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모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즈모족은 일본 신화에서 이즈모 지역을 무대로 하거나 관련된 신들에 대한 설화를 바탕으로,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종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고사기와 풍토기 등 일본 고대 문헌에 근거하여 이즈모 신화를 이즈모족의 고유 신화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으나, 자연인류학, 고고학, 문헌 자료, 신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즈모족의 실체와 관련된 비판이 존재한다.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가 역사적 실체가 불분명하며, 신화학적 가설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모 신화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이즈모 신화 - 이나바의 흰 토끼
이나바의 흰 토끼 설화는 일본 신화, 특히 『고사기』에 기록된 이야기로, 오키 제도에서 이나바로 건너가려던 흰 토끼가 상어를 속여 이용하려다 실패하지만 오오쿠니누시의 도움으로 치유받는 내용이며, 자비로움, 문명과 야만성의 대립, 의료의 기원 등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고 돗토리현을 중심으로 관련 신화와 전설이 전해진다. - 고대 일본 부족 - 미시하세
미시하세 또는 아시하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숙신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숙신의 위치와 정체성은 논쟁 중이며, 다양한 지역과 민족과의 관련성이 추정되지만 일본 중심적인 기록이므로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고대 일본 부족 - 에조
에조는 일본 열도 북부 지역에 거주했던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모인'에서 '에미시'를 거쳐 '에조'로 표기가 바뀌었으며, 그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야마토 정권과의 관계 속에서 아이누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즈모족 | |
---|---|
개요 | |
다른 이름 | 일본어: |이즈모조쿠}} |
주요 근거지 | 이즈모 |
관련 종교 | 신토 |
역사 | |
기원 | 야요이 시대 |
관련 역사적 사건 | 국양신화 이즈모 신화 |
문화 | |
주요 유적 | 이즈모 대사 |
신앙 | 오오쿠니누시 |
2. 이즈모 신화와 이즈모족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서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이러한 설화들을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1]
하지만 "이즈모족" 학설에는 여러 비판이 있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적으로 이즈모 지방만의 두드러진 문화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으며,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고, 신화에서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은 찾기 어렵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적 가설로 만들어진 개념일 뿐이라는 견해도 있다.[1]
2. 1. 이즈모 신화의 정의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서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이야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 설화들을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었다.[1]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을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으로 상정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는 다른 계통으로 보았다.[2]
하지만 "이즈모족"에 대한 학설에는 여러 비판이 있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적으로 이즈모 지방만의 두드러진 문화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으며,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신화에서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은 찾기 어렵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적 가설로 만들어진 개념일 뿐이라는 견해도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명칭이 그들의 활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를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2. 2. 이즈모족 가설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는 이즈모 지역을 무대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내용이 많다. 이 때문에 이러한 설화를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가설이 제기되었다.하지만 "이즈모족" 가설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있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방에서 두드러진 문화적 이질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확인되지 않는다. 신화를 보더라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을 찾기 어렵다.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적 가설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2. 2. 1. 호가 수오의 주장
호가 수오는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이라 칭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와는 다른 계통으로 보았다.[1]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명칭이 그들의 행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를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한다.[2]
3. 이즈모족 가설에 대한 비판
"이즈모족" 가설은 자연인류학, 고고학, 문헌 자료, 신화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비판받고 있다. 이즈모 지방에서 뚜렷한 문화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이즈모 지역에 강력한 세력이 존재했다는 증거도 부족하며,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을 찾기도 어렵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또한 역사적으로 실체가 없고, 신화학에서 만들어진 개념일 뿐이라는 비판이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이름이 그들의 활동 범위나 거주지를 고려했을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3. 1. 자연인류학적 관점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는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이 이즈모 신화를 만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을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으로 보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는 다른 계통으로 보았다.[2]
하지만 "이즈모족"에 대한 학설은 여러 방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자연인류학이나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신화를 살펴보아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을 찾기 어렵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적 가설에서 만들어진 개념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이름이 그들의 활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를 고려했을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3. 2. 고고학적 관점
"이즈모족" 가설에 대해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 자연인류학 및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방에서 두드러진 문화적 이질성을 찾을 수 없다고 지적한다.[1]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있었다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으며, 신화 연구에서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을 명확히 밝혀내기 어렵다.[1]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는, 신화학적 가설에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다.[1]
3. 3. 문헌 자료적 관점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는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내용이 많다. 이 때문에 이러한 설화를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하지만 "이즈모족" 가설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존재한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방에서 두드러진 문화적 이질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확인되지 않는다.[1] 또한, 신화를 살펴보더라도 이즈모 신화만의 고유성은 찾기 어렵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는, 신화학적 가설에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다.[1]
3. 4. 신화학적 관점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서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근거로, 이러한 설화를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을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으로 상정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와는 다른 계통으로 보았다.[2]
하지만 "이즈모족" 가설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방의 두드러진 문화적 이질성이 지적되지 않으며,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확인되지 않는다. 신화를 보더라도 이즈모 신화의 고유성은 반드시 찾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자체도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적 관점에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명칭이 그들의 활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를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4. "이즈모족" 용어에 대한 논란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는 이즈모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내용이 많다. 이 때문에 이 설화들을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다.[1] 그러나 "이즈모족"이라는 용어는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에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호칭이 그들의 행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4. 1. 역사적 실체 문제
고기(古記)와 풍토기 등에 기술된 일본 신화에는 이즈모 지역을 무대로 하거나 이즈모 지역과 관련된 신들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이 설화들을 과거 이즈모 지역에 존재했던 "이즈모족"이라는 종족 고유의 신화(이즈모 신화)로 보는 설이 제기되었다.[1]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을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으로 상정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는 다른 계통에 있다고 보았다.[2]
그러나 "이즈모족" 학설에는 여러 비판이 있다. 자연인류학, 고고학에서는 이즈모 지방의 뚜렷한 문화적 이질성이 지적되지 않는다. 문헌 자료에서도 이즈모 지역에 특별히 강대한 세력이 확인되지 않으며, 신화에서도 이즈모 신화의 고유성은 뚜렷하지 않다.[1]
이즈모족이라는 용어 역시 역사적 실체가 없고, 신화학에서 만들어진 개념에 불과하다는 설이 있다.[1]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호칭이 그들의 행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에 비추어 볼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3]
4. 2. 호칭의 적절성 문제
호가 수오는 "이즈모족"이라는 호칭이 그 행동 범위나 거주지(규슈→이즈모→하리마→야마토)로 볼 때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는 이즈모족(이즈모 신족)이라고 불리는 집단을 오오쿠니누시의 자손으로 상정하고, 아메노호히의 자손인 이즈모 씨는 다른 계통에 있다고 보았다.[2]참조
[1]
서적
国史大辞典 1 あ-い
[2]
서적
古代氏族の研究⑦ 三輪氏 ―大物主神の祭祀者
青垣出版
2015
[3]
서적
古代氏族の研究⑬ 天皇氏族 天孫族の来た道
青垣出版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