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과는 발칸반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4000년 이상 재배된 과일이다. 그리스, 로마 시대를 거쳐 유럽, 아메리카, 칠레 등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중앙아시아의 톈산산맥 일대가 사과의 기원지로 여겨지며, 현대 사과의 조상인 말루스 시베르시이가 실크로드를 따라 전파되면서 다양한 야생종과 잡종화되었다. 한국에서는 능금나무를 재배해 왔으며, 19세기 말 서양 품종이 도입되어 사과 재배가 확대되었다. 사과는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수확 시기, 색깔,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사과 품종 개량은 접붙이기, 교잡, 돌연변이 육종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사과 재배에는 기후, 토양, 수분 관리 등이 중요하며, 병해충 방제와 생리 장애 관리에도 주의해야 한다. 사과는 식이섬유, 비타민 C, 칼륨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좋으며, 대장암, 유방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2022년 기준, 중국이 세계 최대 사과 생산국이며, 터키, 미국, 폴란드, 인도 등이 그 뒤를 잇는다. 사과는 기독교에서 유혹, 죄의 상징으로, 그리스 신화에서는 불화, 다산, 구애의 상징으로, 중국에서는 평화를 상징하는 등 다양한 문화적 상징을 지닌다. 사과 씨에는 소량의 시안화수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과다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과 - 황금사과
황금 사과는 그리스 신화, 북유럽 신화, 아일랜드 신화 등 다양한 신화와 문학, 대중문화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등장하며, 여러 작품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아이템이나 상징으로 활용된다. - 사과 - 기무라 아키노리
일본의 농업가 기무라 아키노리는 농약과 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자연 재배 방식으로 사과 생산에 성공하여 '기적의 사과'로 알려졌으며, 현재 자연 재배 기술 보급을 위해 강연과 농업 지도를 하고 그의 삶은 예술 작품으로도 제작되었다. - 음식에 관한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음식에 관한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사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Malus domestica (Suckow) Borkh. |
이명 | Malus communis Desf. Malus pumila Mil. Malus frutescens Medik. Malus paradisiaca (L.) Medikus Malus sylvestris Mil. Pyrus malus L. Pyrus malus var. paradisiaca L. Pyrus dioica Moench |
과 | 장미과 |
아과 | 벚나무아과 |
속 | 사과속 |
종 | 서양사과 |
원산지 | 카자흐스탄 남부 |
재배지 | 전 세계 온대 지역 |
일반 명칭 | 사과 서양사과 오오링고 토우링고 핑궈 |
영어 명칭 | apple orchard apple |
영양 정보 (100g당) | |
수분 | 86.67 g |
에너지 | 200 kJ |
단백질 | 0.27 g |
지방 | 0.13 g |
탄수화물 | 12.76 g |
섬유질 | 1.3 g |
당류 | 10.1 g |
칼슘 | 5 mg |
철분 | 0.07 mg |
마그네슘 | 4 mg |
인 | 11 mg |
칼륨 | 90 mg |
나트륨 | 0 mg |
아연 | 0.05 mg |
망간 | 0.038 mg |
셀레늄 | 0 μg |
비타민 C | 4 mg |
티아민 | 0.019 mg |
리보플라빈 | 0.028 mg |
니아신 | 0.091 mg |
판토텐산 | 0.071 mg |
비타민 B6 | 0.037 mg |
엽산 | 0 μg |
콜린 | 3.4 mg |
비타민 B12 | 0 μg |
비타민 A | 2 μg |
베타카로틴 | 17 μg |
루테인 | 18 μg |
비타민 E | 0.05 mg |
비타민 D | 0 IU |
비타민 K | 0.6 μg |
포화 지방 | 0.021 g |
단일 불포화 지방 | 0.005 g |
다중 불포화 지방 | 0.037 g |
트립토판 | 0.001 g |
트레오닌 | 0.006 g |
이소류신 | 0.006 g |
류신 | 0.014 g |
라이신 | 0.013 g |
메티오닌 | 0.001 g |
시스테인 | 0.001 g |
페닐알라닌 | 0.007 g |
티로신 | 0.001 g |
발린 | 0.012 g |
아르기닌 | 0.006 g |
히스티딘 | 0.005 g |
알라닌 | 0.012 g |
아스파르트산 | 0.074 g |
글루탐산 | 0.026 g |
글리신 | 0.009 g |
프롤린 | 0.006 g |
세린 | 0.011 g |
2. 역사
사과는 중앙아시아가 기원이라고 알려져 왔으며[132][124], 게놈 비교 연구를 통해 중앙아시아에 분포하는 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125][126] 이 중 톈산산맥 서쪽에 분포하는 집단이 서양 사과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카자흐스탄의 알마티는 현지어로 "사과의 마을"을 의미한다.[127] 가 재배되면서 실크로드를 통해 서쪽으로 전파되었고, 유럽에서 와 교잡하여 현재의 서양 사과()가 탄생했다고 여겨진다.[126]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사과가 사치품으로 취급되었고, 그리스 시대에는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3-4세기)가 사과의 야생종과 재배종을 구분하고, 접붙이기에 대해 기록하였다.[131] 로마 시대에도 사과는 과수원에서 재배되었고, 플리니우스(1세기)는 23품종이 있다고 기록하였다.[272][132]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는 브리타니아 원주민들이 야생 사과를 발효시켜 사이다를 양조하는 것을 발견하고 로마로 가져왔다.[134] 로마 제국의 확장과 함께 사과 재배는 스페인, 프랑스, 브리타니아로 퍼져나갔다.[127]
중세에는 유럽에서 사과 재배가 일시적으로 쇠퇴했지만, 수도원 등에서 재배가 계속되었다.[127] 샤를마뉴(8-9세기)는 영지령에서 여러 식물과 함께 사과를 심도록 명령했다.[127][135] 13세기에는 사과 재배가 다시 활기를 띠었고, 16세기에는 프로테스탄트의 확산이 사과 재배를 확대시켰다.[366] 17세기에는 적어도 120품종이 기록되었고,[272] 16-17세기 이후에는 유럽 여러 나라의 해외 진출과 함께 사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퍼져나갔다.[272][127]
는 동쪽으로도 이동하여 시베리아사과 ()와 교잡하여 왜사과 () 및 개사과 ()가 탄생했다고 여겨진다.[126] 왜사과는 중국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었으나,[136][137] 19세기 중반 이후 서양 사과가 도입되어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사과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137]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시대 무렵에 중국에서 도입된 왜사과가 재배되었고, 링고(林檎)라고 불렸다.[138][139] 에도 시대 말 무렵부터 서양 사과가 반입되기 시작했는데, 1854년(안세이 원년)에 미국에서 가져온 "애플"이 가가번에서 재배되어 식용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140]이 남아 있다.[142] 1871년(메이지 4년), 홋카이도 개척사 차관이었던 쿠로다 키요타카는 미국에서 사과 75품종을 가지고 귀국하여 도쿄 등에서 육성되었다.[131][132][144] 1875년(메이지 8년)에는 마에다 마사나가가 프랑스에서 108품종을 도입했지만, 대부분은 일본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았다.[131] 이후 서양 사과의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어 왜사과를 대신하여 서양 사과가 링고(林檎)라고 불리게 되었다.[118]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 능금(Malus asiatica)을 재배해왔으며, 1884년 무렵에는 선교사들이 서양 품종을 들여와 관상수로 심었다.[406]
2. 1. 서양 사과
서양사과는 발칸반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0세기경 스위스 토굴 주거지에서 탄화된 사과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4,00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스 시대에는 재배종과 야생종을 구분한 기록이 있고, 접목 번식법이 이미 소개되어 있을 정도로 재배 기술이 발달했다. 로마시대에는 Malus 또는 Malum이란 명칭으로 재배가 성행하였고, 그 후 16-17세기에 걸쳐 유럽 각지에 전파되었다. 17세기에는 미국, 20세기에는 칠레 등 남미 각국으로 전파되었다.[406]
중앙아시아는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사과의 기원지로 여겨진다.[23] ''말루스 도메스티카''의 야생 조상은 ''말루스 시베르시이''로, 카자흐스탄 남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및 중국 신장 지역의 중앙아시아 산악 지대에서 자생한다.[74][24] 이 종의 재배는 티엔산 산맥의 숲이 우거진 산비탈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오랜 기간에 걸쳐 다른 종의 유전자를 이입하는 2차 유전자 침입이 일어났다. ''말루스 실베스트리스''(아시아배)와의 교류로 인해 사과는 형태학적으로 조상인 ''말루스 시베르시이''보다 아시아배와 더 가깝게 되었다. 최근 혼합이 없는 계통에서는 ''말루스 시베르시이''의 기여가 더 두드러진다.[25][26][27]
사과는 4,000~10,000년 전 티엔산 산맥에서 재배된 것으로 여겨지며, 실크로드를 따라 유럽으로 전파되어 야생 아시아배와 잡종화 및 유전자 침입이 일어났다. 티엔산 산맥 서쪽의 ''M. sieversii'' 나무만이 재배 사과에 유전적으로 기여했다.[28]
이탈리아 북동부 우디네 근처 삼마르덴키아-쿠에이스 유적지에서는 기원전 6570년에서 5684년 사이의 탄소 연대 측정 자료에서 사과 종자들이 발견되었다.[29] 그러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고대 사과가 야생 ''말루스 실베스트리스''였는지, ''말루스 시베르시이'' 조상을 포함한 ''말루스 도메스티카''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고고학적 기록에서 채집된 야생 사과와 사과 농장을 구분하기는 어렵다.[30]
기원전 3천년기에 중동에서 사과 재배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있다.[30] 기원전 10세기 시나이 반도와 네게브 사이의 유대인 유적지에서 사과 씨앗이 발견되었다.[31] 유럽 고전 시대에는 상당한 사과 생산이 있었고, 접붙이기가 알려져 있었다.[30]
플리니우스 장로는 1세기 당시 사과 보관 방법을 설명했다. 그는 사과를 북쪽을 향한 창문이 있는 통풍이 잘 되는 방에 짚, 겨 또는 매트 위에 두고 낙과는 따로 보관해야 한다고 기록했다.[32] 이러한 방법으로 신선한 사과의 이용 가능 기간을 연장할 수 있지만, 냉장 시설 없이는 수명이 제한된다. 튼튼한 겨울 사과 품종도 서늘한 기후에서는 12월까지밖에 보관되지 않는다.[33] 중세 유럽 사람들은 사과의 씨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긴 후 꿰어 말렸다.
16세기 스페인 사람들이 칠로에 제도에 들여온 많은 구세계 식물 중 사과나무는 특히 잘 적응했다. 사과는 17세기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북아메리카에 도입되었고,[74] 최초로 이름이 붙여진 사과 품종은 1640년 윌리엄 블랙스턴 목사에 의해 보스턴에 도입되었다.[36] 북아메리카 원산 사과는 아시아배뿐이다.[37]
유럽에서 종자로 가져온 사과 품종은 아메리카 원주민 무역로를 따라 퍼져 나갔고, 식민지 농장에서도 재배되었다. 1845년 미국 사과 묘목 목록에는 "최고" 품종 350개가 판매되어 19세기 초 북미 품종의 증식을 보여준다.[37] 20세기에 워싱턴 동부의 관개 사업이 시작되어 사과가 주요 생산품인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과일 산업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74]
20세기까지 농부들은 겨울 동안 자체 사용이나 판매를 위해 사과를 서리 방지 지하 저장고에 저장했다. 기차와 도로를 이용한 신선한 사과의 개선된 운송으로 저장의 필요성이 대체되었다.[38][39] 사과를 연중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어 대기 시설이 사용된다. 제어 대기 시설은 높은 습도, 낮은 산소량 및 제어된 이산화탄소 수준을 사용하여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한다. 이 시설은 1920년대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처음 연구되었고,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40]
2. 2. 한국의 사과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인 능금나무(''Malus asiatica'')를 재배해 왔다. 《계림유사》(12세기)에는 ‘임금(林樆)은 (고려말로) 悶子訃라 한다(林樆曰 悶子訃)’는 언급이 있고,[406] 《고려도경》(1123)에는 고려에 내금(來檎)이 자란다고 기록하고 있다.[406] 여기서 임금(林樆)과 내금(來檎)이 능금과 사과 중 어떤 것을 가리키는 말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 숙종 때 쓰여진 홍만선의 《산림경제》(18세기 초)에는 사과(楂果)와 임금(林檎)의 재배법이 각각 실려 있다.[406]1884년 무렵에는 선교사들이 서양 품종을 들여와 관상수로 심었다.[406] 대구·경북 지방의 사과는 1899년 선교사로 왔던 우드브릿지 존슨이 대구에 있는 그의 사택에 심은 72그루의 사과나무로부터 널리 퍼졌다.[407]
3. 이름과 어원
언해두창집요(1601)에 ''라는 형태로 '사과'의 옛 형태가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있다.[1] 이 단어는 《훈몽자회》(1527)에서는 '沙果'(사과), 《산림경제》(18세기 초)에서는 '楂果'(사과)로 차자 표기되었다. 19세기까지는 능금나무(''Malus asiatica'')와 사과나무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으나, 20세기 초 능금나무가 다른 종으로 분류되면서 '사과'는 ''Malus domestica''를 지칭하는 말로 정착되었다.
