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화는 '말', '이야기', '허구'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특정 민족의 역사나 자연 현상을 설명하며 초자연적인 존재나 사건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이야기를 가리킨다. 신화는 신, 반신, 초자연적 존재를 주요 등장인물로 하며, 세계의 기원, 사회의 규범, 가치관 등을 설명하고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신화는 전설, 민담과 구분되며, 종교,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신화 연구는 역사적 사건의 왜곡, 자연 현상에 대한 우화, 무생물의 의인화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심리학적, 구조주의적, 기능주의적 관점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현대 사회에서 신화는 대중문화, 팬픽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적 신념과 가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학 - 운명
운명은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사건의 속성을 결정하는 힘으로 이해되며, 숙명과는 달리 노력으로 바뀔 수 있고, 다양한 문화와 철학에서 논의되어 온 핵심 개념이다. - 신화학 - 황금시대
황금시대는 신화, 역사, 대중문화에서 이상적인 번영과 평화의 시기를 의미하며, 신화에서는 근심 없는 삶을, 역사에서는 특정 문화의 번성기를, 대중문화에서는 전성기나 초기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 종교학 - 신학
신학은 신에 대한 연구를 의미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종교의 신앙 체계와 교리, 신의 본성을 연구하며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앙을 전제로 하고, 역사적으로 종교 지도자 양성과 관련이 깊으며, 한국 신학은 서구 신학의 영향과 함께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 종교학 - 비교종교학
비교종교학은 세계 여러 종교의 역사, 교리, 의례, 실천 등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이슬람 황금시대 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연구 기여와 19세기 사회 과학자들의 관심, 그리고 종교 현상을 특정 틀에 맞추려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한다. - 우주론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우주론 - 자연철학
자연철학은 현대 자연과학 이전 자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우주와 자연 현상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고 근대 과학의 발달과 함께 자연과학과 분리되었으나, 현대에는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자연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하는 학문으로 재해석된다.
신화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정의 | 전통적인 이야기 |
특징 | 사회적 가치와 신념을 담고 있음 초자연적 요소 포함 의례와 밀접한 관련 |
관련 분야 | 비교 신화학 비교 종교학 민속학 기호학 |
어원 | 그리스어 "mythos(μῦθος)"에서 유래, '이야기' 또는 '담론' 의미 |
신화의 역할 | |
사회적 기능 | 문화적 정체성 확립 사회 질서 유지 도덕적 가치와 규범 전달 역사적 경험과 전통 공유 |
개인적 기능 | 존재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설명 삶의 불확실성과 두려움에 대한 대처 심리적 안정과 위로 제공 |
교육적 기능 | 지식과 기술 전달 문화적 유산 전수 공동체 의식 함양 |
신화의 유형 | |
창조 신화 | 세계와 생명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 |
홍수 신화 | 대홍수로 인한 세계의 파괴와 재건 이야기 |
국가 신화 | 국가의 기원과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 |
기원 신화 | 특정 사물, 관습 또는 지리적 특징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 |
신화의 연구 | |
학문적 접근 | 인류학적 접근: 문화적 맥락에서 신화 분석 심리학적 접근: 개인의 심리와 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학적 접근: 사회적 기능과 역할 분석 문학적 접근: 신화의 구조와 표현 분석 |
주요 신화 목록 | |
신화 목록 | 알바니아 신화 아랍 신화 아르메니아 신화 호주 원주민 신화 발트 신화 바스크 신화 반투 신화 브라질 신화 불교 신화 카탈루냐 신화 칸타브리아 신화 켈트 신화 중국 신화 에피크 신화 이집트 신화 잉글랜드 신화 에스토니아 신화 에트루리아 종교 핀란드 신화 프랑스 신화 조지아 신화 게르만 신화 그리스 신화 관체 신화 힌두 신화 히타이트 신화와 종교 헝가리 신화 인도네시아 신화 이탈리아 신화 일본 신화 콩고 종교 한국 신화 루그바라 신화 루시타니아 신화 마사이 신화 말라가시 신화 마오리 신화 므부티 신화 메이테이 신화 멜라네시아 신화 메소포타미아 신화 미크로네시아 신화 몽골 신화 아메리카 원주민 신화 오세티야 신화 파푸아 신화 페르시아 신화 필리핀 신화 폴리네시아 신화 원시 인도 유럽 신화 원시 우랄 종교 로마 신화 루마니아 신화 사미 샤머니즘 슬라브 신화 소말리아 신화 탈리시 신화 타이 민속 종교 티베트 신화 투르크 신화 베트남 신화 서아프리카 종교 요루바 종교 |
기타 | |
관련 개념 | 신 전설 속 생물 전설적인 시조 신화 속 쌍둥이 문화 영웅 민족 영웅 |
참고 자료 | 비교 신화학 비교 종교학 유헤메리즘 민속학 하위 신화 유사 신화 종교와 신화 상징주의 신학 |
2. 어원
"신화"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μῦθος|뮈토스grc[4]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말', '이야기', 또는 '허구'를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어 μυθολογία|뮈톨로기아grc(이야기, 전설, 또는 이야기하기)는 μῦθος|뮈토스grc라는 단어와 접미사 -λογία|-로기아grc(연구)를 결합한 것이다.[5] 따라서 플라톤은 μυθολογία|뮈톨로기아grc를 어떤 종류의 허구나 이야기하기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했다. 이 단어는 19세기 초, 훨씬 더 좁은 의미로, "[특히 어떤 민족의 초기 역사에 관한 또는 자연적 또는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는 전통적인 이야기로, 보통 초자연적인 존재나 사건을 포함하는 것]"[27][39]을 가리키는 학술 용어로 다른 유럽 언어들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대개 신, 반신과 같은 비인간 존재 또는 초자연적 존재들이다.[2][17][18] 신화는 종종 신학 및 의례와 관련이 있으며, 세계, 인류, 죽음의 기원을 설명한다.
신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그리스어 μυθολογία|뮈톨로기아grc는 그 후 후기 라틴어로 차용되었는데, 라틴 작가 파비우스 플랑키아데스 풀겐티우스의 5세기 작품 ''Mythologiæ''의 제목에서 나타나며, 현재 ''그리스 로마 신화''—즉, 그리스-로마의 기원론적 신화 이야기—를 가리킨다. 풀겐티우스의 ''Mythologiæ''는 그 주제를 해석이 필요한 풍유로 명시적으로 다루었지, 실제 사건으로 다루지 않았다.[6]
신화는 고대 그리스에서는 무토스(mythos)로 전해졌으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Ἰλιάς)『오디세이아』(Ὀδύσσεια), 헤시오도스의 『신통기』(Θεογονία)『일과 날』(ἜργακαὶἩμέραι) 등과 같이, 영감을 받은 시인이 신들의 행위를 권력자에게 들려주는 노래 형식이 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신이 사람에게 진실을 말하는 힘의 관계를 바탕으로, 듣는 자인 강자・남성적인 가치관에 맞춰 만들어졌다. 반면 로고스(logos)는 설명하는 말이며, 약자가 강자에게 사용하는, 다소의 거짓을 포함하더라도 설득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52]
현재 사용되는 무토스=진실이 아닌 “허구”, 로고스=지성과 이성에 뒷받침된 “진리”로 역전된 전환점은 그리스 민주주의의 탄생에 있다. 시민들이 의논하면서 정치를 진행하는 체제에서는, 필요한 논의는 신이 깃든 시인의 말이 아니라, 이성과 지성을 발휘하여 상대를 설득하는 말이어야 한다. 이를 배경으로 로고스야말로 진실이라는 개념이 확립되고, 반대로 무토스가 허위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152]
일본의 고전에는 “신가타리(神語り)”라는 말은 있지만, “신화(神話)”라는 말은 없다. 이는 메이지 20년대에 영어의 "myth"를 "신화(神話)"로 일본어에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번역어이며, 중국이나 조선의 고전에도 없는 말이다.[155] 이는 원래 신화라고 불리는 것이 구전으로 전해지는 것이었고,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후대의 일이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신화(神話)’라는 일본어는 근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비교적 새로운 단어이다.
