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민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민태자는 대한제국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의 아들로, 1897년 출생하여 1970년 사망한 인물이다. 1900년 영친왕으로 책봉되었고, 1907년 순종의 황태자가 되었다. 이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군 생활을 했으며,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와 결혼했다. 광복 후에는 무국적 상태로 있다가 1963년 귀국하여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했다. 그는 친일 논란과 함께, 망국의 시대에 처한 황태자로서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왕세자 - 이구 (1931년)
    이구는 1931년 이왕 이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결혼했으나 사업 실패 후 일본에서 생활했으며, 1996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를 지내다 2005년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 이왕 - 이왕가
    이왕가는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된 후 황족들이 일본 왕실 제도에 편입되면서 생긴 호칭으로, 고종과 순종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다양한 삶과 논란, 법적 지위 상실 후 후손들의 활동과 분쟁을 겪었다.
  • 일제강점기 이왕 - 순종 (대한제국)
    순종은 고종의 아들이자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며 조선의 마지막 임금으로, 1907년 황제에 즉위했으나 일제의 강압으로 통치력이 약화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으로 창덕궁 이왕으로 불리다 사망했다.
  • 대한제국의 친왕 -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 동생인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서 독립운동에 투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제국의 친왕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은 흥선대원군의 장남이자 고종의 친형으로, 조선 말기 관료 생활을 했으나 고종 폐위 시도 사건 이후 고종과의 관계가 소원해졌고, 한일 병합 후에는 일본으로부터 작위를 받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기도 했다.
의민태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은, 대한제국 황태자
이은 (1920년대, 일본 육군 중위 시절)
이름이은 (李垠)
다른 이름이은 (李垠)
이은 (Lee Eun)
은 이 (Un Yi)
유길 (酉吉)
광천(光天)
아호명휘 (明暉)
명신재 (明新齋)
시호의민황태자 (懿愍皇太子)
출생일1897년 10월 20일
출생지덕수궁, 서울, 대한제국
사망일1970년 5월 1일
사망지창덕궁 낙선재, 서울, 대한민국
매장지영원 홍릉, 남양주, 대한민국
아버지고종, 대한제국 황제
어머니순헌황귀비, 대한제국 황귀비
배우자이방자, 일본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여왕 (1920년 결혼 - 1970년 사망)
자녀이진
이구, 대한제국 황태자
가문
종교유교 (성리학)
천주교
세례명요셉
왕조이씨 조선
왕위 계승
왕위이씨 가문 수장
재위 기간1926년 4월 24일 – 1970년 5월 1일
재위 유형기간
선임자순종, 대한제국 황제
후임자이구
작위영친왕
대한제국 황태자
이왕
대한제국 황실 수장 (명목상)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917년 – 1945년
최종 계급일본 제국 육군 중장
주요 부대북지나 방면군
조선군
교육총감부
최고 전쟁지도회의
지휘 부대근위병 제2여단
제51사단
제1항공군
주요 전투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훈장대훈위 국화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기타 정보
공식 명칭영친왕 (英親王)
창덕궁 이왕 (昌徳宮李王)
일본어 이름리 긴(り ぎん)
로마자 표기I Eun (이은)

2. 생애

이토 히로부미와 이은(1907년경)


1907년 이토 히로부미의 주도로 일본 유학을 떠났다.[103][104] 황현의 《매천야록》에 따르면 이토 히로부미가 이은이 영민하니 일찍 신학문을 배워야 하며, 일본 황태자의 방한에 대한 답례로 일본으로 가야한다고 고종에게 강력히 요구하였다.[105]

1911년 학습원 중등과와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에 입학 및 편입하여 1915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졸업하였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로 황태자에서 왕세자로 격하되었지만,[118] 일본 제국 육군 장교 경력은 계속되었다. 1917년 소위 임관 후, 1923년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근위 제2보병연대 대대장을 지냈다.

이은과 마사코의 혼약을 알리는 도쿄 아사히 신문 (1916년)


일본 육군대학을 졸업할 무렵의 이은과 마사코 (1923년)


1916년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와의 약혼이 발표되었다. 이 결혼은 이토 히로부미가 계획하고 이완용과 합의한 사항이었다.[139] 일본 황실 법률인 《황실전범》(皇室典範)은 황족의 결혼을 일본인으로 제한했기에, 1918년 "황족 여자는 왕족에게 시집갈 수 있다"는 내용으로 개정되었다.[141] 1920년 4월 28일, 도쿄에서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48]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178] 1927년 부부는 유럽 여행을 떠났는데, 일본 정부는 조선 왕실의 독립적 인상을 우려해 이들을 백작 부부로 위장시켰다.[18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은을 납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85]

1945년 광복 후, 일본 황족 지위와 대한민국 국적을 모두 잃고 무국적자가 되었다.[206][208] 이승만 대통령은 영친왕이 친일파로 몰릴 것을 우려하여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215]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귀국이 어려웠고,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재일교포 지원 활동을 했다.[217] 한국 전쟁 중에는 재일교포 의용군 모집과 구호 물자 수집에 힘썼다.[217]