학명 말루스 도메스티카(''Malus domestica'')는 라틴어로 '친숙한 사과'라는 뜻이다. 사과를 뜻하는 '말루스(malusla)'는 악을 뜻하는 '말룸(malumla)'과 비슷하여 기독교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선악과로 표현된다. 하지만 '말루스(malusla)'는 사과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멜론(μῆλονgrc)'에서 온 것으로 '말룸(malumla)'과는 어원이 다르다. '멜론(μῆλονgrc)'은 멜론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사과"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단어 에서 유래하며, 다시 원시 게르만어 명사 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에서 비롯되었다.[1] 17세기 후반까지도 이 단어는 견과류를 포함한 모든 과일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14세기 중세 영어 표현 appel of paradisenm (바나나를 뜻함)과 비교될 수 있다.[2]
“사과(林檎)”는 원래 중국 북부 원산인 털사과(ワリンゴ|와링고일본어)를 가리키는 중국 이름이었다.[117][118] 중국에서는 “사과(林檎)”가 적어도 6세기의 본초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이름은 과일을 먹으러 새들이 모이는 것을 나타내는 “来禽”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132] 일본에서 “사과(林檎)”가 처음 등장한 것은 헤이안 시대 중엽의 『和名類聚抄』이며, “사과(林檎)”에 대해 “리우코우(リウコウ)/리우고우(リウゴウ)/リンゴウ(リンゴウ)”라는 훈독을 적고 있다.[117][118] 중세 이후로는 린키(リンキ), 린킨(リンキン), 링고(リンゴ)와 같은 발음도 나타났으며, 근세에 들어서는 링고(リンゴ)라는 발음이 일반화되었다.[117][118] 일본에서 이 “사과(リンゴ)”(현재의 털사과)는 적어도 가마쿠라 시대 이후로 소규모 재배되었지만, 에도 시대에 들어서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다.[118] 1787년(덴메이 7년)에는 고사쿠라마치 상황(後桜町上皇)이 백성들에게 3만 개의 사과를 나누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120] 그러나 메이지 시대에 유럽과 미국에서 西洋林檎|세이요링고일본어(''Malus domestica'')가 도입되어 재배가 시작되면서 급속도로 일반화되었다.[118] 이 西洋林檎|세이요링고일본어는 처음에는 기존의 사과(털사과)와 구별하여 큰사과(オオリンゴ), 서양사과(セイヨウリンゴ), 당사과(トウリンゴ)라고도 불렸지만, 점차 이 식물이 사과라고 불리게 되었다.[118][132][365][121] 이에 반해 기존 사과의 재배는 급감하여 털사과(和林檎|와링고일본어) 또는 토종사과(地林檎|지링고일본어)라고 불리게 되었다.[118] 중국에서는 서양사과가 “”, “”()로 표기되며,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전반기에 걸쳐 “苹果|헤이카일본어”라고 표기·호칭되는 경우가 있었다.[118][132][122]
3. 1. 한국어
언해두창집요(1601)에는 ''라는 형태로 '사과'의 옛 형태가 기록되어 있다. 이 단어는 《훈몽자회》(1527)에서는 '沙果'(사과), 《산림경제》(18세기 초)에서는 '楂果'(사과)로 차자 표기되었다.[19] 19세기까지는 능금나무(''Malus asiatica'')와 사과나무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으나, 20세기 초 능금나무가 다른 종으로 분류되면서 '사과'는 ''Malus domestica''를 지칭하는 말로 정착되었다.3. 2. 외국어
‘사과’의 옛 형태가 남은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언해두창집요(1601)의 ‘’이다.[1] 이 단어는 《훈몽자회》(1527)에서는 사과(沙果), 《산림경제》(18세기 초)에서는 사과(楂果)로 차자 표기되었다. 19세기까지는 능금나무와 사과나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크기 등의 차이로만 구분해서 불렀으나, 20세기 초 능금나무가 다른 종으로 분류된 뒤에 ‘사과’라는 단어는 ''Malus domestica''를 부르는 말로 정착하였다.학명 말루스 도메스티카(''Malus domestica'')는 라틴어로 ‘친숙한 사과’란 뜻이다. 사과를 뜻하는 ‘말루스(malusla)’는 악을 뜻하는 ‘말룸(malumla)’과 비슷하여 기독교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선악과로 표현된다. 하지만 ‘말루스(malusla)’는 사과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멜론(μῆλονgrc)’에서 온 것으로 ‘말룸(malumla)’과는 어원이 다르다. ‘멜론(μῆλονgrc)’은 멜론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사과"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단어 에서 유래하며, 다시 원시 게르만어 명사 에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에서 비롯되었다.[1] 17세기 후반까지도 이 단어는 견과류를 포함한 모든 과일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14세기 중세 영어 표현 appel of paradisenm (바나나를 뜻함)과 비교될 수 있다.[2]
“사과(林檎)”는 원래 중국 북부 원산인 털사과(ワリンゴ, 와링고일본어)를 가리키는 중국 이름이었다.[117][118] 중국에서는 “사과(林檎)”가 적어도 6세기의 본초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이름은 과일을 먹으러 새들이 모이는 것을 나타내는 “来禽”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132] 일본에서 “사과(林檎)”가 처음 등장한 것은 헤이안 시대 중엽의 『和名類聚抄』이며, “사과(林檎)”에 대해 “리우코우(リウコウ)/리우고우(リウゴウ)/リンゴウ(リンゴウ)”라는 훈독을 적고 있다.[117][118] 중세 이후로는 린키(リンキ), 린킨(リンキン), 링고(リンゴ)와 같은 발음도 나타났으며, 근세에 들어서는 링고(リンゴ)라는 발음이 일반화되었다.[117][118]
일본에서 이 “사과(リンゴ)”(현재의 털사과(ワリンゴ))는 적어도 가마쿠라 시대 이후로 소규모 재배되었지만, 에도 시대에 들어서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다.[118] 1787년(덴메이 7년)에는 고사쿠라마치 상황(後桜町上皇)이 백성들에게 3만 개의 사과를 나누어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120] 그러나 메이지 시대에 유럽과 미국에서 세이요링고일본어(''Malus domestica'')가 도입되어 재배가 시작되면서 급속도로 일반화되었다.[118] 이 세이요링고일본어는 처음에는 기존의 사과(털사과(ワリンゴ))와 구별하여 큰사과(オオリンゴ), 서양사과(セイヨウリンゴ), 당사과(トウリンゴ)라고도 불렸지만, 점차 이 식물이 사과라고 불리게 되었다.[118][132][365][121] 이에 반해 기존 사과의 재배는 급감하여 털사과(ワリンゴ)(和林檎) 또는 토종사과(ジリンゴ)(地林檎)라고 불리게 되었다.[118]
중국에서는 서양사과가 “”, “”()로 표기되며,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전반기에 걸쳐 “苹果일본어(헤이카)”라고 표기·호칭되는 경우가 있었다.[118][132][122]
4. 품종
세계적으로 700여 종의 사과 품종이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10여 종이 주로 재배된다.[3] 사과 품종은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뉘며, 색깔에 따라 홍색 사과, 황색 사과, 녹색 사과로 구분된다.
