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대표평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대표평의회는 1918년 독일 혁명 이후 독일 사회민주당(MSPD)과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이 연립하여 구성한 임시 정부이다. 1차 세계 대전 패배와 헌법 개정 요구, 킬 군항 반란을 거치며 공화국이 선포된 후,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후고 하세를 공동 의장으로 하여 출범했다. 인민대표평의회는 계엄령 해제, 언론·집회·결사의 자유 보장, 8시간 노동제 도입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사회주의 정책의 즉각적인 시행 여부를 두고 USPD와 MSPD 간 이견을 보였다. 군부와의 협력을 통해 사회 안정을 유지하려 했으며, 1919년 제헌 의회 선거를 통해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인민대표평의회의 활동은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특히 대한민국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내각 - 숄츠 내각
    숄츠 내각은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로 사회민주당, 자유민주당, 녹색당이 구성한 연립 정부로, 올라프 숄츠 총리를 중심으로 16명의 장관으로 구성되었으며 "신호등 연립"이라고도 불리지만, 경제 위기와 정책적 이견, 숄츠 총리에 대한 불신임 투표 등으로 위기를 겪으며 2025년 조기 선거를 앞두고 있다.
  • 독일 11월 혁명 - 스파르타쿠스 동맹
    스파르타쿠스 동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카를 리프크네히트 주도로 스파르타쿠스단을 재건하여 독일에서 결성된 혁명적 좌익 정치 조직으로, 군부로부터 권력을 장악하고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독일 공산당 창당 후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해체되었으며 독일 혁명과 좌익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 11월 혁명 - 킬 군항의 반란
    킬 군항의 반란은 1918년 11월 독일 킬에서 해군 수뇌부의 무의미한 공격 명령 거부로 시작되어 노동자들과 연대, 평의회 조직, 도시 장악을 통해 독일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독일 제국 붕괴와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에 영향을 미쳤다.
인민대표평의회
개요
USPD가 축출된 이후의 인민대표평의회. 왼쪽부터 [[필리프 샤이데만]], [[오토 란츠베르크]],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구스타프 노스케]], [[루돌프 비셀]].
USPD가 축출된 이후의 인민대표평의회 (왼쪽부터 필리프 샤이데만, 오토 란츠베르크,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구스타프 노스케, 루돌프 비셀)
독일어 명칭Rat der Volksbeauftragten
존속 기간1918년 11월 10일 ~ 1919년 2월 13일
관할 국가독일국
정부 형태국가정부
지도부
국가 원수(없음)
정부 수반공동 주석: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후고 하제, 필리프 샤이데만
각료 수5명
퇴임 각료 수3명
총 각료 수8명
정치
여당SPD, USPD (1918년 12월 사퇴)
정황혁명 내각
입법부바이마르 국민의회
선거 및 이전/이후 내각
다음 선거1919년 국가의회 선거
이전 내각바덴 내각, 에베르트 내각
다음 내각샤이데만 내각

2. 설립 배경

1918년 9월 말, 독일군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색이 짙어지자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이 이끄는 최고 육군 지휘부(OHL)는 정부에 연합국과의 휴전을 제안하고, 독일 제국 헌법 개정을 통해 의원내각제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전쟁 패배의 책임을 민주적인 정치인들에게 넘기고 군대의 명예를 지키고자 했다.[2]

에리히 루덴도르프 (1918년). 그는 전쟁 패배 책임을 제국 내 민주 정당에 덮어씌우기로 결정했다.


빌헬름 2세는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을 총리로 임명하여 10월 헌법 개정을 통해 제국 민주화를 시작했다. 그러나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연합국이 민주적인 독일 정부와만 협상할 것이며, 황제의 퇴위를 암시적으로 요구했다.[3]

1918년 10월 말, 킬 군항의 수병들은 영국 해군과의 전투를 위한 출항 명령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4] 이들은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를 설립하여 군대와 시민 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했다. 킬에서 시작된 1918-1919년 독일 혁명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4] 독일 사회 민주당(MSPD) 지도자들은 독일 독립 사회 민주당(USPD)과 스파르타쿠스 동맹이 볼셰비키즘으로 기울 것을 우려했다.[5]