3. 정의
핀란드의 민속학자 라우리 혼코(Lauri Honko)는 신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호세 마누엘 로사다(José Manuel Losada)는 신화를 "초월적이고, 신성하며, 초자연적인 지향점을 가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특별한 사건에 대한 기능적이고, 상징적이며, 주제적인 이야기"로 정의하며, 이는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고, 개인이나 집단, 항상 절대적인 우주론 또는 종말론을 지칭한다.[20][21]
아네테 츠골(Annette Zgoll)과 크리스티안 츠골(Christian Zgoll)은 신화를 "경험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초월적인 해석이 인간 조건의 해석과 극복에 대한 암묵적인 관련성을 가진 '휘레메'(hyleme) 서열로 결합된 에르체를슈토프(Erzählstoff, 서술 자료)"로 정의한다.[22]
신화는 전설이나 민담과는 다르게 신성한 이야기로 간주된다.[24] 신화의 주인공은 보통 신, 반신 또는 초자연적인 인간이지만,[2][17] 전설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주인공으로 한다.[25]
4. 신화의 특징
핀란드의 민속학자 라우리 혼코(Lauri Honko)에 따르면, 신화는 신들의 이야기이자 세계의 시작, 창조, 근본적인 사건들에 대한 종교적인 설명이며, 세계, 자연, 그리고 문화가 그 모든 부분과 함께 창조되고 질서를 부여받은 결과로서 신들의 모범적인 행위에 대한 설명이다.
4. 1. 신성성
신화는 종교에서 비롯되었으며, 유일신 사상의 전파와 함께 대부분 사멸하여 체계적인 경전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문학, 극, 음악, 미술, 조각 등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 다양한 자료가 남아 있다.[156]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대개 신, 반신과 같은 비인간 존재 또는 초자연적 존재들이다.[2][17][18] 지배자나 성직자는 신화를 신성한 것으로 인정하고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경우가 많으며,[90] 그러한 사회에서는 신화가 아주 먼 옛날의 "진실된 이야기"로 여겨진다.[90][91][93][94]
4. 2. 초자연성
신화는 신, 반신과 같은 비인간 존재 또는 다른 초자연적 존재들이 등장하여 현실 세계의 법칙을 초월하는 이야기를 다룬다.[2][17][18] 신화는 종종 신학과 의례와 관련이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은 인간이 아니지만 인간적인 속성을 가지기도 한다. 이들은 동물, 신, 문화 영웅일 수 있으며, 그들의 행동은 지구가 현재와는 달랐던 과거의 세계, 하늘, 지하 세계 등에서 펼쳐진다.
신화는 때때로 전설과 구별되기도 하는데, 신화는 신을 다루고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와 매우 다른 먼 과거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이다.[18]
4. 3. 기원 설명
신화는 세계, 인간, 사회 규범 등의 기원을 설명한다. 신화는 종교에서 비롯되었으며, 우주론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 일신교 사상의 전파와 함께 많은 신화가 사라졌지만,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문학, 연극, 음악, 미술, 조각 등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왔다.[156]
신화는 인간 행동의 의미와 규제를 가리키는 기능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종물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이는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과정 등 자연의 법칙과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 때 젊은이들에게 전달되어 실천됨으로써 원초의 사실을 재확인한다.[156]
원시 시대부터 한 민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인 신화는, 문화가 낮은 민족이 심령의 초자연적 힘을 중심으로 자연계와 인문계의 여러 현상을 상상하고 서술한 민족 발생의 이야기이다. 이는 민속 종교와 연결되며, 개인적 소산이 아닌 민족 전체를 지배하는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하는 선조들의 문화적 유산이다.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말해주며, 구전되는 특성(구송성)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고 문학화된다.[156]
신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156]
신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유동적 변화물이다.[156]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대개 신, 반신과 같은 비인간 존재 또는 다른 초자연적 존재들이다.[2][17][18] 신화는 세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근원적인 시대를 묘사하며, 세상과 여러 관습, 사회 조직, 금기가 왜 생겨났는지를 설명한다.[90][97]
4. 4. 집단성
신화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공동체의 집단적인 믿음과 경험을 반영한다.[156] 민족 전체를 지배하는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하여 나타난 선조들의 문화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156] 따라서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보여주며, 구전되는 특성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고 문학화된다.[156]
4. 5. 구전성
신화는 종종 문자가 아닌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전(口傳) 형태로 전승된다.[156] 신화는 민족의 신념과 역사를 반영하며, 이러한 구송성(口誦性)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고 문학화되기도 한다.[156] 제주(祭主)가 신을 움직이려는 주문이나 도사(禱詞)로써 신화가 구송되는 경우가 많은데, 무가 중 서사적인 것은 신화적인 성격을 띤다.[156]
4. 6. 변화성
신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화한다.[156] 원시 사회의 야만성과 불합리성이 반영되기도 하지만, 인지가 발달하면서 합리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변화 자체가 신화의 본질 중 하나로 여겨진다.[156]
신화는 여러 주제가 결합하고 구성되어 다양한 설화 형식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홍수 설화, 난생 설화, 영웅의 사신 퇴치 등에서 이러한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156] 이처럼 신화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내용이 변화하고 재해석될 수 있다.
5. 신화와 다른 이야기 형식
신화는 원시 시대부터 한 민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자연 현상이나 인간사를 초자연적인 힘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민족 발생의 이야기이다. 이러한 민속종교는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민족 전체의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하는 문화적 유산이다.[156]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반영하며, 구전되는 특성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여 문학화되기도 한다.[156]
라우리 혼코(Lauri Honko)는 신화를 신들의 이야기이자 세계의 기원과 근본적인 사건들에 대한 종교적인 설명으로 정의했다. 신화는 신들의 모범적인 행위를 통해 세계, 자연, 문화가 창조되고 질서를 부여받은 과정을 설명하며, 이 질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다. 또한 사회의 종교적 가치관과 규범을 표현하고, 모방해야 할 행동 패턴을 제시하며, 종교 의식의 신성함을 확립한다고 하였다.