사과는 품종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 색깔이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지름은 2.5cm에서 12cm 사이이며,[4] 모양은 둥근 것, 길쭉한 것, 원뿔형 등 다양하다.[10] 익은 사과의 바탕색은 노란색, 녹색, 황록색, 흰색을 띤 노란색 등이며, 겉색은 주황색 빨강, 분홍색 빨강, 빨강, 자주색 빨강, 갈색 빨강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겉색의 비율은 0%에서 100%까지 다양하며,[11] 과피는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갈변되어 거칠고 갈색을 띨 수 있다. 과육은 일반적으로 옅은 황백색이지만, 분홍색, 노란색, 녹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11]
사과는 자가불화합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과수 작물로, 자신의 꽃가루나 동일 품종의 다른 개체 간에는 수정이 어렵다. 따라서 안정적인 결실을 위해서는 다른 품종의 꽃가루를 이용한 타가수분이 필수적이다. 사과 재배 농가에서는 개화기에 꿀벌이나 과수 돌메뚜기와 같은 수분 매개자를 이용하여 꽃가루를 옮긴다.[47][49]
사과의 품종은 매우 다양하여 전 세계적으로 7,5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알려져 있다.[64] 온대 및 아열대 기후에 적합한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각 품종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대 상업용 사과 육종에서는 색깔이 좋고, 과피 갈색 반점이 없으며, 운송이 용이하고, 저장 능력이 뛰어나며, 수확량이 많고, 질병 저항성이 강하며, 모양과 풍미가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71]
사과는 씨앗으로 심었을 때 순종이 아니기 때문에, 번식에는 일반적으로 접붙이기가 사용된다. 접붙이기의 아래쪽에 사용되는 대목은 다양한 크기의 나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나무의 월동 내한성, 해충 및 질병 저항성, 토양 선호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43]
4. 1. 주요 품종
스타킹, 골든딜리셔스, 축 등은 대한민국에서 널리 재배되는 품종이며, 최근에는 조나골드, 부사 등이 인기를 얻고 있다. 홍옥은 오랫동안 재배되었으나 현재는 재배량이 적다.[3]사과의 크기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지름이 2.5cm이다.[4] 모양은 둥글거나 길쭉하거나 원뿔형 등 다양하다.[10] 익은 사과의 바탕색은 노란색, 녹색, 황록색 등이며, 겉색은 주황색 빨강, 분홍색 빨강, 빨강, 자주색 빨강 등 다양하다. 겉색의 비율은 0~100%일 수 있다.[11] 과육은 옅은 황백색이 일반적이지만, 분홍색, 노란색, 녹색을 띠기도 한다.[11]
사과는 자가 불화합성이므로 열매를 맺으려면 다른 품종의 꽃가루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과 재배 농가에서는 꿀벌과 같은 수분 매개자를 이용한다.[47]
7,500가지가 넘는 사과 품종(재배 품종)이 알려져 있으며,[64] 온대 및 아열대 기후에 적합한 다양한 품종이 있다. 상업적으로 인기 있는 품종은 부드럽고 바삭하며, 색깔이 좋고 저장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현대에는 달콤하고 약산성인 사과가 선호되지만, 신맛이 강한 사과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72]
S유전자형 | 품종 |
---|---|
S1S2 | ‘국광’, ‘고고’, ‘Parker's Pippin’ |
S1S2S3 | ‘Kanada R’, ‘Spigold’ |
S1S3 | ‘시나노골드’, ‘신세계’, ‘추영’, ‘군마명월’ |
S1S3S9 | ‘핵나인’ |
S1S5 | ‘White Transparent’ |
S1S6 | ‘감금’ |
S1S7 | ‘기오’, ‘시나노스위트’, ‘천추’, ‘이와카미’ |
S1S7S9 | ‘북두’ |
S1S9 | ‘후지’, ‘알프스오토메’, ‘Spencer Seedle’ |
S1S9S21 | ‘Ribston Pippin’ |
S1S10S15 | ‘Kaiserapfel’ |
S1S20 | ‘축’ |
S1S25 | ‘Milton’ |
S1S28 | ‘별의 금화’ |
S2S3 | ‘골든딜리셔스’, ‘기자시’, ‘홍하즈키’ |
S2S3S5 | ‘벨두보스크프’ |
S2S3S9 | ‘조나골드’ |
S2S3S20 | ‘무쓰’, ‘정향’ |
S2S4 | ‘Champagne’, ‘Reinette’ |
S2S5 | ‘갈라’, ‘Greensleeves’, ‘Falstaff’ |
S2S7 | ‘왕림’, ‘동광’, ‘Arlet’, ‘클립스레드’ |
S2S7S24 | ‘아오리9 (채향)’ |
S2S9 | ‘토키’, ‘금성’, ‘하루카’, ‘춘명21’, ‘아키타골드’ |
S2S10 | ‘Prima’, ‘Spencer’ |
S2S22 | ‘Delbard Jobile’ |
S2S23 | ‘클립스핑크 (핑크레이디)’ |
S2S24 | ‘허니크리스프’, ‘사이프레시 (재즈)’ |
S2S25 | ‘Trajan’, ‘Summerland’ |
S2S28 | ‘왕령’, ‘카메오’, ‘Goldrush’ |
S3S5 | ‘엘스타’, ‘Fiesta’, ‘Rubinette’, ‘Shinsei’ |
S3S6 | ‘Oberrieder’ |
S3S7 | ‘쓰가루’, ‘아이다레드’, ‘홍월’, ‘아카기’ |
S3S7S8 | ‘Stafnel Rosen’ |
S3S9 | ‘세계일’, ‘하록’, ‘양광’, ‘하쓰아키’, ‘아이카노카오리’ |
S3S10 | ‘시나노레드’, ‘Ahrista’, ‘Ecolette’, ‘Telamon’ |
S3S20 | ‘Meku 10’ |
S3S22 | ‘Merlijn’ |
S3S23 | ‘그래니스미스’ |
S3S25 | ‘Macoun’, ‘Victory’ |
S3S28 | ‘Ging Gold’, ‘Korei’ |
S5S7 | ‘산사’, ‘Vanda’ |
S5S7S9 | ‘Karmijn S’ |
S5S7S10 | ‘Brünn’ |
S5S8 | ‘J Greve’ |
S5S9 | ‘콕스오렌지피핀’, ‘사이레이트 (엔비)’ |
S5S20 | ‘James Grieve’ |
S5S23 | ‘벤데이비스’ |
S7S9 | ‘홍옥’, ‘천설’, ‘히메카미’ |
S7S20 | ‘인도’, ‘북의행’ |
S7S23 | ‘레이디윌리엄스’ |
S7S24 | ‘아카네’, ‘Jonamac’ |
S7S28 | ‘Rero II’ |
S8S9 | ‘Wellington’ |
S8S32 | ‘안토노프카’ |
S9S10 | ‘스파르탄’ |
S9S24 | ‘브레이번’ |
S9S25 | ‘키타카미’ |
S9S28 | ‘레드딜리셔스’, ‘멜로즈’, ‘연애공’, ‘Jonadel’ |
S10S16 | ‘메이폴’ |
S10S22 | ‘로보’ |
S10S24 | ‘Discovery’, ‘Vista Bella’ |
S10S25 | ‘맥킨토시 (아사히)’ |
S10S28 | ‘엠파이어’ |
S20S24 | ‘롬뷰티’ |
S24S25 | ‘Tydeman's Early’, ‘Worcester’, ‘도호쿠2호’ |
4. 2. 품종 개량
사과는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0여 종이 재배되고 있다. 품종은 수확 시기와 색깔에 따라 구분된다. 최근에는 부사, 조나골드 등의 품종이 인기를 얻고 있다.사과는 이배체 식물이지만, 삼배체 품종도 존재한다. 2010년 골든 딜리셔스 품종을 기반으로 한 사과 게놈 해독이 완료되었으며,[19] 이후 오류가 수정된 게놈 서열이 발표되었다.[20][21][22] 게놈 분석 결과, 재배 사과의 야생 조상은 ''Malus sieversii''로 추정되며, ''Malus sylvestris''와의 유전자 혼입도 확인되었다.[28]
대부분의 사과 품종은 씨앗으로 번식하면 부모의 특성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붙이기를 통해 번식한다. 대목은 나무의 크기, 내한성, 병충해 저항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왜성 대목은 작은 나무를 만들어 수확을 용이하게 한다.[43]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부터 왜성 대목이 사용되었으며,[44] 1900년대 초 영국 이스트 몰링 연구소에서 대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45]
새로운 사과 품종은 우연 또는 의도적인 교배를 통해 만들어진다.[46] 눈 돌연변이를 통해 기존 품종의 개량된 계통이 나타나기도 한다.[47]
사과는 자가불화합성이므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다른 품종의 꽃가루가 필요하다. 꿀벌과 과수 돌메뚜기 등이 수분을 돕는다.[47][49]
S유전자형 | 품종 |
---|---|
S1S2 | ‘국광’, ‘고고’, ‘Parker's Pippin’ |
S1S2S3 | ‘Kanada R’, ‘Spigold’ |
S1S3 | ‘시나노골드’, ‘신세계’, ‘추영’, ‘군마명월’ |
S1S3S9 | ‘핵나인’ |
S1S5 | ‘White Transparent’ |
S1S6 | ‘감금’ |
S1S7 | ‘기오’, ‘시나노스위트’, ‘천추’, ‘이와카미’ |
S1S7S9 | ‘북두’ |
S1S9 | ‘후지’, ‘알프스오토메’, ‘Spencer Seedle’ |
S1S9S21 | ‘Ribston Pippin’ |
S1S10S15 | ‘Kaiserapfel’ |
S1S20 | ‘축’ |
S1S25 | ‘Milton’ |
S1S28 | ‘별의 금화’ |
S2S3 | ‘골든딜리셔스’, ‘기자시’, ‘홍하즈키’ |
S2S3S5 | ‘벨두보스크프’ |
S2S3S9 | ‘조나골드’ |
S2S3S20 | ‘무쓰’, ‘정향’ |
S2S4 | ‘Champagne’, ‘Reinette’ |
S2S5 | ‘갈라’, ‘Greensleeves’, ‘Falstaff’ |
S2S7 | ‘왕림’, ‘동광’, ‘Arlet’, ‘클립스레드’ |
S2S7S24 | ‘아오리9 (채향)’ |
S2S9 | ‘토키’, ‘금성’, ‘하루카’, ‘춘명21’, ‘아키타골드’ |
S2S10 | ‘Prima’, ‘Spencer’ |
S2S22 | ‘Delbard Jobile’ |
S2S23 | ‘클립스핑크 (핑크레이디)’ |
S2S24 | ‘허니크리스프’, ‘사이프레시 (재즈)’ |
S2S25 | ‘Trajan’, ‘Summerland’ |
S2S28 | ‘왕령’, ‘카메오’, ‘Goldrush’ |
S3S5 | ‘엘스타’, ‘Fiesta’, ‘Rubinette’, ‘Shinsei’ |
S3S6 | ‘Oberrieder’ |
S3S7 | ‘쓰가루’, ‘아이다레드’, ‘홍월’, ‘아카기’ |
S3S7S8 | ‘Stafnel Rosen’ |
S3S9 | ‘세계일’, ‘하록’, ‘양광’, ‘하쓰아키’, ‘아이카노카오리’ |
S3S10 | ‘시나노레드’, ‘Ahrista’, ‘Ecolette’, ‘Telamon’ |
S3S20 | ‘Meku 10’ |
S3S22 | ‘Merlijn’ |
S3S23 | ‘그래니스미스’ |
S3S25 | ‘Macoun’, ‘Victory’ |
S3S28 | ‘Ging Gold’, ‘Korei’ |
S5S7 | ‘산사’, ‘Vanda’ |
S5S7S9 | ‘Karmijn S’ |
S5S7S10 | ‘Brünn’ |
S5S8 | ‘J Greve’ |
S5S9 | ‘콕스오렌지피핀’, ‘사이레이트 (엔비)’ |
S5S20 | ‘James Grieve’ |
S5S23 | ‘벤데이비스’ |
S7S9 | ‘홍옥’, ‘천설’, ‘히메카미’ |
S7S20 | ‘인도’, ‘북의행’ |
S7S23 | ‘레이디윌리엄스’ |
S7S24 | ‘아카네’, ‘Jonamac’ |
S7S28 | ‘Rero II’ |
S8S9 | ‘Wellington’ |
S8S32 | ‘안토노프카’ |
S9S10 | ‘스파르탄’ |
S9S24 | ‘브레이번’ |
S9S25 | ‘키타카미’ |
S9S28 | ‘레드딜리셔스’, ‘멜로즈’, ‘연애공’, ‘Jonadel’ |
S10S16 | ‘메이폴’ |
S10S22 | ‘로보’ |
S10S24 | ‘Discovery’, ‘Vista Bella’ |
S10S25 | ‘맥킨토시 (아사히)’ |
S10S28 | ‘엠파이어’ |
S20S24 | ‘롬뷰티’ |
S24S25 | ‘Tydeman's Early’, ‘Worcester’, ‘도호쿠2호’ |
사과는 S유전자에 의해 자가불화합성이 조절되며, 서로 다른 품종 간에도 불화합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272][169]
5. 재배
사과나무는 보통 재배 시 2m 에서 10m 정도의 높이로 자라지만 야생에서는 최대 15m까지 자라는 낙엽성 나무이다.[74][3] 재배 시 크기, 모양, 가지의 밀도는 대목 선택과 가지치기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74]
꽃은 잎이 돋아나는 것과 동시에 봄에 짧은 가지와 긴 새 가지에서 피어난다.[74] 꽃봉오리가 처음 피기 시작할 때 꽃잎은 장미색 분홍색이지만, 완전히 피면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바랜다. 핀 사과꽃은 -2°C 이하의 온도에 짧게 노출되더라도 피해를 입지만, 겨울을 난 나무와 눈은 -40°C까지 견딜 수 있다.[5]
사과는 이배체 식물이며(세 벌의 염색체를 가진 삼배체 품종도 드물지 않음), 17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게놈 크기는 약 650 Mb로 추정된다. 2010년에 이배체 품종 '골든 딜리셔스'를 기반으로 한 첫 번째 전체 게놈 서열이 완성되었으나, 여러 오류가 포함되어 있었다.[19][20] 최근에는 이배체 및 삼배체 개체가 시퀀싱되어 품질이 더 높은 전체 게놈 서열이 얻어졌다.[21][22] 최초 게놈 어셈블리는 약 5만 7천 개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19] 최근 게놈 서열은 4만 2천 개에서 4만 4천 7백 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추정치를 지지한다.[21][22] 전체 게놈 서열은 재배 사과의 야생 조상이 ''Malus sieversii''일 것이라는 증거를 제공했다. 여러 계통의 재시퀀싱은 이를 뒷받침하는 동시에 재배 이후 ''Malus sylvestris''로부터 광범위한 유전자 혼입이 있었음을 시사한다.[28]
사과나무는 균류와 세균 질병, 그리고 해충의 피해에 취약하다. 많은 상업 과수원에서는 높은 과일 품질, 나무 건강 및 높은 수확량을 유지하기 위해 화학 살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유기농 방법에는 특정 해충의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천적을 도입하는 것이 포함된다.
사과나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해충과 질병 중 세 가지 더 흔한 것은 흰가루병, 진딧물 및 사과 검은별무늬병이다.
