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양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양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의 구로, 1996년 설치되었다. 고구려 시대에는 개백현과 달을성현, 신라 시대에는 고봉현과 무왕현으로 불렸으며,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덕양현으로 개칭되었다. 1992년 고양시로 승격되었고, 1996년 덕양구가 설치되었다. 행정 구역은 2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2년 1월 기준 인구는 약 48만 명이다.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대학교 및 대학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가 있으며, 철도와 도로가 발달해 있다. 2018년에는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덕양구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 덕양구 - 원릉역
원릉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1961년 영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영화에도 등장했다. - 고양시의 행정 구역 - 화정동 (고양시)
화정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법정동으로, 화수촌과 냉정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거 시설과 화정역, 그리고 잘 갖춰진 교육 시설을 가진 계획 도시이다. - 고양시의 행정 구역 - 행신동
행신동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4개의 행정동과 강매동을 포함하며, 행주 주변에 새로 만들어진 마을 또는 살기 좋은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고, 경의선과 BRT가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인구가 증가하였다.
덕양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행정구역명 | 덕양구 |
로마자 표기 | Deogyang-gu |
한글 표기 | 덕양구 |
한자 표기 | 德陽區 |
가타카나 표기 | トギャン=グ |
면적 | 165.53 |
총인구 | 496,438 |
총인구 조사년도 | 2023 |
남자 인구 | 244,063 |
여자 인구 | 252,375 |
상위 자치 단체 | 고양시 |
하위 행정 구역 | 21행정동 |
목 | (설정 없음) |
꽃 | (설정 없음) |
새 | (설정 없음) |
홈페이지 | 덕양구청 홈페이지 |
구청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중로104번길 13 |
추가 정보 | |
세대 | 216,683 |
세대 조사년도 | 2022 |
법정동 | 32 |
행정동 | 21 |
구청장 | 한찬희 |
국회의원 | 고양시 갑: 김성회(더불어민주당) 고양시 을: 한준호(더불어민주당) |
2. 역사
덕양구는 고구려 때 개백현, 달을성현, 신라시대에는 고봉현, 무왕현이었다.[1] 고려시대에는 덕양현 등으로 불렸으며,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덕양현'으로 불렸다. 고봉현과 덕양현의 글자를 따서 고양군이 설립되었고, 조선 연산군 때에는 왕의 사냥터로 바뀌어 주민들이 모두 소개(疏開)되기도 하였다.[1] 1471년 조선 성종 2년에 고양군으로 승격되었다.[1] 1992년 2월 1일 고양시로 승격되었고, 1996년 3월 1일 덕양구가 설치된 이후[2] 행정동 분동과 명칭 변경 등의 변화가 있었다.
2. 1. 고대
고구려 때 개백현, 달을성현이었다.[1] 신라시대에는 고봉현, 무왕현이었다.[1]2. 2. 고려
고려시대에 덕양구 지역은 덕양현 등으로 불렸다.[1]2. 3. 조선
1413년 조선 태종 13년, 본디 '덕양현'으로 불렸다. 고봉현과 덕양현의 글자를 각각 따서 고양군이 설립되었다. 그 뒤, 조선 연산군 때에는 왕의 사냥터로 바뀌어 주민들이 모두 소개(疏開)되기도 하였다.[1] 1471년 조선 성종 2년에 고양군으로 승격하였다.[1]2. 4. 현대
1992년 2월 1일 고양시로 승격하였다.[1]1996년 3월 1일 덕양구가 설치되었다.[2]
1996년 10월 21일 화정동을 화정1동, 화정2동으로 분동하였다.[3]
2003년 2월 3일 행신1동과 행신2동에서 행신3동을 분동하였다.[4]
2015년 4월 22일 덕양구청에 고양시 덕양여권민원실이 설치되어, 고양시는 국내 최초로 한 기초자치단체에 두 여권민원실을 두게 되었다.[5]
2018년 7월 1일 신도동의 동명을 삼송동으로 변경하였다.[6]
2022년 1월 3일 삼송동을 삼송1동, 삼송2동(흥도동의 일부 편입)으로 분동하고, 행신4동을 행신3동에서 분동하였다.[7]
3. 행정 구역
덕양구는 32개의 법정동을 21개의 행정동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으며, 19동 397통 2,387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덕양구의 면적은 165.51km2이며, 고양시 전체 면적의 61.8%를 차지한다. 2022년 1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48만 3251명, 21만 1031세대이다.[8]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주교동 | 舟橋洞 | 5.62km2 | 7,144 | 14,398 |
