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간의 기원, 다양성, 그리고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19세기 서구의 발전과 식민주의의 영향을 받아 등장했으며,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현지 조사 방법론과 알프레드 라드클리프-브라운의 구조 기능주의 이론을 통해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미국에서는 프란츠 보아스를 중심으로 문화 상대주의를 강조하며 각 문화의 고유성을 존중하는 학풍이 형성되었다. 문화인류학은 문화 상대주의, 참여 관찰, 다중 현장 연구 등의 개념과 방법론을 활용하며, 종교, 경제, 정치, 예술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세분화되어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인류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문화인류학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입력지원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문화인류학 | |
---|---|
문화인류학 | |
![]() | |
하위 분야 | |
하위 분야 | 자연인류학 분자인류학 문화인류학 언어인류학 사회인류학 고고학 |
방법론 | |
방법론 | 민족지학 참여관찰 정성 연구 문화 상대주의 |
주요 개념 | |
주요 개념 | 문화 사회 선사시대 진화 친족 결혼 가족 인종 민족 성별 사회화 식민주의 탈식민주의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종교인류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생태인류학 경제인류학 민족학 의료인류학 도시인류학 |
관련 분야 | |
관련 분야 | 응용인류학 |
2. 역사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역사와 현재의 다양한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67] 프랑스 계몽사상에서 학문적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18세기 후반), 19세기에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었다.[67] 초기에는 '미개' 문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지만, 최근에는 근대 사회를 포함한 모든 역사적, 현대적 문화가 연구 대상이다.[67]
문화인류학은 문자를 사용하지 않던 문화권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간의 현지 조사를 진행하며, 유적과 유물 발굴, 다양한 문화 비교 연구를 중요하게 여긴다.[67]
1970년대 이후 개발도상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응용인류학 분야가 급성장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등 비판적 논의가 등장하면서, 문화인류학자가 다른 문화를 '쓰는' 행위의 의미와 학문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 조사 대상의 피해와 조사자의 윤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미국 인류학회는 윤리 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강령과 규정을 작성했으며, 일본 문화인류학회는 아이누 민족에게 과거 연구의 우월주의에 대해 사과했다.[65]
2. 1. 서구권 문화인류학의 발전
문화인류학은 미국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로, 영국에서는 사회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에서는 민족학이라고 불린다.[67]19세기 서구 사회의 발전과 함께 인류의 기원, 통일성, 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고, 이는 문화인류학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19세기 후반, 식민주의를 통해 유럽 사상가들은 '원시적인 타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고, 어떤 문화가 '원시적인' 것이고 어떤 문화가 '문명화된' 것인가 하는 문제는 당시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였다.[5]
유럽의 문화인류학 학설사에서는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서태평양의 원양항해자』와 알프레드 라드클리프브라운의 『안다만섬 주민』 두 책이 출판된 1922년을 기점으로 근대 인류학이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57] 이 시기, 말리노프스키가 확립한 현지 조사(fieldwork) 방법에 따라 데이터의 체계적인 수집이 가능해졌고, 라드클리프브라운에 의해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의 사회 이론에 기반한 구조 기능주의 이론이 확립되면서 사회과학으로서의 기초가 마련되었다.[58]
미국에서는 프란츠 보아스를 중심으로 독특한 학파가 계승되었다. 이 학파는 사회인류학보다 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여 인간의 관습과 사회 제도, 심리적 경향성, 언어, 물질문화와 같은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광의의 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보아스는 1887년에 문명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우리의 문명이 진화하는 한 진실이라고 말했다.[60] 보아스 학파는 각 민족의 고유 문화를 기술하는 데 전념했고, 자민족중심주의적인 이론화를 한 진화론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보아스 등은 이러한 진화론적 입장에 저항하여 각 문화는 각각의 가치에서 기술·평가되어야 한다는 문화 상대주의를 주장했다.[61]
3. 주요 개념 및 이론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역사와 현재의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연구하여 문화의 법칙, 규칙성, 변화를 탐구하는 학문이다.[67] 미국에서는 '문화인류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영국에서는 '사회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에서는 '민족학'이라고 부른다.[67]
문화인류학의 주요 개념 및 이론은 다음과 같다:
문화인류학은 18세기 후반 프랑스 계몽사상에서 시작되어 19세기에 이론적 기초가 확립되었다.[67] 초기에는 미개 문화를 중심으로 연구했지만, 현대에는 근대사회의 복잡하고 고도화된 문화, 역사적 문화, 현재의 모든 문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67]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기록이 없는 문화권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간의 현지조사를 진행하고, 유적과 유물 발굴, 다양한 이질적 문화를 다루기 위한 비교 연구가 중요하다.[67]
문화인류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종교인류학, 친족연구, 경제인류학, 정치인류학, 법인류학, 교육인류학, 예술인류학 등으로 나뉜다. 이론적 성격에 따라 생태인류학, 심리인류학, 상징 인류학, 응용인류학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도시인류학, 기업인류학, 영상인류학, 역사인류학, 의료인류학, 관광인류학, 환경인류학, 정보인류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도 등장했다.