호세 마누엘 로사다(José Manuel Losada)는 신화를 "초월적이고, 신성하며, 초자연적인 지향점을 가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특별한 사건에 대한 기능적이고, 상징적이며, 주제적인 이야기"로 정의했다. 이는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며, 개인이나 집단을 지칭하지만 항상 절대적인 우주 생성론 또는 종말론을 언급한다.[20][21] 아네테 츠골(Annette Zgoll)과 크리스티안 츠골(Christian Zgoll)은 신화를 "경험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초월적인 해석이 인간 조건의 해석과 극복에 대한 암묵적인 관련성을 가진 '휘레메'(hyleme) 서열로 결합된 에르체를슈토프"로 정의했다.[22]
신화는 전설이나 민담과 같은 다른 민속 장르와 겹치기도 하지만, 종종 신성한 이야기로 여겨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24] 신화의 주인공은 보통 신, 반신 또는 초자연적인 인간인 반면,[2][17] 이야기가 문화 간에 전파되거나 신앙이 변화함에 따라 신화는 민담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신적인 인물이 인간이나 거인, 요정과 같은 반인간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2]
구어체에서 "신화"는 사실에 근거가 없는 믿음이나 허위 이야기를 의미하기도 한다.[27] 이러한 용법은 종종 다른 문화의 종교적 신화와 믿음을 잘못된 것으로 규정하는 데서 비롯되었지만, 비종교적 믿음으로까지 확대되었다.[29] 많은 학자들이 모든 종교적 이야기를 "신화"로 규정하기도 하지만,[32] 일부 학자들은 신성한 이야기에 경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신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비교 신화학은 서로 다른 문화권의 신화들을 비교하여 공통적인 주제를 찾는 학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신화들 간의 유사점을 통해 공통된 원천, 즉 "원형 신화"가 존재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엘리아데는 신화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행동 모델을 확립하고 종교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혼코는 사회가 신화 시대의 조건을 재현하려고 신화를 재연한다고 주장했다. 바르트는 현대 문화가 종교적 경험을 탐구하며, 이는 기술적인 현재와 대조되는 도덕적 과거와 연결하려는 시도라고 보았다. 파타나이크는 신화를 "이야기, 상징 및 의식을 통해 전달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진실"로 정의하며,[42] "사실은 모두의 진실, 허구는 아무의 진실도 아니다. 신화는 어떤 사람들의 진실이다"라고 말한다.[43]
신화 해석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33] 플라톤은 『국가』에서 시인이 이야기하는 신화는 교육적으로 해롭다고 주장했지만(시인 추방론), 한편으로는 저서에 다양한 신화를 인용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다신교 신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고, 16세기에는 관련 서적이 출판되기도 했다.
5. 1. 전설
전설은 구체적인 사물과 결부된 설화로서, 과거의 사실 또는 사실이라고 믿어지는 사건이 구전이나 문자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156] 신화와 달리 특정 시대나 지역의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과 관련되며, 신성성보다는 사실성에 더 중점을 둔다.전설은 발생 시대보다 후대까지 존속한 민담과 역사적인 인물, 토지, 사건 등에 관한 구비(口碑)로 나누기도 한다.[156] 신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유동적 변화물인 반면,[156] 전설은 고유명사를 가진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며, 그 활약한 장소도 한정되고, 시대도 세계가 거의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자리 잡은 후를 무대로 하기 때문에 역사 기록에 가깝다.[90]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보통 신, 반신 또는 초자연적인 인간이지만,[2][17] 전설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주인공으로 한다.[90][25] 예를 들어 아서왕과 원탁의 기사들에 초점을 맞춘 영국의 전설적인 역사인 영국 전설(Matter of Britain)은[26] 5세기 역사적 사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수세기 동안 신화화되었다.
5. 2. 민담 (옛이야기)
민담은 신화나 전설과 달리 진실성이나 신성함보다는 흥미를 위주로 하는 이야기이다.[77][98] 민담(옛이야기)은 서로 다른 시대와 장소에서 여러 번 일어난 사건의 전형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며, 진실을 표현한 것이 아니거나, 혹은 신성한 이야기가 아니라고 인식된다.[77][90] 예를 들어, 《흥부와 놀부》도 흥부와 놀부의 갈등은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갈등 중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신화나 전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77]신화, 옛이야기, 전설 이 세 가지는 전통적인 옛 설화를 구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지만,[99] 이것을 이야기하는 각 문화권에서는 반드시 엄격한 선을 긋고 있는 것은 아니다.[77][100] 문화권에 따라 신화와 전설에 명확한 차이를 두지 않는 곳도 있고,[101] 하나의 같은 설화에 대해서도, 어떤 집단은 그것을 진실이라고 여겨 신화라고 생각하고, 다른 집단은 허구라고 여겨 옛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102][103]
6. 신화의 기원과 형성
신화는 자연 현상이나 철학적, 영적인 개념에 대한 우화로 시작되었다는 이론이 있다. 예를 들어 아폴론은 태양, 포세이돈은 물, 아테나는 현명한 판단, 아프로디테는 낭만적인 욕망을 나타내는 식이다.[45] 뮬러는 신화가 자연에 대한 우화적 묘사로 시작되어 점차 문자 그대로 해석되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격렬한 바다'라는 시적 표현이 바다의 신이 격렬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20]
신화가 사물과 힘의 의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사상가들도 있었다. 고대인들은 불, 공기와 같은 자연 현상을 숭배하고 점차 신격화했으며, 자연 현상을 개인적인 신의 행위로 묘사하여 신화를 만들었다.[15]
신화-의례 이론은 신화가 의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61] 스미스는 사람들이 신화와 관련 없는 이유로 의례를 수행하다가, 의례의 원래 이유를 잊고 신화를 통해 그 이유를 설명했다고 주장했다.[19][63]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는 인간이 마법에 대한 믿음에서 시작해 신에 대한 신화를 만들고, 의례를 신을 달래는 종교 의례로 재해석했다고 보았다.
역사적으로 신화 연구에는 비코, 셸링, 실러, 융, 프로이트, 르비브륀, 레비스트로스, 프라이, 소련 학파, 신화와 의례 학파 등의 접근 방식이 있었다.[45]
전소크라테스 철학자들 시대부터 신화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시작되었다.[1] 에우헤메로스는 신화를 왜곡된 실제 역사 사건으로 해석했다.
살루스티우스는 신화를 신학적, 물리적, 애니미즘적, 물질적, 혼합된 것의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46]
플라톤은 『국가』에서 시적 신화를 비난했지만, 자신의 저술에서 신화를 끊임없이 언급했다. 플라톤주의가 발전하면서 플루타르크, 포르피리오스, 프로클로스, 올림피오도로스, 다마스키우스 등은 전통 신화와 오르페우스 신화의 상징적 해석에 대해 저술했다.[47]
호머 이후 신화적 주제가 문학에 의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중세 로맨스는 신화를 문학으로 바꾸는 과정을 활용했고, ''에우헤메리즘''은 신화적 주제를 실용적인 맥락으로 옮기는 신화의 합리화를 의미한다.