2. 1. 전쟁 패배와 헌법 개정

1918년 9월 말, 독일군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를 눈앞에 두자,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이 이끄는 최고 육군 지휘부(OHL)는 정부에 연합국과의 휴전을 제안하고 독일 제국 헌법 개정을 통해 독일 제국을 의원내각제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를 통해 독일의 적들이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하고, 전쟁 패배의 책임을 민주적인 정치인들에게 넘겨 군대와 그 "명예"를 지키고자 했다.[2]

황제 빌헬름 2세는 자유주의자인 막시밀리안 폰 바덴 공을 총리로 임명했다. 바덴은 처음으로 Reichstag 다수당 의원들을 정부에 참여시켰고, 10월 헌법 개정을 통해 제국 민주화를 시작했다. 이 개정으로 총리가 황제가 아닌 Reichstag의 신임을 받도록 변경되었고,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에게 휴전 중재를 요청했다. 윌슨의 답변은 연합국이 민주적인 독일 정부와만 협상할 것이며, 황제의 퇴위를 암시적으로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3]

2. 2. 킬 군항 반란과 혁명의 확산

1918년 10월 말, 킬 군항의 수병들이 영국 해군과의 마지막 전투를 위해 출항하라는 명령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4] 이들은 킬에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를 설립하여 군대와 시민 정부로부터 통제권을 가져왔다. 킬에서 시작된 1918-1919년 독일 혁명은 11월 9일 베를린에 도착하면서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4] 다수 사회 민주당(MSPD) 지도자들은 독일 독립 사회 민주당(USPD)과 마르크스주의 스파르타쿠스 동맹 지지자들이 볼셰비키즘으로 기울고 있다고 우려했다.[5]

3. 공화국 선포와 인민대표평의회 구성

바덴의 막시밀리안 공은 1918년 11월 9일 황제가 퇴위했다고 발표하고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에게 재상직을 넘겼다. 같은 날 필리프 샤이데만은 국회의사당 발코니에서 독일이 공화국임을 선포했다.[7] 에베르트는 혁명을 질서 있게 이끌고 내전과 기근을 막기 위해 새 정부 구성을 주도했다.

MSPD과 USPD는 연립 정부 구성에 합의했다. USPD는 대규모 영지와 주요 산업 국유화 등 사회주의 정책을 즉각 시행할 것을 요구했으나, MSPD는 제헌 의회에 결정을 맡기자고 주장했다.[7] 1918년 11월 10일,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필리프 샤이데만, 오토 란츠베르크(MSPD), 후고 하세, 빌헬름 디트만, 에밀 바르트(USPD)가 참여하는 인민대표평의회가 구성되었다. 에베르트와 하세가 공동 의장을 맡았으나, 에베르트가 실질적인 주도권을 행사했다.[8]

각 부처에는 "기술 보좌관"인 "부르주아 장관들"(국무장관)이 배치되었고, 이들을 감시하기 위해 MSPD와 USPD에서 각각 1명씩 "정치 차관"이 배정되었다.[9] 1918년 11월 10일 베를린의 서커스 부쉬 강당에서 열린 3,000명의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대표 회의는 인민대표평의회 구성을 승인하고, 리하르트 뮐러를 수장으로 하는 대(大)베를린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집행위원회를 설치했다. 집행위원회는 노동자와 병사 각각 14명의 대표로 구성되어 인민대표평의회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인민대표평의회가 집행위원회를 통해 평의회 조직을 통제했다.

1918년 12월 18일, 평의회는 원칙적으로 "적합한" 산업의 사회화를 결정했지만, 구체적인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10] 1918년 12월 말, 인민 해군 사단의 봉기와 1918년 크리스마스 위기 동안의 군사력 동원으로 인해 USPD 구성원들은 인민대표평의회에서 사임했고, 이후 구스타프 노스케와 루돌프 비셀이 MSPD 대표로 합류했다.