"문화" 인류학은 전체론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문화가 개인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특정 민족의 지식, 관습 및 제도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민족지 연구에 적용된다. 반면 "사회" 인류학은 가정 생활, 경제, 법, 정치, 종교 등 특정 사회 관계 시스템을 분리하고 사회 생활의 조직적 기반에 대한 분석적 우선 순위를 부여하며, 문화 현상을 사회 과학적 조사의 주요 문제보다 다소 이차적인 것으로 다룬다.[13]
인류학은 인류의 진화와 생물학적 측면을 연구하는 자연인류학과 인류의 사회적·문화적 측면을 연구하는 문화인류학, 사회인류학 등으로 나뉜다.[52] 미국에서는 문화인류학, 영국과 유럽에서는 사회인류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일본을 포함한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는 민족학이라는 명칭도 사용된다.[52]
자연인류학은 인류를 진화 과정으로 형성된 생물학적 측면에서 파악하는 학문이다.[53] 문화인류학은 자연과 대비되는 문화에서 인류를 연구하며, 언어학과 고고학이 인접 학문이다. 미국의 학부에서는 이러한 학문들을 자연인류학과 함께 종합적으로 교육한다.
문화인류학은 민족, 사회 간의 문화나 사회 구조 비교 연구로도 이해된다. 사회인류학이나 민족학은 문화인류학과 거의 같은 의미이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1914년 파푸아 조사 이후,[54] 연구 대상 사회에 수개월에서 수년간 체류하며 생활하는 참여관찰 방법이 일반화되었다.
문화인류학의 연구 대상 및 자료는 다음과 같다.[66]
연구 대상 및 자료 |
---|
현지조사 등의 방법론, 학설사 |
민족사 |
언어 |
자연환경, 생업(수렵, 어로, 목축, 농업), 의식주, 민구, 기술, 예술 등 |
결혼제도와 가족·친족의 구조, 사회·정치·경제의 체계, 인간관계, 다양한 집단의 형성, 전통, 관습과 제도 등 |
종교·신앙·주술·의례·제례 등 |
신화·전설·민담 등 |
민요·음악·무용·연극 등 |
도시에서의 여러 문제, 도시문화와 문명의 영향에 의한 변화 등 |
예절과 교육 방법, 인격 형성과 민족·국민성의 특색, 문화의 변화와 심리적 적응, 정신위생 등 |
기타 (영상인류학, 민족영화학, 인식인류학, 의료인류학) |
3. 1. 문화
문화인류학에서 문화는 인류가 역사 속에서 만들어 낸 모든 것과 현재 인류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결과물을 포괄하는 개념이다.[67] 즉, 문화는 인간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습득한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 모든 능력과 습관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전체를 의미한다.[6]문화는 크게 일반적인 문화와 특수한 문화로 나눌 수 있다.[8] 일반적인 문화는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문화를 의미하며, 특수한 문화는 특정 집단에 고유한 문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나 아일랜드계 미국인 문화는 특수한 문화에 해당한다.[8]
문화인류학에서는 '문화'라는 용어를 미국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영국에서는 '사회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에서는 '민족학'이라고 부른다.[67]
문화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55][56]
- 고전적·일상적 문화: 산업화된 문명에 대하여, 인간의 정신적인 측면의 향상 등으로 정의된 문화.
- 인류학적 문화: 인간과 자연이나 동물과의 차이로부터 성립된 문화.
- 사회학적 문화: 여러 사회나 그 구성원과의 관계로 성립된 문화.