1963년 11월 22일, 혼수상태로 귀국하여 성모병원에 입원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하였으나,[229] 1970년 5월 1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뇌혈전증으로 사망하였다.[231][232] 장례는 황태자 예우로 치러졌으며, 유해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리 홍릉 동편 영원(英園)에 안장되었다.[233][234]

2. 1. 출생과 황태자 책봉

1897년 10월 20일 경운궁 숙옹재에서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의 아들로 태어났다.[78] 1900년 8월 17일 경운궁 중화전에서 영친왕(英親王)으로 책봉되었고, 금책과 금인, 칠장복을 하사받았다.[80] 생모 엄씨는 1897년 10월 22일 귀인,[83] 1900년 8월 3일 순빈(淳嬪),[84] 1901년 10월 14일 순비(淳妃),[85] 1903년 12월 25일 황귀비로 책봉되었다.[86]

1902년 대한천일은행(지금의 우리은행) 제2대 은행장으로 임명되었고, 부장에는 내장원경 이용익이 임명되었다.[87] 당시 대한제국 황실에서 영친왕 명의로 16주를 인수하고 8000KRW을 자본금으로 납입하면서, 총회에서 대주주인 영친왕이 은행장으로 추대되었다.[87]

1907년 8월 7일 순종의 황태자로 책봉되었는데,[95] 이는 자신의 왕위를 위협했던 이준용과 의친왕 이강을 견제하려는 고종의 의도와, 이준용파와 항일 성향이 강한 의친왕파가 득세하면 자신의 실권이 잠식될 것을 우려한 친일파 이완용의 정략이 맞아떨어진 결과였다.[96]

2. 2. 일본 유학과 군 생활

1907년 이토 히로부미의 주도로 일본 유학을 떠났다.[103][104] 황현의 《매천야록》에 따르면 이토 히로부미가 이은이 영민하니 일찍 신학문을 배워야 하며, 일본 황태자의 방한에 대한 답례로 일본으로 가야한다고 고종에게 강력히 요구하였다.[105]

1911년 1월 9일 학습원 중등과 1학년에 입학하였다.[119] 같은 해 9월, 일본 육군중앙유년학교 예과 2학년으로 편입하여[125] 1913년 7월에 졸업했고,[126] 1915년 5월에는 본과를 졸업하였다.[127][128] 이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제29기생으로 입학하여[130] 1917년 5월에 졸업하였다.[131]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면서 황태자에서 왕세자로 격하되었지만,[118] 일본 육군 장교로서의 경력은 계속되었다. 1917년 12월 일본 제국 육군 소위로 임관한 후,[132] 1920년 4월 중위, 1923년 7월 대위로 진급했다. 1923년 11월에는 육군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근위 제2보병연대 대대장을 지냈다.

1938년 7월 소장으로 진급,[4] 중일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40년에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4] 제1항공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2. 3. 일본 황족과의 결혼



1916년 8월 3일, 조선과 일본의 각 신문에 이은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의 약혼 기사가 실렸다. 이 결혼은 한일 병합 이전부터 이토 히로부미가 계획하고 이완용과 합의한 사항이었으며,[139] 병합 이후 조선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와 궁내대신 하타노 요시나오의 협의에 의해 결정되어 언론에 발표되었다.[140]

당시 일본 황실 제도와 구성을 정하는 법률인 《황실전범》(皇室典範) 제39조는 “황족의 결혼은 동족 또는 칙지에 따라 특별히 인정된 화족에 의한다.”고 규정하여 일본 황족과 조선 왕족의 결혼은 불가능했다. 이은과 마사코의 결혼을 성사시키기 위해 《황실전범》 개정이 필요했다. 1918년 11월 28일, “황족 여자는 왕족 또는 공족에게 시집갈 수 있다.”는 《황실전범증보》(皇室典範增補)가 제정되었다.[141]

1918년 12월 5일, 다이쇼 천황의 혼인 칙허가 발표되었다.[142] 12월 8일에는 약혼을 의미하는 납채의식이, 12월 11일에는 이은의 저택에서 약혼자와의 첫 대면이 있었다.[143] 결혼식은 1919년 1월 25일로 예정되었으나, 1월 21일 고종 승하로 연기되었다.[144] 1920년 4월 28일, 도쿄 이은의 저택에서 결혼식이 거행되었다.[148] 결혼식 당일, 마사코가 타고 있던 마차에 유학생 서상일(徐相日)이 사제폭탄을 던졌으나 터지지 않았고,[149]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는 이은의 결혼을 ‘내선일체’(內鮮一體)의 표본으로 선전하는 포고문을 발표했다.[150] 중국 상하이에서 발행되던 《독립신문》은 이은을 원수의 여자와 결혼한 금수(禽獸)이며 적자(賊子)라고 비난했다.[151]

이은과 마사코 부부 사이에는 장남 이진(李晉)과 차남 이구(李玖)가 있었다. 1921년 8월 18일 장남 이진(李晉)이 태어났으나,[155][156] 1922년 4월 26일 이은과 마사코가 장남과 함께 귀국한 후,[157] 일본으로 돌아가기 전날인 5월 7일 이진이 발병하여[158][159] 5월 11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돌연 사망하였다.[160] 마사코는 1923년과 1930년에 임신했지만 유산했고,[165] 1931년 12월 29일 차남 이구(李玖)를 낳았다.[166]