6. 1. 초기 이론
신화의 초기 이론에는 역사적 사건의 왜곡, 자연 현상에 대한 우화, 무생물의 의인화 등 다양한 관점이 있었다.역사적 사건의 왜곡한 가지 이론은 신화가 실제 역사적 사건이 시간이 지나면서 과장되고 윤색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이야기꾼들이 역사적 사건을 반복해서 이야기하면서 등장인물들은 점차 신격화된다. 예를 들어,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 신화는 백성들에게 돛을 이용해 바람을 읽는 법을 가르친 왕의 이야기가 변형된 것일 수 있다. 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와 프로디쿠스도 이와 비슷한 주장을 펼쳤다. 이러한 관점은 에우헤메로스(en)(기원전 약 320년)의 이름을 따 ''에우헤메리즘''이라고 불리며, 그는 그리스 신들이 인간의 전설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112][113]
자연 현상에 대한 우화어떤 이론들은 신화가 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우화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아폴론은 불, 포세이돈은 물을 상징하는 식이다.[112] 또 다른 관점은 신화가 철학적 또는 정신적 개념을 나타내는 우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아테나는 현명한 판단, 아프로디테는 소망을 상징하는 것처럼 말이다.[112] 프리드리히 막스 뮬러는 신화가 자연에 대한 우화적 묘사로 시작해 점차 문자 그대로 해석되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격렬한 바다'라는 시적 표현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다의 신이 격렬한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이다.[114]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의 신화 이론19세기 후반에는 신화를 다루는 학문적 이론들이 등장했다.[133] 이 시기에는 신화를 시대에 뒤떨어진 사고방식으로 보면서도, 한편으로는 근대 과학에 상응하는 원시적 개념으로 해석하기도 했다.[136] 역사학, 문헌학, 민족학적 방법이 연구에 도입되었다.[77]
에드워드 버넷 타일러는 신화가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자연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도였으며, 이는 무생물에 영혼을 부여하는 애니미즘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37][138]
프리드리히 막스 뮬러는 신화를 "언어 질병"이라고 칭하며,[137] 추상적인 개념이 언어적으로 충분히 발달하지 못해 의인화된 표현이나 자연 현상 자체를 신처럼 인식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114] 그러나 오늘날 이 이론은 큰 গুরুত্ব를 얻지 못하고 있다.[77]
인류학자 제임스 프레이저는 신화가 자연 법칙을 잘못 해석한 마술적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140] 그는 이 과정을 "마법에서 시작하여 종교를 거쳐 과학에 이르는 것"이라고 표현했다.[122]
19세기 후반에는 사회문화적 진화론을 바탕으로 신화를 미개 사회의 풍습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는 앤드류 랭 등의 학자들이 등장했다.[77] 20세기에 들어서면서, 19세기 신화 연구의 주류였던 신화와 과학의 대립적 시각은 점차 부정되었다.[141]
6. 2. 부권제 성립과 신화
J.J. 바호펜은 1861년 저서 《모권제(Das Mutterrecht)》에서 신화가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 변천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고 주장했다.[105][106] 그는 초기 혼란스러운 결혼 제도(혼인 제도)의 모계 사회에서 일부일처제를 거쳐 대지모신(大地母神)·데메테르(Demeter)형 모권으로 변화하고, 마침내 고대 그리스·로마를 전형으로 하는 부권 우위형 신화 체계가 성립했다고 설명했다.[105][106] 이는 어머니는 당연히 어머니가 될 수 있지만, 아버지가 정체성을 가지려면 설명이 필수적이며, 이 설명을 위해 신화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107]6. 3. 심리학적 관점
스위스의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은 모든 인간이 타고난 심리적 힘을 무의식적으로 공유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집단 무의식"이라 칭하고, "원형"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여러 문화권의 신화에서 볼 수 있는 유사성으로부터 이러한 보편적인 원형이 존재함을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하고[142], 이 원형이 표현된 한 형태가 신화라고 보았다.[143]6. 4. 구조주의적 관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신화가 마음속 패턴, 특히 좋다/나쁘다, 친절하다/잔인하다와 같은 대립쌍의 조합을 반영한다고 보았다.[45]6. 5. 기능주의적 관점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신화는 사회와 사회적 행동을 형성하고 다듬는 기능을 한다고 본다. 미르치아 엘리아데는 신화가 행동의 모델을 확립하고 종교적 경험을 제공한다고 보았다.신화의 기능은 인간 행동의 의미와 규제를 가리킨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종물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가 많은데, 이는 태고시대에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자연의 법칙과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 때 젊은이들에게 알려지고 실천되어 원초의 사실이 재확인된다. 신화 지식에는 주술, 종교적 능력이 따르므로 신비적 성격을 띤다.
7. 신화의 역할과 기능
신화는 종교에서 비롯된 거대한 설명을 담은 우주론을 포함하며, 대부분 유일신 사상의 전파와 함께 사라졌기 때문에 체계적인 경전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문학, 극, 음악, 미술, 조각 등으로 전해져 다양한 자료가 남아 있다. 신화는 토착 종교로 발전하는 경향이 강하다.
오늘날 문명을 이루는 건축, 예술, 문학, 음악, 시 등은 신화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과거 신을 위해 인간들이 예술품(신전 건축, 음악, 춤 등)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또한 신화의 내용은 오늘날 사용하는 단어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인도게르만어에서 그 경향이 강하다.
신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유동적 변화물이다.[156] 전설, 민담과 함께 서사 문학을 형성하며, 훗날 소설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다.[156] 신화와 전설은 대개 신관(神官)이 구송한 것으로, 일종의 신가적(神歌的) 서사시였다. 이것이 민간에 전해져 민간 설화가 되고, 흥미 중심의 이야기가 첨가되어 구비 민담으로 원시 문학의 독특한 형태를 이루었다. 신화·전설·민담은 이후 서정 문학의 모체가 되었다.[156]
고대 그리스에서 무토스(mythos)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일과 날』처럼 영감을 받은 시인이 신들의 행위를 권력자에게 들려주는 노래 형식을 의미했다. 이는 신이 인간에게 진실을 말하는 힘의 관계를 바탕으로, 듣는 자인 강자・남성적 가치관에 맞춰 만들어졌다. 반면 로고스(logos)는 설명하는 말로, 약자가 강자에게 사용하며 다소 거짓이 있더라도 설득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52]
오늘날 무토스="허구", 로고스=지성과 이성에 뒷받침된 "진리"로 역전된 전환점은 그리스 민주주의 탄생이다. 시민들이 의논하며 정치를 하는 체제에서는 신이 깃든 시인의 말이 아닌, 이성과 지성으로 상대를 설득하는 말이 필요했다. 이를 배경으로 로고스야말로 진실이라는 개념이 확립되고, 무토스는 허위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152]
근거 없이 절대적인 사실이라고 생각되는 사건을 비유하여 '안전 신화'와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76] 이는 현실이 은폐되고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이 잘못된 방향으로 고정된 "상식"이라 할 수 있다.[153][154]
7. 1. 규범 제시
신화는 사회 구성원에게 행동 규범과 가치관을 제시한다. 신화의 기능은 인간 행동의 의미와 규제를 가리킨다.[48][49]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동물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이는 태고시대에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자연 법칙과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 때 젊은이들에게 전달되고 실천되어 원초의 사실을 재확인한다. 신화 지식에는 주술, 종교적 능력이 따르므로 신비적 성격을 띤다.신화는 일반적으로 세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근원적인 시대를 묘사하며,[90] 세계가 어떻게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83][84][85][97] 그리고 다양한 관습, 사회 조직, 금기가 왜 생겨났는지를 설명한다.[90][97] 많은 사회에서는 옛이야기를 "진실된 이야기"인 신화와 "거짓말 이야기"인 우화로 구분한다.[95][96]
7. 2. 정체성 형성
신화는 한 민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민족 전체를 지배하는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하는 선조들의 문화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156] 따라서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반영하며, 구전되는 특성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여 문학화되기도 한다.[156] 신화는 오랜 세월 동안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개인 작가가 없고 민족성을 반영한다.[156]신화는 공동체의 기원과 역사를 설명함으로써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동물의 여정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이는 태고 시대에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자연의 법칙과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을 통해 젊은이들에게 전해지고, 실천을 통해 원초의 사실이 재확인된다. 신화의 지식에는 주술적, 종교적 능력이 따르기 때문에 신비적인 성격을 띤다.
