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형 (196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태형은 1967년생으로, 선수 시절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의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 SK 와이번스 코치를 거쳐 2015년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취임하여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2024년부터 롯데 자이언츠 감독으로 활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산 베어스 감독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두산 베어스 감독 - 김진욱 (1960년)
김진욱은 1984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야구 지도자로, 현역 시절 '선동열의 천적'으로 불렸으며 은퇴 후 두산 베어스와 kt 위즈의 감독을 역임했다. - 서울화계초등학교 동문 - 정성호 (희극인)
정성호는 1998년 MBC 코미디언 공채 시험에 합격하여 희극 배우로 데뷔, 《개그야》, 《SNL 코리아》 등에서 활동하며 MBC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현재 방송, 드라마, 영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방송인이다. - 서울화계초등학교 동문 - 박건형
박건형은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뮤지컬 배우로, 연극, 뮤지컬,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뮤지컬대상 신인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남우상 등을 수상하고 예능 프로그램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 롯데 자이언츠 - 사직야구장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야구장은 1985년 완공되어 1986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주요 경기가 개최되었고 롯데 자이언츠 투수 최동원의 등번호 11번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다. - 롯데 자이언츠 - 신격호
신격호는 롯데그룹의 창업주로서, 일본에서 롯데를 10대 재벌로 성장시킨 후 한국에 롯데제과를 설립하여 그룹을 확장했으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에 휘말린 기업인이다.
김태형 (196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태형 |
한자 표기 | 金太亨 |
로마자 표기 | Gim Tae-hyeong |
출생일 | 1967년 9월 12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
신장 | 173cm |
체중 | 76kg |
포지션 | 포수 / 감독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등번호 | 88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전주 고등학교 |
프로 | OB 베어스 (1990년 ~ 1998년) 두산 베어스 (1999년 ~ 2001년) |
드래프트 | 1988년 2차 4라운드, OB 베어스 지명 |
입단 | 1990년 |
첫 출장 | KBO / 1990년 4월 9일, 잠실 LG전 |
마지막 출장 | KBO / 2001년 5월 30일, 잠실 삼성전 |
선수 시절 기록 | 타율: 0.235 안타: 432개 홈런: 9개 타점: 157점 |
우승 경력 | 2회 한국시리즈 우승 |
지도자 경력 | |
코치 | 두산 베어스 플레잉코치 (2001년) 두산 베어스 배터리코치 (2002년 ~ 2011년) SK 와이번스 배터리코치 (2012년 ~ 2014년) |
감독 | 두산 베어스 감독 (2015년 ~ 2022년)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24년 ~ 현재) |
감독 시절 우승 경력 | 3회 한국시리즈 우승 |
기타 경력 | |
해설 | SBS 스포츠 야구 해설위원 (2023년) |
연봉 정보 | |
계약금 | 7억원 |
연봉 | 6억원 (2024년) |
2. 선수 시절
1990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1980년대를 주름잡던 조범현, 김경문을 밀어내고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하며 1990년대를 대표하는 수비형 포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진갑용, 홍성흔 등 후배 포수들의 성장으로 출전 시간이 줄었고, 2001년 은퇴했다.
