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 (191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우 (李鍝, 1912년)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대한제국 황족으로, 의친왕 이강의 차남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초명은 성길(成吉), 아호는 염석(念石), 상운(尙雲)이다. 1917년 흥선대원군의 장손이자 당숙인 이준용의 양자로 입적되어 운현궁의 4대 종주가 되었고, 공위를 세습받아 '이우공 전하'로 불렸다. 사후 흥영군(興永君)으로 추봉되었다.
생애
- 출생 및 운현궁 계승: 1912년 11월 15일 일제강점기 경성부 사동궁에서 태어났다. 1917년 당숙 이준용이 사망하자 그의 양자로 입적되어 운현궁을 상속받았다.
- 유년 시절: 1915년 경성유치원에 입학하여 1918년 졸업하였다. 1919년 경성종로공립심상고등소학교에 입학했다.
-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1922년 일본으로 유학, 학습원 초등과에 편입했다. 193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1년 일본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 제국 육군에 강제 입대하여 중좌 계급까지 올랐다.
- 결혼: 일본 정부의 강요에도 불구하고 조선인 박영효의 서손녀 박찬주와 결혼하였다.
- 사망: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 원폭 투하 당시 피폭되어 다음날인 8월 7일 히로시마 니노시마 섬에서 사망했다. 1945년 8월 15일 경성운동장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으며,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 운현궁 가족 묘지에 안장되었다.
평가일제 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복무한 사실로 친일 논란이 있었으나, 일본인과의 결혼을 거부하고 조선인과 혼인하는 등 식민통치에 저항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우 (李堣, 1915년)이우(李堣, 1915년 8월 20일 ~ 1916년 7월 25일)는 대한제국 고종의 아홉 번째 아들로, 생모는 보현당 귀인 정씨이다. 1915년 8월 20일 덕수궁 보현당에서 태어났으며, 1916년 7월 25일 뇌막염으로 사망했다. 묘소는 서삼릉 경내에 있다.
참고
- 이름이 같은 다른 인물로 조선 선조의 손자이자 낭선군에 봉해진 이우(李俁, 1637~1693)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인 이우(李瑀, 1542~1609), 제3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우줄(李雨茁, 1915~1976) 등이 있다.
이우 (191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우 |
원래 이름 | 李堣 |
왕가 | 전주 이씨 |
아버지 | 고종 (대한제국) |
어머니 | 보현당 귀인 정씨 |
출생일 | 1915년 8월 2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덕수궁 |
사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덕수궁 |
사망일 | 1916년 7월 25일 |
능묘 | 서삼릉 경내 |
작위 | 이왕가의 왕자 |
매장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
친인척 | 흥선대원군(할아버지) 완친왕(이복 형) 순종(이복 형) 의친왕(이복 형) 의민태자(이복 형) 덕혜옹주(이복 누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