7. 3. 세계관 제공
신화는 세계와 인간, 그리고 삶의 의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신화는 종교에서 비롯된 거대한 설명을 담은 우주론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 유일신 사상의 전파와 함께 사라졌기 때문에 체계적인 경전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신화는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문학, 극, 음악, 미술, 조각 등으로 전해져 다양한 자료가 남아 있다. 신화는 토착 종교로 발전하는 경향이 강하다.신화는 인간 행동의 의미와 규제를 가리키는 기능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종물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이는 태고 시대에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과정 등 자연 법칙과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 때 젊은이들에게 알려지고 실천되어 원초의 사실을 재확인한다. 신화 지식에는 주술, 종교적 능력이 따르므로 신비적인 성격을 띤다.
원시 시대부터 한 민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인 신화는, 문화가 낮은 민족이 심령의 초자연적 힘을 중심으로 자연계나 인문계의 여러 현상을 그들 나름대로 상상하고 서술한 민족 발생의 이야기, 즉 민속 종교이다. 민속 종교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 민족 전체를 지배하는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나타난 선조들의 문화적 유산이다. 따라서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말해주며, 구전되는 특성(口誦性)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고 문학화된다.
신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민족 예술성: 오랜 세월 동안 생활 속에서 자연 발생하며, 개인 작가가 없고 민족성을 반영한다.
- 구송성(口誦性): 신을 움직이려는 주문이나 기도(禱詞)로써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무가(巫歌) 중 서사적인 것은 신화적인 성격을 띤다.
- 설명성: 자연계와 인문계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려 하며, 모든 것이 신의 의지에 따른다는 원초적 사고방식이 중심이 되어 형성된다.
- 인격화: 애니미즘, 토테미즘 종교 형태에서 인문 현상 및 자연 현상이 신격화되고, 다시 인격화된다. 신화는 비실제적 사실과 인물이지만 민중 생활을 반영한다는 가치를 지닌다.
- 변화성: 원시 사회의 야만성과 불합리성이 반영되지만, 인지 발달과 함께 합리화를 추구하여 변화 자체가 본질이 된다.
- 유동성(類同性): 개인 창작이 아니므로 여러 주제가 결합, 구성되어 설화 형식의 기반이 된다. (예: 홍수 설화, 난생 설화, 영웅의 사신 퇴치 등)[156]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신이나 초자연적인 영웅이 많다.[90][91][92] 지배자나 성직자는 신화를 신성한 것으로 인정하고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경우가 있으며,[90] 이러한 사회에서는 신화가 아주 먼 옛날의 "진실된 이야기"로 여겨진다.[90][91][93][94] 신화는 일반적으로 세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근원적인 시대를 묘사하며,[90] 세계와 다양한 관습, 사회 조직, 금기가 왜 생겨났는지를 설명한다.[90][97]
7. 4. 종교적 경험 제공
신화는 신성한 존재와의 만남을 통해 종교적 경험을 제공한다.[156] 신화는 인간을 신성한 현실, 존재, 힘, 진리의 근원적인 원천과 연결시켜 준다.[156] 비록 신화는 원칙적으로 비사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종교적 맥락에서는 최고의 진리, 즉 모든 것 중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진리를 담은 이야기로 여겨진다.[156] 사람들은 신화를 통해 삶을 규제하고 해석하며, 존재의 가치와 목적을 발견한다.[156]신화는 종종 성인식과 같은 의식을 통해 젊은이들에게 전달되며, 이를 통해 신화 속 이야기가 실천되고 원초의 사실이 재확인된다.[156] 신화의 지식에는 주술적, 종교적 능력이 따르기 때문에 신비적인 성격을 띤다.[156]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그의 저서 ''영원회귀의 신화''에서 현대인의 불안을 신화와 신성에 대한 거부로 돌리기도 했다.
8. 신화의 변화와 통합
신화는 민족이나 문화가 통합되는 과정에서 정리되고 체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마쓰무라 타케오(松村武雄)는 이러한 신화의 통합 구성을 "가로로 전개"와 "세로로 전개"로 분류했다. "가로로 전개"의 예로는 그리스, 게르만, 켈트 등 서유럽 신화가 그물처럼 얽혀 있는 상태를 들 수 있다. "세로로 전개"의 예로는 일본의 천손계 신화를 들 수 있다.[123]
중국 신화는 체계화되지 않고 단편적이며 고립적인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개별 신화 안에는 삼황오제에서 볼 수 있는 세 가지 다른 대홍수 이야기처럼 "가로로 전개"나 "세로로 전개"에 해당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는 신화가 고정된 시기에 해당 지역의 정치적, 문화적 체계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예외적으로 신화가 통합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3]
20세기 후반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연구자들은 각 신화에 대한 설명이 각자의 문화적 중요성과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신화는 본질적으로 유동적이고 가변적이라고 주장하며, 따라서 신화의 '원본'이나 '원형'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57]
9. 신화 연구
현대 사회에서 신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고 활용된다. 문화 연구 학자들은 신화가 현대 담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하며,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대중에게 신화적 담론이 전달되고 있다고 본다.[69]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등 대중문화 속에서 다양한 신화적 요소들이 나타난다.[69]
과거에는 신화가 주로 소규모로 구전되어 전승되었지만, 영화 산업의 발달로 영화 제작자들은 영화를 통해 대규모 대중에게 신화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70] 카를 융 심리학에서는 신화를 문화나 사회의 목표, 두려움, 야망, 꿈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았다.[71]
현대 시각적 스토리텔링은 신화적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많은 현대 영화가 고대 신화에 의존하여 서사를 구성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전통적인 어린 시절 신화를 "재창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72] 많은 영화의 줄거리가 신화의 대략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기술 남용에 대한 경고, 신들 간의 전투, 창조 이야기와 같은 신화적 원형은 종종 주요 영화의 주제가 된다. 이러한 영화는 사이버펑크 액션 영화, 판타지, 드라마, 종말론적 이야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21세기에도 "타이탄의 분노"(2010), "이터널스"(2011), "토르"와 같은 영화들은 현대적인 줄거리를 구성하는 데 전통적인 신화를 사용하는 경향을 이어가고 있다. 릭 리어던의 "페르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 시리즈처럼 현대 세계에 그리스 신들이 나타나는 작품들도 신화를 기반으로 한다.[73]
팬 연구 분야 학자들과 대중문화 팬들은 팬픽션과 신화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한다.[74] 이카 윌리스는 기업으로부터 인기 있는 이야기를 되찾는 팬픽션, 헤게모니적 권력을 비판하거나 해체하는 수단으로서의 신화, "이야기의 공유지이자 보편적인 이야기 세계"로서의 신화라는 세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74] 윌리스는 세 번째 모델을 지지하며, 팬픽션은 등장인물과 이야기가 서로 얽혀 있는 초연결 우주(초연속성) 때문에 신화적이라고 주장한다. 헨리 젠킨스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팬픽션이 "현대 신화가 대중이 아닌 기업이 소유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한 피해를 복구하는 문화적 방식"이라고 말했다.[75]
9. 1. 비교신화학
비교신화학은 서로 다른 문화권의 신화를 비교하여 공통적인 주제나 구조를 찾으려는 학문이다.[80] 각 신화 속에 있는 유사성을 찾아내어 신화에 흐르는 공통적인 기본적인 부분을 찾으려는 시도를 한다.[80] 예를 들어, 같은 자연 현상에 직면한 각 민족이 의도치 않게 비슷한 신화를 만들어내는 경우에 있을 수 있는 보편적인 발상의 원천, 또는 다양한 신화로 분기하는 원초적인 "신화의 씨앗"(protomythology)을 찾고자 한다.[80]19세기에는 신화 해석에서 비교신화학적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었고, 그 보편성을 탐구하였다.[149] 그러나 현대에는 이러한 비교 검토 방법에 대해 연구자들로부터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신화의 보편성에만 매달려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150] 이러한 경향에 맞서는 예 중 하나는 조셉 캠벨의 『천 개의 얼굴을 가진 영웅』(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이며, 여기서 조셉 캠벨은 모든 신화 속 영웅에게는 기본적으로 같은 패턴(영웅의 여정)이 보인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모노미스(Monomyth) 이론은 신화 연구의 주류 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9. 2. 현대 신화 연구