- 흰가루병은 봄에 잎, 새싹 및 꽃에 밝은 회색의 가루 같은 반점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크림색 노란색으로 변하고 제대로 발달하지 않는다.[57]
- 진딧물은 흡입구기를 가진 작은 곤충으로, 5종이 사과를 공격한다. 진딧물은 바늘 모양의 구기(입)를 사용하여 잎에서 식물의 수액을 빨아 먹고 산다. 특정 종은 다량으로 존재할 때 나무의 성장과 생장을 감소시킨다.[58][59]
- 사과 검은별무늬병은 잎에 올리브 갈색 반점이 생기게 하는데, 이 반점은 벨벳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갈색으로 변하고 코르크 같은 질감이 된다. 이 질병은 과일에도 영향을 미친다.[60]
가장 심각한 질병 문제 중에는 화상병이라는 세균성 질병과 세 가지 균류 질병인 ''배나무녹병균'' 녹병, 검은별무늬병,[61] 및 쓴썩음병이 있다.[62] 사과굴나방과 초파리인 사과부패파리는 사과에 심각한 피해를 입혀 상품 가치를 떨어뜨린다. 어린 사과나무는 쥐와 사슴과 같은 포유류 해충에도 취약한데, 특히 겨울에 나무의 부드러운 나무껍질을 먹는다.[60] 사과굴벌레나방(붉은띠굴벌레나방) 유충은 나무껍질과 사과나무의 체관부를 파고 들어가 상당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63]

5. 1.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 지방의 청송군, 안동시, 영양군 등이 대한민국에서 사과 재배지로 유명하다.[408]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강원도 인근 지역에서도 사과가 재배되고 있다.[409]5. 2. 해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대한민국과 달리 사과 재배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해 식재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백두산을 중심으로 하는 개마고원 일대나 유역은 여름에도 겨울 같은 기후를 보여 사과 재배 능률이 매우 낮다.[408]일본에서는 주로 도쿄도 이북의 도호쿠 지방이나 홋카이도, 서일본 내륙부 고산 지대에서 사과를 집중적으로 재배한다. 일본 내 최대 사과 생산지는 아오모리현이다.[408]
인도에서는 사과를 '딜리셔스 스타킹'이라는 별명으로 부르며, 다양한 기후 덕분에 사과 재배 면적이 넓다.[408]
19세기 초까지는 영국이 세계 최대 사과 생산국이었으나, 19세기 말에는 미국에서 품종 개량이 활발해지면서 최대 생산국이 되었다. 한때 러시아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었으나,[408] 2014년에는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48%를 차지하며 최대 생산국이 되었다.[409] 미국, 터키, 폴란드, 이탈리아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409]
5. 3. 수확 및 저장
사과는 품종에 따라 수확 시기와 나무의 크기가 다르다. 같은 대목을 사용하더라도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어떤 품종은 가지치기를 하지 않으면 매우 크게 자라 더 많은 과일을 맺지만, 수확이 어려워진다. 나무 밀도(단위 면적당 심은 나무의 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성숙한 나무는 매년 의 사과를 생산한다. 하지만, 작황이 좋지 않은 해에는 생산량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 사과는 가지 사이에 맞도록 설계된 3점 사다리를 사용하여 수확한다. 왜성 대목에 접붙인 나무는 연간 약 의 과일을 생산한다.[47]
일부 사과 과수원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사과를 딸 수 있도록 개방하기도 한다.[51]
품종에 따라 연중 다른 시기에 수확한다. 여름에 수확하는 품종에는 '스위트 바우'와 '듀체스'가 있고, 가을에 수확하는 품종에는 '블렌하임'이 있으며, 겨울에 수확하는 품종에는 '킹', '스웨이지', '톨먼 스위트'가 있다.[37]

상업적으로 사과는 저장 시설에서 수개월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소 농도를 낮춘 저장 시설에 보관하여 호흡을 줄이고, 과일이 이미 완전히 익은 경우 연화 및 기타 변화를 늦춘다. 식물에서 호르몬으로 사용되는 기체 에틸렌은 숙성을 촉진하여 사과를 저장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약 6개월 이상 저장하려면 사과를 완전히 익기 전, 과일의 에틸렌 생성이 낮을 때 더 일찍 수확해야 한다. 그러나 많은 품종에서 이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감도를 높이고 이산화탄소 또한 조절해야 한다.[52]
가정에서 저장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과 품종은 식료품 저장실에서 3주, 0°C를 유지하는 냉장고에서 구매일로부터 4~6주 동안 저장할 수 있다.[53][54] '그래니 스미스'와 '후지'와 같은 일부 사과 품종은 다른 품종보다 저장 수명이 세 배 이상 길다.[55]
무농약 사과에는 사과의 에틸렌 수용체를 차단하여 일시적으로 숙성을 방지하는 물질인 1-메틸사이클로프로펜을 살포할 수 있다.[56]
6. 건강 효과
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로리가 적고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사과의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유해 콜레스테롤을 몸밖으로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해 준다. 또한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배출시켜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410] 한국과수농협연합회에 따르면, 사과와 배를 즐겨 먹는 사람은 뇌졸중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410]
사과는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희고 뽀얗게 만들어주는 폴리페놀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영국 식품연구소 연구팀은 사과, 복숭아, 천도복숭아에서 포도보다 최대 5배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하루에 사과 하나씩 먹으면 의사가 필요 없다"라는 속담은 과일의 건강상 이점을 언급하며 19세기 웨일스에서 유래했다. 원래 문구는 "잠자리에 들기 전에 사과를 먹으면 의사는 돈을 벌지 못할 것이다"였으며,[111]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하루에 사과 하나면 의사에게 돈을 낼 필요가 없다", "하루에 사과 하나면 의사를 쫓아낼 수 있다"로 진화했고, 현재 표현은 1922년에 처음 기록되었다.[112]
6. 1. 영양 성분
알칼리성 식품인 사과는 칼로리가 적고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사과의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유해 콜레스테롤을 몸밖으로 내보내고 유익한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해 준다. 또한 칼륨은 몸속의 염분을 배출시켜 고혈압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410] 아침 사과는 보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다른 과육에 비해 탄수화물과 비타민C, 무기염류가 풍부하며 단백질과 지방이 비교적 적다.[411]생과일 사과는 86%가 수분이고 14%가 탄수화물이며, 지방과 단백질 함량은 미미하다. 껍질을 포함한 생과일 사과 100g은 52칼로리를 제공하며, 적당량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그 외 미량 영양소 함량은 낮다.
6. 2. 질병 예방
사과는 폴리페놀, 펙틴 등 항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유방암, 대장암 등 다양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10] 사과의 펙틴은 대장암을 예방하는 유익한 지방산을 증가시키고, 붉은색 사과에 풍부한 폴리페놀 성분은 장 내 항암 물질 생산을 돕는다.'아침 사과는 보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과는 건강에 좋은 과일이다.[411] 하지만 사과 씨에는 극소량의 청산가리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7. 주요 국가별 생산량
2022년 전 세계 사과 생산량은 9580만ton이었다.[75] 중국은 4760만ton를 생산하여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 세계 생산량의 약 50%에 해당한다.[75] 2위는 480만ton를 생산한 미국이다.[75] 터키(440.00000000000006만ton), 폴란드(430만ton), 인도(260만ton)가 그 뒤를 이었다.[75]
중국의 사과 생산량은 1980년대부터 급속히 증가하여[137] 2022년에는 세계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게 되었다.[226][227] 2022년 기준, 중국 최대 사과 생산지는 섬서성이며, 산동성, 감숙성, 산서성, 하남성, 허베이성, 요녕성에서도 많이 생산된다.[227] 중국에서는 후지 품종이 오랫동안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2022년에도 전체 사과의 70%를 차지했다.[227]
8. 상징
사과는 종교, 신화, 그리고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난다.
노르드 신화에서 여신 이둔은 신들에게 영원한 젊음을 주는 사과를 제공하는 존재로 묘사된다.[95] 영국의 학자 H. R. 엘리스 데이비슨은 게르만 이교의 종교적 관습과 사과를 연결짓는다. 노르웨이 오세베르그 배 매장지에서 사과가 담긴 통이 발견되었고, 영국과 유럽 대륙 다른 지역의 초기 게르만 민족 무덤에서 과일과 견과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있다.[95] 견과류는 영국 남서부에서 여전히 다산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95] 데이비슨은 『스키르니스말』에서 프레이르가 게르드에게 구애하기 위해 "황금 사과" 열한 개를 보낸 것과, 『볼숭가 사가』에서 프리그가 레리르 왕에게 사과를 보내 아들 볼숭을 얻게 된 것을 언급하며, 노르드 신화에서 사과와 다산의 연관성을 강조한다.[95] 또한 "헬의 사과"라는 표현을 통해 사과가 죽은 자의 음식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네할레니아가 때때로 사과와 함께 묘사된다는 점을 지적한다.[95]
지금의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가 접하는 국경 북쪽 유럽에서는 포도가 잘 자라지 않는 기후로 인해 사과를 숭배하였다. 그곳의 성직자들, 드루이드교의 사제들은 의식을 거행할 때 포도주 대신 사과주를 이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천국을 아발론(Avalon), 즉 사과의 섬이라고 부르며 사과 착즙기 같은 것도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414] 켈트족은 드루이드교와 기독교를 합하여 켈트 기독교를 만들었으나, 4세기경 로마 가톨릭과 대립하게 되었고, 470년경 로마 가톨릭은 켈트 기독교의 성스러운 과일을 선악과의 전형으로 삼기 시작한다.[414]
8. 1. 종교적 상징
창세기에는 금단의 열매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지만, 유럽의 기독교 전통에서는 이브가 아담을 유혹하여 함께 나눈 과일을 사과라고 생각한다. 아담과 이브 이야기에서 사과는 유혹, 죄에 빠짐, 죄 그 자체의 상징이 되었다.[413] 라틴어에서 사과와 악을 뜻하는 단어는 비슷하다.(사과는 "malus", 악은 "malum") 이것이 사과를 성경적으로 금지된 과일로 해석하게 된 이유로 보인다.[413] 사람의 목에 있는 후두는 아담의 사과라고 불리는데, 이는 아담의 목에 걸린 금단의 열매 때문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413]중세 성직자들은 사과의 유혹적인 빛깔, 양면성을 지닌 맛(달콤하고 신 맛), 여성을 암시하는 중심의 생김새, 그리고 사과를 가로로 잘랐을 때 중심의 별 모양이 금단의 선악과임을 나타내는 표식이라고 해석했다.[413]
르네상스 시대 화가들은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의 황금 사과 이야기에 영향을 받아, 아담과 이브 이야기에서 사과를 지식, 불멸, 유혹, 인간의 타락, 그리고 죄 자체를 상징하게 되었다.[107]

8. 2. 문화적 상징
그리스 신화에서 사과는 불화와 사랑, 유혹을 상징하는 과일로 등장한다. 헤라클레스는 12가지 과업 중 하나로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에서 황금 사과를 가져와야 했다.[98] 불화의 여신 에리스는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하자 "가장 아름다운 여인에게"라는 글귀가 새겨진 황금 사과를 던져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세 여신의 다툼을 일으켰다.[99][100] 이 다툼은 트로이 전쟁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100][101] 고대 그리스에서는 사과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던지는 행위가 구애의 표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02]켈트 신화에서 저승은 "사과나무의 에만"이라는 뜻의 ''에만 아블라흐(Emain Ablach)''라고도 불렸다.[105] 아서왕 전설에 등장하는 아발론(Avalon) 역시 "사과의 섬"이라는 의미를 지닌다.[105]
중국에서는 사과(苹果, ''Píngguǒ'')의 발음이 평화(平安, ''Píng'ān'')와 비슷하여 평화를 상징하는 과일로 여겨진다.[1][106] 특히 크리스마스 이브(平安夜, ''Píngānyè'')에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며 사과(''Píngānguǒ'', 平安果)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다.[106]

9. 씨
장미과 사과나무속에 속하는 사과 씨는 섭취하지 않는 편이 좋다. 사과 씨에는 아미그달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에 노출되면 유해한 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76] 아미그달린은 시안화물을 함유한 시안배당체의 일종으로, 소량 섭취는 괜찮지만 다량 섭취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시안배당체는 가수분해되어 시안 이온을 방출하므로 독성이 나타나기까지 몇 시간 걸릴 수 있다.[76]
매실, 살구, 복숭아, 아몬드와 같이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과일 씨앗들은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석류, 수박, 포도 씨는 영양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과는 다르다.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유해물질자료은행에는 사과 씨앗 섭취로 인한 아미그달린 중독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77]