2. 1. OB 베어스 시절
1990년에 인천전문대를 중퇴하고 단국대 체육학과 졸업 후 입단하여, 1980년대를 주름잡던 팀의 포수 조범현, 김경문을 밀어내고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했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수비형 포수 중 한 명으로, 주전으로 활동하며 상대적으로 장타력이 좋은 박현영과 출장 시간을 이상적으로 배분했으며, 김인식 감독 취임 후에는 일발 장타력을 인정받던 이도형까지 포수진에 가세하여 팀의 포수진은 현재까지도 내려오는 전통의 포수 왕국 컬러를 확립했다. 공격력 부분에서 백업인 박현영, 이도형에 비해 열세여서 특출난 시즌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했으나,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국가대표 출신 초대형 포수 유망주 최기문, 진갑용, 홍성흔이 연달아 입단하며 그의 주전 포수 자리를 자연스럽게 세대 교체하는 시도가 진행됐는데, 최기문을 밀어낸 진갑용이 타격, 수비 양쪽에서 부진을 거듭하며 확실한 후계자로 믿음을 주지 못했다.[1]2. 2. 두산 베어스 시절
1999년부터 신인 홍성흔이 주전 포수를 차지하며 백업과 수비 강화를 위한 역할로 세대 교체가 진행됐다.[1] 2001년에 플레잉코치로 보직이 변경됐으며, 6경기 출장을 끝으로 은퇴했다.[1]3. 야구선수 은퇴 후
2001년 플레잉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어 6경기 출장을 끝으로 은퇴했다. 은퇴 후에도 두산 베어스에서 배터리 코치를 계속 맡았다.
2011년 시즌 후 차기 감독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김진욱이 취임하면서 두산을 떠나 SK 와이번스의 코치가 되었다.
2015년에 두산 감독으로 취임하여, 같은 해에 두산을 한국시리즈 제패로 이끌었고, 이듬해에도 2연패를 달성했다. 이후 2017년과 2018년에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9년 정규 시즌 최종전에서 승리하며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고, 5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과 함께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2020년부터 3년 재계약을 맺었다[2]。
2020년에는 두산을 사상 3번째로 동일 구단의 6년 연속 한국시리즈에 진출시켰다. 2021년에는 7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을 이루어냈지만[4], 한국시리즈는 KT 위즈에 패했다.
2022년에는 9위로 시즌을 마쳤고, 시즌 종료 후 계약 만료로 두산 감독에서 퇴임했다.
2023년 TV 방송국의 야구 해설위원을 맡았다. 2024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감독으로 취임한다[5]。
3. 1. 두산 베어스 코치 시절
현역 마지막 시즌부터 플레잉 코치로 활동했고 다음 해에 은퇴하며 10년 동안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홍성흔 이후 포수 자원인 용덕한, 양의지 등을 강인권 코치와 함께 프로에 안착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김광수 감독대행 체제로 2011년 시즌이 끝난 후 감독 후보군에 올랐지만, 당시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이 신임 감독이 됨에 따라 팀을 떠나 SK 와이번스의 배터리코치로 옮겼다.3. 2. SK 와이번스 코치 시절
수비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모습을 보였지만, 플래툰으로 많이 나왔던 이재원이 주전 포수로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그의 공이 컸다. 3년간 배터리 코치로 있다가 2015년에 당시 감독이었던 송일수가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자 친정 팀으로 돌아와 감독을 맡았다.[2]3. 3. 두산 베어스 감독 시절
2015년 감독 부임 첫 해에 페넌트레이스 3위로 마쳤고, 준 플레이오프에서 SK를 꺾고 올라온 넥센을 상대로 3승 1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NC 다이노스를 3승 2패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 2015년 한국시리즈에서 1차전 패배 후 2~5차전을 내리 승리하며 14년 만에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2] 이 우승으로 역대 4번째 부임 첫 해 우승 감독이 되었고, 2015년 시즌 감독상을 받았다. 1995년 현역 시절, 2001년 코치 시절, 2015년 감독 시절 우승으로 한 팀에서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기록을 세웠다.2016년 5월 11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통산 세 자릿수 승을 달성했다.[2]
2019년에는 정규 시즌 최종전에서 승리하며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지었고, 5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과 함께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2020년부터 3년 재계약을 맺었다.[2] 같은 해 7월 7일 SK 와이번스전에서 오재일의 끝내기 홈런으로 감독 통산 400승을 달성했다.[3]
2020년에는 팀을 6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로 이끌었고,[2] 2021년에는 와일드카드 결정전부터 시작하여 7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웠지만,[4] KT 위즈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0년대부터 FA 선수 유출이 이어지며 팀 성적이 하락했고, 2022년에는 9위로 추락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결국 2022년 시즌 후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고, 후임 감독으로 이승엽이 선임되었다.[2]
3. 4. 해설위원 시절
2023년 SBS 스포츠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5]3. 5.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
2023년한국어 10월 20일 롯데 자이언츠 감독으로 선임되었다.[5]4. 트리비아
한국 프로 야구 선수협회 5적 네임 밸류로 불렸으나, 당시 구단주이자 KBO 회장이면서 두산 그룹의 오너였던 박용오가 선수협에 가입하면 구단 자체를 없애 버리겠다고 엄포를 놓자 선수들의 안전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구단과 선수협 가입 불가에 합의했다. 그러나 구단이 심정수를 트레이드시키며 약속을 어기자, 다시 선수들을 이끌고 선수협에 가입했다.