문화 연구 분야 학자들은 신화가 현대 담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한다. 신화적 담론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다. 다양한 신화적 요소들이 대중문화, 텔레비전, 영화, 비디오 게임 등에 나타난다.[69]전통적으로 신화는 소규모로 구전되어 전승되었지만, 영화 산업은 영화 제작자들이 영화를 통해 대규모 대중에게 신화를 전달할 수 있도록 했다.[70] 카를 융 심리학에서 신화는 문화 또는 사회의 목표, 두려움, 야망, 꿈을 표현하는 것이다.[71]
현대 시각적 스토리텔링의 기반은 신화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많은 현대 영화는 고대 신화에 의존하여 서사를 구성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전통적인 어린 시절 신화를 "재창조"한 것으로 문화 연구 학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다.[72] 디즈니 동화처럼 명확한 영화는 거의 없지만, 많은 영화의 줄거리는 신화의 대략적인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기술 남용에 대한 경고, 신들 사이의 전투, 창조 이야기와 같은 신화적 원형은 종종 주요 영화 제작의 주제가 된다. 이러한 영화는 사이버펑크 액션 영화, 판타지, 드라마, 그리고 종말론적 이야기의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21세기 영화, 예를 들어 "타이탄의 분노"(2010), "이터널스"(2011), "토르"는 현대적인 줄거리를 구성하는 데 전통적인 신화를 사용하는 경향을 계속 이어간다. 릭 리어던과 같이 현대 세계에서 그리스 신들이 나타나는 "페르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 시리즈를 집필한 작가들은 신화를 책의 기반으로 사용한다.[73]
특히 팬 연구 분야의 학자들과 대중문화 팬들은 팬픽션과 신화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하기도 했다.[74] 이카 윌리스는 이에 대한 세 가지 모델을 제시했는데, 기업으로부터 인기 있는 이야기를 되찾는 팬픽션, 헤게모니적 권력을 비판하거나 해체하는 수단으로서의 신화, 그리고 "이야기의 공유지이자 보편적인 이야기 세계"로서의 신화이다.[74] 윌리스는 보편적인 이야기 세계라는 세 번째 모델을 지지하며, 팬픽션은 등장인물과 이야기가 서로 얽혀 있는 초연결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사라 일레스 존스턴이 고안한 용어인 초연속성 때문에 신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헨리 젠킨스는 팬픽션이 "현대 신화가 대중이 아닌 기업이 소유하는 시스템에서 발생한 피해를 복구하는 문화적 방식"이라고 말했다.[75]
10. 각 지역의 신화
세계 각 지역에는 다양한 신화가 존재한다. 주요 신화는 다음과 같다.
- 아시아
- * 인도 신화, 중국 신화, 한국 신화, 일본 신화, 만주 건국 신화, 몽골 건국 신화, 베트남 신화, 부랴트 게세르 신화, 아이누 신화, 불교 신화, 힌두교 신화, Turkic mythology|튀르크 신화영어
- 아프리카
- * 니그로 신화, 베르베르 신화, West African mythology|서아프리카 신화영어, Yoruba religion|요루바 신화영어
- 유럽
- *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 게(노)르만 신화, 켈트 신화, 슬라브 신화, Baltic mythology|발트 신화영어, 핀란드 신화, 게르만 신화, 코카서스 신화, 노르드 신화
- 오세아니아
- * 폴리네시아 신화, 하와이 신화
10. 1. 아시아
- 인도 신화
- 중국 신화
- 한국 신화
- 일본 신화
- 만주 건국 신화
- 몽골 건국 신화
- 베트남 신화
- 부랴트 게세르 신화
- 서아시아 및 근동 지방
- * 메소포타미아 신화\바빌론 신화
- * 이집트 신화
- * 페르시아 신화
- * 헤브라이 신화\가나안 신화:우가리트 신화
- * 히타이트 신화
- * 페니키아 신화
- * 원시 아랍 신화
- 아이누 신화
- 불교 신화(en)
- 힌두교 신화
- 아랍 신화
- 이란 신화
- Turkic mythology|튀르크 신화영어
10. 2. 서아시아 및 근동 지방
10. 3. 아프리카
- 니그로 신화
- 베르베르 신화
10. 4. 유럽
10. 5. 아메리카
10. 6. 오세아니아
- 폴리네시아 신화
- 하와이 신화
11. 현대 사회와 신화
현대 문명을 이루는 대부분의 건축, 예술, 문학, 음악, 시 등은 신화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과거 신을 위해 인간들이 신전 건축, 음악, 춤 등 예술품을 발전시켰기 때문이라 여겨진다.[156] 신화의 다양한 내용들은 현재 사용되는 단어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인도게르만어에서 그 경향이 더 강하다.[156]
신화는 인간 행동의 의미와 규제를 가리키는 기능을 한다.[156] 오스트레일리아의 토템적 신화는 신화적 조상과 토템 동물의 여행에 관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태고시대에 초자연적 존재가 세상에 나타나 동식물을 낳게 된 경위 등 자연 법칙에 관련된 이야기가 원주민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다.[156] 이러한 신화는 성인식 때 젊은이들에게 알려지고 실천되어 원초의 사실을 재확인한다.[156] 신화 지식에는 주술, 종교적 능력이 따르므로 신비적인 성격을 띤다.[156]
원시 시대부터 한 민족에게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문화 수준이 낮은 민족이 심령의 초자연적 힘을 중심으로 자연계나 인문계의 여러 현상을 그들 나름대로 상상하고 서술한 민족 발생의 이야기로, 민속 종교의 형태를 띤다.[156] 민속종교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닌 민족 전체를 지배하는 풍속, 신앙, 제도, 도덕 등을 배경으로 하는 선조들의 문화적 유산이다.[156] 따라서 신화는 민족의 신념이자 역사를 말해주며, 구전되는 특성 때문에 민족 서사시로 발전하고 문학화된다.[156] 전설은 구체적인 사물과 관련된 설화로서 과거의 사실, 또는 사실이라고 믿어지는 사건이 구전이나 문자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말한다.[156]
전설은 발생 시대보다 후까지 존속한 민담과 역사적인 인물, 토지, 사건 등에 관한 구비(口碑)로 나누기도 한다.[156] 신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유동적인 변화물이다.[156] 신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신이나 초자연적인 영웅이 많다.[90][91][92] 지배자나 성직자는 신화를 신성한 것으로 인정하고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경우가 있으며,[90] 그러한 사회에서는 신화가 아주 먼 옛날의 "진실된 이야기"로 여겨진다.[90][91][93][94] 많은 사회에서는 옛 이야기를 "실화"로 여기는 신화와 "거짓말 이야기"인 우화로 구분한다.[95][96] 신화는 일반적으로 세계가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이전의 근원적인 시대를 묘사하며,[90] 세계가 어떻게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83][84][85][97] 그리고 다양한 관습과 사회 조직, 나아가 금기가 왜 생겨났는지를 설명한다.[90][97]
11. 1. 현대 신화의 창조
현대 사회에서도 새로운 신화가 창조되거나 기존 신화가 재해석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람들은 "도시전설"에 대해 이야기한다. 현대 신화는 프랑스 혁명이나 19세기 말 노동자들의 의향에서와 같은 전쟁의 서사시 유형, 믿을 수 없는 사건의 도래 또는 그러한 등장의 분석을 제시한 조르주 소렐의 전략과 같은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151] 대중 동원에 사용되는 사회적 신화가 문제가 된다. 20세기 법정에서는 신화가 특히 국가 고양을 위해 파시즘의 선전 활동에서 도구로 사용되었다고 여겨졌다. 오늘날 광고가 판매자의 신화에서 고객에게 기능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현대 신화는 때로는 자발적인 사회적 의지의 표명이며, 때로는 정치 또는 상업 질서에서의 조작이다. 현대 사회에서 신화는 광고 선전 장치이기도 하지만, 그러한 능력의 한계를 포함시킬 필요도 있다.11. 2. 대중문화와 신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 신화적 요소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현대 신화는 때로는 자발적인 사회적 의지의 표명이며, 때로는 정치 또는 상업 질서에서의 조작이기도 하다. 20세기 법정에서는 신화가 특히 국가의 고양을 위해 파시즘의 선전 활동에서 도구로 사용되었다고 여겨졌다. 오늘날 사람들은 광고가 판매자의 신화에서 고객에게 기능하는 것으로 평가한다.11. 3. 한국 사회와 신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사회와 신화' 섹션에 직접적으로 부합하는 내용이 없다. 요약문에 제시된 내용은 일반적인 신화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하는 원본 소스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된 것이지만, 원본 소스 자체에는 한국 사회와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12. 신화를 소재로 한 작품
신화는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문학, 극, 음악, 미술, 조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12. 1. 게임
