적 경계 없이 초월되며, 시리아 난민 어린이들은 유네스코의 교육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적인 교육과 심리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다.[36] 희망을 심어주기 위한 다른 문화 간 지원에는 식문화가 포함되며, 난민들을 풍부한 문화적 과거에 몰입시켜 외상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37]

4. 3. 문화 간 지원

세계화와 관련하여 희망은 경제적, 사회적 권한 부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아시아 일부 지역에 초점을 맞추면, 희망은 경제 성장 추구와 관련하여 세속적이거나 물질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과 인도 경제의 부상이 있으며, 이는 칭디아 개념과 관련이 있다. 또 다른 관련 예로는 상하이 세계 금융센터, 부르즈 칼리파, 타이베이 101 건설과 같이 부상하는 경제에서 현대 건축의 사용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원산지 국가 내에 만연한 희망을 불러일으켰다.[35] 혼란스러운 환경에서는 희망이 문화적 경계 없이 초월되며, 시리아 난민 어린이들은 유네스코의 교육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적인 교육과 심리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다.[36] 희망을 심어주기 위한 다른 문화 간 지원에는 식문화가 포함되며, 난민들을 풍부한 문화적 과거에 몰입시켜 외상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37]

5. 문학과 예술

호기심으로 열어본 상자를 닫으려는 판도라의 조각. 좌익에서는 세상의 악폐들이 탈출하면서 그녀를 조롱한다. 이 판화는 프레더릭 스튜어트 처치의 그림에 바탕을 두고 있다.


알렉산더 포프의 ''인간에 관한 수필''에는 Hope springs eternal영어라는 개념이,[110]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는 "날개가 있는 것은 희망이다"라는 표현이 등장한다.[111]

희망은 예술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동기로 자주 사용된다. 서양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진 예로 스타워즈의 첫 번째 에피소드인 "새로운 희망"의 부제가 있으며,[112] 이 부제는 루크 스카이워커를 가리킨다. 그는 영화에서 선이 악을 이길 수 있도록 하는 희망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제비(새)는 이솝 우화 등 여러 역사 문학에서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113] 제비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될 때 나타나는 새이기 때문에 희망을 상징한다.[114] 이 외에도 닻[115]비둘기[116]가 희망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5. 1. 문학 속 희망

Hope springs eternal영어라는 개념은 알렉산더 포프의 인간에 대한 수필에서 따온 것이다.[110] "날개가 있는 것은 희망이다"라는 유명한 말은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서 따온 것이다.[111]

희망은 예술적인 줄거리 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종종 역동적인 성격의 변화를 위한 동기부여가 된다. 서양 대중문화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언급은 "스타워즈"의 첫 번째 에피소드인 "새로운 희망"의 부제이다.[112] 이 부제는 주인공 중 한 명인 루크 스카이워커를 가리키는데, 그는 미래에 영화의 줄거리 안에서 선이 악을 이길 수 있도록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비(새)는 이솝 우화와 다른 수많은 역사 문학에서 희망의 상징이었다.[113] 제비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될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새 중 하나이기 때문에 희망을 상징한다.[114] 다른 희망의 상징으로는 닻[115]비둘기[116]가 있다.

호기심에 상자를 연 판도라를 묘사한 판화. 왼쪽에는 세상의 악들이 상자에서 쏟아져 나오며 판도라를 조롱하고 있다. 이 판화는 F. S. 처치의 그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5. 2. 희망의 상징

알렉산더 포프의 ''인간에 관한 수필''에서 "희망은 영원하다"라는 개념이 나왔고,[110] 에밀리 디킨슨의 시에서는 "날개가 있는 것은 희망이다"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111]

