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군 펑산 무선 전신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해군 펑산 무선 전신소는 1919년 일본 제국 해군이 대만에 건설한 최초의 무선 전신소로, 군사적 목적 외에도 민간 통신에도 사용되었다. 1937년 타카오 통신대로 통합된 후 중일 전쟁 시기 일본의 남서 태평양 통신 유지 및 연합군의 활동 감시에 활용되었다. 대만 반환 이후 중화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해군 숙소, 정치범 심문 시설, 해군 교도 센터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2001년 명덕 훈련반 해체 후 문화 유산으로 등록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오슝시의 관광지 - 리우허 야시장
리우허 야시장은 가오슝시에 위치한 대만의 대표적인 야시장으로, 오랜 역사와 다양한 대중 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가장 매력적인 야시장"으로 선정되는 등 관광 명소로 활성화되었고, 최근에는 할랄 식품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 가오슝시의 관광지 - 서우산
서우산은 가오슝시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산으로, 역사적으로 요새 및 군사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다양한 시대의 유적과 명소,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적 가치를 지닌다. - 가오슝시의 건축물 - 가오슝 국제공항
가오슝 국제공항은 중화민국 가오슝에 위치하며, 1942년 개설되어 민간 공항으로 전환된 후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으며, 현재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을 운영하며 가오슝 첩운 등과 연결되어 있다. - 가오슝시의 건축물 - 가오슝항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해 온 대만의 주요 항구이며, 타카우 항으로 불리며 개발되어 컨테이너 터미널, 벌크 화물 부두, 여객 터미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본 해군 펑산 무선 전신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펑산, 가오슝, 타이완 |
건축 유형 | 이전 라디오 방송국 |
완공일 | 1919년 |
명칭 | |
한국어 명칭 | 일본 해군 펑산 무선 전신소 |
원어 명칭 | 原日本海軍鳳山無線電信所 |
로마자 표기 | Yuán Rìběn Hǎijūn Fèngshān Wúxiàn Diànxìn Suǒ |
일본어 명칭 | 海軍鳳山無線電信所(가이군 호잔 무센덴신죠) |
다른 이름 | 鳳山招待所(봉산 초대소) 海軍明德訓練班(해군 명더 훈련반) |
역사 | |
건설 시기 | 다이쇼 8년 (1919년) |
용도 | 일본 해군 무선 통신 시설 |
지정 정보 | |
문화재 등급 | 국정 고적 |
분류 | 군사 시설 |
일반 정보 | |
개방 시간 | 9:00 - 17:00 (월요일 휴무) |
![]() |
2. 역사
이 무선 전신소는 1919년에 건설되었으며, 일본 제국 해군이 대만에 건설한 최초의 무선 전신소였다. 이 기지의 군사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주로 민간 통신에 사용되었다. 대규모 기계적 고장으로 해상 안전이 위협받자, 일본은 산콰이세키에 또 다른 무선 전신소를 건설하고, 1937년에 펑산 전신소와 통합하여 타카오 통신대로 만들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타카오 통신대는 일본 제국의 남서 태평양 통신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해상 및 공중에서 미국과 영국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감시하는 전술적 무선으로도 사용되었다.
해군이 1917년(다이쇼 6년)에 건설한 무선 전신소로, 건설 당시에는 일본 3대 무선 전신소로 불렸으며, 후나바시 전신소와 동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1945년 대만 반환 이후, 이 기지는 중화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해군 숙소로 개조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이 숙소는 정치범으로 기소된 군인들을 심문하는 시설로 해군에 의해 사용되었다. 1962년에 이 지역에 '''해군 교도 센터'''(海軍訓導中心중국어)가 발족, 1972년에는 '''명덕 훈련반'''으로 개편되어 군 내의 소위 “우열 분자”(頑劣分子중국어)의 단속을 실시했지만, 2001년경 해체되었다.
명덕 훈련반 해체 후, 문화 유산으로 등록되어 2007년 전후 가오슝 현 정부가 가오슝 현 젠춘 문화 발전 협회에 유지 관리를 위탁, 연말 젠춘 문화 축제 때만 일반 공개되었으나, 가오슝 시 문화국의 평가를 거쳐, 월요일을 제외한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9시부터 17시까지 공개되고 있다.
2. 1. 대만일치시기 (1919년 ~ 1945년)
1919년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타이완에 건설된 펑산 무선 전신소는 일본 3대 무선 전신소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중요한 군사 시설이었다.[3] 건설 당시에는 후나바시 전신소와 동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군사적인 목적 외에도 민간 통신에도 활용되었다.1937년, 기계 고장으로 해상 안전이 위협받자 일본은 산콰이세키에 새로운 무선 전신소를 건설하고, 펑산 전신소를 타카오 통신대로 통합하였다. 중일 전쟁 발발 이후, 타카오 통신대는 일본 제국의 남서 태평양 통신 유지 및 미국과 영국의 해상, 공중 움직임을 감시하고 방해하는 전술적 용도로 활용되었다.[3]
2. 2. 중화민국 시기 (1945년 ~ 현재)
1945년 대만 반환 이후, 일본 해군 펑산 무선 전신소는 중화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해군 숙소로 개조되었다.[3] 그 후 10년 동안, 이 숙소는 정치범으로 기소된 군인들을 심문하는 시설로 사용되었다.[3] 1962년에는 이 지역에 '''해군 교도 센터'''(해군 훈련 센터/海軍訓導中心중국어)가 발족되었고, 1972년에는 '''명덕 훈련반'''으로 개편되어 군 내부의 규율 위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수용소로 운영되었다. 2001년경 명덕 훈련반이 해체되었다.명덕 훈련반 해체 후, 가오슝현 군인 가족 마을 문화 협회로 변경되었다. 이후 문화 유산으로 등록되어 2007년 전후 가오슝 현 정부가 가오슝 줸춘 문화 발전 협회에 유지 관리를 위탁했다. 2004년 역사 건축물, 2007년 현 지정 고적, 2010년 국가 지정 고적으로 지정되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현재는 가오슝 줸춘 문화 발전 협회가 위탁 관리하며, 주말에는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3. 교통
4. 논란 및 비판
참조
[1]
웹사이트
Cultural Heritage Kaohsiung > Cultural heritage > Historic Sites
https://web.archive.[...]
Heritage.khcc.gov.tw
2010-08-30
[2]
웹사이트
The Imperial Japanese Navy Fongshan Wireless Communications Station
http://khh.travel/Ar[...]
Kaohsiung Travel
2015-06-04
[3]
간행물
Japanese Electronics: Section-2 Communications
http://cgsc.contentd[...]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Navy Department
2018-09-05
[4]
웹인용
Cultural Heritage Kaohsiung > Cultural heritage > Historic Sites
http://heritage.khcc[...]
Heritage.khcc.gov.tw
2010-08-30
[5]
웹인용
The Imperial Japanese Navy Fongshan Wireless Communications Station
http://khh.travel/Ar[...]
Kaohsiung Travel
2015-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