10. 사진
11. 추가 정보
사과는 대목에 접수를 접붙이는 접목을 통해 식재하지만, 대목을 캐내어 포장에서 접목하는 들접을 하기도 한다.[240] 조기 결실 등을 목적으로 이미 정식된 접목수에 다른 품종의 접수를 접목하는 고접(이중접)을 하기도 한다.[240] 이때, 옛 품종 부분은 대목과 새로운 품종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간대목(interstock)이라고 불린다.[294][240] 대목에는 지상부의 생육을 강하게 하여 수관을 확대시키는 강세대목과, 반대로 생육을 억제하여 왜화시키는 왜성대목이 있으며, 양자의 중간적인 반강세대목, 반왜성대목도 있다.[240]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아그배나무(リンゴ|아그배나무일본어), 개감나무(イヌリンゴ|개감나무일본어), 꽃사과(미쓰바카이도) 또는 사과(동일종을 대목으로 하는 경우, 이 대목은 공대라고 불린다) 등 다양한 사과나무속 식물이 이용되었다.[240][272] 1965년 이후 일본에서 재배된 대목의 대부분은 아그배나무이며,[240] 2011년 기준 일본 사과 대목의 65%가 아그배나무였다.[272] 아그배나무는 반강세대목이며, 사과응애 저항성이 높고, 삽목 발근성이 좋으며, 내건성·내습성에 뛰어나고, 심근성으로 토양 적응성이 넓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240] 일본에서 아그배나무 대목을 사용한 전형적인 재배(보통재배[241])에서는 수간을 8m 정도로 하고(대략 15–30주/10a), 수형을 개심형 또는 지연개심형으로 한다.[254][242] 튼튼하고 비교적 재배하기 쉽고, 자연재해(강풍, 가뭄, 호우)에 어느 정도 저항성이 있으며, 경제수명이 길고 장기간 안정적인 수확을 얻을 수 있으며, 면적당 묘목 수가 적어도 된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242] 반면, 나무가 커지면 수관 내의 색깔 관리 등 관리 작업이 어려워지고, 고도의 가지치기 기술이 필요하며, 나무가 커지면 간벌이 필요하게 되고, 안정적인 수확을 얻을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등의 단점도 있다.[242]
1975년경부터 왜성대목을 사용한 왜화재배가 보급되고 있다.[294][240] 왜성대목을 사용한 재배에서는 밀식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수형은 세형방추형(슬렌더스핀들) 등으로 하고, 식재는 나란히 심기(헤드로우)가 기본이 된다.[294][240][254] 칼럼너 타입이라고 불리는 가지가 옆으로 퍼지지 않고, 원통형의 수형이 되는 품종도 존재한다.[243] 또한, 수세를 제어하기 위해 강세대목과 접수 사이에 길이를 바꾼 왜성대목을 중간대목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294] 왜화재배에는 수고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관리 작업이 용이해지고, 수간 내에 빛이 들어가 색깔 관리가 용이하며, 밀식 재배가 가능(일반적으로 수간 2m, 열간 4m, 100–125주/10a)하여 면적당 수확량이 많고, 수세가 조기에 안정되기 때문에 영양생장기(과실을 맺히지 않는 시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294][254][244] 한편, 면적당 심는 묘목 수가 많아 비용이 들고, 뿌리가 얕아 쓰러지기 쉽기 때문에 지주가 필요하며,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받기 쉽고, 경제적 수령이 약 30년으로 짧으며, 수고가 낮고 수세가 약하기 때문에 시비 관리나 동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쥐에 의한 묘목이나 어린나무의 피해를 입기 쉽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294][254][240][244] 유럽 등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보급이 늦다.[244] 왜성대목으로는 영국의 이스트 몰링 시험장(East Malling Research Station)이 사과나무속 식물인 파라다이스(Malus pumila|파라다이스la)에서 육성한 M계가 있다.[272][294] M계 중에서 잘 알려진 M.9는 접붙인 나무의 크기가 원래 크기의 30–40%가 된다.[272] M.9는 복수 종류의 바이러스에 혼합 감염되어 있었지만, 무독화한 M.9A나 M.9EMLA가 있다.[272] 이 외에 M.26(나무의 크기는 40–50%), M.27(나무의 크기는 20–30%)이 있다.[272] M계 이외의 왜성대목으로서 MM계(East Malling, John Innes 공동 육성), CG계(Cornell University, 뉴욕주립농시 공동 육성), JM계(농림수산성 과수시험장 모리오카 지장 육성) 등이 있다.[272][294][245][246][247][248] 이 중에서 MM.106(M.1과 사과 품종인 ‘노던스파이’의 교배에서 선발, 나무의 크기는 60–70%), JM1(아그배나무와 M.9의 교배에서 선발, 나무의 크기는 M.9보다 약간 작음), JM7(아그배나무와 M.9의 교배에서 선발, 나무의 크기는 M.9보다 약간 작음) 등이 사용되고 있다.[272] JM계 대목은 M계 대목과 달리 삽목 발근성이 있기 때문에 휘묻이를 할 필요가 없고, 내수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일본 국내의 재배 방법에 적합하며, 과실 당도도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247][248]
더욱이 조기다수확, 균질생산, 작업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한 고밀식 재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249] 일반적으로 중간대목이 아닌 M.9계 대목이 사용되고, 수간 1m 이내, 열간 3–3.5m로 식재하여 300주 이상/10a가 된다.[249] 페더 묘목을 사용하고, 수형은 더욱 가늘고 긴 톨스핀들로 만든다.[249][250] 과수를 지탱하는 선반(트렐리스[251])이 필수이며, 트렐리스를 V자형으로 하고 나무를 비스듬히 뻗어 손이 닿기 쉽게 하는 경우도 있다.[249] 조기다수확으로 균일한 생산이 가능하고, 고도의 가지치기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매뉴얼화가 가능하며, 색깔 관리 등의 작업 효율이 대폭 향상되고, 농약 살포량의 감소도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249] 한편, 많은 묘목, 지주 등 고정 자재, 관수 설비 등 많은 초기 경비가 필요하고, 적합한 포장 선택·정비가 필요하며, 경제적 수령이 더욱 짧고, 동해나 호우 등 자연 환경에 의한 영향을 더 받기 쉽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249]
참조
[1]
뉴스
Where the word 'apple' came from and why the forbidden fruit was unlucky to be linked with the fall of man
https://www.scmp.com[...]
Alibaba Group
2023-06-28
[2]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appl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3]
웹사이트
''Malus domestica''
http://floranorthame[...]
2021-05-28
[4]
서적
Flora of the Four Corners Region: Vascular Plants of the San Juan River Drainage, Arizona, Colorado, New Mexico, and Utah
https://archive.org/[...]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3
[5]
서적
Edible Medicinal and Non-Medicinal Plants
Springer
2012
[6]
웹사이트
Apples - ''Malus domestica''
https://plants.ces.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7]
서적
The Story of the Apple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2006
[8]
웹사이트
Fruit glossary
https://schoolgarden[...]
Royal Horticultural Society
[9]
서적
Apples of North America : 192 Exceptional Varieties for Gardeners, Growers and Cooks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2013
[10]
웹사이트
Shape
https://agresearch.m[...]
Montana State University
[11]
서적
Fruit Breeding
John Wiley & Sons
1996
[12]
웹사이트
Natural Waxes on Fruits
http://postharvest.t[...]
Washington State University Tree Fruit Research & Extension Center
2013
[13]
논문
Volatiles in Gravenstein Apple Essence Identified by GC-Mass Spectrometry
1969-08-01
[14]
논문
Identification and organoleptic evaluation of compounds in Delicious apple essence
1967-01
[15]
논문
(1933) Proposal to conserve the name ''Malus domestica'' against ''M. pumila'', ''M. communis'', ''M. frutescens'', and ''Pyrus dioica'' ( Rosaceae )
2010-04
[16]
논문
Report of the Nomenclature Committee for Vascular Plants: 69
https://apirs.plants[...]
2017
[17]
논문
Report of the General Committee: 18
2017-06
[18]
POWO
''Malus domestica'' (Suckow) Borkh.
[19]
논문
The genome of the domesticated apple (''Malus'' × ''domestica'' Borkh.)
[20]
논문
A high-density, multi-parental SNP genetic map on apple validates a new mapping approach for outcrossing species
[21]
논문
High-quality de novo assembly of the apple genome and methylome dynamics of early fruit development
Nature Communications
[22]
논문
A high-quality apple genome assembly reveals the association of a retrotransposon and red fruit colour
Nature Genetics
[23]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Malus sieversii'', a wild progenitor species of domesticated apple
[24]
논문
Architecture and size relations: an essay on the apple (Malus × domestica, Rosaceae) tree
https://bsapubs.onli[...]
2006-03
[25]
논문
New Insight into the History of Domesticated Apple: Secondary Contribution of the European Wild Apple to the Genome of Cultivated Varieties
[26]
웹사이트
ScienceShot: The Secret History of the Domesticated Apple
https://www.science.[...]
2012-05-17
[27]
논문
Chloroplast diversity in the genus ''Malus'':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uropean wild apple (''Malus sylvestris'' (L.) Mill.) and the domesticated apple (''Malus domestica'' Borkh.)
[28]
논문
Genome re-sequencing reveals the history of apple and supports a two-stage model for fruit enlargement
[29]
서적
The Origins and Spread of Domestic Plants in Southwest Asia and Europe
https://archive.org/[...]
Left Coast Press; University College London Institute of Archaeology Publications
2007
[30]
논문
Towards the onset of fruit tree growing north of the Alps: Ancient DNA from waterlogged apple (''Malus'' sp.) seed fragments
2012-01
[31]
서적
Historical Geography of Crop Plants: A Select Roster
CRC Press
1993
[32]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archive.org/[...]
Henry G. Bohn
1855
[33]
서적
All About Appl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Company
1976
[null]
[36]
서적
A Gardener's Book of Plant Names : A Handbook of the Meaning and Origins of Plant Names
https://archive.org/[...]
Harper & Row
2024-08-10
[37]
서적
The Harrowsmith Reader Volume II
Camden House Publishing
2024-08-10
[38]
서적
History of Bergen County, New Jersey
https://archive.org/[...]
New Jersey Publishing and Engraving Company
2024-08-09
[39]
서적
Five Thousand Days Like This On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2024-08-09
[40]
웹사이트
Thanks To Science, You Can Eat An Apple Every Day
https://www.npr.org/[...]
NPR
2018-11-26
[41]
웹사이트
The Heirloom Apple Orchard
https://blogs.cornel[...]
Cornell University
2024-08-09
[42]
학회
Polyploidy: From Evolution to Landscape Plant Improvement
https://web.archive.[...]
METRIA
2010-11-07
[43]
웹사이트
Dwarf Rootstocks for Apple Trees in the Home Garde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New Hampshire
2013-09-01
[44]
학술지
The Importance of Apple Rootstocks on Tree Growth, Yield, Fruit Quality, Leaf Nutrition, and Photosynthesis with an Emphasis on 'Fuji'
https://journals.ash[...]
2024-08-09
[45]
웹사이트
Apple Rootstocks and Tree Spacing
https://web.archive.[...]