신화는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문학, 극, 음악, 미술, 조각 등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다양한 자료가 남아 있다.- --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참조
[1]
논문
Why are myths true: Plato on the veracity of myths
[2]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Folklor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A dictionary of creation myths
Oxford University Press
[4]
백과사전
Myth
https://www.britanni[...]
2021-01-11
[5]
OED
-logy
[6]
서적
Fulgentius the Mythographer
https://books.googl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mythology, n.
https://www.oed.com/[...]
2014-08-20
[8]
서적
Troyyes Book
https://archive.org/[...]
Kegan Paul, Trench, Trübner
2014-08-20
[9]
웹사이트
Mythology
http://www.etymonlin[...]
2020-07-02
[10]
서적
Pseudodoxia Epidemica: or, Enquiries into Many Received Tenets and Commonly Presumed Truths
http://penelope.uchi[...]
[11]
서적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In which the Words are Deduced from their Originals, and Illustrated in their Different Significations by Examples from the Best Writers to which are Prefixed a History of the Language and an English Grammar
http://johnsonsdicti[...]
W. Strahan
[12]
서적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johnsonsdicti[...]
W. Strahan
2014-08-20
[13]
서적
The Creation and Fall of Man. A Supplemental Discourse to the Preface of the First Volume of the Sacred and Profane History of the World Connected
http://www.classicap[...]
J. & R. Tonson & S. Draper
2014-08-20
[14]
서적
On the Prometheus of Æschylus: An Essay, preparatory to a series of disquisitions respecting the Egyptian, in connection with the sacerdotal, theology, and in contrast with the mysteries of ancient Greece
[15]
서적
Chronicon orientale, nunc primum Latinitate donatum ab Abrahamo Ecchellensi Syro Maronita e Libano, linguarum Syriacae, ... cui accessit eiusdem Supplementum historiae orientalis (The Oriental Chronicles
https://books.google[...]
e Typographia regia
[16]
웹사이트
the Westminster Review
https://archive.org/[...]
Rob't Heward
2014-08-20
[17]
서적
Hindu Myths
https://books.google[...]
Penguin
[18]
웹사이트
Legend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 Oxford Reference Online
[19]
서적
Anthropology and Religion: What We Know, Think, and Question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
서적
Mitocrítica cultural. Una definición del mito
Akal
[21]
논문
Myth and Extraordinary Event
2014-06-02
[22]
서적
Mythische Sphärenwechsel. Methodisch neue Zugänge zu antiken Mythen in Orient und Okzident
Walter de Gruyter GmbH
[23]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Inc
[24]
서적
A Companion to Folklor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5]
웹사이트
Legend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 Oxford Reference Online
[26]
백과사전
romance literature and performance
https://www.britanni[...]
2017-11-06
[27]
웹사이트
Myt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21
[28]
서적
The Myth of the Titanic
https://books.google[...]
Macmillan
[29]
서적
Myths, Dreams and Mysteries
[30]
서적
Anthropology and Religion: What We Know, Think, and Question
Rowman & Littlefield
[31]
웹사이트
Myth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 Oxford Reference Online
[32]
서적
Pref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Mythograph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31
[34]
서적
Medieval Mythography
[35]
웹사이트
Dr. Snodgrass editor of new blog series: Bioculturalism
https://anthgr.colos[...]
2020-10-28
[36]
논문
Hail to the Chief?: The Politics and Poetics of a Rajasthani 'Child Sacrifice'
[37]
서적
Nuevas formas del mito
Logos Verlag
2015
[38]
논문
Science as Epic? Can the modern evolutionary cosmology be a mythic story for our time?
1998-03-00
[3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Mythopoei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31
[41]
서적
Tree and Leaf; Mythopoeia; The Homecoming of Beorhtnoth Beorhthelm's Son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1-00-00
[42]
웹사이트
No society can exist without myth, says Devdutt Pattanaik
https://www.hindusta[...]
2016-07-04
[43]
웹사이트
Interview: Devdutt Pattanaik "Facts are everybody's truth. Fiction is nobody's truth. Myths are somebody's truth"
https://www.hindusta[...]
2018-07-08
[44]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45]
서적
[46]
서적
Collected Writings on the Gods and the World
The Prometheus Trust
[47]
서적
The Works of Plato I
The Prometheus Trust
[48]
웹사이트
The Myth of Io.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49]
서적
Zeri catalogue
[50]
서적
A Revolution Reconsidered: Mythography and Mythology in the Nineteenth Century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51]
서적
Meeting the Other in Norse Myth and Legend
Brewer
[52]
서적
Music, Myth and Nature, or The Dolphins of Ar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3]
서적
The Eclipse of Solar Myth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54]
기타
2021-08-00
[55]
서적
Myth and Min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56]
서적
Jesus Christ and Mythology
Scribner
[57]
서적
Both One and Many: Essays on Change and Variety in Late Norse Heathenism
[58]
서적
Three Hundred Rāmāyaṇas: Five Examples and Three Thoughts on Translation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9]
서적
Three Hundred Rāmāyaṇas
http://www.trans-tec[...]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The Uses of Greek Mythology
Routledge
[61]
서적
Tractatus mythologicus. Theorie und Methodik zur Erforschung von Mythen als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medialen und komparatistischen Stoffwissenschaft
Walter de Gruyter GmbH
[62]
웹사이트
Auszeichnung in der Altorientalistik und Klassischen Philologie
https://idw-online.d[...]
