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지인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지인류학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1950년대 북미 언어인류학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적 맥락에서 인지를 탐구하는 시도로 시작되었다. 민간 분류, 언어와 사고의 상호작용, 문화 모형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언어를 인지 연구의 관문으로 사용한다. 사고 과정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화 네트워크 분석과 합의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다. 인지과학 및 심리학과 연관되어 있으며, 인지과학과의 융합을 시도하기도 한다. 인지인류학은 방법론과 주제를 놓고 비판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지과학 - 연결주의
    연결주의는 정신 현상을 단순한 단위들의 네트워크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및 인지과학의 접근 방식이며, 뇌의 뉴런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인지과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인류학 - 성인식
    성인식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알리는 의례로, 역사적으로 교육의 시작을 알리고 고대 사회에서 성인과 어린이를 구분하며 다양한 문화권과 종교적 의례로 나타난다.
  • 인류학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인지인류학
학문 분야
분야인류학의 한 분야
세부 분야
하위 분야문화 인류학
연구 방법
연구 방법론민족지학
연구 도구인터뷰
설문 조사
문화 상대주의
현장 노트
주요 인물
주요 학자그레고리 베이트슨
메리 더글러스
클리포드 기어츠
에드워드 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로버트 레비
로이 라파포트
데이비드 슈나이더
어빙 고프먼
브론islaw 말리노프스키
레슬리 화이트
프란츠 보아스
마르셀 모스
루스 베네딕트
관련 학문 분야
관련 분야심리학
인지 과학
언어학
철학
신경 과학
역사
역사적 발전인지 혁명
상징 인류학
민족 과학
인지 과학
주요 개념
주요 개념스키마
메타 인지
마음 이론
문화 모델
범주화
기억
주의
학습
의사 결정
문제 해결
언어 습득
지각
동기 부여
감정
사회 인지
응용 분야
응용교육
마케팅
정치
건강
기술
추가 정보
관련 저널인지 및 문화, '인간의 마음 진화''

2. 역사

인지인류학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1950년대 북미에서 등장했다. 북미의 언어인류학자들은 인지 보편성을 식별하거나 가정하는 대신, 문화적 맥락에서 인지에 접근했다.[1] 1950년대 말, 미국 인류학에서 새로운 민족지학 또는 민족과학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인지인류학이 주류 패러다임으로 부상했다.[2]

2. 1. 초기 발전

인지인류학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했으며, 1950년대 북미의 언어인류학자들이 인지 보편성을 식별하거나 가정하려는 노력이 아닌, 문화적 맥락에서 인지에 접근하려는 노력을 주도했다.[1] 1950년대 말, 미국 인류학에서 새로운 민족지학 또는 민족과학 패러다임 아래에서 인지인류학이 주류 패러다임으로 부상했다.[2]

3. 범위

인지인류학은 민간 분류, 언어와 사고의 상호작용, 문화 모형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사회/문화 속의 사고와 언어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되며, 사고는 사고의 과정과 결과와 관련이 있다.

3. 1. 언어와 인지

인지인류학은 언어를 분석하여 다른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사람들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인지인류학의 언어학적 연구는 의미론, 통사론, 화용론의 세 가지 하위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인지인류학에서 언어는 사고 과정을 분석하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어휘를 주요 데이터 소스로 하여 문화적 관점을 분석하며, 연구자들은 명확한 신념, 암묵적 이해 및 범주 체계를 탐구한다.[1]

3. 2. 사고 과정과 문화

인지인류학은 사고를 탐구할 때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 인지인류학자들은 사람들이 집단적 표상을 배우고, 만들고, 해석하고, 적용할 때 문화적 의미가 발생한다고 본다.[1] 재적용과 표상은 적절성과 관련성을 구현하는 과정을 거쳐 경험적 패턴을 강화하고, 인지적 재구성과 행동 및 이해의 창의성을 위한 요소를 포함한다.[1]

4. 연구 방법

인지인류학은 문화인류학의 전통적인 민족지학적 방법뿐만 아니라 양적 측정도 사용하여 문화를 연구한다.[2]

4. 1. 합의 분석

합의 분석은 공유된 지식을 파악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측정 방법이다.[2]

4. 2. 문화 네트워크 분석

문화 네트워크 분석은 한 집단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널리 공유되는 상호 관련된 아이디어의 네트워크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2]

4. 3. 인공지능과의 협력

최근 인지인류학자와 인공지능 분야 연구자들 사이에 교류가 있었다.[2]

5. 인지과학과의 관계

인지인류학은 사회 집단이 추론하고 범주화하는 방식을 연구하며, 이는 인지 과정의 기본적인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때문에 심리학과 연결된다.[3]

5. 1. 인지과학과의 융합

인지인류학은 모(母) 학문인 문화인류학 내의 여러 다른 분야와 교차한다. 문화인류학자들이 항상 문화의 특정 두드러진 측면을 식별하고 정리하려고 노력했던 반면, 인지인류학자들은 연구의 자기 반성적(reflexive) 성격을 중요하게 생각한다.[3] 인류학자에게 보이는 문화의 측면을 분석하는 대신, 다양한 집단을 동기 부여하는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의 내적 관점에 특별한 강조를 두며, 궁극적으로 보편적 인지에 대한 이해에 도달한다.[3] 이러한 목표는 인지인류학과 인지과학을 융합하는 논거의 기초를 형성한다.