1993-09-01
[46]
서적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2003
[47]
웹사이트
Apple HGIC 1350
https://web.archive.[...]
Clemson University
2008-01-22
[48]
학술지
Adaptation of Apple Varieties in Ecuador
1992
[49]
논문
An Assessment of Non-Apis Bees as Fruit and Vegetable Crop Pollinators in Southwest Virginia
http://www.step-proj[...]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15-10-15
[50]
학술지
The Chilling Requirement in Apple and Its Role in Regulating Time of Flowering in Spring in Cold-Winter Climate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986
[51]
웹사이트
20 Best Places to Go Apple Pick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travelan[...]
2023-09-10
[52]
웹사이트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of Apples
https://extension.um[...]
2021-09-10
[53]
웹사이트
FoodKeeper App
https://www.foodsaf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9-04-26
[54]
웹사이트
4 Steps to Food Safety
https://www.foodsaf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9-04-12
[55]
웹사이트
Refrigerated storage of perishable foods
https://web.archive.[...]
CSIRO
2015-02-26
[56]
뉴스
Puff the Magic Preservative: Lasting Crunch, but Less Scent
https://www.nytimes.[...]
2017-07-26
[57]
서적
The Encyclopedia of Practical Horticulture: A Reference System of Commercial Horticulture, Covering the Practical and Scientific Phases of Horti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s and Vegetables
The Encyclopedia of Horticulture Corporation
2024-08-01
[58]
서적
The Encyclopedia of Practical Horticulture: A Reference System of Commercial Horticulture, Covering the Practical and Scientific Phases of Horti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s and Vegetables
https://archive.org/[...]
The Encyclopedia of Horticulture Corporation
2024-08-01
[59]
서적
2003-2004 New England Apple Pest Management Guide
http://www.umass.edu[...]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08-03-03
[60]
서적
The Organic Gardener's Handbook of Natural Pest and Disease Control
https://archive.org/[...]
Rodale, Inc.
2009
[61]
서적
2003-2004 New England Apple Pest Management Guide
http://www.umass.edu[...]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08-03-03
[62]
학술지
Bitter Rot of Apple in the Mid-Atlantic United States: Causal Species and Evaluation of the Impacts of Regional Weather Patterns and Cultivar Susceptibility
2021
[63]
학술지
Efficacy of tree trunk coating materials in the control of the apple clearwing, Synanthedon myopaeformis
2010-01-01
[64]
서적
Guide to Cultivated Plants
https://books.google[...]
CABI
2020-10-06
[65]
웹사이트
Home
http://www.nationalf[...]
2012-12-02
[66]
웹사이트
ECPGR Malus/Pyrus Working Group Members
https://web.archive.[...]
2014-08-25
[67]
웹사이트
Autumn Apple Musings
https://web.archive.[...]
News & Notes of the UCSC Farm & Garden, Center for Agroecology & Sustainable Food Systems
2006-09-01
[68]
뉴스
How breeders bring out the best in new apples
https://mashable.com[...]
2020-10-17
[69]
뉴스
How a few good apples spawned today's top varieties — and why breeders must branch out
https://theconversat[...]
2021-08-22
[70]
학술지
Resistance Breeding in Apple at Dresden-Pillnitz
http://orgprints.org[...]
2024-07-31
[71]
웹사이트
Apple – ''Malus domestica''
http://www.plantpres[...]
Natural England
2008-01-22
[72]
웹사이트
World apple situation
http://www.fas.usda.[...]
2008-01-24
[73]
간행물
Crops & Gardening – Apples of Antiquity
http://www.hobbyfarm[...]
2003-06-01
[74]
웹사이트
Apple - ''Malus domestica''
http://www.uga.edu/f[...]
University of Georgia
2008-01-22
[75]
웹사이트
Apple production in 2022; from pick lists: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http://www.fao.org/f[...]
FAOSTAT,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2024-06-18
[76]
서적
Handbook of Poisonous and Injurious Plants
https://archive.org/[...]
New York Botanical Garden : Springer
2024-09-11
[77]
웹사이트
Amygdalin
https://toxnet.nlm.n[...]
Toxnet, US Library of Medicine
2017-04-20
[78]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 Apple
http://foodallergens[...]
Informall
2011-10-17
[79]
뉴스
Oral allergy syndrome may explain mysterious reactions
https://www.cnn.com/[...]
CNN Health
2009-04-08
[80]
서적
The Apple Lover's Cookbook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2011-00-00
[81]
웹사이트
81 Best Apple Recipes: Dinners, Desserts, Salads, and More
https://www.epicurio[...]
2020-10-17
[8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9-18
[83]
웹사이트
Why All the Symbolic Rosh Hashanah Foods? "בולבול"
https://www.chabad.o[...]
2023-03-21
[8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9-18
[85]
서적
Apples
W.W. Norton & Company
2017-00-00
[86]
웹사이트
Organic apples
http://www.agmrc.org[...]
USDA 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
2017-02-23
[87]
웹사이트
European Organic Apple Production Demonstrates the Value of Pesticides
https://croplife.org[...]
CropLife Foundation, Washington, DC
2017-02-23
[88]
Review
The chemopreventive activity of apple against carcinogenesis: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cycle control
2014-09-00
[89]
논문
Enzymatic browning reactions in apple and apple products
1994-01-01
[90]
웹사이트
PPO silencing
https://www.okspecia[...]
Okanagan Specialty Fruits
2019-11-14
[91]
웹사이트
United States: GM non-browning Arctic apple expands into foodservice
https://www.freshfru[...]
Fresh Fruit Portal
2019-08-13
[92]
웹사이트
Okanagan Specialty Fruits: Biotechnology Consultation Agency Response Letter BNF 000132
https://www.fda.gov/[...]
2019-11-14
[93]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rctic Apple
http://www.inspectio[...]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Government of Canada
2017-09-08
[94]
논문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Apple Seed and Characterization of Its Oil
[95]
서적
Gods and Myths of Northern Europe
Penguin Books
1990-00-00
[96]
서적
Roles of the Northern Goddess
Routledge
1998-00-00
[97]
서적
Dictionary of Symbolism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24-10-03
[98]
서적
The apples of Apollo : pagan and Christian mysteries of the Eucharist
Carolina Academic Press
2001-00-00
[99]
웹사이트
Eris - Greek Goddess of Strife & Discord (Roman Discordia)
https://www.theoi.co[...]
Aaron J. Atsma
2024-09-26
[100]
서적
The Works of Lucian of Samosata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024-09-26
[101]
웹사이트
Judgement of Paris -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Aaron J. Atsma
2024-09-26
[102]
서적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2024-09-27
[103]
서적
Greek Mythology
https://archive.org/[...]
Paul Hamlyn
2024-10-03
[104]
웹사이트
Atalanta (Atalante) - Arcadian Heroine of Greek Mythology
https://www.theoi.co[...]
Aaron J. Atsma
2024-10-03
[105]
서적
Interrupted Music : The Making of Tolkien's Mythology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5-00-00
[106]
웹사이트
Why Do the Chinese Give Apples Around Christmas?
https://teach-englis[...]
2019-12-22
[107]
서적
Brush up your Bible!
https://archive.org/[...]
Gramercy Books
1998
[108]
서적
Genesis
https://books.google[...]
College Press
2004
[109]
성경
Genesis 2:17
[110]
서적
The Book of Genesis: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111]
서적
A Dictionary of American Proverb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12]
서적
The Botany of Desire: A Plant's-Eye View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2001
[113]
간행물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adopted by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Melbourne, Australia, July 2011. Regnum Vegetabile 154
http://www.iapt-taxo[...]
A.R.G. Gantner Verlag KG
[114]
데이터베이스
[115]
웹사이트
Malus domestica
https://powo.science[...]
Kew Botanical Garden
[116]
백과사전
[117]
백과사전
[118]
웹사이트
第5回 りんご・リンゴ・林檎・苹果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18-04-17
[119]
웹사이트
Malus asiatica
http://www.efloras.o[...]
2008
[120]
학술지
後桜町上皇年譜稿
https://core.ac.uk/d[...]
[121]
웹사이트
植物知識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122]
웹사이트
宮沢賢治「銀河鉄道の夜」の中でリンゴが「苹果」と表記されている。「林檎」と「苹果」では意味の違いがあるのか。
https://crd.ndl.go.j[...]
국립국회도서관
[123]
웹사이트
Latin definition for: domesticus, domestica, domesticum
https://latin-dictio[...]
Kevin D. Mahoney and the Latdict Group
[124]
웹사이트
りんご くだもの辞典
http://www.kudamono2[...]
うるおいのある食生活推進協議会
[125]
서적
世界の樹木をめぐる80の物語
柏書房
2019-12-01
[126]
학술지
Genome re-sequencing reveals the history of apple and supports a two-stage model for fruit enlargement
[127]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128]
학술지
The domestication and evolutionary ecology of apples
[129]
서적
果樹園芸学の基礎
農山漁村文化協会
[130]
학술지
恵泉果物の文化史 (9) リンゴ
[131]
서적
果樹園芸大百科 2 リンゴ
農山漁村文化協会
[132]
학술지
Apple -その「実」と「名称」をめぐって-
[133]
웹사이트
ab ovo usque ad mala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134]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135]
학술지
所謂 「カール大帝御料地令」 第七〇条瞥見
https://koeki.repo.n[...]
[136]
웹사이트
Malus asiatica
http://www.efloras.o[...]
[137]
학술지
中国におけるリンゴの生産・流通事情調査報告書
https://www.japanfru[...]
[138]
서적
かしこく選ぶ・おいしく食べる 野菜まるごと事典
成美堂出版
[139]
학술지
林檎(ワリンゴ)渡来の年代
[140]
기타
御参勤御供中日記
[141]
간행물
広報いたばし
2009-03-21
[142]
논문
福井藩巣鴨下屋敷のリンゴをめぐって
[143]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144]
서적
新編弘前市史 通史編4(近・現代1)
https://adeac.jp/hir[...]
[145]
웹사이트
Malus domestica
http://floranorthame[...]
Flora of North America Association
2024-10-04
[146]
서적
樹に咲く花 離弁花1
山と渓谷社
[147]
서적
樹木の葉 実物スキャンで見分ける1100種類 増補改訂版
山と渓谷社
[148]
서적
樹皮と冬芽:四季を通じて樹木を観察する 431種
誠文堂新光社
2014-10-10
[149]
서적
葉でわかる樹木 625種の検索
信濃毎日新聞社
[150]
논문
Flowering phenology 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phenological stages in apple trees (''Malus domestica'' Borkh.) as influenced by the Nordic climate
[151]
웹사이트
Malus pumil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and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08
[152]
백과사전
2024-10-05
[153]
서적
効きめと使い方がひと目でわかる 薬草健康法
講談社
1995-02-15
[154]
웹사이트
第17回 「ジョナゴールド」果皮の「油あがり」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0-03-26
[155]
웹사이트
りんごの表面がベトベトになっていたが、どうしてですか。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0-05
[156]
웹사이트
りんごの「さび」とは?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22
[157]
웹사이트
リンゴ新品種「もりのかがやき」
https://www.naro.go.[...]
農研機構
2024-11-22
[158]
논문
リンゴに発生する害虫の生態と防除
[159]
웹사이트
りんごの生理障害
https://www.aomori-i[...]
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2024-10-09
[160]
웹사이트
鮮明な色合いの焼きリンゴの製造法で、果芯を除去して味付後、特殊オーブンで焼き上げ、冷凍、真空包装する
https://plidb.inpit.[...]
独立行政法人 工業所有権情報・研修館
2024-12-27
[161]
논문
リンゴ新品種‘ルビースイート’
[162]
논문
リンゴ新品種 ‘HFF33’/美紅 TM の育成過程とその特性
[163]
논문
リンゴ新品種'ローズパール’
[164]
뉴스
中まで赤~いりんご(青森県五所川原市)情熱の花が開く果肉
読売新聞
2018-10-07
[165]
논문
新品種の栽培技術 (vol. 275) 信州大学で育成された赤果肉リンゴ品種 「ハニールージュ」「レッドセンセーション」
[166]
웹사이트
赤果肉リンゴ新品種「いなほのか」発表
https://ina-dani.net[...]