구성원임기정당직책 / 담당 부서
#초상이름취임퇴임
style="background: ; width:1em"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1871–1925)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공동 의장
제국 재상 (1919년 2월 13일까지)
내무, 군사
style="background: ; width:1em" |
후고 하세
(1863–1919)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공동 의장
외무, 식민지, 법무
style="background: ; width:1em" |
필리프 샤이데만
(1865–1939)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공동 의장 (1919년 12월 29일부터)
각료 총리 (1919년 2월 13일부터)
재무
style="background: ; width:1em" |
오토 란츠베르크
(1896–1957)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재무, 언론
style="background: ; width:1em" |
빌헬름 디트만
(1874–1954)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동원 해제, 교통
style="background: ; width:1em" |
에밀 바르트
(1879–1941)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사회 정책
style="background: ; width:1em" |
구스타프 노스케
(1868–1946)
1918년 12월 29일1919년 2월 11일MSPD동원 해제, 육군, 해군
style="background: ; width:1em" |
루돌프 비셀
(1869–1962)
1918년 12월 29일1919년 2월 11일MSPD사회 정책


3. 1. 공화국 선포

1918년 11월 9일, 혁명이 베를린에 도달하자 바덴의 막시밀리안 공은 황제가 퇴위했다고 발표하고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에게 재상직을 넘겼다. 같은 날 필리프 샤이데만은 국회의사당 발코니에서 독일이 공화국임을 선포했다.[7] 에베르트는 혁명을 질서 있게 이끌고 내전과 기근을 막기 위해 새 정부 구성을 주도했다.

3. 2. 인민대표평의회 구성

MSPD과 USPD는 연립 정부 구성에 합의했다. USPD는 대규모 영지와 주요 산업 국유화 등 사회주의 정책을 즉각 시행할 것을 요구했으나, MSPD는 제헌 의회에 결정을 맡기자고 주장했다.[7] 1918년 11월 10일, 인민대표평의회가 구성되었다. MSPD의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필리프 샤이데만, 오토 란츠베르크, USPD의 후고 하세, 빌헬름 디트만, 에밀 바르트가 참여했다. 에베르트와 하세가 공동 의장을 맡았으나, 에베르트가 실질적인 주도권을 행사했다.[8]

후고 하세, 초대 인민대표평의회 USPD 공동 의장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명목상 하아제와 공동 의장이었으나 실제로는 평의회의 지도자


각 부처에는 "기술 보좌관"인 "부르주아 장관들"(국무장관)이 배치되었고, 이들을 감시하기 위해 MSPD와 USPD에서 각각 1명씩 "정치 차관"이 배정되었다.[9]

1918년 11월 10일, 베를린의 서커스 부쉬 강당에서 3,000명의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대표들이 모여 인민대표평의회 구성을 승인했다. 이들은 리하르트 뮐러를 수장으로 하는 대(大)베를린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집행위원회를 설치했다. 집행위원회는 노동자와 병사 각각 14명의 대표로 구성되었으며, 인민대표평의회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실제로는 인민대표평의회가 집행위원회를 통해 평의회 조직을 통제했다.

1918년 12월 18일, 평의회는 원칙적으로 "적합한" 산업의 사회화를 결정했지만, 구체적인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10]

1918년 12월 말, 인민 해군 사단의 봉기와 1918년 크리스마스 위기 동안의 군사력 동원으로 인해 USPD 구성원들은 인민대표평의회에서 사임했다. 이후 구스타프 노스케와 루돌프 비셀이 MSPD 대표로 합류했다.[11]

구성원임기정당직책 / 담당 부서
#초상이름취임퇴임
style="background: ; width:1em"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1871–1925)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공동 의장
제국 재상 (1919년 2월 13일까지)
내무, 군사
style="background: ; width:1em" |후고 하세
(1863–1919)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공동 의장
외무, 식민지, 법무
style="background: ; width:1em" |필리프 샤이데만
(1865–1939)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공동 의장 (1919년 12월 29일부터)
각료 총리 (1919년 2월 13일부터)
재무
style="background: ; width:1em" |오토 란츠베르크
(1896–1957)
1918년 11월 10일1919년 2월 11일MSPD재무, 언론
style="background: ; width:1em" |빌헬름 디트만
(1874–1954)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동원 해제, 교통
style="background: ; width:1em" |에밀 바르트
(1879–1941)
1918년 11월 10일1918년 12월 29일
(사임)
USPD사회 정책
style="background: ; width:1em" |구스타프 노스케
(1868–1946)
1918년 12월 29일1919년 2월 11일MSPD동원 해제, 육군, 해군
style="background: ; width:1em" |루돌프 비셀
(1869–1962)
1918년 12월 29일1919년 2월 11일MSPD사회 정책