원신동 | 元新洞 | 12.69km2 | 9,546 | 23,602 |
흥도동 | 興道洞 | 11.32km2 | 11,833 | 29,315 |
성사1동 | 星沙1洞 | 2.18km2 | 10,182 | 21,817 |
성사2동 | 星沙2洞 | 0.63km2 | 4,821 | 11,272 |
효자동 | 孝子洞 | 25.34km2 | 6,792 | 15,581 |
삼송1동 | 三松1洞 | 6.3km2 | 8,000 | 18,107 |
삼송2동 | 三松2洞 | 2.29km2 | 12,600 | 26,960 |
창릉동 | 昌陵洞 | 11.57km2 | 10,368 | 23,583 |
고양동 | 高陽洞 | 25.03km2 | 12,686 | 29,721 |
관산동 | 官山洞 | 15.05km2 | 16,699 | 36,459 |
능곡동 | 陵谷洞 | 13.77km2 | 6,768 | 15,334 |
화정1동 | 花井1洞 | 2.31km2 | 16,186 | 37,361 |
화정2동 | 花井2洞 | 1.94km2 | 13,127 | 32,685 |
행주동 | 幸州洞 | 6.01km2 | 9,877 | 18,664 |
행신1동 | 幸信1洞 | 0.9km2 | 8,833 | 21,425 |
행신2동 | 幸信2洞 | 4.28km2 | 13,171 | 31,655 |
행신3동 | 幸信3洞 | 0.65km2 | 9,141 | 24,139 |
행신4동 | 幸信4洞 | 1.15km2 | 9,886 | 20,889 |
화전동 | 花田洞 | 7.3km2 | 11,920 | 27,884 |
대덕동 | 大德洞 | 10.79km2 | 1,451 | 2,400 |
덕양구 | 德陽區 | 165.51km2 | 211,031 | 483,251 |
- 인구는 2022년 1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2019년 말 기준으로 덕양구 인구는 50만 명에 육박하는 466,157명이었다. 이에 따라 2020년 7월에 덕양북구·덕양남구로 분할될 예정이었으나,[2] 구 경계선 설정이 생활권과 차이가 있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분구는 무기한 보류되었다.[3]
3. 1.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
행정동 | 법정동 |
---|---|
주교동 | 주교동, 성사동 |
원신동 | 원당동, 신원동 |
흥도동 | 원흥동, 도내동, 성사동 |
성사1동 | 주교동, 성사동 |
성사2동 | 주교동, 성사동 |
효자동 | 북한동, 효자동, 지축동 |
삼송1동 | 지축동, 오금동, 삼송동 |
삼송2동 | 원흥동, 삼송동 |
창릉동 | 지축동, 삼송동, 동산동, 용두동 |
고양동 | 벽제동, 선유동, 고양동, 대자동 |
관산동 | 대자동, 관산동, 내유동 |
능곡동 | 토당동, 내곡동, 대장동, 신평동 |
화정1동 화정2동 | 화정동 |
행주동 | 토당동, 행주내동, 행주외동 |
행신1동 | 행신동 |
행신2동 | 강매동, 행신동 |
행신3동 행신4동 | 행신동 |
화전동 | 화전동, 덕은동, 향동동 |
대덕동 | 화전동, 현천동, 덕은동 |
4. 인구
2022년 1월 31일 기준 덕양구의 인구는 48만 3251명, 21만 1031세대이다.[8] 고양시 덕양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양시 덕양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 덕양구 행정동별 인구 및 면적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주교동 | 舟橋洞 | 5.62km2 | 7,144 | 14,398 |
원신동 | 元新洞 | 12.69km2 | 9,546 | 23,602 |
흥도동 | 興道洞 | 11.32km2 | 11,833 | 29,315 |
성사1동 | 星沙1洞 | 2.18km2 | 10,182 | 21,817 |
성사2동 | 星沙2洞 | 0.63km2 | 4,821 | 11,272 |
효자동 | 孝子洞 | 25.34km2 | 6,792 | 15,581 |
삼송1동 | 三松1洞 | 6.3km2 | 8,000 | 18,107 |
삼송2동 | 三松2洞 | 2.29km2 | 12,600 | 26,960 |
창릉동 | 昌陵洞 | 11.57km2 | 10,368 | 23,583 |
고양동 | 高陽洞 | 25.03km2 | 12,686 | 29,721 |
관산동 | 官山洞 | 15.05km2 | 16,699 | 36,459 |
능곡동 | 陵谷洞 | 13.77km2 | 6,768 | 15,334 |
화정1동 | 花井1洞 | 2.31km2 | 16,186 | 37,361 |
화정2동 | 花井2洞 | 1.94km2 | 13,127 | 32,685 |
행주동 | 幸州洞 | 6.01km2 | 9,877 | 18,664 |
행신1동 | 幸信1洞 | 0.9km2 | 8,833 | 21,425 |
행신2동 | 幸信2洞 | 4.28km2 | 13,171 | 31,655 |
행신3동 | 幸信3洞 | 0.65km2 | 9,141 | 24,139 |
행신4동 | 幸信4洞 | 1.15km2 | 9,886 | 20,889 |
화전동 | 花田洞 | 7.3km2 | 11,920 | 27,884 |
대덕동 | 大德洞 | 10.79km2 | 1,451 | 2,400 |
합계 | 165.51km2 | 211,031 | 483,251 |
5. 교육 기관
덕양구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전문대학, 특수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다.