희망은 예술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동기로 자주 사용된다. 서양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진 예로는 스타워즈의 첫 번째 에피소드인 "새로운 희망"의 부제가 있다.[112] 이 부제는 루크 스카이워커를 가리키는데, 그는 영화에서 선이 악을 이길 수 있도록 하는 희망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제비이솝 우화 등 여러 역사 문학에서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113] 제비는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될 때 나타나는 새이기 때문에 희망을 상징한다.[114] 이 외에도 닻[115]비둘기[116]가 희망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6. 신화와 종교

희망은 대부분의 주요 세계 종교에서 핵심 개념이며, 종종 개인이나 집단이 천국의 개념에 도달할 것이라고 믿는 "희망자"를 의미한다. 종교에 따라 희망은 영적 성취의 전제 조건 또는 부산물로 볼 수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판도라는 호기심에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모든 악이 쏟아져 나왔을 때, 마지막으로 상자 바닥에 남은 것이 "희망"이었다고 한다. 판도라의 상자에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미래를 모두 알게 되는 재앙(징조)"이었고, 그것이 풀려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희망이 남았다"고 여겨진다.

기독교에서 소망은 믿음, 사랑과 더불어 신학적 덕(영어: theological virtues) 중 하나이다.[68] 따라서 기독교와 기독교인의 삶에서는 중요한 덕으로 여겨지며,[69] 기독교 신자의 삶의 의미의 기반이기도 하다.

《유대 백과사전》(Jewish Encyclopedia)은 희망을 나타내는 용어로 "티크바"(tiḳwah, תקווה|티크바he)와 "세베르"(seber)를 언급하며, "미크베"(miḳweh)와 "키슬라"(kislah)는 관련 개념인 "신뢰"를, "토헬렛"(toḥelet)은 "기대"를 의미한다고 덧붙인다.[52]

6. 1. 그리스 신화

엘피스는 제우스프로메테우스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고대 그리스 신화의 개념이다.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로부터 불을 훔치자 분노한 제우스는 인간에게 벌을 내리기 위해 온갖 악을 담은 상자를 만들었다. 판도라는 상자를 열지 말라는 경고를 받았지만, 호기심에 상자를 열었고 그 결과 인류에게 전염병, 질병, 고통을 안겨준 수많은 해로운 악령들이 쏟아져 나왔다. 탐욕, 질투, 증오, 불신, 슬픔, 분노, 복수, 욕망, 절망과 같은 악령들이 퍼져나가 인간들을 괴롭혔다. 그러나 상자 안에는 '희망'이라는 이름의 치유의 정령 또한 남아 있었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희망의 정령이 고통, 질병, 재난, 상실, 그리고 악령과 사건들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고 견딜 수 있도록 돕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49] 헤시오도스의 『일과 나날』에서 희망은 엘피스라는 이름으로 의인화되었다.

노르드 신화에서 희망(''Vön'')은 펜리르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침으로 여겨졌다.[50] 노르드인들의 용기 개념은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의 쾌활한 용기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51]

6. 2. 북유럽 신화

노르드 신화에서 희망(''Vön'')은 펜리르의 입에서 떨어지는 침으로 여겨졌다.[50] 노르드 신화의 용기 개념은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의 쾌활한 용기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51]

6. 3. 기독교

희망은 믿음, 사랑과 더불어 기독교의 세 가지 신학적 미덕 중 하나이다.[120][121] 성경에서 "희망"은 미래의 보상에 대한 "강렬하고 자신감 있는 기대"를 의미한다 (디도서 1:2 참조). 현대적 용어로 희망은 신뢰와 자신감 있는 기대와 유사하다.[122]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가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의 원천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희망으로 우리는 구원받았다"(로마서 8:24 참조).[122]

홀먼 성경 사전에 따르면 희망은 "하나님의 인도 아래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며 믿을 수 있는 기대"이다.[123] 천로역정에서는 호프풀이 의심의 성에서 크리스천을 위로한다. 반대로 단테의 지옥 입구에는 "여기 들어서는 자여, 모든 희망을 버려라"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124]