4. 인민대표평의회의 활동과 정책

혁명에도 불구하고 행정부는 계속 기능을 수행했고, 사법 및 교육 시스템은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 11월 10일 에베르트-그뢰너 협약 이후, 최고군 사령부와 인민대표평의회는 서로를 지원하기로 암묵적으로 합의했다.[2] 독일 사회민주당(MSPD)과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은 독일의 미래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시간적 압박을 크게 받았다. 두 정당이 동맹을 결성했을 때, 평의회는 제국 헌법 밖에서 통치하기로 결정하고, 연방 평의회에 국회를 다시 소집하지 않도록 지시했다. 또한, 기존 주의 연방 평의회는 입법 권한이 아닌 행정 기능만 수행하도록 규정했다.

제국의 최고 행정 또는 입법 기관은 권력을 유지하지 못했다. 국무 장관은 사실상 현대적 의미의 장관이 되어 각 부서의 독립적인 수장이 되었다. 평의회가 통제하는 정부는 황제, 총리, 분데스라트 및 국회의 이전 역할을 수행했다. 평의회는 11월 12일부터 절차 규칙에 따라 업무를 시작했으며, 이 규칙은 평의회 구성원의 무단 개입을 금지하고 국무 장관에 대한 지시를 집단적으로 발행하도록 했다.

인민대표평의회는 1918년 11월 12일 "독일 국민에게"라는 호소문을 발표하고 즉각적인 조치와 사회 개혁 및 민주적 개혁을 약속했다. 이후 두 달 동안 평의회는 이 내용을 구체화하는 여러 법령을 발표했다. 바이마르 국민 의회 선거는 1919년 1월 19일에 실시되었다.

4. 1.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와의 관계

1918년 11월 10일, 베를린에서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대표 회의가 열렸다. 독일 사회민주당(MSPD)은 광범위한 조직력과 노조 동원 능력을 바탕으로 회의를 주도하여 평의회 내 다수를 확보했다. 이들은 인민대표평의회 구성을 승인받았는데, 이는 대표들이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요한 신뢰를 얻는 데 중요했다.[10]

평의회는 리하르트 뮐러를 수장으로 하는 대(大)베를린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집행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위원회는 노동자와 병사 각각 14명의 대표로 구성되었으며, 인민대표평의회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민대표평의회가 집행위원회를 통해 평의회 조직 전반을 통제했다. 인민대표평의회는 주요 당 지도자들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기 때문에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10] 법률 역사가 에른스트 루돌프 후버는 "집행위원회와 인민대표평의회에서 당의 정치적 동등성은 '평의회 국가'가 아니라 혁명에서 승리한 당 국가임을 분명히 보여주는 지표였다"고 평가했다.[10]

1918년 12월, 베를린에서 열린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 제국 회의에서도 독일 사회민주당(MSPD)이 주도권을 잡았다. 이들은 제헌 의회 구성을 통해 독일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을 선호했다. 대다수 노동자들은 대중이 선출된 대표들을 끊임없이 감시하는 평의회 국가를 원하지 않았고, 제헌 의회 선거는 모든 사회 계층의 승인을 받았다.[10]

4. 2. 주요 정책

1918년 11월 12일, 인민대표평의회는 "독일 국민에게"라는 호소문을 발표하고 다음과 같은 즉각적인 조치를 시행했다.[13]

  • 계엄령 해제
  • 결사 및 집회의 자유 보장 (공무원과 국가 근로자 포함)
  • 검열 폐지 (극장 포함)
  • 언론 및 출판의 자유
  • 종교의 자유 보장
  • 정치범 사면 및 관련 절차 기각
  • 보조 서비스법(1916) 폐지 (분쟁 해결 조항 제외)
  • 하인 규정 및 농업 노동자 특별법 폐지
  • 전쟁 초기 폐지되었던 노동 보호 조항 복원