인지인류학은 사회 집단이 추론하고 범주화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 인지 과정의 기본적인 본질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때문에 심리학과 연결되어 있다.

5. 2. 인지인류학의 옹호

옹호자이자 대통령 연구원인 지오반니 베나르도(Giovanni Bennardo)는 2013년에 이러한 분류를 정당화하는 세 가지 범주의 데이터를 제시했다.[4] 인지 인류학자들은 민족지학적, 언어학적, 실험적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4] 예를 들어, 의료 의례는 언어학적 분석에 정보를 제공하고 인지적 동기에 대한 더 큰 통찰력을 제공하는 보다 직접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며, 따라서 이 분야는 언어 상대주의와 유사하다.[5] 옹호자들에게 마음은 (선구적인 문화 인류학자에게 친족 관계가 그러하듯이) 언어를 생성하는 문화적 측면이며, 이는 인간 인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4]

인지 인류학을 인지 과학과 분류하는 다른 옹호자들은 인지 심리학이 인지 인류학이 포함하는 여러 분야를 포괄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따라서 인지 과학에서 인지 인류학의 중추적인 역할을 강조한다. 코네티컷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제임스 S. 보스터(James S. Boster)는 인지 과학 학회지에서 인지 심리학이 인간의 사고 과정을 연구하는 반면, 인지 인류학은 정확히 다른 인간들이 무엇을 숙고하는지, 즉 다른 환경에서 자신의 문화와 주변 환경을 어떻게 감지하고 인식하는지를 연구한다고 지적한다.[5]

5. 3. 비판과 논쟁

인지과학자와 인지인류학자 사이에는 각 분야의 교차점에 대한 오랜 갈등이 존재해 왔다. 이 그룹은 방법론과 주제를 근거로 에드워드 에반스-프리차드[6] 등 문헌에서 많은 반발을 받아왔다.

인지심리학자들은 인지인류학자들이 현장 연구원과의 인터뷰에서 원주민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관찰 및 데이터 수집 도구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혼란스러운 연구 방법에 대해 비판해 왔다.[5] "인지인류학(CA)은 나머지 문화인류학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는데, 이는 지배적인 포스트모던 미학에 너무 정량적이고 과학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인지심리학(CP)의 취향에는 너무 민족지적이고 자연사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5]

일부 인지과학자들은 인지과학에서 인류학의 영향력을 평가절하했는데, 이는 지그하르트 벨러, 안드레아 벤더, 더글러스 메딘이 인지과학회 저널에서 광범위하게 논의했다. 그들의 널리 인용된 저널 논문에서, 그들은 이러한 거부가 심리학의 하위 집합으로서의 인지인류학의 신뢰성 부족, 개인의 마음보다는 다른 문화 전반의 공통적인 내러티브에 대한 초점, 그리고 출판의 어려움에 기인한다고 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대한 무언가를 설명하는 통찰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며, 따라서 문화 간 비교를 보편성에 대한 가정을 시험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간주한다."

비평가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인지인류학의 과학적 본질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인지과학이 중심이 되는 과정보다는 사고의 내용을 연구한다고 주장했다.[5] 역사적으로, 보다 확립된 문화인류학의 하위 분야의 반대는 인지인류학자들에게 자원과 종신 재직권을 제한해 왔다.[5]

참조

[1] 논문 A review of: "Ergonomics, health and safety: perspectives for the nineties", by W. T. SINGLETON, and J. DIRKX,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1991, BF1500 (approx. £27.00), ISBN 90-6186-467-4. http://dx.doi.org/10[...] 1993-08
[2] 서적 A Companion to Cognitive Anthropology https://www.wiley.co[...] Wiley Blackwell 2011
[3] 서적 Cognitive anthropology : reading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9
[4] 간행물 Cognitive Anthropology's Contributions to Cognitive Science: A Cultural Human Mind, a Methodological Trajectory, and Ethnography Wiley 2013-11-08
[5] 간행물 Cognitive Anthropology Is a Cognitive Science Wiley 2012-06-18
[6] 서적 Religion, anthropology, and cognitive science Carolina Academic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