3. 2. 문화 상대주의
프란츠 보아스가 인류학 연구에서 확립하고 그의 제자들이 대중화한 원칙이다. 보아스는 1887년 처음으로 이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문명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상대적이며...우리의 사상과 개념은 우리 문명의 범위 내에서만 참이다."[10] 보아스가 이 용어를 처음 만들어낸 것은 아니지만, 1942년 보아스 사후 그의 여러 사상을 종합하여 인류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보아스는 어떤 아종과 관련하여 발견되는 문화의 범위가 너무 광대하고 널리 퍼져 있어 문화와 인종 사이에는 관계가 있을 수 없다고 믿었다.[11] 문화 상대주의는 특정한 인식론적 및 방법론적 주장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장이 특정한 윤리적 입장을 요구하는지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원칙은 도덕적 상대주의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문화 상대주의는 부분적으로 서구의 민족 중심주의에 대한 반응이었다. 민족 중심주의는 자신의 민족의 예술이 가장 아름답고, 가치가 가장 덕이 있으며, 신념이 가장 진실하다고 의식적으로 믿는 명백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원래 물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고 칸트, 헤르더, 폰 훔볼트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은 보아스는 개인의 문화가 개인의 인식을 매개하고 제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문화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인류학자들에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반응에 불가피하게 편견을 갖게 하는 자신의 문화의 무의식적인 속박에서 벗어나는 방법, 둘째, 낯선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문화 상대주의 원칙은 인류학자들이 혁신적인 방법과 휴리스틱 전략을 개발하도록 강요했다.
보아스와 그의 제자들은 다른 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려면 자신의 민족 중심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가 민족지이다. 이 방법은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오랜 기간 함께 생활하여 지역 언어를 배우고 그 문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문화화되는 것을 옹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 상대주의는 특정한 인간의 신념과 활동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지역적 맥락의 중요성에 주의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근본적인 방법론적 중요성을 갖는다.
보아스 학파는 광범위한 문화 개념을 사용하여 각 민족(구체적으로는 북미 원주민)의 고유 문화를 기술하는 데 전념했고, 사회인류학과 같은 이론화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이 학파의 태도는 부족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민족중심주의적인 이론화를 한 진화론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보아스 등은 이러한 진화론적 입장에 저항하여 각 문화는 각각의 가치에서 기술·평가되어야 한다는 문화 상대주의를 주장했다.[61] 21세기까지는 문화 상대주의의 입장은 문화인류학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3. 3. 참여관찰
참여관찰은 문화인류학의 주요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특정 집단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장기간에 걸쳐 그들과 밀접하게 상호 작용하는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27] 이 방법은 사회인류학자들의 현장 연구, 특히 영국의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미국의 프란츠 보아스의 제자들, 그리고 후대 시카고 학파의 도시 연구에서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연구 대상 집단은 소규모 비서구 사회였지만, 오늘날에는 특정 기업, 교회 단체, 스포츠 팀 또는 소도시일 수 있다.[27] 연구 대상 집단이 관찰하는 인류학자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밀접하게 연구되는 한, 참여관찰의 주제에 대한 제한은 없다.참여관찰을 통해 인류학자는 연구 대상과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문화에 대한 내부적인 관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나중에 문화에 대해 쓸 때 더 풍부한 설명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상적인 시간 할당과 같은 관찰 가능한 세부 사항과 금기 행동과 같은 더 숨겨진 세부 사항은 더 긴 기간 동안 더 쉽게 관찰되고 해석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말하고 종종 믿는 일이 발생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형식 시스템)과 실제로 발생하는 일, 또는 형식 시스템의 다른 측면 사이의 불일치를 발견할 수 있다. 반면에 사람들의 질문에 대한 일회성 설문 조사는 매우 일관성이 있을 수 있지만, 사회 시스템의 여러 측면이나 의식적인 표현과 행동 사이의 갈등을 보여줄 가능성은 적다.[28]
민족지학자와 문화 정보 제공자 간의 상호 작용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29] 민족지학자가 문화에 대해 순진하거나 호기심이 있을 수 있는 것처럼, 그 문화의 구성원들도 민족지학자에게 호기심이 있을 수 있다. 상황의 문화적 맥락에 대한 더 나은 이해로 이어질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인류학자는 그룹의 일원이 되고 구성원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발전시킬 의향이 있어야 한다.[27]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인류학자와 피험자 간의 공통 경험의 작은 영역을 찾은 다음 이 공통점에서 더 큰 차이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이다.[30] 일단 단일 연결이 설정되면 지역 사회에 통합하기가 더 쉬워지고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가 인류학자와 공유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참여관찰을 시작하기 전에 인류학자는 연구 위치와 초점을 모두 선택해야 한다.[27] 이 초점은 인류학자가 선택한 집단을 적극적으로 관찰하기 시작하면 변경될 수 있지만, 현장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무엇을 연구하고 싶은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갖는 것은 인류학자가 해당 주제에 대한 배경 정보를 연구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한 위치 또는 유사한 주제에 대해 이전에 수행된 연구를 아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참여관찰이 인류학자가 익숙하지 않은 언어가 사용되는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도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인류학자는 지역 사회에 더 잘 정착할 수 있다. 번역가가 필요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이 더 직접적이 되고 인류학자는 목격한 사건에 대한 더 풍부하고 맥락화된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참여관찰에는 종종 연구 지역의 정부와 연구 기관의 허가가 필요하며 항상 어떤 형태의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27]