OB 베어스 주장 시절, 선수단 군기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경기 후 선수들을 소집해 엄하게 다그치는 일도 잦았다. '이광용의 옐로우카드'에 출연해 "당시 감독이었던 김인식 감독의 성격이 부드러워 군기 반장 역할을 할 필요가 있었다"고 밝혔다.
5.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1990 | OB | 0.181 | 87 | 166 | 13 | 30 | 3 | 0 | 1 | 36 | 7 | 1 | 3 | 11 | 2 | 12 | 3 | 9 |
1991 | 0.226 | 88 | 199 | 17 | 45 | 8 | 0 | 1 | 56 | 24 | 3 | 2 | 14 | 1 | 13 | 4 | 5 | |
1992 | 0.244 | 108 | 246 | 28 | 60 | 6 | 2 | 0 | 70 | 20 | 2 | 2 | 23 | 2 | 19 | 4 | 11 | |
1993 | 0.277 | 107 | 242 | 22 | 67 | 14 | 2 | 1 | 88 | 27 | 1 | 0 | 15 | 2 | 14 | 5 | 5 | |
1994 | 0.231 | 81 | 199 | 19 | 46 | 9 | 0 | 1 | 58 | 18 | 1 | 2 | 11 | 1 | 24 | 3 | 7 | |
1995 | 0.216 | 93 | 194 | 20 | 42 | 12 | 0 | 1 | 57 | 19 | 1 | 1 | 7 | 3 | 26 | 4 | 7 | |
1996 | 0.272 | 85 | 254 | 24 | 69 | 10 | 0 | 1 | 82 | 20 | 2 | 0 | 2 | 0 | 13 | 7 | 4 | |
1997 | 0.267 | 42 | 86 | 7 | 23 | 4 | 0 | 2 | 33 | 9 | 0 | 0 | 4 | 1 | 12 | 1 | 1 | |
1998 | 0.203 | 69 | 143 | 8 | 29 | 5 | 0 | 0 | 34 | 7 | 1 | 1 | 8 | 4 | 16 | 2 | 7 | |
1999 | 두산 | 0.200 | 37 | 80 | 4 | 16 | 5 | 0 | 1 | 24 | 4 | 0 | 0 | 5 | 1 | 9 | 1 | 2 |
2000 | 0.174 | 24 | 23 | 0 | 4 | 0 | 0 | 0 | 4 | 2 | 0 | 1 | 0 | 0 | 5 | 3 | 0 | |
2001 | 0.333 | 6 | 3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 0 | 0 | |
통산 | 12시즌 | 0.235 | 827 | 1835 | 163 | 432 | 76 | 4 | 9 | 543 | 157 | 12 | 12 | 100 | 17 | 164 | 37 | 58 |
5. 1. 선수 통산 기록
인천전문대를 중퇴하고 단국대 체육학과를 졸업한 김태형은 1990년 OB에 입단하여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했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수비형 포수 중 한 명으로,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1990 | OB | 0.181 | 87 | 166 | 13 | 30 | 3 | 0 | 1 | 36 | 7 | 1 | 3 | 11 | 2 | 12 | 3 | 9 |
1991 | 0.226 | 88 | 199 | 17 | 45 | 8 | 0 | 1 | 56 | 24 | 3 | 2 | 14 | 1 | 13 | 4 | 5 | |
1992 | 0.244 | 108 | 246 | 28 | 60 | 6 | 2 | 0 | 70 | 20 | 2 | 2 | 23 | 2 | 19 | 4 | 11 | |
1993 | 0.277 | 107 | 242 | 22 | 67 | 14 | 2 | 1 | 88 | 27 | 1 | 0 | 15 | 2 | 14 | 5 | 5 | |