프랑스 루르드에서 사람들이 ''기적의 물''을 모으고 있다

6. 4. 힌두교

힌두교의 역사 문학에서 희망은 "프라티디" (प्रतिधी|프라티디sa)[125][126][127] 또는 '아페크시' (अपेक्ष|아페크시sa)[125][126][127]로 언급되며, 욕망과 소망의 개념과 함께 논의된다. 베다 철학에서 "카르마"는 의식적인 희생(야즈나)과 연결되었고, 희망과 성공은 이러한 의식들의 정확한 수행과 연결되었다.[128][129] 비슈누 스미티에서 희망, 도덕, 일의 이미지는 희망찬 마음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자신의 바람에 이르는 덕 있는 사람으로 나타난다. 그의 오감은 전차를 끌고, 그는 전차를 덕 있는 길에 유지하여 분노, 탐욕 및 기타 악덕과 같은 잘못에 휘둘리지 않는다.[130]

그 후 수세기 동안, '카르마'의 개념은 성스러운 의식에서 사회와 인간의 존재를 건설하고 봉사하는 실제 인간의 행동으로 바뀌었다.[128][129]바가바드 기타에 잘 나타나는 철학이다. 힌두교 신앙에서 믿음과 동기의 구조에서 희망은 장기적인 "카르믹" 개념이다. 행동에는 결과가 따르며, 노력과 일이 단기간에 결실을 맺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선을 위해 봉사할 것이며, 부지런한 여정(카르마)과 그 여정을 추구하는 방법에 도움이 될 것이고,[131] 머지않아 이는 행복과 목샤로 이어진다.[128][132][133]

6. 5. 불교

불교의 가르침은 희망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불교는 고통받는 이들을 더욱 조화로운 세상과 더 나은 웰빙으로 이끄는 길을 제시하며, 희망은 길을 잃거나 고통받는 이들에게 빛과 같은 역할을 한다. 신심(信, Saddha), 지혜, 열망이라는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여 실천적인 희망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천적인 희망은 고통받는 이들을 내면의 자유와 전체적인 웰빙으로 이끄는 기반이 되며, 고통과 역경 속에서도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믿음을 심어준다.[67]

7. 희망권

희망은 다양한 배경의 철학자들뿐만 아니라 특히 지난 10년 동안 국내외 법원에서도 인간 존재의 중요하고 본질적인 측면으로 널리 인정되어 왔다. 각 개인 내에 존재론적 요소로서 기능하는 희망은 사적인 영역과 공적인 영역 모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과거 법원의 고려 사항은 종종 법적 분쟁과 일상생활에서 비롯된 희망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현재 주요 논의 주제는 ''그레이엄 대 플로리다'' 사건처럼 석방을 추구하는 수감자들의 희망에 중점을 둔다.[38]

리오프리오의 연구는 희망권의 구체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희망권 자체를 심층적으로 조사한다.[39] 이러한 탐구에서 그는 정당한 기대의 원칙과 기회 상실의 원칙과 같이 일상적인 희망을 다루는 수많은 법적 원칙들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낸다.

리오프리오는 희망권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광범위한 판례, 국제법적 선례, 저명한 학자들의 철학적 가르침, 그리고 특정 신학적 주장에서 통찰력을 얻어, 열거되지 않은 희망권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필수 요소를 포함한다고 결론짓는다.[39]