2. 4. 이왕가 계승

1926년 4월 25일 순종이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자,[177] 4월 26일 왕세자 이은을 ‘창덕궁 이왕 은 전하’로 칭한다는 다이쇼 천황의 칙령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였다.[178] 1927년 5월 24일, 이은과 마사코는 요코하마 항에서 하코네마루(箱根丸)에 승선하여 유럽 여행을 떠났다.[183] 일본 정부는 국제적으로 조선에 아직도 독립된 왕실이 있다는 인상을 주는 것을 우려하여 이은 부부를 백작 부부로 위장하도록 하였다.[18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은이 중국 상하이에 들르는 것을 기회로 삼아 납치할 계획을 세웠지만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185]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거쳐 인도양을 건너 이집트에 들린 다음 7월 4일에 프랑스 마르세유에 도착하였다. 프랑스 대통령 가스통 두메르그, 영국의 조지 5세, 네덜란드빌헬미나 여왕, 교황 비오 11세, 이탈리아베니토 무솔리니, 스웨덴 왕세자 구스타프 아돌프, 독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 등을 차례로 예방하였다.[184][186] 1928년 3월 3일에 모나코에서 배를 타고, 4월 9일에 일본 고베 항에 도착하였다.[187]

2. 5. 광복과 무국적

1945년 8월 15일 쇼와 천황의 항복 발표와 함께 광복을 맞았지만, 영친왕은 일본 황족 지위를 잃고 대한민국 국적도 인정받지 못해 무국적자가 되었다.[206][208] 이승만 대통령은 영친왕이 일본 유학과 일본군 장군 경력으로 인해 친일파로 몰릴 것을 우려하여 귀국을 허락하지 않았다.[215]

이방자 여사의 회고에 따르면, 일부 사람들이 영친왕을 친일파로 몰아 미군정에 왕위 계승권 문제를 제기하며 의친왕을 옹립하려 했다고 한다.[212]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영친왕은 주일 대한민국 대표부를 통해 귀국 의사를 밝혔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215] 오히려 도쿄 저택을 국유 재산이라며 주일 대표부 건물로 요구했다.[215] 영친왕은 윌리엄 시볼드 연합군 최고사령부 정치 고문에게 국적 문제와 재산 처리, 차남 이구의 미국 유학 문제를 상담했다.[214]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영친왕은 재일교포 지원과 한국어 교본 저술 등 활동을 이어갔다.[217] 한국 전쟁 발발 후에는 재일교포 의용군 모집과 구호 물자 수집에 힘썼고, 밀항해 온 한국 학생들을 도왔다.[217] 더글러스 맥아더 사령관은 영친왕에게 위문과 생활 물자를 지원하기도 했다.[217]

2. 6. 귀국과 사망

1963년 11월 22일, 이은은 혼수상태로 대한민국에 귀국하여 즉시 성모병원에 입원하였다. 이은이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가톨릭계 병원에 입원한 이유는 1961년 도쿄에서 가톨릭 신부의 권유로 영세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이은의 영세명은 요셉이었다.[227][228] 1963년 3월 22일, 이은이 제기한 국적취적신청에 대해 서울지방법원에서 허가 결정이 내려져 대한민국 국적을 회복하였다.[229] 1964년 2월에는 휠체어에 앉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하기도 했지만, 다시 상태가 악화되기를 반복하였다.[230]

1970년 5월 1일 새벽 3시에 전신경련을 일으키며 의식을 잃었고, 오전 7시 30분에 성모 병원에서 창덕궁 낙선재로 옮겨져 오후 1시에 사망하였다.[231] 사망 원인은 뇌혈전증이었다.[232]

이은의 장례는 황태자의 예우를 받으며 9일장으로 치러졌다. 1970년 5월 9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가톨릭의 영결 미사와 불교의 독경 의식이 있었고, 영결식이 대조전에서 거행되었다. 장례에는 일본 황실 대표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가 참석하여 분향하였다. 이은의 대여는 황실이 세운 진명여자고등학교양정고등학교 학생 3백여 명이 옹위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현재의 남양주시 금곡동)에 위치한 홍릉 동편에 안장되었으며, 원호는 영원(英園)으로 결정되었다.[233][234]

3. 평가

이은이 대한제국의 황태자였음에도 일본 제국 육군에 복무하였고, 일본 황족과 결혼하였으며,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는 것에 대해서 친일 논란이 있다.[238]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 〈반민족행위처벌법〉을 토의할 때 의열단 출신 입법의원 박건웅이 “동경의 이왕은 민족 반역자인데 왜 자살하지 않았는가”라고 말해 파문을 일으키기도 하였다.[239] 2009년에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한 민족문제연구소는 사실상 볼모의 처지였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인명사전 명단에서 제외하였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왕공족을 포함시킬 것인가의 여부에 대해서는 편찬위원회에서도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논의 끝에 왕공족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지만 친일보다는 망국에 대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묻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다만 기준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친일 행위가 있는 경우에는 수록대상자로 선정하기로 정리되었다”고 해명하였다.[240] 이와 더불어 “왕공족은 대한제국 황실을 예우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고안한 일본 황족과 일본 화족, 조선 귀족 사이의 특수한 지위로 협력에 대한 대가였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면서 “공족 중 이재면과 이준용, 이재곤, 이해승, 이재극 등 구체적인 매국행위를 일삼은 인사들은 친일 행적으로 사전에 수록되었으나 영친왕 이은과 이우는 사실상 볼모의 처지였음을 감안하여 제외하였다”고 밝혔다.[241]