같은 문서에서 평의회는 다음과 같은 사회 개혁 및 민주적 개혁을 약속했다.[13]

  • 1919년 1월 1일까지 8시간 노동제 도입
  • 직업 창출 및 실업 지원 확대 (제국, 주, 자치 단체 분담)
  • 건강 보험 수입 상한선 인상
  • 주택 공급 확대[22]
  • 식량 공급 개선
  • 질서 있는 생산 지속
  • 사유 재산 보호
  • 개인의 자유와 안전 보장
  • 20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동등하고 비밀스럽고 직접적이며 보편적인 선거권 부여 (비례대표제 기반)


11월 30일, 선거 관련 법령이 발표되었다.[14]

이후 두 달 동안 평의회는 "독일 국민에게"에서 제시된 내용을 구체화하는 여러 법령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제 동원 해제를 위한 제국 사무소 설치 (1918년 11월 12일, 독일 경제의 평화 조건 이행 목적)[15]
  • 제국 식량청, "농민 및 노동자 평의회" 선거 규정 발표 (1918년 11월 22일, 모든 농업 협회 가입)[16]
  • 경제 동원 해제를 위한 제국 사무소, 노동 시간, 병가, 유급 휴가 등 노동 조건 관련 12개 규정 발표 (1918년 11월 23일)[17]
  • 주 정부에 일반 직업 지도 및 견습생 배치 부서 설립 의무 부과 (1918년 12월 9일)[18]
  • 건강 보험 혜택 소득 한도 인상 (2,500 파피에르마르크에서 5,000 파피에르마르크로, 12월)[19]
  • 재택 근로자 보호 개선[20][21]
  • 임금 협정 관련 법령 제정 (1918년 12월 23일, 노동조합-고용주 간 임금 협정 절대적 효력, 중재 법원 설치)[23]
  • 고용주에게 동원 해제 시 이전 노동자 복직 의무 부과, 부당 해고 시 중재 법원 항소 가능 (1919년 1월 4일)[23]
  • 복지 수혜자 투표권 박탈 폐지 (1918년 11월 29일)[24]
  • 농부에게 귀환 군인 재고용 및 실업자 일자리 제공 명령 (1918년 12월 정부 선언)
  • 청소년 복지 지원 법령 발표 (1918년 12월)[25]
  • 대전 중 도입된 출산 수당 지속 잠정 허용 (12월)[26]
  • 장애 참전 용사 고용 의무화 법령 발표 (1919년 1월)[27]
  • 노동자 토지 정착 위한 토지 취득 관련 정착령 발표 (1919년 1월 29일, 100헥타르 초과 토지 수용 가능성, 1928년까지 50만 헥타르 확보, 농업 인구 2.4% 혜택)[28][30]


바이마르 국민 의회 선거는 1919년 1월 19일에 실시되었다.

4. 3. 군부와의 관계

혁명에도 불구하고 행정부는 계속 기능을 수행했고, 사법 및 교육 시스템은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 1918년 11월 10일 에베르트-그뢰너 협약 이후, 최고군 사령부와 인민대표평의회는 서로를 지원하기로 암묵적으로 합의했다.[2]

5. 해산과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6. 평가

인민대표평의회가 과도기에 국가와 사회에 더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관료 및 군과의 협력은 불가피했지만, 공화국에 충성하는 자체 군대를 구축할 수도 있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에베르트를 중심으로 한 사회민주당은 대규모 공무원 교체에 필요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민주당은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으로 인해, 노동 계급의 대표로서 독일의 미래 정부 형태에 대한 결정을 단독으로 내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국민 의회와 같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기구의 정당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1]

6. 1. 긍정적 평가

인민대표평의회는 군주제에서 공화정으로의 평화적 전환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민주적 개혁과 사회 개혁 정책을 통해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며, 제헌 의회 구성을 통해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했다.[1]

6. 2. 부정적 평가

인민대표평의회가 더욱 적극적으로 행동하여 국가와 사회에 더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관료 및 군과의 협력은 불가피했지만, 평의회는 공화국에 충성하는 자체 군대를 구축할 수도 있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1] 에베르트를 중심으로 한 사회민주당은 나중에 대규모로 공무원을 교체할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민주당의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신념은 독일의 미래 정부 형태에 대한 결정을 단독으로, 또는 노동 계급의 대표로서 내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즉, 상당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민 의회와 같은 민주적으로 선출된 기구의 정당성이 필요했다는 것이다.[1]

