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우 (19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우(1991년)는 대한민국의 대학원생으로, 평택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며 비교정치를 전공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며, 대학원생 인권 문제와 권리 강화를 위해 활동했다. 학술 활동으로는 석사 학위 논문과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고등학교 동문 - 정태춘
정태춘은 서정적인 가사와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하며 가요 사전심의 제도 폐지 운동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사회 운동가이다. - 평택고등학교 동문 - 김학용
김학용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경기도의회 의원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2024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 강원대학교 동문 - 이용삼
이용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강원도 철원·화천·양구 지역구에서 제15대, 제16대,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변호사 및 굿모닝코리아 대표변호사로 활동했으며, 다양한 정당에서 활동하며 민주자유당 수석 부대변인을 역임했다. - 강원대학교 동문 - 김혜순
김혜순은 197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언어와 이미지로 여성의 삶과 사회 부조리, 죽음에 대한 저항을 다루는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 시인이자 평론가, 수필가이며, 국내외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고 작품이 세계적으로 번역되어 읽히는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 경주 이씨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 경주 이씨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이정우 (199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정우 |
원어명 | 李政祐 |
출생일 | 1991년 |
경력 | 제31대, 32대, 35대, 36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 |
소속 |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
2. 학력
평택고등학교를 졸업(56회)했다.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비교정치를 전공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 (제31대, 제32대, 제35대)을 역임했다.
3. 주요 활동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1] 제31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이었던 김종경이 외국인 등록금 인상에 대한 찬성 논란으로 자진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져 임시 총학생회장으로 취임하였다. 그 이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체 과대표자회의의 인준으로 제31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으로 정식 취임하였다.[2] 이정우는 제31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를 재정비하고 주요 공약 사항으로 대학원 등록금, 입학금 동결과 인권 문제 집중을 제시하였다. 이후 남은 제31대의 임기를 채우고 제32대 총학생회장단 선거 출마에 도전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3]
이정우는 대학원생 인권 문제와 권리 강화에 신경을 써서 관련된 관련 토론회에 참석하였으며[4][5], 특히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와 함께 강사법 문제와 대학원생 인권 문제에 집중하였다. 정론관의 기자회견에서 이정우는 "대학원생들이 원치 않는 노동에 시달리는 환경을 `배움`으로 포장하고 있다"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에서 실시한 대학원생 실태조사 결과를 내어놓기도 하였다.[6]
석사학위 취득 후에는 별다른 소식이 없다가 박사과정으로 입학한 듯하다. 2021년 9월, 제35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에 재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대학원생을 위한 학생상담센터 개소, 대학원생 권리장전 선포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활동하고 있다.[7][8]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 조합원으로 활동하였다.
3. 1.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활동
이정우는 강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1] 제31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이었던 김종경이 외국인 등록금 인상에 대한 찬성 논란으로 자진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져 임시 총학생회장으로 취임하였다. 그 이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전체 과대표자회의의 인준으로 제31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으로 정식 취임하였다.[2] 이정우는 제31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를 재정비하고 주요 공약 사항으로 대학원 등록금, 입학금 동결과 인권 문제 집중을 제시하였다. 이후 남은 제31대의 임기를 채우고 제32대 총학생회장단 선거 출마에 도전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3]
이정우는 대학원생 인권 문제와 권리 강화에 신경을 써서 관련된 관련 토론회에 참석하였으며[4][5], 특히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와 함께 강사법 문제와 대학원생 인권 문제에 집중하였다. 정론관의 기자회견에서 이정우는 "대학원생들이 원치 않는 노동에 시달리는 환경을 `배움`으로 포장하고 있다"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에서 실시한 대학원생 실태조사 결과를 내어놓기도 하였다.[6]
석사학위 취득 후에는 별다른 소식이 없다가 박사과정으로 입학한 듯하다. 2021년 9월, 제35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장에 재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대학원생을 위한 학생상담센터 개소, 대학원생 권리장전 선포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활동하고 있다.[7][8]
3. 2.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 활동
이정우는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와 함께 강사법 문제와 대학원생 인권 문제에 집중하였다.[6] 대학원생 인권 문제와 권리 강화에 관련된 토론회에 참석하였으며,[4][5]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대학원생들이 원치 않는 노동에 시달리는 환경을 '배움'으로 포장하고 있다"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에서 실시한 대학원생 실태조사 결과를 내어놓기도 하였다.[6]
4. 연구 활동 및 저술
- Jeong Woo Lee, 2019, "Education Level of Constituencies, Accountability, and Presidential Impeachment Voting in New Democracies: Evidence from the Philippine House of Representatives", ''Southeast Asian Studies''영어 제29권 2호.
- 전상현, 이정우, 2018 "베트남과 필리핀의 대중국 전략 비교 연구: 남중국해 해양 분쟁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Southeast Asian Studies''영어 제28권, 제4호, 31-76.
- Kirstie Dobbs and Jeong Woo Lee, 2017, "Puzzling Policy Shifts: Fickle Western Support of Democracy Promotion in Economically Sailent Countries", ''Politikon: IAPS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영어, Vol. 32, 42-59.[9]
4. 1. 학위 논문
4. 2. 학술 논문
- Jeong Woo Lee, 2019, "Education Level of Constituencies, Accountability, and Presidential Impeachment Voting in New Democracies: Evidence from the Philippine House of Representatives", ''Southeast Asian Studies''영어 제29권 2호.[9]
- 전상현, 이정우, 2018 "베트남과 필리핀의 대중국 전략 비교 연구: 남중국해 해양 분쟁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Southeast Asian Studies''영어 제28권, 제4호, 31-76.[9]
- Kirstie Dobbs and Jeong Woo Lee, 2017, "Puzzling Policy Shifts: Fickle Western Support of Democracy Promotion in Economically Sailent Countries", ''Politikon: IAPS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영어, Vol. 32, 42-59.[9]
- 이정우, 2020, "권위주의 국가의 선거 제도와 보건 지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9]
참조
[1]
웹인용
제32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선거 "UPRISE" 선거운동본부 정/부 학생회장 후보 및 공약 안내
https://web.archive.[...]
[2]
뉴스
“대학원 등록금과 인권 문제에 집중할 것”
http://www.kunews.ac[...]
고대신문
2018-03-27
[3]
뉴스
“공동체 의식 제고해 건강한 대학원 사회 만들 것”
http://www.kunews.ac[...]
고대신문
2018-08-13
[4]
뉴스
대학원생 인권 실태 현주소는?
https://www.sciencet[...]
The Science Times
2018-03-30
[5]
웹인용
대학원·연구제도 개선을 위한 대학원생 간담회
https://drive.google[...]
2019-05-06
[6]
뉴스
대학원생들의 외침 "학생으로도, 노동자로도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
https://web.archive.[...]
매일경제
2019-05-06
[7]
웹인용
http://krgs.org/inde[...]
2022-01-06
[8]
웹인용
제35대 원총 회장에 이정우 후보 당선
http://www.kunews.ac[...]
2022-01-06
[9]
저널
Puzzling Policy Shifts: Fickle Western Support of Democracy Promotion in Economically Salient Countries
https://web.archive.[...]
2019-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