일본 육군사관학교 56기로 일본군 대위로 복무하다 귀국하여 대한민국 국군 창설을 주도한 이형근은 1945년 8월 15일에 이은의 저택을 찾아가 만났는데, 이은은 이형근에게 “동포들에게 사과 한 마디 못해 늘 미안하게 생각해왔다. 역대 왕들의 실정에 대해 내가 언젠가는 사과하고, 국가에는 독립을 수호할 수 있는 강력한 군대가 필수불가결하다고 호소하고 싶다.”고 이야기를 하였다고 한다.[242]

고려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홍직은 동경제국대학에 재학할 때 이은이 친용금의 일부를 내어 만든 장학회의 장학금을 받았었고, 장학금의 수혜를 받은 학생들로 구성된 이화회(李花會)를 조직하였다. 이은이 종묘 제사를 이유로 일시 귀국하였을 때 이홍직은 회원들과 함께 이은과 면담하였다. 당시 조선 총독 미나미 지로창씨개명과 일본어 상용 정책을 시행하던 때였고, 일본인 사무관이 옆에 시립하여 있는데도 이은이 정확한 발음의 한국어로 근황을 묻고 대화를 하여 주위를 놀라게 하였다. 이홍직은 자신의 억압된 울분이 그 날 이은의 태도로 풀렸으며, 이은도 민족의 얼을 간직하고 있었다고 평가하였다.[243] 주일 공사를 역임한 김용주도 1949년에 경제사절단원으로 도쿄에 갔을 때 이은을 처음 만나 인품에 감탄하였으며, 평생을 일본에서 지내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할 줄 알았는데 이은이 한국어를 능통하게 말하여서 탄복하였었다고 회고하였다.[244]

서울신문의 기자로 활약한 김을한은 1971년에 《인간 이은》을 출판하면서 이은의 삶을 ‘끝없는 한, 마르지 않는 눈물’로 묘사하였다. 이 책의 초판 간행 당시에 시인이자 소설가 박종화는 〈영친왕을 위해 곡하다〉라는 시를 헌정하였고, 원나라의 볼모로 가서 노국대장공주와 정략결혼을 하였지만 고려로 돌아와 고토를 회복한 공민왕에 비유하며 이은이 조국 광복을 위해서 노력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안타까움을 표했다.[245]

4. 문화재 보존 노력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이후, 의민태자는 문화재 보존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조카 이우 등을 통해 민요, 창극 레코드판, 문화재 등을 수집했다.[245] 그는 일본 근대 서양화 작품들도 수집했는데, 이 작품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45]

5. 사후

1970년 5월 9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가톨릭 영결 미사와 불교 독경 의식이 있었고, 대조전에서 영결식이 거행되었다. 이은의 장례는 황태자 예우를 받으며 9일장으로 치러졌다.[233][234] 장례에는 일본 황실 대표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가 참석하여 분향하였다. 이은의 대여는 황실이 세운 진명여자고등학교양정고등학교 학생 300여 명이 옹위하였다. 유해는 경기도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현재 남양주시 금곡동) 홍릉 동편에 안장되었으며, 원호는 영원(英園)으로 결정되었다.[233][234] 시호는 의민(懿愍), 존호는 문인무장지효명휘(文仁武莊至孝明暉)이며, 정식 시호는 문인무장지효명휘의민황태자(文仁武莊至孝明暉懿愍皇太子)이나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결정한 사시(私諡)이다.[235][236]

1973년 5월 6일 이은의 신위(神位)를 종묘로 옮기는 부묘제(祔廟祭)가 거행되어 낙선재 혼전에 있던 신위가 종묘 영녕전 제16실로 옮겨졌다.[237] 박정희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왕실 전통에 따라 종묘에 봉안되었다.[9]

의민태자는 사후에 '''대한제국 황태자 의민(懿愍)'''으로 알려져 있다.

6. 가계

이방자와의 사이에서 이진과 이구를 두었다.[257] 장남 이진은 1921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1922년 4월에 이은 부부와 함께 귀국하였다가 5월에 덕수궁 석조전에서 사망하였다.[257] 차남 이구는 1931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1959년에 미국인 줄리아 멀록과 결혼하였으나 자녀는 없었고, 딸 이은숙을 입양했다.

7. 대중문화

1970년에 이은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이 제작되었다. 우진필름이 제작하고, 정진우가 연출하였다.[258] 1990년 8월 16일부터 8월 17일까지 한국방송공사(KBS)에서 신봉승이 각본을 맡고, 김재형이 연출한 광복절 특집드라마 《왕조의 세월》이 방영되어 이은과 이방자의 일대기를 다루었다.[259]

2006년 11월 24일부터 11월 25일까지 일본 후지 TV에서 이방자를 중심으로 이은과의 결혼 생활을 다룬 특집 드라마 《무지개를 이은 왕비》(虹を架ける王妃)가 방영되었다.[260] 후지 TV는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재현보다는 이은과 이방자의 정략 결혼과 연애담에 초점을 맞춰 드라마를 제작하였다.[261]

2016년 영화 《덕혜옹주》에서 박수영이 이은을 연기하였다.