2023-11-17
[63]
서적
Tractatus mythologicus. Theorie und Methodik zur Erforschung von Mythen als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medialen und komparatistischen Stoffwissenschaft
Walter de Gruyter GmbH
[64]
논문
In Search Of Dumuzi: An Introduction to Hylistic Narratology
https://brill.com/ed[...]
Brill
2023-03-14
[65]
서적
Tractatus mythologicus. Theorie und Methodik zur Erforschung von Mythen als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medialen und komparatistischen Stoffwissenschaft
Walter de Gruyter GmbH
[66]
서적
Tractatus mythologicus. Theorie und Methodik zur Erforschung von Mythen als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medialen und komparatistischen Stoffwissenschaft
Walter de Gruyter GmbH
[67]
서적
Tractatus mythologicus. Theorie und Methodik zur Erforschung von Mythen als Grundlegung einer allgemeinen, transmedialen und komparatistischen Stoffwissenschaft
Walter de Gruyter GmbH
[68]
서적
Hundert Jahre Forschungen zum antiken Mythos (1918/20–2018/20). Ein selektiver Überblick (Altertum – Rezeption – Narratologie
Walter de Gruyter GmbH
[69]
웹사이트
Exploring the Boundaries of Narrative: Video Games in the English Classroom
http://www.ncte.org/[...]
2013-00-00
[70]
서적
Cinematic Mythmaking: Philosophy in Film
MIT Press
[71]
논문
Classical Heroes in Modern Movies: Mythological Patterns of the Superhero
2004
[72]
서적
Folklore Studies and Popular Film and Television: A Necessary Critical Surve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3]
잡지
The Percy Jackson Problem
https://www.newyorke[...]
2017-11-06
[74]
논문
Amateur mythographies: Fan fiction and the myth of myth
https://journal.tran[...]
2016-03-15
[75]
뉴스
In TV's Dull Summer Days, Plots Take Wing on the Net
https://www.nytimes.[...]
2023-07-12
[76]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77]
서적
세계神話事典
[78]
서적
日本語大辞典
講談社
[79]
백과사전
ブリタニカ百科事典
http://search.eb.com[...]
[80]
서적
Littleton
[81]
서적
A Short History of Myth
Knopf Canada
2006
[82]
서적
Myth and Reality
[83]
서적
Introduction
[84]
서적
Binary
[85]
서적
Madness
[86]
서적
Doty
[87]
서적
Segal
[88]
서적
Myth
[89]
서적
세계神話事典
[90]
서적
Bascom
[91]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Folklore
http://www.oxfordref[...]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009
[92]
서적
[93]
서적
Myths, Dreams and Mysteries
[94]
서적
[95]
서적
Myth and Reality
[96]
서적
[97]
서적
Myth and Reality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Defining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인도의 여신 소사전
青土社
[105]
웹사이트
생활문화 사이버 아카데미 구상안 「가족의 시대」의 구축을 위해
http://campus.jissen[...]
실천여자학원
2010-05-17
[106]
논문
古代母権制社会研究の今日的視点 : 神話と語源からの思索・素描
http://id.nii.ac.jp/[...]
実践女子大学
2007-03
[107]
웹사이트
神話的「知」のすすめ
http://www.toyama-cm[...]
富山商船高等専門学校
2010-05-17
[108]
서적
世界神話事典
[109]
서적
世界神話事典
[110]
웹사이트
新しい神話研究の可能性
http://www.wako.ac.j[...]
和光大学総合文化研究所
2010-05-17
[111]
서적
Bulfinch
[112]
서적
Honko
[11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http://www.oxfordref[...]
Ed. John Bowker、Oxford University Press、UC - Berkeley Library
2000
[114]
서적
Segal
[115]
서적
Bulfinch
[116]
서적
Frankfort
[117]
서적
Frankfort
[118]
서적
Segal
[119]
서적
Greek Mythology
Trans. Thomas Marier.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3
[120]
서적
Meletinsky
[121]
서적
Segal
[122]
서적
Frazer
[123]
서적
中国の神話
中央公論社
1994
[124]
서적
Eliade ''Myth and Reality''
[125]
서적
Honko
[126]
논문
『嵐が丘』における比喩表現
http://kyouyou.agu.a[...]
愛知学院大学語学研究所
2006-01
[127]
서적
Imagining Nature: Practices of Cosmology and Identity
[128]
서적
Eliade ''Myth and Reality''
[129]
서적
Honko
[130]
서적
Mythologies
[131]
서적
The Savage Mind
[132]
서적
Foreword to Meletinsky
[133]
서적
Segal
[134]
서적
On the Gods and the World
The Prometheus Trust, Frome
1995
[135]
서적
Commentary on the Republic
The Works of Plato I, trans. Thomas Taylor, The Prometheus Trust
1996
[136]
서적
Segal
[137]
논문
アニミズム発生論理再考 ―「霊魂」の人類学的思想史(1)タイラー ―
http://id.nii.ac.jp/[...]
東北芸術工科大学
2008-03
[138]
서적
Segal
[139]
서적
Music, Myth and Nature, or The Dolphins of Arion
1992
[140]
서적
Segal
[141]
서적
Segal p.3
[142]
저자
[143]
웹사이트
仏教と自然科学-鈴木大拙とアインシュタイン-
https://buddhism-orc[...]
龍谷大学人間・科学・宗教オープン・リサーチ・センター
2019-12-17
[144]
서적
Campbell, p. 519
[145]
서적
Campbell, p. 521
[146]
웹사이트
<妻>の歴史図像学
http://www.lang.nago[...]
名古屋大学大学院・国際言語文化研究所
2010-05-14
[147]
서적
Segal p.113
[148]
논문
再神話化そして間隔 : ヨーゼフ・ボイス<君の傷を見せよ>(ヨーゼフ・ボイス : ハイパーテクストとしての芸術)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
2023-05-19
[14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ythology: Part I、Scott A. Leonard's Home Page
http://www.as.ysu.ed[...]
Youngstown State University
2010-05-17
[150]
서적
Northup, p. 8
[151]
저자
2006
[152]
논문
神話・イメージ・言語(シンポジウム イメージと言語)
http://id.nii.ac.jp/[...]
和光大学総合文化研究所
2010-05-17
[153]
웹사이트
授業科目名:【H21カリキュラム】社会学、才津芳昭
http://www.ipu.ac.jp[...]
茨城県立医療大学
2010-05-17
[154]
논문
「神話」の比喩的用法について -コーパス言語学からのアプローチ-
https://hdl.handle.n[...]
東北大学言語学研究会
2023-05-19
[155]
서적
日本の神々 - 『先代旧事本紀』の復権
大和書房
2004-02
[156]
백과사전
신화와 전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위근우의 리플레이]<신명>에는 없고 <미래의 골동품 가게>에는 있는 오컬트 장르의 윤리
[찌릿찌릿(知it智it) 전기 교실]AI는 현대판 ‘프로메테우스의 불’이다
[서평은 아닙니다만]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 – 바이라인네트워크
강홍구 무인도, 아주 먼 옛날이야기 [카메라 워크 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