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종운 (야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운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롯데 자이언츠와 한화 이글스에서 활동했으며, 1992년에는 3할 타율과 14개의 3루타를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과 롯데 자이언츠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3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을 맡았다. 통산 10시즌 동안 739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72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하구 출신 - 진갑용
    진갑용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이자 현 KIA 타이거즈의 수석코치로, 삼성 라이온즈의 주전 포수로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사하구 출신 - 정지영 (방송인)
    정지영은 1998년 SBS 공채 아나운서로 데뷔하여 SBS 파워FM 《스위트뮤직박스》를 장기간 진행하며 인기를 얻었고, 프리랜서 선언 후 EBS1 《최고의 요리비결》 MC 등으로 활동하다가 방송 활동을 중단했다가 복귀하여 현재 MBC FM4U 《오늘아침 정지영입니다》를 진행하며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수상했다.
  • 감천초등학교 (부산) 동문 - 김재덕 (가수)
    김재덕은 1997년 젝스키스 멤버로 데뷔하여 메인 댄서와 안무가로 활동했으며, 젝스키스 해체 후 J-Walk를 결성했고, 무한도전 '토토가' 프로젝트를 통해 젝스키스가 재결합하면서 그룹 활동을 재개,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영화 출연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이다.
  • 감천초등학교 (부산) 동문 - 윤성환
    윤성환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16시즌 동안 중간 계투와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다승왕을 차지하고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나, 도박 및 승부조작 논란으로 야구계를 떠난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 롯데 자이언츠 감독 - 김용희 (야구인)
    김용희는 1970년대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지도자로 변신,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 등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4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3군 총괄코치로 합류했다.
  • 롯데 자이언츠 감독 - 김시진
    김시진은 아마추어 시절 뛰어난 투수로서 국제대회에서 활약하고 삼성 라이온즈에서 111승을 기록하며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00승 및 골든글러브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한 후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현대 유니콘스 감독으로서 한국시리즈 2회 우승을 이끄는 등 야구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이종운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이종운
원어명Lee Jong-Un
소속 구단LG 트윈스
등번호67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신장176
체중77
수비 위치우익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1989년
드래프트 순위1989년 2차 2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KBO / 1989년
마지막 경기KBO / 1998년
선수 경력
선수 경력롯데 자이언츠 (1989년 ~ 1997년)
한화 이글스 (1998년)
코치 경력
코치 경력롯데 자이언츠 3군 수석코치 (2014년)
롯데 자이언츠 주루코치 (2014년)
SK 와이번스 책임코치 (2018년)
롯데 자이언츠 수석코치 (2023년)
LG 트윈스 잔류군 총괄코치 (2024년~)
감독 경력
감독 경력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3년 ~ 2013년)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15년)
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19년 ~ 2020년)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23년)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 (2023년)

2. 선수 시절

이종운은 1989년 롯데 자이언츠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1998년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였다.

2. 1. 롯데 자이언츠 시절

1989년 롯데 자이언츠에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 2. 한화 이글스 시절

1998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였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2003년부터 모교인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으며 부산광역시의 사회인 야구단 '마이무따아이가'에서도 활동했다.[1] 2014년 10월 31일 당시 성적 부진으로 자진 사퇴한 김시진의 후임으로 3년 계약금 2억, 연봉 2억, 총액 8억롯데 자이언츠의 16대 감독에 선임됐다. 하지만 2015년롯데 자이언츠가 8위로 시즌을 마감하자 경질됐고, 차기 감독으로는 조원우가 임명됐다. 이후 2022년 11월 9일 롯데 자이언츠의 2군 감독을 맡으며 돌아왔지만 당시 감독이었던 래리 서튼이 건강상의 문제 때문에 자진 사퇴하자[2] 2023년 8월 29일부터 감독 대행을 맡았고, 그의 후임으로는 김태형이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4. 지도자 경력

2003년부터 모교인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으며, 부산광역시의 사회인 야구단 '마이무따아이가'에서도 활동했다.[1] 2014년 10월 31일, 성적 부진으로 자진 사퇴한 김시진 감독의 후임으로 3년 계약금 2억, 연봉 2억, 총액 8억롯데 자이언츠의 16대 감독에 선임됐다. 하지만 2015년롯데 자이언츠가 8위로 시즌을 마감하자 경질됐고, 차기 감독으로는 조원우가 임명됐다. 이후 2022년 11월 9일 롯데 자이언츠의 2군 감독으로 복귀했지만, 래리 서튼 감독이 건강상의 문제로 자진 사퇴하자[2] 2023년 8월 29일부터 감독 대행을 맡았다. 김태형이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감독 대행직에서 물러났다.

5. 등번호

이종운은 선수 시절과 코치 및 감독 시절 아래와 같이 다양한 등번호를 사용했다.[1]


5. 1. 선수 시절

1989년~1997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시절 등번호 '7'번을 사용했고, 1998년 한화 이글스에서는 등번호 '33'번을 사용했다.[1]

5. 2. 코치 및 감독 시절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 등번호 '99'번을 사용했다.[1] 2018년부터 2019년까지 SK 와이번스 코치 시절에는 '73'번을 사용했고,[1] 2023년 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및 감독 대행 시절에는 '90'번을 사용했다.[1]

6. 출신 학교

7. 통산 성적

연도구단타율경기수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병살타희생타장타율비고
1989롯데0.266616417500682514110.344
19900.16746100010103100.167
19910.256106234601041352841738170.346
19920.3141084011261514357662126477170.444
19930.2531233929997242451634516140.327
19940.272121448122135232482119475100.337
19950.31562178564301922151317370.371
19960.474619910032102020.526
19970.2521063017613001131151045560.296
1998한화0.157428914211682218120.236
통산10시즌0.2727392132580723492122589812628230660.350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참조

[1] 뉴스 천하무적 "마이'못'무따아이가, 부산서 한판 더"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 뉴스 7연패 롯데… 서튼 감독 사퇴 https://sports.news.[...] 조선일보 2023-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