참조

[1]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16
[2]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2016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5-01
[4] 웹사이트 군사참의관에 이왕전하 어영전 http://gonews.kinds.[...] 2022-12-18
[5]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17
[6]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33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19-09-16
[7]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8] 웹사이트 Československý řád Bílého lva https://www.prazskyh[...] 2023-08-31
[9] 서적 朝鮮王公族―帝国日本の準皇族 Chuokoron-Shinsha 2015-03-25
[10] 웹사이트 昌徳宮李王垠殿下ノ御称呼ニ関スル件 https://www.digital.[...]
[11] 웹사이트 高宗実録四十八卷 高宗四十四年二月二十七日 陽曆 三番記事 https://sillok.histo[...]
[12] 서적 小田部(明治編) 2016
[13] 간행물 宮廷録事 官報 1910-08-29
[14] 서적 わが武寮 1982
[15] 서적 わが武寮 1982
[16] 서적 小田部(明治編) 2016
[17] 간행물 宮廷録事 官報 1918-12-06
[18] 뉴스 [人]李方子=3 父王は“毒殺”愛児も同じ運命に 雷鳴の夕に絶命 読売新聞 1984-06-30
[19] 간행물 宮廷録事 官報 1920-04-29
[20] 웹사이트 朝鮮の“ラストエンペラー”李垠の謎の生涯。日韓の動乱の歴史の闇に隠された実像が、初めて明らかに。待望の第3巻 https://book.asahi.c[...]
[21] 간행물 宮廷録事 官報 1920-04-29
[22] 서적 小田部(大正・昭和編) 2016
[23] 서적 小田部(大正・昭和編) 2016
[24] 서적 小田部(大正・昭和編) 2016
[25] 백과사전 2022-02-02
[26] 서적 わが祖国ー禹博士の運命の種 新潮社 1990-12-10
[27] 웹사이트 대한국 육군
[28] 서적 朝鮮戦争/韓国篇 上巻 建軍と戦争の勃発前まで 原書房 1976-03-30
[29] 서적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30] 학술지 張赫宙「脅迫」論
[31] 학술지 王家の終焉ー側近貴族の回想ー⑧ 1981-10-01
[32] 서적 李王家悲史 秘苑の花 世界社 1950-03-30
[33] 서적 李王家悲史 秘苑の花 共栄書房 2014-06-25
[34] 서적 歳月よ王朝よ
[35] 서적 わが武寮 1982
[3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국史編纂委員会 2021-06-15
[37] 서적 第1巻 大韓帝国1897-1907、第2巻 大日本帝国[明治期]1907-1912、第3巻 大日本帝国[大正期]1912-1920
[38] 서적 英親王李垠伝 李王垠伝記刊行会
[39] 서적 第1巻 大韓帝国1897-1907、第2巻 大日本帝国[明治期]1907-1912、第3巻 大日本帝国[大正期]1912-1920
[40] 법령 勅令第334号
[41] 논문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23-01-01
[42] 뉴스 叙任及辞令 https://dl.ndl.go.jp[...] 官報 1920-04-28
[43] 뉴스 叙任及辞令 官報 1931-12-28
[44] 뉴스 辞令二 https://dl.ndl.go.jp[...] 官報 1941-10-23
[45] 웹사이트 日本政府에서 支那事變生存者 第37回 論功行賞(陸軍關係 第31回)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46]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09-05
[47]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0-05
[48]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0-20
[49]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1-02
[50]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1-18
[51]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1-21
[52]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1-24
[53]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2-05
[54]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2-20
[55] 뉴스 宮廷録事 https://dl.ndl.go.jp[...] 官報 1927-12-22
[56] 서적 英親王李垠伝 共栄書房 1988-07-15
[57] 서적 李王家秘史 秘苑の花 世界社 1950-03-30
[58] 서적 李王家悲史 秘苑の花 共栄書房 2014-06-25
[59] 서적 朝鮮戦争/韓国篇 上巻 建軍と戦争の勃発前まで 原書房 1976-03-30
[60] 서적 朝鮮戦争/韓国篇 上巻 建軍と戦争の勃発前まで 原書房 1976-03-30
[61] 서적 洪思翊中将の処刑 文藝春秋 1997-07-20
[62] 서적 入門フリーメーソン全史 偏見と真実 文芸社
[63] 서적 語らざる占領下日本 公職追放から「保守本流」へ NHK出版
[64] 서적 語らざる占領下日本 公職追放から「保守本流」へ NHK出版
[65] 서적 李方子 一韓国人として悔いなく ミネルヴァ書房 2007-09-10
[66] 서적 流れのままに 啓佑社 1984-01-01
[67] 서적 流れのままに
[68] 서적 浅見 2010 2019-04
[69] 서적 神野 2004 2019-04
[70] 백과사전 오얏꽃(이화문)
[71] 웹인용 영친왕의 자를 광천으로 정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2-27
[72] 뉴스 이방자 여사 설립 명휘원 40주년 맞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12
[73] 뉴스 〈100년 私學〉 (9) 걸어온 길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5-06-12
[74] 뉴스 황실용어 제대로 쓰자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5-07-25
[75] 뉴스 한말 ‘親王’ 표현이 일제식이라고요?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0-02-24
[76] 웹인용 황자가 탄생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897-10-20
[77] 웹인용 경선궁과 덕안궁 http://www.cultureco[...] 2014-05-08
[78] 웹인용 친왕봉호망단자를 둘째 황자의 칭호는 의자, 셋째 황자는 영자를 쓰기로 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8-08
[79] 웹인용 셋째 황자의 이름을 은 자로 정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8-08
[80] 웹인용 중화전에 나아가 황자를 책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8-17
[81] 웹인용 네이버캐스트 외규장각 의궤(3) http://navercast.nav[...]
[82] 웹인용 이주영이 친왕 책봉 때의 금책과 금인을 쓰는 일에 대하여 의논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8-07
[83] 웹인용 궁인 엄씨를 귀인으로 봉작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897-10-22
[84] 웹인용 귀인 엄씨를 순빈에, 궁인 이씨를 소의에 책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8-03
[85] 웹인용 순빈 엄씨를 순비로 책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1-10-14
[86] 웹인용 순비 엄씨를 황귀비에 책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3-12-25
[87] 뉴스 〈한국 근·현대 100년〉 탐구 5세 불과했던 영친왕 은행장 맡기도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6-01-14
[88] 뉴스 고종이 1899년 대한천일은행 설립 주도했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4-04-25
[89] 서적 한국기업성장 100년史 경영자료사 2013-05-16
[90] 웹인용 궁내부 관제 중에서 수학원을 더 둘데 대한 사항과 관등 봉급령을 모두 비준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6-10-23
[91] 웹인용 영친왕이 강학을 시작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6-12-07
[92] 웹인용 영왕의 관례를 진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3-11
[93] 웹인용 영왕 은을 황태자로 책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8-07
