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부는 청나라의 관료로, 아편 전쟁 시기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어 군사 작전을 지휘하고, 난징 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1801년 진사가 된 후 국자감 교장, 운남부 남관 통판 등을 역임하며 지방관으로 활동했다. 아편 전쟁 발발 후 절강성 연해의 군사 작전을 책임졌으나, 영국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후 난징 조약 체결에 참여했으며, 광저우 장군을 거쳐 흠차대신으로 광저우에서 전후 처리를 담당하다가 쇠약해져 사망했다. 사후 태자태보로 추증되고 문민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징 조약 - 헨리 포팅어
    헨리 포팅어는 동인도 회사에서 복무하며 인도와 중앙아시아를 탐험하고 아편 전쟁 당시 중국 전권 대사 및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난징 조약을 통해 홍콩을 영국에 할양했으며, 이후 케이프 식민지 총독과 마드라스 총독을 거쳐 몰타에서 사망했다.
  • 1772년 출생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1772년 출생 - 샤를 푸리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초기 사회주의 사상가인 샤를 푸리에는 상업의 폐해와 사회 모순을 비판하며 정념 인력 개념을 제시하고 팔랑주라는 공동체 사회를 구상했으며, 그의 사상은 공상적 사회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현대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일리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리부
출생1772년
사망1843년
관직
직책문연각 대학사
임기 시작1838년
임기 종료1841년
양강총독양강총독
임기 시작1840년
임기 종료1841년
전임자등정정
후임자린칭 (대리)
운귀총독운귀총독
임기 시작1835년
임기 종료1840년
전임자롼위안
후임자등정정

2. 생애

일리부는 1801년(가경 6년) 과거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여러 지방 관직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고, 아편 전쟁 때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나, 전쟁 결과와 난징 조약 체결 과정에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난징 조약 체결 이후 광저우에서 전후 처리를 담당하다 사망했다.

그의 생애는 초기 관직 생활, 아편 전쟁난징 조약 체결, 그리고 난징 조약 이후의 활동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1801년(가경 6년)에 과거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국자감 교장직을 받았다. 운남부 남관 통판, 징강 지부, 등충 지주를 역임했다. 현지 토사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여 운귀총독 백린으로부터 추천받았다. 1821년(도광 원년), 운귀총독 경보(킨바오)를 따라 영북(永北)에서 소수 민족의 반란을 진압하여 영창 지부를 대행했다. 안휘 태평부 지부, 산서성 기녕도대(冀寧道台), 절강 안찰사, 호북, 절강 포정사 등 지방 관직을 역임했다. 1825년(도광 5년) 산서 순무로 승진, 산동과 운남 순무를 역임하며 청렴함으로 유명세를 떨쳤다.

1833년(도광 13년), 운귀 총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1838년(도광 18년), 협변대학사(協弁大學士) 직함을 받았다.

2. 2. 아편 전쟁과 난징 조약

1838년 협변대학사(協弁大學士) 직함을 받았고, 이듬해 양강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아편 전쟁흠차대신에 임명되어 절강성 연해 군사 작전 책임을 맡았다. 기선, 유겸 등과 전투를 결정하지 못했고, 일리부도 점령된 해정의 영국군을 대면했으나, 적극적으로 출격하지는 않았다. 1841년 정월, 청나라 정부는 일리부에게 해정 공격을 명령했지만, 영국군은 홍콩을 점령했기 때문에 해정에서 철수했다. 일리부는 해정을 수복했다고 상소를 올렸으나, 책임을 피하기 위해 "기선과 함께 병력과 대포가 아직 모이지 않았다는 구실로 공격을 늦추었는데 적선이 도망갔다"고 덧붙였다. 일리부는 협변대학사 직함을 박탈당하고 양강 총독에 유임된 유겸에게 군 지휘권을 넘겨주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겸은 일리부가 장희를 파견해 영국군과 무단으로 거래하고 교전하지 않기로 밀약했다고 탄핵했고, 일리부는 직무 박탈 후 수감되었다.[2]

1841년(도광 21년) 10월 영국군은 해정, 영파 등을 점령했고, 유겸은 전사했다. 1842년 3월, 뒤를 이은 양위장군 혁경마저 패하자 청나라 정부는 다시 일리부를 기용하여 영국군과 싸우는 기영을 지원하게 했다. 기영은 일리부에게 자포진 방어를 명했다. 일리부는 영국군과 접촉하기 위해 장희를 파견했지만, 영국군은 이후 오송구(呉淞口)를 공격하고 장강을 따라 올라가 남경에 도착했다. 위기를 느낀 청나라 정부는 기영과 일리부를 파견하여 영국과 협상하게 했고, 결국 난징 조약에 서명했다.[2]

2. 3. 난징 조약 이후

난징 조약 체결 이후 일리부는 흠차대신 겸 광저우 장군에 임명되어 광저우에서 전후 처리를 담당했다.[1] 그러나 일리부의 부임은 광저우 민심의 불만을 야기했고, 영국의 압력 또한 거세어졌다.[1] 결국 일리부는 쇠약해져 사망했다.[1]

사후 일리부는 태자태보로 추증되었고, 문민(文敏)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1]

3. 평가

현재 일리부에 대한 평가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1898
[2] 문서 「立」の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