5. 1. 대학교 및 대학원
구분 | 학교명 |
---|---|
대학원 |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 |
대학교 | 중부대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지역대학 서부학습센터 | |
한국항공대학교 | |
전문대학 | 농협대학 |
5. 2. 고등학교
백양고등학교행신고등학교
성사고등학교
무원고등학교
능곡고등학교
화수고등학교
화정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고양일고등학교
고양외국어고등학교
고양동산고등학교
서정고등학교
도래울고등학교
5. 3. 중학교
지도중학교고양중학교
덕양중학교
능곡중학교
무원중학교
백양중학교
신능중학교
가람중학교
성사중학교
원당중학교
향동중학교
행신중학교
화수중학교
화정중학교
고양제일중학교
목암중학교
서정중학교
도래울중학교
5. 4. 초등학교
지도초등학교가람초등학교
고양동산초등학교
고양초등학교
관산초등학교
내유초등학교
능곡초등학교
대곡초등학교
덕은초등학교
목암초등학교
무원초등학교
백양초등학교
삼송초등학교
성라초등학교
성사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소만초등학교
신능초등학교
신원초등학교
용두초등학교
용정초등학교
용현초등학교
원당초등학교
지축초등학교
토당초등학교
행남초등학교
행신초등학교
행주초등학교
향동숲내초등학교
향동초등학교
고양화수초등학교
화정초등학교
화중초등학교
흥도초등학교
도래울초등학교
5. 5. 특수학교
명현학교6. 교통
=== 철도 ===
덕양구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동구에서 대곡역, 화정역, 원당역, 원흥역, 삼송역을 거쳐 지축역에서 서울특별시 은평구로 이어짐),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일산동구에서 대곡역, 능곡역, 행신역, 강매역, 한국항공대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은평구로 이어짐), 서해선(일산동구에서 대곡역, 능곡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강서구로 이어짐)이 지난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도 대곡역을 지난다.[1]
=== 도로 ===
덕양구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양주 요금소와 양주 휴게소를 지나 통일로 나들목, 고양 분기점, 고양 나들목, 일산 나들목, 자유로 나들목을 거쳐 김포 나들목으로 이어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북로 분기점에서 88 분기점으로 연결됨), 평택파주고속도로 본선(북로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행주산성 분기점, 봉대산 분기점, 흥도 나들목을 지나 고양 분기점을 거쳐 사리현 나들목으로 이어짐)과 지선(남고양 나들목에서 봉대산 분기점으로 연결됨)이 있다.[1]
6. 1. 철도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일산동구에서 대곡역, 화정역, 원당역, 원흥역, 삼송역을 거쳐 지축역에서 서울특별시 은평구로 이어진다.[1]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일산동구에서 대곡역, 능곡역, 행신역, 강매역, 한국항공대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은평구로 이어진다.[1]
서해선은 일산동구에서 대곡역, 능곡역을 거쳐 서울특별시 강서구로 이어진다.[1]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대곡역을 지난다.
6. 2. 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양주 요금소와 양주 휴게소를 지나 통일로 나들목, 고양 분기점, 고양 나들목, 일산 나들목, 자유로 나들목을 거쳐 김포 나들목으로 이어진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북로 분기점에서 88 분기점으로 연결된다. 평택파주고속도로 본선은 북로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행주산성 분기점, 봉대산 분기점, 흥도 나들목을 지나 고양 분기점을 거쳐 사리현 나들목으로 이어진다. 평택파주고속도로 지선은 남고양 나들목에서 봉대산 분기점으로 연결된다.[1]7. 사건
8. 관광
덕양구는 관광명소가 부족한 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사이트
고양시, 덕양구 7월 남구-북구청으로 분구
http://www.shinailbo[...]
2020-06-10
[3]
웹사이트
‘졸속추진’ 덕양구 분구계획... 결국 철회
http://www.mygoyang.[...]
2024-01-01
[4]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text
[7]
text
[8]
웹사이트
덕양구의 일반현황
http://www.goyang.go[...]
201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