[94] 웹인용 황태자를 육군 보병 참위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8-16
[95] 웹인용 황태자를 책봉하고 축하를 받고 대사령을 반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9-07
[96] 서적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경인문화사 2007-04-15
[97] 웹인용 일본국 황태자가 서울에 오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0-16
[98] 웹인용 황태자가 일본국의 황태자를 이현 여관에서 소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0-17
[99] 웹인용 황태자가 일본국의 황태자를 이현 여관에서 소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0-18
[100] 웹인용 일본국 황태자가 창덕궁과 경복궁을 관람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0-19
[101] 웹인용 남대문역에 가서 자기 나라로 들어가는 일본국 황태자를 송별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0-20
[102] 웹인용 임금의 처소를 창덕궁으로 옮기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1-13
[103] 웹인용 황태자를 일본국에 유학시키도록 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1-19
[104] 웹인용 이완용을 태자 소사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1-22
[105] 저널 매천야록 제6권 http://db.history.go[...] 1907
[106] 서적 제국의 후예들 황소자리 2006-05-25
[107] 웹인용 황태자가 일본으로 떠나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12-05
[108] 저널 官報 宮廷錄事 韓國皇太子殿下御著京 http://dl.ndl.go.jp/[...] 1907-12-16
[109] 서적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푸른역사 2010
[110] 서적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111] 웹인용 일본국 천황이 이토 히로부미를 우리 황태자의 유학기간 보육 총재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07-27
[112] 웹인용 황태자가 일본 동북 지방을 순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08-18
[113] 웹인용 황태자를 육군 보병 부위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09-08
[114] 웹인용 이토 태사가 안중근에게 피살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10-26
[115] 웹인용 일본국 천황이 이와구라 도모사다를 황태자의 유학 기간 보육 총재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11-17
[116] 웹인용 황태자가 나고야에 나아가 공진회를 보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0-05-08
[117] 웹인용 황태자가 일본국 산음, 산양 지방을 돌아보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0-07-13
[118] 웹인용 대일본 천황이 조서를 내리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0-08-29
[119] 웹인용 왕세자가 중등과 1학년에 입학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1-09
[120] 웹인용 귀비 엄씨가 덕수궁의 즉조당에서 돌아가시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7-20
[121] 웹인용 왕세자가 동경에서 귀국하자 귀비의 장례에 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7-23
[122] 웹인용 왕세자가 산소에 가서 현실을 내릴 때 받들어 하직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8-02
[123] 웹인용 총독 백작 데라우치 마사타케와 함께 왕세자가 동경에 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8-05
[124]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중앙 유년 학교의 시험을 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8-26
[125] 웹인용 왕세자에게 유년 학교 예과에 입학한 것을 축하하는 전보를 보내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9-01
[126] 웹인용 왕세자가 유년 학교 예과를 졸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3-07-10
[127] 뉴스 왕세자의 성적, 유년학교를 7번으로 졸업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15-05-18
[128]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중앙 유년 학교를 졸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5-05-28
[129] 뉴스 근위보병연대에 입대하실 이왕세자전하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15-05-25
[130] 웹인용 왕세자가 내일 육군 사관 학교에 입학한다는 뜻을 양궁에 전보로 알리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5-11-27
[131] 뉴스 왕세자 어졸업, 우등의 성적으로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17-05-27
[132] 뉴스 육군소위에 임관되시는 이왕세자 전하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17-12-25
[133] 웹인용 왕세자가 귀국하니 석조전에서 만찬회를 열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8-01-13
[134] 웹인용 왕세자가 동경의 별저로 돌아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8-01-26
[135] 웹인용 영친왕 부인에 대한 초간택을 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3-12
[136] 뉴스 간택수망 http://gonews.kinds.[...] 황성신문 1907-03-14
[137] 뉴스 경술국치 100년… “고종은 독살되지 않았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12-02
[138] 뉴스 오백년 이조왕실 최후의 계승자 이은세자와 약혼했던 규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8-06-29
[139] 서적 한말 한일병합론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40] 서적 조선왕실 자손들과 그 대한민국 국적 - 왕공족의 법적신분과 그 등록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1999
[141] 서적 근대 일본의 천황제 이산
[142] 웹인용 왕세자의 가례를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왕의 딸 방자여왕으로 정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8-12-05
[143]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 결혼 준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5-19
[144]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7) 고종 승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5-23
[145] 웹인용 왕세자가 동경에 돌아와 상복으로 갈아입고 머리를 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9-01-24
[146] 웹인용 왕세자가 동경의 별저로 돌아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9-03-10
[147]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보병 중위에 임명되고 대훈위에 서임되어 국화 대수 훈장을 받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0-04-27
[148] 웹인용 왕세자가 토쿄 가스미가세키이궁에서 친영례과 합근식을 거행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0-04-28
