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내피 세포의 기능과 병리학 연구를 위한 실험 모델로 사용된다. HUVEC은 탯줄 정맥에서 분리되며, 혈관 신생, 거대분자 전달, 혈액 응고, 섬유소 용해 등 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연구에 활용된다. 또한, HUVEC은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VEGF) 반응 연구에 사용되며, 혈관 신생 및 혈관 형성에 대한 연구에 기여한다. HUVEC은 다양한 질병 모델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혈관 질환 및 암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세포주 - 헬라 세포
헬라 세포는 1951년 헨리에타 랙스라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에서 유래된 최초의 인간 불멸 세포주로, 의학 연구에 큰 기여를 했지만 환자의 동의 없이 채취 및 사용되어 윤리적 논란을 야기했다. - 인간 세포주 - 293T
293T 세포주는 DNA 형질주입 효율이 높고 SV40 large T 항원 발현을 통해 재조합 단백질 또는 레트로바이러스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질주입된 세포이며, HEK 293 세포주와 게놈 서열에서 일부 차이를 보인다. - 세포 배양 - 최소 필수 배지
최소 필수 배지(MEM)는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합성 배지 중 하나로, 세포 생존에 필요한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류, 포도당 등을 제공한다. - 세포 배양 - 3D 세포 배양
3D 세포 배양은 세포의 생체 내 환경을 모방하여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재현하는 기술로, 약리학 및 독성학 연구, 고속 대량 스크리닝 등에 활용되지만, 프로토콜 표준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 | |
---|---|
기본 정보 | |
세포 종류 | 내피 세포 |
조직 | 탯줄의 정맥 |
유래 | 혈관 내피 세포 |
특징 | 혈관 연구에 널리 사용됨 |
연구 | |
주요 연구 분야 | 지질 대사와 혈관 신생 간의 관계 연구 |
관련 연구 | SIRT1과 AMPK가 포유류의 노화 조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활용 | 노화 방지 치료법 및 노화 관련 질병 연구 |
2. HUVEC의 특징 및 활용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는 인간의 탯줄에 있는 정맥에서 분리하여 얻는 내피 세포이다.[1] HUVEC은 실험실 환경에서 내피 세포의 다양한 기능과 병리학적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모델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혈관 신생 연구에 활발히 활용된다.[1][2]
HUVEC은 다양한 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연구에 이용된다.[1] 또한 정상 및 병리학적 조건에서의 내피 세포 기능 및 관련 질병 연구에도 중요한 모델을 제공한다.[1][2] 특정 HUVEC 집단(lot)은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성, 특히 혈관 신생 반응 및 주요 세포 신호 전달 경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테스트되기도 한다.[1][2][3]
여러 기증자의 세포를 혼합(pooled)하면 단일 기증자 세포보다 실험 결과의 안정성이 높다.[4] 그러나 HUVEC은 특정 환경에서 유래하며 완전히 정상적인 내피 세포는 아니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4] 그럼에도 HUVEC은 다양한 질병 모델 연구에서 높은 관련성과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도구로 평가받는다.[4]
2. 1. 생리학적 연구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내피 세포의 기능과 병리학을 연구하는 실험실에서 중요한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특히 혈관 신생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이 세포는 탯줄의 정맥에서 분리하여 얻는다.HUVEC은 다양한 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연구에 이용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거대분자 전달 과정 연구
- 혈액 응고 기전 연구
- 혈관 신생 과정 연구
- 섬유소 용해 과정 연구
또한, HUVEC은 내피 세포의 기능 및 관련 질병 연구에도 중요한 모델을 제공한다. 정상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이거나 종양과 관련된 혈관 신생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산화 스트레스, 저산소증, 염증 반응과 관련된 세포 내 경로 연구에도 활용된다. 특정 HUVEC 로트(lot)는 자극에 따른 혈관 신생 반응과 주요 내피 세포 신호 전달 경로(예: VEGFR, Akt, MAPK의 인산화, Tie2, eNOS, Axl, Etk/Bmx의 발현)를 확인하는 테스트를 거치기도 한다.
HUVEC은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VEGF)에 대한 반응을 미리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VEGF는 혈관 생성 및 혈관 신생에 모두 관여하는 핵심적인 신호 단백질이다. 시험관 내 연구에서 VEGF는 내피 세포의 유사 분열 촉진, 세포 이동, 새로운 혈관이 돋아나는 과정(sprouting), 미세 혈관의 투과성 증가 등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기증자로부터 얻은 세포를 혼합한(pooled) HUVEC은 단일 기증자 세포보다 실험 결과의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HUVEC 자체가 완전히 정상적인 내피 세포는 아니라는 점은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UVEC은 다양한 질병 모델 연구에서 임상적, 생리학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가지며 비교적 일관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도구로 평가받는다.
2. 2. 병리학적 연구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내피 세포의 기능과 병리학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실 모델 시스템으로 사용되며, 특히 혈관 신생 연구에 중요하다. 이 세포들은 탯줄 정맥으로부터 분리되어 거대분자 전달, 혈액 응고, 혈관 신생 및 섬유소 용해와 같은 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조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HUVEC은 정상 및 병리학적 조건 모두에서 내피 기능 및 관련 질병의 여러 측면을 연구하는 고전적인 모델 시스템을 제공한다. 연구 분야에는 정상, 비정상 및 종양 관련 혈관 신생, 산화 스트레스, 저산소증 및 염증 관련 경로 등이 포함된다. 특정 HUVEC 집단(lot)은 자극에 따른 혈관 신생 반응과 주요 내피 신호 전달 경로(예: VEGFR, Akt, MAPK의 인산화 및 Tie2, eNOS, Axl, Etk/Bmx의 발현)를 입증하기 위해 테스트되기도 한다.
또한 HUVEC은 VEGF(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 반응에 대해 사전 검사가 가능하다. VEGF는 혈관 신생 및 혈관 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호 단백질이다. 시험관 내 연구에서 VEGF는 내피 세포의 유사 분열 촉진, 세포 이동, 새로운 혈관 형성(돋아남) 및 미세 혈관 투과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기증자로부터 얻어 혼합한 HUVEC(Pooled HUVECs)은 단일 기증자 유래 세포보다 실험 결과가 더 안정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HUVEC은 특정 환경(탯줄 정맥)에서 유래한 비정상적인 내피 세포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점은 HUVEC만을 사용하여 수행된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UVEC은 임상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 대부분의 질병 모델과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관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도구로 평가받는다.
2. 3. VEGF 반응 연구
인간 탯줄 정맥 내피 세포(HUVEC)는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반응에 대해 미리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VEGF는 혈관 신생(vasculogenesis)과 혈관 형성(angiogenesis) 과정 모두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호 단백질이다. 시험관 내 환경에서 VEGF는 내피 세포의 유사 분열을 촉진하고, 세포 이동을 유도하며, 새로운 혈관이 돋아나도록 자극하고, 미세 혈관의 투과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 HUVEC 연구의 한계점 및 고려 사항
여러 공여체로부터 얻은 HUVEC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Pooled HUVECs) 단일 공여체 HUVEC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HUVEC 자체가 비정상적인 내피 세포일 수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따라서 HUVEC만을 사용하여 수행된 연구 결과는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며, 해당 연구가 실제 임상 환경이나 생리학적 조건, 특히 특정 질병 모델과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논문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offer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pid metabolism and angiogenesis
[2]
논문
A new, rapid and reproducible method to obtain high quality endothelium in vitro
[3]
논문
SIRT1 and AMPK in regulating mammalian senescence: a critical review and a working model
[4]
논문
Senotherapeutics: emerging strategy for healthy aging and age-related dise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