대부분의 참여관찰은 대화에 기반한다. 이것은 편안하고 우호적인 대화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더 체계적인 인터뷰 시리즈일 수도 있다. 두 가지의 조합이 종종 사용되며, 때로는 사진 촬영, 매핑, 유물 수집 및 기타 다양한 방법과 함께 사용된다.[27] 어떤 경우에는 민족지학자들이 구조화된 관찰로 전환하기도 하는데, 이는 인류학자의 관찰이 답하려고 하는 특정 질문 집합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이다.[31] 구조화된 관찰의 경우 관찰자는 일련의 사건의 순서를 기록하거나 주변 환경의 특정 부분을 설명해야 할 수 있다.[31] 인류학자는 여전히 연구 대상 집단에 통합되기 위해 노력하고 관찰하면서 여전히 이벤트에 참여하지만, 구조화된 관찰은 일반적으로 참여관찰보다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다. 이는 여러 집단에 걸쳐 민족지학적 데이터를 비교할 때 또는 정부 정책 결정을 위한 연구와 같이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할 때 연구 방법을 표준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여관찰에 대한 한 가지 일반적인 비판은 객관성 부족이다.[27] 각 인류학자는 자신의 배경과 경험 집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개인은 동일한 문화를 다르게 해석할 가능성이 높다. 민족지학자가 누구인가는 그들이 결국 문화에 대해 무엇을 쓸 것인가와 많은 관련이 있는데, 왜냐하면 각 연구자는 자신의 관점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32] 이것은 특히 인류학자들이 민족지학적 현재 시제로 글을 쓸 때 문제가 되는데, 이는 문화가 시간 속에 갇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인류학자가 관찰을 한 이후 다른 문화와 상호 작용하거나 점진적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기 때문이다.[27] 이를 피하기 위해 과거 민족지학자들은 엄격한 훈련이나 팀으로 일하는 인류학자를 옹호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으며, 현대 민족지학자들은 종종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가능한 편견을 글에 포함하는 것을 선택한다.[27]
참여관찰은 또한 인류학자가 문화에 대해 보고하는 내용을 통제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표현의 측면에서 인류학자는 연구 대상보다 더 큰 힘을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참여관찰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27] 또한 인류학자들은 자신의 존재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려움을 겪었다. 단순히 존재함으로써 연구자는 문화에 변화를 일으키며, 인류학자들은 자신이 연구하는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절한지, 아니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계속 질문하고 있다.[27]
3. 4. 다중 현장 연구 (Multi-sited ethnography)
많은 현대 사회문화 인류학자들은 이전의 민족지 연구 모델이 지역 문화를 경계가 있고 고립된 것으로 다루는 것을 비판하며 거부해왔다. 이들은 서로 다른 지역 사람들이 자신들의 삶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독특한 방식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이러한 특수한 삶의 방식을 지역적 관점만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 그들은 지역적 초점과 함께 지역의 삶의 현실에 영향을 미치는 더 큰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틀을 파악하려는 노력을 결합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주목할 만한 지지자로는 아룬 아파두라이, 제임스 클리포드, 조지 마커스, 시드니 민츠, 마이클 타우시그, 에릭 울프 및 로널드 다우스가 있다.조지 마커스는 논문 "세계 시스템 속/에서의 민족지 연구: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의 등장"에서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의 활용이 인류학 연구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세계적 사회 질서의 거시적 구조 속에 놓인 문화를 바라보는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는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전통적인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세계 시스템이 지역 및 세계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때 더 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에서는 문화 연구, 미디어 연구, 과학 기술 연구 등 다른 분야의 방법을 도입하여 학제 간 접근 방식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에서 연구는 공간적 및 시간적 경계를 넘어 주제를 추적한다. 예를 들어,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는 특정 상품과 같이 "사물"이 세계 자본주의 네트워크를 통해 운반되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는 또한 디아스포라에 있는 민족 집단, 여러 장소와 여러 시대에 나타나는 이야기나 소문, 여러 민족지학적 위치에 나타나는 은유, 또는 공간과 시간을 이동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전기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경계를 넘어서는 갈등을 추적할 수도 있다. 다중 부위 민족지 연구의 예로는 낸시 셰퍼휴즈의 인체 장기 국제 암시장에 대한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 그녀는 장기가 자본주의의 다양한 합법적 및 불법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전되는 과정과 함께 빈곤한 지역 사회에서 유통되는 아동 유괴 및 장기 절도에 대한 소문과 도시 전설을 추적한다.[33]
4. 하위 분야
문화인류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종교인류학, 친족연구, 경제인류학, 정치인류학, 법인류학, 교육인류학, 예술인류학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론적 성격에 따라 생태인류학, 심리인류학, 상징인류학, 응용인류학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도시인류학, 기업인류학, 영상인류학, 역사인류학, 의료인류학, 관광인류학, 환경인류학, 정보인류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였다.