[149]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12) 신혼 생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6-04
[150] 서적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유고 1920-04-28
[151] 뉴스 최후의 정죄 (은의 취구녀) http://search.i815.o[...] 독립신문 2014-05-06
[152]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대학교에 입학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0-12-09
[153] 웹인용 왕세자가 도쿄에서 와서 양전을 배알하고 효덕전에 나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1-01-26
[154] 웹인용 왕세자가 효덕전에 나가 전알하고 도쿄 별저에 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1-01-29
[155] 웹인용 왕손이 탄생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1-08-18
[156]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15) 장남 진 탄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6-11
[157] 웹인용 왕세자, 왕세자비, 왕손이 동경에서 돌아와 석조전에 입궐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2-04-26
[158]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18) 조선식 혼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6-18
[159]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19) 진 왕자의 죽음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6-20
[160] 웹인용 왕손 이진이 석조전에서 죽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2-05-11
[161] 웹인용 미시에 왕손을 숭인원에 장사지내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2-05-17
[162] 웹인용 왕손 원호를 숭인으로 정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2-05-15
[163]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22) 관동 대지진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6-27
[164] 웹인용 왕세자와 왕세자비가 동경의 별저로 돌아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2-05-18
[165]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9) 덕혜옹주의 발병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10
[166]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40) 구의 출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13
[167] 웹인용 왕세자가 대위로 승진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3-07-06
[168]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대학을 졸업하고 근위 제2연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고 전보로 알려오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3-11-29
[169] 웹인용 왕세자 부부가 돌아와 창덕궁을 알현하고 석조전에서 종척, 귀족 이하의 알현을 받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3-12-30
[170]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24) 숭인원을 찾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7-02
[171] 웹인용 왕세자 부부가 동경 별저로 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4-01-04
[172] 뉴스 이왕세자 전하 어도영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4-05-04
[173] 웹인용 왕세자 부부가 구주를 유람할 것을 청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3-03
[174]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28) 순종황제 승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7-11
[175] 웹인용 왕세자 부부와 덕혜 옹주가 동경으로 돌아가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3-11
[176] 웹인용 왕세자 부부와 덕혜 옹주가 창덕궁의 환후가 심하다는 것을 전달받고 돌아오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4-08
[177] 웹인용 묘시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돌아가시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4-25
[178] 웹인용 궁내부 대신이 왕세자 은전하의 칭호를 창덕궁 이왕 은전하로 제정하였다는 칙령을 받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4-26
[179] 뉴스 이왕전하 조선군 어겸근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80]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0) 6. 10 만세 사건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7-18
[181] 뉴스 이왕전하 어입성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82] 뉴스 이왕전하 남조선어순유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83]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1) 유럽 여행 출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7-20
[184]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5) 자유로운 여행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01
[185]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2) 상근환 선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7-23
[186]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6) 용기를 준 사람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03
[187]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38) 약상자 속의 건백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08
[188] 뉴스 이왕전하 신어전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5
[189] 웹인용 천황이 왕세자에게 저택과 수레, 말을 하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11-02-01
[190] 서적 皇室の邸宅 JTBパブリッシング
[191] 뉴스 이왕전하 소좌로 진급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2] 뉴스 이왕전하 어영진 육군소좌로 근위대 대장 인정전에서 수하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3] 뉴스 이왕전하 전보 보병 제1연대부로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4] 뉴스 이왕전하 전임 교육총감부에 출임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5] 뉴스 육군보병중좌로 이왕전하 어승진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6] 뉴스 황왕족 3전하 지방부대 어전보 이왕전하 대좌로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7] 서적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페이퍼로드 2010-08-15
