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프 (대한민국의 잡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프는 1997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여성 잡지이다. Infinite Feminist, I'm a Feminist의 약자로, 학자, 저널리스트, 여성운동가 등 다양한 분야의 여성들이 참여하여 창간되었다. 2006년 오프라인 잡지가 종간된 후 2007년 웹진으로 전환되었으며, 2015년 웹사이트를 개편하여 과거 발행본을 PDF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여성의 욕망을 다루는 잡지라는 기본 개념 아래,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목표로 여성의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를 담아내는 데 주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창간 - 아이누 타임스
- 1997년 창간 - MELODY (잡지)
MELODY는 하쿠센샤에서 발행하는 일본의 소녀 만화 잡지로, 1997년 월간지로 창간되어 2006년부터 격월간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인기 만화 작품을 연재하고 일부 작품은 영상화되기도 했으나 2010년대 이후 발행 부수 감소 추세에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장 중이다. - 대한민국의 잡지 - 사상계
사상계는 아시아재단의 지원으로 창간되어 한국 문학 작품과 사회 비평을 게재했으나, 김지하 시인의 저항시 게재 후 폐간되며 유신 체제 언론 탄압의 상징이자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매체였다. - 대한민국의 잡지 - 굿모닝 팝스
1988년 2월 1일 KBS에서 첫 방송된 《굿모닝 팝스》는 팝 음악과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코너로 사랑받은 영어 교육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2024년 6월 30일 종방 후 《상쾌한 아침》의 코너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이프 (대한민국의 잡지) | |
---|---|
일반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간행 주기 | 불명 |
종류 | 불명 |
판형 | 불명 |
정치적 성향 | 불명 |
보급 대상 | 불명 |
창간일 | 불명 |
폐간일 | 불명 |
가격 | 불명 |
발행 법인 | 불명 |
ISSN | 불명 |
웹사이트 | 문화미래 이프 이프 블로그 |
2. 역사
1997년 5월, 학자, 저널리스트, 영화평론가, 여성운동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여성들이 의기를 투합해 이프(IF)를 창간했다. 이프(IF)는 Infinite Feminist, I'm a Feminist의 약어이다. 2006년 오프라인 《이프》가 완간호를 내면서 종간된 후 2007년 웹진 《이프》가 탄생했다.[5] 2006년 6월 9일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 《문화미래 이프》를 설립하였다.
2015년 10월 2일 웹사이트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과거 발행되었던 1997년 창간호부터 2006년 36호 완간호까지 PDF 형태로 선보였고 독자들이 무료로 자료를 읽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이프 창립자 유숙열 공동대표, 초대 편집장 박미라 심신통합치유학 박사, 변상욱 CBS 대기자, 조박선영 작가(이프 전 온라인팀장) 등이 고정으로 참여해 《이프》 창간 관련 이야기와 최근의 이슈를 다양하게 다루는 팟캐스트 《웃자!뒤집자!놀자!》를 시작하여 외연 확대를 꾀하였다.[6][7][8]
2. 1. 창간 배경
《이프》는 기존 여성 잡지가 여성을 소비 주체로만 한정하는 것에 문제의식을 느꼈다. 또한, 여성운동단체나 대학에서 나오는 여성학 서적들이 전문적인 언어로 인해 여성을 소외시킨다고 보았다. 이에 《이프》는 여성들이 현실에서 겪는 문제와 의제를 유쾌하게 전달하고자 했으며,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목표로 했다.《이프》는 글쓴이의 주관이 드러나는 여성적인 글쓰기를 추구했다. 기존 매체에서 기회를 얻기 어려웠던 여성 필자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시각으로 새로운 여성 역사를 기록하고자 했다.
삶을 분열시키는 모든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것이 《이프》의 또 다른 목표였다. 대중 문화와 고급 문화, 정치적인 것과 사적인 것, 개인과 사회, 남성과 여성의 분리를 지양하고, 이러한 분리와 구분으로 인해 차별받고 소외된 모든 원칙에 문제 제기를 했다.
2. 2. 활동 내용
3. 특징
이프는 '여성의 욕망을 아는 잡지'라는 기본 개념 아래, '웃자! 뒤집자! 놀자!'라는 세 가지 슬로건을 제시했다.
4. 편집 방향
편집 방향《이프》는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목표로, 여성의 다양한 관점과 목소리를 담아내는 데 주력했다.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분석하며, 기존 여성 잡지의 틀을 벗어나고자 했다. 여성을 소비 주체로만 한정하지 않고, 여성 운동 단체나 학계의 전문적인 언어 사용으로 인한 소외 현상도 경계했다.
《이프》는 여성들이 현실에서 겪는 문제와 의제를 유쾌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글쓴이의 주관이 드러나는 여성적인 글쓰기를 추구하고, 기존 매체에서 기회를 얻기 어려운 여성 필진을 발굴하여 새로운 여성 역사를 기록하고자 했다.
삶을 분열시키는 모든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편집 방향을 추구했다. 대중 문화와 고급 문화, 정치적인 것과 사적인 것, 개인과 사회, 남성과 여성의 분리를 지양하며, 이러한 분리와 구분으로 인해 차별받고 소외된 모든 원칙에 문제 제기를 했다.
5. 관련 인물
6. 평가
참조
[1]
뉴스
상처의 시대가 여신을 부른다
http://news.naver.co[...]
여성신문
2013-06-12
[2]
뉴스
김신명숙, “여성운동에도 ‘힐링’이 필요합니다”
http://news.naver.co[...]
여성신문
2013-09-02
[3]
뉴스
'2014 세계 성평등 지수'
http://news.naver.co[...]
뉴스1
2014-10-28
[4]
뉴스
한국 성평등 117위로 세계 최하위권...WEF발표
http://www.g-enews.c[...]
글로벌이코노믹
2014-10-29
[5]
뉴스
‘외로워서, 전향을 할까도 생각했었어’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3-30
[6]
뉴스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 팟캐스트로 부활
http://news.naver.co[...]
여성신문
2015-10-01
[7]
뉴스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 부활…온라인서 PDF판 무료 배포
http://news.naver.co[...]
한겨레
2015-10-02
[8]
뉴스
‘팟캐스트 페미니즘’ 2030 사로잡을까
http://news.naver.co[...]
여성신문
2015-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