문화인류학의 하위 분야는 다음과 같다.
분야 | 분야 | 분야 | |||||||
---|---|---|---|---|---|---|---|---|---|
예술인류학 | 역사인류학 | 언어인류학 | |||||||
인지인류학 | 의료인류학 | 생물인류학 | |||||||
발전인류학 | 정치인류학 | 영상인류학 | |||||||
장애인류학 | 경제인류학 | 초월인류학 | |||||||
생태인류학 | 종교인류학 | 경영인류학 | |||||||
경제인류학 | 예술인류학 | 공공인류학 | |||||||
여성주의 인류학 및 성과 성별 인류학 | 도시인류학 | 관광인류학 | |||||||
민족사 및 역사인류학 | 공공인류학 | 생태인류학 | |||||||
혈족 및 가족 | 관광인류학 | 도그마 인류학 | |||||||
법인류학 | 생태인류학 | 심리인류학 | |||||||
다양한 양식의 인류학 | 도그마 인류학 | 미디어인류학 | |||||||
미디어 인류학 | 정치인류학 | 인류학의 정치경제 | 심리인류학 | 공공인류학 | 종교인류학 | 사이버그 인류학 | 초개인 인류학 | 도시인류학 | 시각인류학 |
5. 현대 사회와 문화인류학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며, 지구상에 인간이 출현한 시기부터 현대까지 발전해 온 모든 인간들과 그들의 시대별 문화 및 사회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인류학자들은 특정 민족이나 인간 집단을 연구할 때, 그 민족 또는 사회의 역사, 지리,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체질적 특성, 가족, 혼인, 친족제도, 경제제도, 물질문화, 정치조직, 법률체계, 종교, 언어, 예술, 인간 심성 등 모든 측면을 상호 관련지어 연구한다.
또한 과거의 인류뿐만 아니라 현대 인류의 모습에 대해서도 활발히 연구하는데, 예를 들어 미국의 빈민가에 거주하는 흑인, 다국적 기업, 환경 문제, 사이버 공간의 문화 등을 연구하는 인류학자들도 있다.
문화인류학자들이 생활양식으로서 '문화'라는 개념을 채택함으로써 이들이 다루는 연구 영역은 매우 포괄적일 수밖에 없다.
문화인류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종교인류학, 친족연구, 경제인류학, 정치인류학, 법인류학, 교육인류학, 예술인류학 등으로, 이론적 성격에 따라 생태인류학, 심리인류학, 상징인류학, 응용인류학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도시인류학, 기업인류학, 영상인류학, 역사인류학, 의료인류학, 관광인류학, 환경인류학, 정보인류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였다.
참조
[1]
논문
1997
[2]
논문
The Ethnography of Prisons and Penal Confinement
http://repositorium.[...]
2014
[3]
서적
Claude Levi-Strauss: the formative yea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ultural anthropology - Historical Development, Cross-Cultural Comparison, Fieldwork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6
[5]
논문
Toward an Anthropology of Prisons
2001
[6]
서적
Primitive Culture
https://books.google[...]
J.P. Putnam's Sons
[7]
논문
The Campus Tour: Ritual and Community in Higher Education
2000-03
[8]
서적
Environmentalism and Cultural Theory: Exploring the role of anthropology in environmental discourse
Routledge Press
[9]
서적
Guns, Germs and Steel
[10]
논문
Variation in Institutional Strength
2009
[11]
웹사이트
Cultural Relativism
http://www.utpa.edu/[...]