[198] 뉴스 육군소장으로 이왕전하 어진급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199] 뉴스 육군정기대이동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200] 뉴스 이왕은전하 어영전 교육총감부로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201] 뉴스 이왕은전하 어전보 항공군사령부부에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202] 뉴스 이왕전하 어친보 항공군사령관에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203] 뉴스 군사참의관에 이왕전하 어영전 https://web.archive.[...] 매일신보 2014-05-04
[204]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46) 태평양 전쟁 발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8-27
[205] 뉴스 영친왕 서양화 컬렉션, 일본도 비상한 관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1-14
[206]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0) 일본의 무조건 항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05
[207]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2) 가난한 평민으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10
[208] 뉴스 평민이 된 이은씨의 근황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9-09-20
[209] 뉴스 “황실복원은 시대착오” 조선조 마지막 공주 이해경 여사 뉴욕서 쓴소리 http://www.minjokcor[...] 뉴시스 2012-03-10
[210] 뉴스 조선 왕실의 일제 36년...日황족 대우,천황가 다음 부자로 http://pub.chosun.co[...] 월간조선 2016-10-20
[211] 뉴스 영친왕이 그린 누드화 공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1-11-15
[212] 서적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 지식공작소 2013
[213] 서적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 지식공작소 2013
[214] 뉴스 비운의 황태자 영친왕, 미국 이민 희망했었다 http://premium.chosu[...] 조선일보 2014-02-25
[215]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3) 이박사의 냉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12
[216] 서적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 지식공작소 2013
[217]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4) 6. 25 전쟁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14
[218] 뉴스 “이승만 전 대통령이 영친왕 환국 막았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8-16
[219]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5) 고통과 가난의 시절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17
[220] 서적 東京の近代建築 地人書館 2000
[221]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7) 아들의 대학 졸업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21
[222]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8) 행복한 뉴욕 생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24
[223]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9) 윤대비 낙선재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26
[224] 뉴스 영친왕과 이방자, 두 조국의 갈림길에 서다 http://www.hynews.ac[...] 한대신문 2010-05-01
[225]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60) 전하 다시 중태에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28
[226]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63) 구의 첫 고국 방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0-05
[227]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64) 영왕의 영원한 귀국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0-08
[228] 뉴스 영친왕 1주기를 맞아 돌아본 사실 이왕가의 가톨릭 순교자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1-05-01
[229] 뉴스 이은씨 국적 회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3-03-22
[230]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65) 윤대비 별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0-10
[231]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66) 영왕 전하 가시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0-12
[232] 웹사이트 https://newslibrary.[...]
[233] 뉴스 비운의 의민 황태자 영친왕 장례식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0-05-09
[234] 뉴스 장례에 실려 떠나는 이조 오백년의 잔영 영친왕 이은씨 영결식 엄수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0-05-09
[235] 뉴스 구일장으로 결정 영친왕 황태자로 예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0-05-04
[236] 웹사이트 https://newslibrary.[...]
[237] 뉴스 영친왕 이은씨 신위 종묘에 이조 궁중의식 부묘제 마지막 장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3-05-07
[238] 뉴스 친일 책임 가장 큰 왕족은 왜 빠졌나 https://news.naver.c[...] 주간동아 2009-11-27
[239] 뉴스 세월이여 왕조여 조선조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회고록 (51) 어두운 귀국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09-07
[240] 간행물 〈《친일인명사전 편찬》의 쟁점과 의의〉 http://www.minjok.or[...] 2010
[241] 간행물 2010
[242] 간행물 2010
[243] 뉴스 영친왕과 나의 추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0-09-11
[244] 간행물 2010
[245] 뉴스 영친왕의 끝없는 한 마르지 않는 눈물 https://news.naver.c[...] 시사인 2010-08-16
[246] 웹인용 영친왕에게 훈장을 주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3-11
[247] 웹인용 영왕 이은에게 대훈위와 이화대수장을 내리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7-05-28
[248] 서적 위의 책
[249] 서적 李王同妃兩殿下御渡歐日誌 李王職
[250] 서적 위의 책
[251] 뉴스 영국황제폐하 이왕 훈장 증여 그란드 크로쓰 훈장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27-10-03
[252] 서적 위의 책
[253] 서적 위의 책
[254] 서적 위의 책
[255] 서적 위의 책
[256] 뉴스 육군생존자농공행상발표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1942-03-20
[257] 뉴스 〈8월 2일〉 일본 제국주의가 불임여성 중에서 황태자비를 정한 날입니다 http://www.suwon.com[...] 수원일보 2012-08-02
[258] 웹인용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http://www.kmdb.or.k[...] 2014-05-13
[259] 뉴스 TV 8.15특집극 나열식 사실 접근 그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0-08-27
[260] 뉴스 일본에 한류 입힌다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06-08-18
[261] 뉴스 日 ‘조선 황실 드라마’ 제작 논란 https://news.naver.c[...] 스포츠 경향 2006-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