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피디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피디아는 문화재청의 기획 하에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가 개발한 무형유산 관련 지식 축적 시스템이다. 2010년 9월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대한민국과 유네스코의 문화유산 보호 정책 간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데이터 수집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치피디아는 온라인 설문 조사와 위키 모델을 활용하며, 전문가와 일반인의 참여를 통해 무형문화유산 정보를 수집하고, 집단 지성을 활용한다. 이 시스템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및 전승 방안을 제시하고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운동 - 마오쩌둥 사상
마오쩌둥 사상은 중국 공산주의 운동의 지도 이념으로, 모순론, 실천론, 계속혁명론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반수정주의, 반제국주의, 인민전쟁 등의 이론을 제시했다. - 문화 운동 - 한푸 운동
한푸 운동은 청나라 시기 억압받던 한족 전통 의복인 한푸를 복원하고 한 문화의 미적 감성을 되살리려는 운동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어 현대 패션 및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정의와 품질, 민족주의 연관성에 대한 논쟁도 있다. - 대한민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79년 편찬 사업이 시작되어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총 27권으로 발간된 대한민국 민족 문화 백과사전이며, 2001년 디지털판으로 출시되어 한국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는 다양한 백과사전과 전문사전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치피디아 | |
---|---|
개요 | |
유형 | 온라인 백과사전 |
언어 | 한국어 |
주제 | 무형문화재 |
국가 | 대한민국 |
시작일 | 2012년 |
현재 상태 | 운영 중 |
소유자 | 국립무형유산원 |
운영자 | 국립무형유산원 |
2. 개발 배경
이치피디아 시스템은 문화재청이 기획하고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가 개발하였다.[1] 위키백과식 지식 공동체를 만들어 집단 지성을 활용해 무형유산 관련 지식을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2010년 9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2013년 4월 기준으로 30,000여 항목의 무형유산 관련 지식이 수집되었다.[1] 30여 명의 전문연구자와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누구라도 무형문화유산에 관한 정보를 올리고 편집할 수 있다.[1]
이 프로젝트는 국내 및 국제적인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려는 움직임으로 시작되었다.[1]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보호 정책 및 법률과 유네스코 2003년 협약 간의 갈등, 차이점을 인식하여 ICH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데이터 수집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 이치피디아는 설문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무형문화유산 온라인 백과사전이다.[1] 이 프로젝트는 인터넷 설문 조사를 활용하고 웹 2.0 플랫폼 기반의 위키 모델을 채택하여 독점적인 기록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하향식 접근 방식, 집단 지성,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 활용과 같은 몇 가지 혁신을 포함한다.[1] 온라인 설문 조사가 사용되고, 데이터 수집을 위한 위키 모델과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된다.[1]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는 시간과 공간의 장벽, 사회 내 다양한 분열과 분할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특정 장점을 가진다.[1] 이치피디아는 전문가와 일반인, 중앙 조직과 지역 조직, 정부와 시민 사이의 장벽을 제거한다.[1]
2. 1.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보호 정책과 유네스코 협약
대한민국은 1960년대부터 국가 차원에서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1] 유형 및 무형 문화유산을 모두 포함하는 국보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행정적 조치가 시행되었다.[1] 그러나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이 비준되면서, 대한민국의 기존 시스템과 유네스코의 새로운 시스템 간에 몇 가지 갈등과 차이점이 발생했다.[1]대한민국은 문화유산 보호 및 보존에 대한 기존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지만, 유네스코의 이니셔티브는 대한민국이 ICH(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재고하게 만들었다.[1] 이러한 상황은 대한민국이 새로운 ICH 보호 체계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결과 이치피디아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
3. 특징
문화재청이 기획하고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가 개발한 이치피디아 시스템은 무형유산 관련 지식 축적을 위해 집단 지성을 이용하고 위키백과식 지식공동체를 지향한다.[1] 2010년 9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에는 30여 명의 전문 연구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며, 일반인도 무형문화유산 정보 등록 및 편집에 참여할 수 있다.
이치피디아는 온라인 설문 조사와 웹 2.0 플랫폼 기반 위키 모델을 활용하여 무형문화유산 정보를 수집한다. 이는 하향식 접근 방식 대신 집단 지성과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혁신적인 방식이다.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는 시간과 공간의 장벽, 사회 내 다양한 분열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전문가와 일반인, 중앙 조직과 지역 조직, 정부와 시민 사이의 장벽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 내 무형문화유산(ICH) 보호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정책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무형문화유산을 "공동체와 집단, 때로는 개인이 자신의 문화유산의 일부로 보는 관습, 표상, 표현, 지식, 기술 및 이와 관련한 도구, 물품, 공예품 및 문화공간"으로 정의한다.[1]
무형문화유산은 세대 간에 전승되어 온 전승성과 현재에도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현존성을 중시한다. 이치피디아는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 방안을 제안하고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일반인들의 접근과 이용 편의성을 위해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웹 기반 무형문화유산 이니셔티브를 선포한다.[1]
전승 주체와 조사·수집자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며, 이치피디아의 자료는 비영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원작자를 표기하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이 가능하다.[1]
이치피디아 프로젝트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노력에 발맞춰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보호 시스템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노력해 왔지만, 2003년 유네스코 협약 이후 기존 시스템과의 차이점으로 인해 혼란이 발생했다. 이치피디아는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1]
4. 1. 데이터 수집 및 활용
이치피디아는 상향식 접근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집단 지성을 장려하고,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ICH 정보를 공개한다.[1] 온라인 설문 조사를 사용하고, 데이터 수집을 위한 위키 모델과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간과 공간의 장벽, 사회 내 다양한 분열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문가와 일반인, 중앙 조직과 지역 조직, 정부와 시민 사이의 장벽을 제거하고, 대한민국 내 ICH 보호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5. 목표
이치피디아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표는 대한민국 내 무형문화유산(ICH) 보호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는 것이다.[1]
ICH는 인간의 창의성과 문화적 다양성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지만, 각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 속에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특히 무형적 특성 때문에 파괴로부터 보호하기가 쉽지 않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ICH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하여 전 세계적으로 보호 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발표하여 ICH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발맞추어, 이치피디아는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 방안을 제시하고, 대한민국 내 ICH 보호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자 한다.
참조
[1]
논문
ICHPEDIA, a case study in community engagement in the safeguarding of ICH online
https://www.ijih.org[...]
2014
[2]
간행물
무형문화유산자원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3]
간행물
무형문화유산자원조사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