참조

[1] 서적 Der lange Weg nach Westen. Deutsche Geschichte 1806–1933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2] 서적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19 Knauer
[3] 서적 Weimar 1918–1933. Die Geschichte der ersten deutschen Demokratie C.H. Beck
[4] 웹사이트 Vom Kaiserreich zur Republik 1918/19: Revolution von unten https://www.bpb.de/t[...] 2024-04-06
[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Weimar Democra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6] 서적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Vom Alten Reich bis Weimar (1495–1934) Springer
[7] 서적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seit 1789. Band V: Weltkrieg, Revolution und Reichserneuerung: 1914–1919 W. Kohlhammer
[8] 서적 Kaisersturz. Vom Scheitern im Herzen der Macht wbg Theiss
[9] 서적 Die Regierung der Volksbeauftragten 1918/19 Erster Teil https://kgparl.de/wp[...] Droste
[10] 간행물 Weimarer Republik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null
[11] 웹사이트 Die deutsche Revolution 1918/19 https://www.bpb.de/t[...] 2024-04-07
[12] 웹사이트 The End of the German War https://www.britanni[...] 2024-04-11
[13] 웹사이트 Rat der Volksbeauftragten, Aufruf "An das deutsche Volk", 12. November 1918 https://www.1000doku[...] 2024-04-08
[14] 웹사이트 Verordnung über die Wahlen zur verfassunggebenden deutschen Nationalversammlung (Reichswahlgesetz) http://www.documenta[...] 2024-04-08
[15] 웹사이트 "(Nr. 6548) Anordnung über die Regelung der Arbeitszeit gewerblicher Arbeiter. Vom 23. November 1918" http://www.zaar.uni-[...] 2014-09-26
[16] 서적 Farm Labor in Germany, 1810–1945: Its historical development within the framework of agricultural and social poli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서적 Cultural Chronicl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8] 서적 Postwar Labor Conditions in Germany: March, 1925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서적 Two Centuries of Solidarity: German, Belgian, and Dutch Social Health Care Insurance 1770–2008 https://books.google[...] Aksant 2009
[20] 웹사이트 Gründung und Krisenjahre (1918-1923) https://www.in-die-z[...] 2014-09-26
[21] 웹사이트 Deutsche Sozialgeschichte: Arbeitswelt 1750 – 1950 http://www.schultref[...] schultreff.de 2014-09-26
[22] 문서 AQA History: The Development of Germany, 1871–1925 by Sally Waller
[2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German Republic by Arthur Rosenberg 1936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14-09-26
[24] 서적 History of Social Law in Germany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7-01-26
[25] 서적 The Politics of German Child Welfare from the Empire to the Federal Republ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01-26
[26] 서적 The Politics of the Body in Weimar Germany: Women's Reproductive Rights and Dutie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17-01-26
[27] 간행물 Maastricht Journal of European and Comparative Law https://books.google[...] Maklu 2017-01-26
[28] 서적 The Reichs-Landbund and the Resurgence of Germany's Agrarian Conservatives, 1919–192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7-01-26
[29] 서적 Technical Survey of Agricultural Questions: Hours of Work, Unemployment,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Technical Agricultural Education, Living-in Conditions, Rights of Association and Combination, Social Insurance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7-01-26
[30] 서적 The Weimar Republ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1-26
[31] 서적 Aeronautical Research in Germany: From Lilienthal Until Toda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32] 서적 Guns in American Society: An Encyclopedia of History, Politics, Culture, and the Law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
[33] 웹사이트 Ebert-Groener-Pakt https://www.dhm.de/l[...] 2024-04-08
[34] 웹사이트 Gesetz über die vorläufige Reichsgewalt vom 10. Februar 1919 http://www.documenta[...] 2024-04-08
[35] 웹사이트 Wahl zur Nationalversammlung 1919 https://www.gonschio[...] 2024-04-11
[36] 웹사이트 Die Nationalversammlung https://www.dhm.de/l[...] 2018-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