1994 | 0.231 | 81 | 199 | 19 | 46 | 9 | 0 | 1 | 58 | 18 | 1 | 2 | 11 | 1 | 24 | 3 | 7 | |
1995 | 0.216 | 93 | 194 | 20 | 42 | 12 | 0 | 1 | 57 | 19 | 1 | 1 | 7 | 3 | 26 | 4 | 7 | |
1996 | 0.272 | 85 | 254 | 24 | 69 | 10 | 0 | 1 | 82 | 20 | 2 | 0 | 2 | 0 | 13 | 7 | 4 | |
1997 | 0.267 | 42 | 86 | 7 | 23 | 4 | 0 | 2 | 33 | 9 | 0 | 0 | 4 | 1 | 12 | 1 | 1 | |
1998 | 0.203 | 69 | 143 | 8 | 29 | 5 | 0 | 0 | 34 | 7 | 1 | 1 | 8 | 4 | 16 | 2 | 7 | |
1999 | 두산 | 0.200 | 37 | 80 | 4 | 16 | 5 | 0 | 1 | 24 | 4 | 0 | 0 | 5 | 1 | 9 | 1 | 2 |
2000 | 0.174 | 24 | 23 | 0 | 4 | 0 | 0 | 0 | 4 | 2 | 0 | 1 | 0 | 0 | 5 | 3 | 0 | |
2001 | 0.333 | 6 | 3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 0 | 0 | |
통산 | 12시즌 | 0.235 | 827 | 1835 | 163 | 432 | 76 | 4 | 9 | 543 | 157 | 12 | 12 | 100 | 17 | 164 | 37 | 58 |
5. 2. 감독 통산 기록
2015년 감독 부임 첫 해에 페넌트레이스에서 79승 65패, 3위로 마쳤고,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SK를 꺾고 올라온 넥센과의 준 플레이오프에서 3승 1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어 NC와의 플레이오프에서도 3승 2패로 승리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2015년 한국시리즈에서 1차전 역전패 후 2~5차전을 내리 승리하며 14년 만에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이 우승으로 그는 역대 4번째로 감독 부임 첫 해에 우승을 이끈 감독이 되었고, 2015년 시즌 감독상을 수상했다. 1995년 현역 시절, 2001년 코치 시절, 2015년 감독 시절 우승하여 한 팀에서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기록을 세웠다. 이후에도 2차례 더 팀을 한국시리즈(KS)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7년 연속으로 한국시리즈에 진출시켰다.2016년 5월 11일 SK와의 경기에서 통산 100승을 달성했다.
그러나 2020년대부터 스토브리그 FA 시즌마다 팀에서 이적하는 선수가 생기며 서서히 내리막을 걷기 시작했고, 2022년에는 9위로 추락하며 8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결국 2022년 시즌 마감과 함께 계약이 만료됐고, 이승엽을 후임 감독으로 내정함에 따라 팀을 떠나게 됐다.
참조
[1]
웹사이트
KBO's Bears part ways with manager Kim Tae-hyoung
https://www.koreatim[...]
2022-10-11
[2]
뉴스
監督契約更新
https://www.hankyung[...]
[3]
뉴스
さよならホームラン
https://mnews.joins.[...]
[4]
웹사이트
https://sports.v.dau[...]
[5]
웹사이트
https://www.giantscl[...]
[6]
문서
인천전문대학에서 편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