# 전쟁 중 군대 사기를 저하시키는 것과 같이 개인을 부당하게 낙담시키는 행위를 피하면서 소망, 열망, 계획 및 신념을 가질 권리.

# 때로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ESCR) 프로그램과 일치하지만 정당한 기대의 원칙도 포함하는 특정 기회를 가질 권리.

# 춤추는 사람의 사지나 화가의 시력과 같이 희망의 근거가 되는 수단에 대한 피해를 금지하는, 희망을 실현할 수단을 가질 권리.

# 기회 상실의 원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일정한 기회를 가질 권리.

참조

[1] 웹사이트 Hope | Define Hope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1992-11-27
[2] 웹사이트 Hope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3] 서적 Roget's Thesaurus 1995
[4] 잡지 Why Choose Hope? http://www.psycholog[...] 2009-03-23
[5] 논문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http://psycnet.apa.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 서적 Emotional Intelligence 1996
[7] 논문 Factor structure of the "Top Ten" positive emotions of Barbara Fredrickson
[8] 웹사이트 Breaking down Barack Obama's Psychology of Hope and how it may help you in trying times… – Wellness, Disease Prevention, And Stress Reduction Information http://www.mentalhel[...] Mentalhelp.net 2008-11-05
[9] 서적 What Do You Say After You Say Hello? 1974
[10] 서적 A Rumour of Angels 1973
[11]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12] 서적 Problem-solving Therapy: A Social Competence Approach to Clinical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13]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14] 서적 The Child, the Family, and the Outside World 1973
[15] 서적 Further Learning from the Patient 1990
[16] 웹사이트 Hope Theory https://teachingpsyc[...]
[17] 논문 Hope Theory: A Member of the Positive Psychology Famil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8] 웹사이트 Self-concept, Hope and Achievement: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self-concept, level of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http://www.missouriw[...] Missouriwestern.edu 1997-05-01
[19]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20] 웹사이트 Emotional Competency - Hope http://www.emotional[...]
[21] 서적 Richard Rorty 1994
[22] 서적 Philosophy and Social Hope Penguin Books 1999
[23]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https://archive.org/[...] Free Press 1994
[24] 논문 A Meta-Analysis of Hope Enhancement Strategies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 2011
[25] 논문 Enhancing hope in people with a first recurrence of cancer 2000
[26] 논문 Hope, expectations, and recovery from illness: A narrative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https://www.ncbi.nlm[...] 2008
[27] 웹사이트 Reflections on hope and recovery http://nedic.ca/ National Eating Disorder Information Centre
[28] 웹사이트 How to Spot and Overcome Hopelessness in Recovery https://www.newhoper[...] 2021-07
[29] 웹사이트 Hope: Why it matters https://www.health.h[...] 2021-07-16
[30] 웹사이트 On the Phenomenon of Sudden Death in Animals and Man https://journals.lww[...] 1957-07
[31] 웹사이트 Does Hope Really Make a Difference? Scientific Findings http://blogs.psychce[...] 2012-08
[32] Submitted manuscript Hope in psychiat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kclpure.kcl.[...]
[33] 뉴스 How hope can help you heal http://www.cnn.com/2[...]
[34] 웹사이트 Is it ethical to instill false hope? http://digest.bps.or[...]
[35] 서적 The Geopolitics of Emotion: How Cultures of Fear, Humiliation, and Hope Are Reshaping the World Doubleday 2009
[36] 웹사이트 Five stories of hope from Zaatari refugee camp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017-06-09
[37] 웹사이트 Berlin refugee guides show off cultural riches from home http://www.unhcr.org[...] 2017-06-09
[38] 웹사이트 Graham v. Florida, 560 U.S. 48 (2010) https://supreme.just[...] 2024-01-15
[39] 논문 The Right To Hope: A New Perspective Of The Right To Have Expectations, Opportunities And Plans https://scholarlycom[...] 2023-10-01
[40] 웹사이트 SparkNotes: Dickinson's Poetry: "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http://www.sparknote[...]
[41] 서적 An essay on man – Alexander Pope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2012-10-02