2007-06-13
[12]
논문
In Reply to Elgin Williams
[13]
블로그
Anthropology for beginners: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umananthroma[...]
2010-06-11
[14]
논문
Liquidated: An Ethnography of Wall Street
2009
[15]
서적
Race, Culture, and Evolution: Essay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The Free Press
[16]
서적
Ruth Benedict: A Humanist in Anthropology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7]
서적
Margaret Mead: The Making of an American Icon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8]
서적
The Wretched of the Earth
Grove Weidenfeld
[19]
논문
Some reflections on anthropological structural Marxism
http://www.ingentaco[...]
2007-06
[20]
논문
The Misrepresentation of Anthropology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jstor.or[...]
[21]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2]
서적
"Balinese Cockfights and the Seduction of Anthropology" in Anthropologies and Histories: essays in culture, history and political economy
Rutgers University Press
[23]
서적
After Kinship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Writing culture: the poetics and politics of ethn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서적
Reading Benedict / Reading Mead: Feminism, Race, and Imperial Visions
https://books.google[...]
[26]
서적
Postmodernism, Reason, and Religion
Routledge
[27]
서적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Participant observation
AltaMira Press
[29]
서적
Doing Cultural Anthropology: Projects for Ethnographic Data Collection
Waveland Press
[30]
서적
The Self in Social Inquiry
Sage Publications
[31]
서적
Doing Cultural Anthropology: Projects for Ethnographic Data Collection
Waveland Press
[32]
서적
Culture and Truth
Beacon Press
[33]
논문
Information systems and anthropology: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on IT and organizational culture
https://www.ingentac[...]
1995-03-01
[34]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A Toolkit for a Global Age
W.W. Norton & Company
[35]
논문
Introduction: kinship change in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2013
[36]
논문
Kinship Studies in Late Twentieth-Century Anthropology
1995
[37]
서적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New Directions in Anthropological Kinship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39]
논문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Culture Change
2008
[40]
서적
Reproducing Reproduction: Kinship, Power,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1]
논문
Contemporary Adoptive Kinship
2013
[42]
서적
Conceiving the New World Order: The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3]
서적
A critique of the study of kinship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4]
논문
Back to 'Mother' and 'Father': Overcoming the Eurocentrism of Kinship Studies through Eight Lexical Universals
https://openresearch[...]
2016
[45]
서적
Critical Kinship Studies
Palgrave Macmillan
[46]
서적
A Companion to Organizational Anthropology
Wiley
[47]
웹사이트
Institutions
http://www.oxfordbib[...]
2016-11-28
[48]
서적
Institutional Ethnography as Practi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49]
논문
Are politics human? Problems and challenges of institutional anthropology
2001
[50]
서적
The Network Inside Out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1]
문서
인류학의 학문 분류
[52]
논문
The Campus Tour: Ritual and Community in Higher Education
2000-03
[53]
웹사이트
Department of anthropology
https://anthropology[...]
2024-04-04
[54]
문서
인류학적 현장 연구의 기원
[55]
서적
Religious Pluralism: An Indian Christian Perspectiv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91
[56]
서적
民族誌的近代への介入—文化を語る権利は誰にあるのか〔増補版〕
人文書院
[57]
웹사이트
Lowie, Robert Harry (1883-1957), anthropologist
https://www.anb.org/[...]
2022-03-04
[58]
서적
Sociology
Pearson Prentice Hall
1944-2011
[59]
논문
Toward an Anthropology of Prisons
2001
[60]
논문
Variation in Institutional Strength
2009
[61]
웹사이트
Cultural relativism
http://encyclopedia.[...]
2024-04-04
[62]
서적
日本の人類学 植民地主義、異文化研究、学術調査の歴史
関西学院大学出版会
[63]
문서
1926-2021. 저서 "타테 사회"의 인간 관계로 유명한 여성 학자. 도쿄 대학 명예 교수였음.
[64]
웹사이트
About anthropology fieldwork
https://www.discover[...]
2024-04-04
[65]
뉴스
문화인류학회가 아이누 민족에 사과
https://www.okinawat[...]
沖縄タイムス
2024-04-03
[66]
서적
文化人類学入門
中央公論社
[67]
백과사전
사회 I·문화재/현대사회의 재인식/사회적 인간/인간과 문화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