伊那谷ねっと
2024-10-05
[167]
뉴스
果肉赤いリンゴ 生でも/健康志向で機能性注目
日経MJ
2018-02-12
[168]
백과사전
2024-11-22
[169]
웹사이트
第25回 リンゴの不和合性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1-09-14
[170]
논문
DNA マーカーを利用した我が国のリンゴの交雑育種
[171]
논문
Review of the self-incompatibility in apple (''Malus x domestica'' Borkh., syn.: ''Malus pumila'' Mill.)
[172]
논문
A high-throughput ''S-RNase'' genotyping method for apple
[173]
보고서
果樹・果菜類の受粉を助ける花粉媒介昆虫調査マニュアル 増補改訂版
https://www.naro.go.[...]
農研機構 農業環境研究部門
[174]
논문
Flavonoid biosynthesis and accumulation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the skin of 'Fuji' and 'Oorin' apples during their development
[175]
웹사이트
第10回 リンゴの甘さ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18-12-06
[176]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177]
학술지
Evaluation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oluble sugars,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n ‘Orin’ apples (''Malus domestica'')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178]
웹사이트
りんごの品種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0-05
[179]
웹사이트
品種登録ホームページ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0-05
[180]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181]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第二版 第一巻
小学館
[182]
웹사이트
りんごの種類を徹底解説!特徴別一覧や旬の時期も紹介
https://furunavi.jp/[...]
ふるなび
2024-10-12
[183]
학술지
Tracing founder haplotypes of Japanese apple varieties: application in genomic prediction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https://doi.org/10.1[...]
2021-03-01
[184]
웹사이트
旬の果物百科
https://foodslink.jp[...]
2024-10-13
[185]
웹사이트
Ginger Gold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16
[186]
웹사이트
秋映(あきばえ) リンゴ
https://www.kudamono[...]
2024-11-26
[187]
웹사이트
Akibae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26
[188]
웹사이트
秋映(あきばえ)
https://www.ringodai[...]
2024-11-26
[189]
웹사이트
Elstar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26
[190]
웹사이트
Empire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16
[191]
웹사이트
王林(おうりん)
https://www.ringodai[...]
2024-10-24
[192]
웹사이트
Kidd's D-8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6
[193]
웹사이트
Granny Smith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194]
웹사이트
グラニースミス(Granny Smith)
https://www.ringodai[...]
2024-10-26
[195]
웹사이트
Cripps Pink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6
[196]
웹사이트
ピンクレディー・クリプスピンク
https://www.ringodai[...]
2024-10-26
[197]
웹사이트
Jonathan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198]
웹사이트
Ralls Janet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199]
웹사이트
Golden Delicious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200]
웹사이트
シナノゴールド
https://www.ringodai[...]
2024-10-24
[201]
웹사이트
シナノスイート
https://www.ringodai[...]
2024-10-24
[202]
웹사이트
Šampion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2-08
[203]
뉴스
2020年における世界のリンゴ品種予想
https://www.japanfru[...]
2012-02
[204]
웹사이트
Jonagold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205]
웹사이트
ジョナゴールド
https://www.ringodai[...]
2024-10-24
[206]
웹사이트
つがる・あおり2号
https://www.ringodai[...]
2024-10-24
[207]
웹사이트
Toki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6
[208]
웹사이트
トキ
https://www.ringodai[...]
2024-10-24
[209]
웹사이트
MN 1711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26
[210]
웹사이트
Apple Ripening Chart – Apples Picking Season?
https://www.foodfore[...]
Food Forest Nursery LLC
2024-11-27
[211]
웹사이트
ふじ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4
[212]
웹사이트
Braeburn apple
https://www.orangepi[...]
Orange Pippin
2024-10-26
[213]
웹사이트
Braeburn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6
[214]
웹사이트
北斗 リンゴ
https://www.kudamono[...]
果物ナビ
2024-10-26
[215]
웹사이트
北斗(ほくと)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16]
웹사이트
McIntosh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217]
웹사이트
Mutsu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1-16
[218]
웹사이트
陸奥(無袋)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03
[219]
웹사이트
Red Delicious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0-25
[220]
웹사이트
第11回 求められるリンゴ品種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03
[221]
웹사이트
第31回 多様なクラブリンゴ(Crab apple)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10
[222]
Kotobank
2024-11-10
[223]
웹사이트
crab appl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4-11-10
[224]
웹사이트
Crabapples
https://www.uaf.edu/[...]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2024-11-10
[225]
서적
Trees II.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and Forestry, vol 5.
Springer
[226]
웹사이트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24-10-05
[227]
웹사이트
中国の落葉果実事情(リンゴ、ナシ、ブドウ)
https://www.japanfru[...]
中央果実協会
2024-11-15
[228]
웹사이트
世界の落葉果実事情と市場動向(リンゴ、ブドウ、ナシ)
https://www.japanfru[...]
中央果実協会
2024-11-15
[229]
웹사이트
Industry Outlook 2023
https://usaa.memberc[...]
U.S. Apple Association
2024-11-11
[230]
논문
Apple production and apple value chains in Europe
[231]
웹사이트
作物統計調査 / 作況調査(果樹) 長期累年 令和4年産果樹生産出荷統計
https://www.e-stat.g[...]
2024-10-18
[232]
웹사이트
令和5年産りんごの結果樹面積、収穫量及び出荷量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0-05
[233]
웹사이트
第2回 世界のリンゴ品種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05
[234]
웹사이트
特産果樹生産動態等調査 / 長期累年 りんご
https://www.e-stat.g[...]
総務省統計局
2024-12-05
[235]
논문
特定産品をめぐるわが国の貿易事情 ─りんご輸出におけるNZと青森の違い─
[236]
웹사이트
リンゴのランキング
https://www.kudamono[...]
果物ナビ
2024-11-16
[237]
웹사이트
日本のりんご輸出量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16
[238]
웹사이트
令和5年度事業報告
http://www.kaju-kyo.[...]
日本果汁協会
2024-11-16
[239]
웹사이트
りんごの歴史「平成」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16
[240]
웹사이트
第19回 リンゴの接ぎ木と台木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05
[241]
웹사이트
第21回 リンゴの樹形と整枝・剪定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42]
웹사이트
普通(丸葉)栽培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26
[243]
웹사이트
カラムナータイプ
http://lib.ruralnet.[...]
農文協
2023-06-12
[244]
웹사이트
わい化栽培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26
[245]
논문
リンゴわい性台木JM1, JM7の利用法
https://agriknowledg[...]
[246]
논문
M.26 わい性台木利用リンゴ樹における生産構造と光環境に及ぼす栽植密度の影響
[247]
논문
リンゴわい性台木の新品種‘JM1’、‘JM7’および‘JM8 ’
https://agriknowledg[...]
[248]
논문
リンゴの半わい性台木および極わい性台木の新品種‘JM2 ’,‘JM5’
https://agriknowledg[...]
[249]
웹사이트
高密植栽培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26
[250]
웹사이트
第20回 ヨーロッパにおけるリンゴの栽培様式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51]
웹사이트
高密植栽培Ⅱ編(B園地)~トレリスの設置、苗木の定植~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26
[252]
웹사이트
リンゴ害虫生態画像データベース
https://www.naro.aff[...]
農研機構
2024-10-09
[253]
웹사이트
リンゴ病害
https://nature.hiros[...]
弘前大学農学生命科学部
2024-10-09
[254]
서적
新編 農学大事典
養賢堂
[255]
웹사이트
りんごと病害虫
https://www.town.ita[...]
板柳町
2024-10-06
[256]
웹사이트
キンモンホソガ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57]
웹사이트
リンゴコカクモンハマキ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58]
웹사이트
ミダレカクモンハマキ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59]
웹사이트
リンゴモンハマキ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12
[260]
웹사이트
モモシンクイガ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1]
웹사이트
リンゴコブアブラムシ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12
[262]
웹사이트
ユキヤナギアブラムシ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12
[263]
웹사이트
リンゴワタムシ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12
[264]
웹사이트
クワコナカイガラムシ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5]
웹사이트
リンゴハダニ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6]
웹사이트
ナミハダニ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7]
웹사이트
銀葉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8]
웹사이트
赤星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69]
웹사이트
黒星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0]
웹사이트
モニリア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1]
웹사이트
斑点落葉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2]
서적
果樹園芸学
文永堂出版
[273]
웹사이트
うどんこ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12
[274]
웹사이트
腐らん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5]
웹사이트
褐斑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6]
웹사이트
すす斑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7]
웹사이트
すす点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78]
웹사이트
MycoBank
https://www.mycobank[...]
2024-10-12
[279]
웹사이트
炭疽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80]
웹사이트
輪紋病(いぼ皮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81]
웹사이트
白紋羽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82]
웹사이트
紫紋羽病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83]
웹사이트
高接病(たかつぎびょう)
https://www.boujo.ne[...]
全国農村教育協会
2024-10-06
[284]
웹사이트
第15回 リンゴ果実の生育中に発生する主な生理障害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19-10-21
[285]
웹사이트
リンゴ(苹果) 病名一覧
https://www.gene.aff[...]
農業生物資源ジーンバンク事業
2024-10-12
[286]
웹사이트
りんご霜(しも)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87]
웹사이트
りんご雹(ひょう)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88]
웹사이트
平成史 台風①平成3年19号「りんご台風」 平成一番の風台風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019-02-18
[289]
웹사이트
りんご台風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90]
웹사이트
りんご雪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26
[291]
서적
図説 園芸学 第2版
朝倉書店
[292]
백과사전
2024-09-04
[293]
웹사이트
りんごの花・果実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09
[294]
서적
図説 園芸学 第2版
朝倉書店
[295]
논문
ギ酸カルシウム剤によるリンゴの摘花(栽培管理・作型)
園芸学会
2002-12-10
[296]
논문
リンゴ栽培における省力化の現状
[297]
뉴스
規格外の野菜・果物=安い、は古い?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1-07-10
[298]
웹사이트
今のりんご園の様子「袋かけ」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11-06-07
[299]
웹사이트
有袋栽培
https://lib.ruralnet[...]
2024-11-22
[300]
논문
リンゴ果実の着色に関する研究 : 第1報 着色系品種におけるアントシアニン生成と果実の発育段階について
https://hdl.handle.n[...]
[301]
웹사이트
リンゴ、‘つがる’の着色促進剤MCPBの使用法
https://www.naro.aff[...]
農研機構
2024-11-22
[302]
웹사이트
【りんご】「サンふじ」と「ふじ」の違いは何ですか?
https://www.nn.zenno[...]
JA全農長野
2024-10-20
[303]
논문
「葉とらずリンゴ」生産の条件と適正樹相の検討 (特集 落葉果樹の目的別仕立て方と整枝せん定)
[304]
웹사이트
「葉とらず栽培」とは?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0-15
[305]
웹사이트
葉とらずサンふじ」はどんなりんご?
https://www.masahiro[...]
まさひろ林檎園
2024-10-15
[306]
웹사이트
省力的に栽培できる美味しいりんご『黄香(おうか)』を開発
https://www.joho-iwa[...]
岩手県農業研究センター
2024-11-22
[307]
웹사이트
第16章 東北中山間リンゴ作経営の規模拡大の課題と技術的対応
https://www.naro.go.[...]
農研機構
2024-11-22
[308]
서적
図説 園芸学 第2版
朝倉書店
[309]
웹사이트
りんごの流通:貯蔵
https://www.pref.aom[...]
青森県
2020-02-03
[310]
웹사이트
りんごのQ&A
https://aapple.jp/q_[...]
公益財団法人 青森県りんご協会
2024-10-15
[311]
웹사이트
りんごの保存方法は?
https://www.aomori-r[...]