[42] 웹사이트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http://www.bartleby.[...] 2012-10-02
[43] 웹사이트 "A New Hope" – Star Wars https://www.imdb.com[...] IMDb.com 2012-10-02
[44] 서적 Ethics in Aesop's Fables: The Augustana Collection Brill Academic 2001
[45] 서적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Art 2006
[46]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Symbolism Anchor
[47] 서적 The Grail Tradition
[48] 웹사이트 Human, All Too Human (1878) https://www.reddit.c[...] 2019-11-23
[49] 논문 The Hope Construct, Will, and Ways: Their Relations with Self-Efficacy, Optimism, and General Well-Being 1999-04
[50] 서적 J. R. R. Tolkien
[51]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52] 웹사이트 Hope https://jewishencycl[...] 2023-02-16
[53] 서적 "hope" A Dictionary of Phrase and Fable Oxford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Meaning of : Hope; Bible Definition http://bible-library[...] Bible-library.com 2012-10-02
[55] 웹사이트 Hope | Bible.org – Worlds Largest Bible Study Site http://bible.org/art[...] Bible.org 2012-10-02
[56] 웹사이트 HOPE – Holman Bible Dictionary on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2-10-02
[57] 서적 Hell
[58] 웹사이트 prati-dhi http://www.sanskrit-[...] Sanskrit Lexicon, University of Koeln, Germany
[59] 웹사이트 Apêksh http://www.sanskrit-[...] Sanskrit Lexicon, University of Koeln, Germany
[60] 웹사이트 apekSA http://spokensanskri[...] Spoken Sanskrit-English dictionary Version 4.2, Germany
[61] 웹사이트 Karma and Bhakti ways of Salvation: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http://www.biblicals[...] 1995
[62] 논문 A Copernican Reversal: The Gītākāra's Reformulation of Karma 1977
[63] 웹사이트 The Mind as Wish-Car in the Veda https://archive.org/[...]
[64] 서적 Salvation in the World – A Hindu-Christian Dialogue on Hope and Liberation 1989
[65] 웹사이트 The Concept of Karma in the Bhagawad Gita http://www.wabashcen[...] Department of Philosophy, Wabash Center, Kent State University
[66] 논문 The manufacture of hope: religion, eschatology and the culture of optimism http://www.tandfonli[...] 2011-03-22
[67] 웹사이트 Ask the Teachers: What is the Buddhist view of hope? https://www.lionsroa[...] 2024-04-06
[68] 문서 영어권에서의 Hope, Faith, Charity의 용례
[69] 뉴스 希望の理由 http://opusdei.org/j[...] 2018-04-06
[70] 웹사이트 Hope: Why it matters https://www.health.h[...] 2021-07-16
[71] 웹인용 Hope | Define Hope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1992-11-27
[72] 웹인용 Hope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2-10-02
[73] 서적 Expectancy and emo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11-27
[74] 서적 Roget's Thesaurus B. Kirkpatrick 1995
[75] 잡지 Why Choose Hope? http://www.psycholog[...] 2009-03-23
[76] 웹인용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http://psycnet.apa.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pp. 1045–1062
[77] 웹인용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Wellness, Family & Relationship Issues, Sexual Disorders & ADHD Medications http://www.mentalhel[...] Mentalhelp.net
[78] 서적 Emotional Intelligence D. Goleman 1996
[79]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80] 웹인용 Breaking down Barack Obama's Psychology of Hope and how it may help you in trying times… – Wellness, Disease Prevention, And Stress Reduction Information http://www.mentalhel[...] Mentalhelp.net 2008-11-05
[81]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82] 서적 What Do You Say After You Say Hello? Eric Berne 1974
[83] 서적 A Rumour of Angels Peter Berger 1973
[84] 서적 The Child, the Family, and the Outside World D. W. Winnicott 1973
[85] 서적 Further Learning from the Patient P. Casement 1990
[86] 웹인용 Hope Theory https://teachingpsyc[...] 2017-06-13
[87] 서적 Hope Theory: A Member of the Positive Psychology Famil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88] 웹인용 Self-concept, Hope and Achievement: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self-concept, level of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http://www.missouriw[...] Missouriwestern.edu 1997-05-01