公益財団法人 青森県りんご協会
2024-10-15
[312]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八訂)増補2023年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313]
웹사이트
果物は冷やすと甘くなるのですか?
https://jspp.org/hir[...]
日本植物生理学会
2024-11-16
[314]
웹사이트
りんごは冷やすと甘さが増す?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16
[315]
논문
シーベリー果汁やシーベリー酢は運動後の肝臓グリコーゲン量の貯蔵回復に影響を及ぼす
[316]
웹사이트
りんごの栄養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08
[317]
웹사이트
りんごと健康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08
[318]
웹사이트
リンゴポリフェノールの有用性
https://www.kao.com/[...]
2024-11-08
[319]
논문
リンゴポリフェノール含有飲料の高脂肪食負荷における中性脂肪抑制作用の検討
2007
[320]
웹사이트
りんごの栄養価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08
[321]
웹사이트
りんごの蜜自体は甘くない?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0-15
[322]
웹사이트
蜜入りりんご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2
[323]
논문
シアン化合物について
2018
[324]
뉴스
「リンゴは芯まで食べるとカラダに悪い」という教え その科学的根拠とは
https://www.sankei.c[...]
2016-11-16
[325]
논문
北海道のシラカバ花粉症とリンゴ果肉過敏症について
1993
[326]
논문
第55回学術講演会要約 - 食品中のマイコトキシンに関する規格基準について
2004
[327]
서적
くらべる世界
東京書籍
2018
[328]
웹사이트
【りんごの切り方9選】基本から簡単でかわいいおしゃれな切り方まで図入りで解説!
https://tokubai.co.j[...]
株式会社ロコガイド
2024-11-10
[329]
웹사이트
青森りんごで栄養まるごとスターカット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10
[330]
웹사이트
りんごの切り方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10
[331]
웹사이트
消費者のへや>こどもそうだん
https://www.maff.go.[...]
[332]
웹사이트
第3章 調理室における衛生管理&調理技術マニュアル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0-06-05
[333]
웹사이트
りんごのソテー
https://www.kyounory[...]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2024-11-16
[334]
웹사이트
りんごと子牛のシチュー
https://maplefromcan[...]
Maple from Canada
2024-11-25
[335]
웹사이트
焼肉のたれ
https://www.kyounory[...]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2024-11-16
[336]
웹사이트
リンゴを乾燥させるとビタミンCが約50倍に増加
https://www.hakuhodo[...]
博報堂健康保険組合
2024-11-19
[337]
웹사이트
干しりんご
https://www.kyounory[...]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2024-11-19
[338]
웹사이트
焼きりんご
https://www.kyounory[...]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2024-11-16
[339]
웹사이트
1-5.りんご 1-5-1.生産・貿易・消費動向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1-15
[340]
웹사이트
ブールドロ
https://bakedup.jp/%[...]
Baked Up
2024-11-16
[341]
웹사이트
アップルシュトゥルーデル(オーストリアのお菓子)
https://housefoods.j[...]
ハウス食品
2024-11-16
[342]
웹사이트
タルトタタン
https://www.kyounory[...]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
2024-11-16
[343]
웹사이트
りんごを煮た「エーブルグロッド」は、万能レシピ。
https://www.kirin.co[...]
キリン
2024-11-16
[344]
웹사이트
パスチラ
https://www.nhk.or.j[...]
NHK
2024-11-16
[345]
웹사이트
りんご飴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20
[346]
백과사전
林檎飴
2024-11-20
[347]
웹사이트
世界のりんごの使い方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1-16
[348]
웹사이트
パート4 月齢に応じた離乳食レシピ
https://www.erca.go.[...]
独立行政法人 環境再生保全機構
2024-11-19
[349]
서적
アメリカ菓子図鑑 お菓子の由来と作り方:全50州を網羅。広大な土地と多文化が育んだ115品
誠文堂新光社
2023
[350]
백과사전
リンゴジュース
2024-11-20
[351]
논문
リンゴジュースに求められる品質とおいしさについて
https://rose-ibadai.[...]
[352]
Kotobank
2024-11-17
[353]
Kotobank
2024-11-19
[354]
서적
知る・選ぶ・楽しむ シードルガイド
池田書店
[355]
서적
シードルの事典:海外のブランドから国産まで りんご酒の魅力、文化、生産者を紹介
誠文堂新光社
[356]
웹사이트
HOW TO MAKE APPLEJACK
https://eightoaksdis[...]
Eight Oaks Farm Distillery
2024-11-21
[357]
서적
ベジタブル酢で病気が治る!(楽)やせる!
マキノ出版
[358]
서적
おいしく健康! お酢レシピ
文友舎
[359]
웹사이트
リンゴの木から見つかった糖尿病薬 SGLT2阻害薬
https://allabout.co.[...]
2016-08-20
[360]
논문
4. 新たな作用機序の糖尿病治療薬としての SGLT2 阻害薬
日本臨床薬理学会
[361]
서적
日本の薬草
小学館
[362]
논문
Chemical evidence from the flavonoids relevant to the classification of ''Malus'' species
[363]
웹사이트
ズミの樹皮に含まれる黄色色素とは
https://jspp.org/hir[...]
日本植物生理学会
2024-11-29
[364]
논문
植物ホルモンであるエチレンの教材開発: リンゴから発生するエチレンの定量及び根の成長に及ぼすエチレンの影響
https://yamagata.rep[...]
[365]
Kotobank
2024-10-05
[366]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367]
웹사이트
喉仏は心臓よりも大事か
https://www.jhf.or.j[...]
日本心臓財団
2024-10-05
[368]
논문
表象としてのりんご
https://core.ac.uk/d[...]
[369]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370]
Kotobank
2024-11-09
[371]
웹사이트
ニュートンのりんごの樹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1-16
[372]
웹사이트
ニュートンのリンゴ
https://koishikawa-b[...]
小石川植物園
2024-11-16
[373]
웹사이트
ニュートンのリンゴの木
https://www.hama-mid[...]
横浜市緑の協会
2024-11-16
[374]
논문
ビートルズに学ぶデザイン, 広告, PR 〜『ビートルズのデザイン』 序章 要旨論文〜
https://onomichi-u.r[...]
[375]
웹사이트
Steve Jobs chose herbal medicine, delayed cancer surgery
https://www.cbc.ca/n[...]
CBC/Radio-Canada
2024-11-15
[376]
Kotobank
2024-11-15
[377]
웹사이트
青森県のシンボル
https://www.pref.aom[...]
青森県
2024-10-05
[378]
웹사이트
市区町村のシンボル
https://uub.jp/cpf/s[...]
2024-10-05
[379]
웹사이트
余市町の概要
https://www.town.yoi[...]
余市町
2024-10-05
[380]
웹사이트
町のシンボル
https://www.town.nan[...]
七飯町
2024-10-05
[381]
웹사이트
釧路町の概要
http://www.town.kush[...]
釧路町
2024-10-05
[382]
웹사이트
市章・市の花・市の木
https://www.city.hir[...]
弘前市
2024-10-05
[383]
웹사이트
市の花・木・鳥
http://www.city.kuro[...]
黒石市
2024-10-05
[384]
웹사이트
市の花・鳥・木
https://www.city.hir[...]
平川市
2024-10-05
[385]
웹사이트
藤崎町の花・木・鳥の制定について
http://www.town.fuji[...]
2024-10-05
[386]
웹사이트
町の紹介
https://www.town.ita[...]
板柳町
2024-10-05
[387]
웹사이트
町の概要
http://www.town.tsur[...]
鶴田町
2024-10-05
[388]
웹사이트
横手市の花・木・鳥
https://www.city.yok[...]
横手市
2024-10-05
[389]
웹사이트
シンボル
https://www.city.nag[...]
長野市
2024-10-05
[390]
웹사이트
飯田市の市木(シンボル)
https://www.city.iid[...]
飯田市
2024-10-05
[391]
웹사이트
中野市の「花・木・鳥」
https://www.city.nak[...]
中野市
2024-10-05
[392]
웹사이트
町の概要
https://www.town.sak[...]
坂城町
2024-10-05
[393]
웹사이트
小布施町民憲章・町章・町の木・町の花
https://www.town.obu[...]
小布施町
2024-10-05
[394]
웹사이트
山ノ内町 町勢要覧
https://www.town.yam[...]
山ノ内町
2024-10-05
[395]
웹사이트
飯綱町の花・木
https://www.town.iiz[...]
飯綱町
2024-10-05
[396]
웹사이트
ミスビードル号
https://www.aomori-i[...]
地方独立行政法人 青森県産業技術センター
2024-11-16
[397]
웹사이트
姉妹都市締結と交流の始まり
https://www.city.mis[...]
삼沢시
2024-11-16
[398]
서적
リンゴの歴史
原書房
2015
[399]
웹사이트
第66回 禁断の果実 リンゴ1日1個で医者いらず?
https://www.yodosha.[...]
羊土社
2024-11-08
[400]
뉴스
1日1個のリンゴで医者いらず? イギリスに由来を持つ英語のことわざ
https://www.zaikei.c[...]
財経新聞
2024-05-12
[401]
논문
Association between apple consumption and physician visits: appealing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n apple a day keeps the doctor away
10.1001/jamainternme[...]
2015
[402]
웹사이트
りんごに関することわざ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6
[403]
뉴스
北朝鮮が必死に隠す「りんご問題」 金正恩実母は在日朝鮮人|NEWSポストセブン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24-10-20
[404]
서적
フルーツひとつばなし おいしい果実たちの「秘密」
講談社
2013
[405]
웹사이트
Emoji List, v13.0
https://unicode.org/[...]
Unicode, Inc.
2024-11-19
[406]
웹사이트
대한제국멸망사, 14쪽
http://en.wikisource[...]
[407]
뉴스
사과 역사 한 눈에
http://daegu.kbs.co.[...]
KBS 대구
[408]
기타
거창사과테마파크
[409]
웹인용
Production/Crops, Apple, Area by World
https://web.archive.[...]
FAOSTAT,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2017-02-10
[410]
웹인용
“사과-배 먹으면 뇌졸중 발생위험 하락”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1-11
[411]
뉴스
[제철 힐링푸드] 오감충족 식욕 자극하는 ‘빨간 사과’
http://www.newscj.co[...]
천지일보
[412]
웹사이트
FAOSTAT DATABASE 2008
http://faostat.fao.o[...]
[413]
서적
악마의 정원에서
생각의 나무
2005
[414]
서적
악마의 정원에서
생각의 나무
20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남의 땅에 심은 사과 수확, 대법 “횡령도 재물손괴도 무죄”
[Editorial] Japan must Korea halfway on their shared past
사라진 '처서 매직'…올해가 남은 인생 중 가장 시원한 여름?
‘보좌관 성추행’ 박완주 전 의원, 피해자 가족 마주치자 “에이씨…” 2심도 실형
사과 값 작년보다 20%↑…추석 전 또 '금사과'?
사과 값 작년보다 20%↑…또 '금사과' 될까?
"이게 진짜예요?" 추석 앞두고 또…'사과값' 봤다가 깜짝
집 나간 입맛 돌아온다…‘무진장’ 시원한 맛
‘사과의 고장’ 충북 충주시, 명품 사과 생산 위한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
“지금 아니면 제사상에서나 먹는다”…음식도 ‘제철코어’ 인기
입추 지나고도 폭우·폭염…과일농가 '시름'
“추석 물가 비상…올해는 사전예약으로 선물 가격 줄여볼까”
자녀에게 현명하게 사과하는 법
추가 개방 안 한다더니…미국산 사과·배 수입 더 빨라지나
정부, 미 농산물 검역 절차 단축 선그었지만 수입 빨라질 듯
미국산 사과 수입 빨라지나…정부, 미국산 과채류 수입 검역 전담직원 검토
농경연 "이달 수박·복숭아·토마토 가격 강세"
“사과·감자 검역 절차 완화 땐 배·당근 등 잇달아 개방 우려”
고정밀 지도 반출·농산물 검역…한-미 신경전 이어질 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