[89]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Here from There The Free Press 1994
[90] 웹인용 Emotional Competency - Hope http://www.emotional[...] 2017-06-09
[91] 서적 Richard Rorty D. L. Hall 1994
[92] 서적 Philosophy and Social Hope Penguin Books 1999
[93] 서적 The Psychology of Hope https://archive.org/[...] Free Press 1994
[94] 웹인용 APA PsycNet https://psycnet.apa.[...] 2022-02-22
[95] 저널 A Meta-Analysis of Hope Enhancement Strategies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 2011
[96] 저널 Enhancing hope in people with a first recurrence of cancer 2000
[97] 저널 Measuring Hope: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Validation in Rural Myanmar https://www.tandfonl[...] 2018-11-02
[98] 저널 Hope, expectations, and recovery from illness: A narrative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https://www.ncbi.nlm[...] 2008
[99] 웹인용 Reflections on hope and recovery http://nedic.ca/ National Eating Disorder Information Centre 2015-04-20
[100] 저널 The Importance of Hope in Coping with Severe Acquired Disability https://www.tandfonl[...] 2010-03
[101] 웹인용 Does Hope Really Make a Difference? Scientific Findings http://blogs.psychce[...] 2012-08
[102] Submitted manuscript Hope in psychiat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kclpure.kcl.[...]
[103] 뉴스 How hope can help you heal http://www.cnn.com/2[...] 2015-04-20
[104] 저널 Hope and therapeutic privilege: time for shared prognosis communication 2021-12
[105] 웹인용 Is it ethical to instill false hope? http://digest.bps.or[...]
[106] 서적 The Culture of Hope Doubleday
[107] 웹인용 Five stories of hope from Zaatari refugee camp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017-06-09
[108] 웹인용 Berlin refugee guides show off cultural riches from home http://www.unhcr.org[...] 2017-06-09
[109] 웹인용 SparkNotes: Dickinson's Poetry: "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http://www.sparknote[...]
[110] 서적 An essay on man – Alexander Pope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2012-10-02
[111] 웹인용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http://www.bartleby.[...] 2012-10-02
[112] 웹인용 "A New Hope" – Star Wars https://www.imdb.com[...] IMDb.com 1977-05-25
[113] 서적 Ethics in Aesop's Fables: The Augustana Collection Brill Academic
[114] 서적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Art
[115] 서적 A Dictionary of Literary Symbolism Anchor
[116] 서적 The Grail Tradition
[117] 저널 The Hope Construct, Will, and Ways: Their Relations with Self-Efficacy, Optimism, and General Well-Being 1999-04
[118] 서적 J. R. R. Tolkien
[119]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120] 웹인용 Meaning of : Hope; Bible Definition https://web.archive.[...] Bible-library.com 2012-04-02
[121] 서적 "hope" Oxford University Press
[122] 웹인용 Hope | Bible.org – Worlds Largest Bible Study Site http://bible.org/art[...] Bible.org 2012-10-02
[123] 웹인용 HOPE – Holman Bible Dictionary on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2-10-02
[124] 서적 Hell
[125] 웹사이트 prati-dhi http://www.sanskrit-[...] Sanskrit Lexicon, University of Koeln, Germany
[126] 웹사이트 Apêksh http://www.sanskrit-[...] Sanskrit Lexicon, University of Koeln, Germany
[127] 웹사이트 apekSA https://web.archive.[...] Spoken Sanskrit-English dictionary Version 4.2, Germany 2017-06-30
[128] 저널 Karma and Bhakti ways of Salvation: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http://www.biblicals[...]
[129] 저널 A Copernican Reversal: The Gītākāra's Reformulation of Karma
[130] 저널 The Mind as Wish-Car in the Veda https://www.jstor.or[...]
[131] 서적 Salvation in the World – A Hindu-Christian Dialogue on Hope and Liberation
[132] 웹사이트 The Concept of Karma in the Bhagawad Gita http://www.wabashcen[...] Department of Philosophy, Wabash Center, Kent State University
[133] 저널 The manufacture of hope: religion, eschatology and the culture of optimis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