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오슝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해 온 대만의 주요 항구이다. 16세기부터 네덜란드, 청나라, 일본 제국 시대를 거치며 타카우 항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1895년 일본이 대만을 점령한 후 현대적인 항구로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정부가 항만 개발을 재개하여, 현재 컨테이너 터미널, 벌크 화물 부두, 여객 터미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17년 확장 공사를 통해 크루즈 및 페리 서비스가 강화되었으며,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항구 - 지룽항
    지룽항은 타이완 북부 지룽시에 위치한 항구로, 스페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건설, 청나라 시대 무역항 개방, 일제강점기 대규모 개발을 거쳐 대만의 주요 항만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57개의 부두를 갖춘 군민 공용 항만이다.
  • 자유항 - 베이루트항
    베이루트항은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위치한 주요 항구로서,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지중해 무역 중심지였으나 내전 피해와 2020년 폭발 사고 등 어려움을 겪었다.
  • 자유항 - 지룽항
    지룽항은 타이완 북부 지룽시에 위치한 항구로, 스페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건설, 청나라 시대 무역항 개방, 일제강점기 대규모 개발을 거쳐 대만의 주요 항만으로 성장했으며, 현재 57개의 부두를 갖춘 군민 공용 항만이다.
  • 가오슝시의 교통 - 가오슝 국제공항
    가오슝 국제공항은 중화민국 가오슝에 위치하며, 1942년 개설되어 민간 공항으로 전환된 후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으며, 현재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노선을 운영하며 가오슝 첩운 등과 연결되어 있다.
  • 가오슝시의 교통 - 가오슝 여객 운송
    가오슝 여객 운송은 가오슝 시의 대중교통 시스템으로서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시 교통국의 관리하에 여러 버스 회사가 위탁 운영하며 100개 이상의 노선, 다양한 교통카드 결제, 첩운 연계, 환승 할인, 구간 운임제, 거리 비례 운임제, 관광객 대상 오픈 탑 버스, 다양한 버스 터미널과 차종, 그리고 여러 전자 화폐 결제 방식을 지원한다.
가오슝항
개요
가오슝 시가지
가오슝 시가지
본래 이름高雄港 (가오슝 강)
로마자 표기Gāoxióng Gǎng
한국어가오슝 항
위치가오슝
좌표22° 36′ 48″ N, 120° 16′ 45″ E
개항1858년
운영타이완 국제 항만 공사 가오슝 항만 지사
소유주교통부 (타이완)
웹사이트가오슝 항 공식 웹사이트
규모
부두116개
컨테이너 처리량 (2017년)1027만 TEU
추가 정보
첫 번째 입구
첫 번째 입구
두 번째 입구
두 번째 입구
통계 (2013년)
선박 입출항 수17,646 척
총 화물 처리량115,034,300 톤
컨테이너 처리량9,937,719 TEU

2. 역사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적인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해왔다. 16세기 당시, 현재 가오슝 해안 지역에는 원주민들이 거주하는 여러 마을이 있었으며, 이들은 이곳을 "타카우(打狗)"라고 불렀다. 1620년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가 이곳에 도착하면서 석호 개발이 시작되었고, 역사적으로 "타카우 항(打狗港|타카우강중국어)"으로 불린 이 항구는 네덜란드 시대, 정성공 시대, 그리고 초기 청나라 시대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1858년, 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에서 영국프랑스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톈진 조약을 체결하면서 상황이 변화했다. 이 조약에 따라 청나라 정부는 대만의 5개 항구를 외국과의 무역을 위해 개방해야 했고, 그중 하나인 타구항은 1864년 공식적으로 개방되었다. 이후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일본 제국에 할양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에 들어서면서 타이완 총독부는 타구항을 현대적인 항구로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계획에 착수했다. 일본은 3단계에 걸쳐 항구 확장 공사를 진행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세 번째 단계는 중단되었다. 이 시기인 1920년에 도시 명칭과 함께 항구 이름도 타구(打狗)에서 일본식 발음인 '高雄|타카오일본어'(Takao)로 변경되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가오슝(高雄)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가오슝항은 일본의 주요 군사 및 물류 거점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연합국의 집중적인 폭격 대상이 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가오슝항은 중화민국 정부의 관리하에 들어갔다. 중화민국 정부는 항구 시설 복구 및 개발을 재개했으며, 1975년에는 샤오강과 치진 사이의 육지를 개착하여 제2항만을 건설하는 등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현대적인 국제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16세기 ~ 19세기)

가오슝항은 수백 년에 걸쳐 자연적인 석호에서 현대적인 항구로 발전했다. 16세기 당시, 현재 가오슝 해안에는 이미 여러 마을이 있었는데, 당시 원주민들은 이곳을 "타카우(打狗)"라고 불렀다. 1620년대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 식민지 개척자들이 타카우에 도착하여 석호 개발을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타카우 항(打狗港|타카우강중국어)"으로 불린 이 항구는 네덜란드 시대, 정성공 시대, 그리고 초기 청나라 시대 동안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1858년, 청나라제2차 아편 전쟁에서 영국프랑스 연합군에게 패배하고, 톈진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청나라 정부는 외국과의 무역을 위해 대만의 5개 항구를 개방해야 했는데, 그중 하나인 타구항은 1864년부터 공식적으로 서양 상인들에게 개방되었다. 그 후, 청나라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후 1895년대만일본에 할양했다.

2. 2. 일본 제국 통치 시대 (1895년 ~ 1945년)

1895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대만일본 제국에 할양되었다. 이후 초기 일본 통치 시대에 타이완 총독부는 당시 '타구(打狗, Takau)'라 불리던 항구를 현대적인 항만 시설로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계획에 착수했다. 이는 일본의 식민지 경영과 물자 수송을 위한 중요한 기반 시설 확충의 일환이었다.

일본은 총 3단계에 걸쳐 항구 확장 공사를 계획했다. 1단계 공사는 1908년에 완료되었고, 2단계 공사는 1912년에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3단계 공사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중단되었다.

1920년에는 도시 명칭과 함께 항구 이름도 타구(打狗)에서 일본식 발음인 '高雄|타카오일본어'(Takao)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가오슝(高雄)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가오슝항은 일본의 중요한 군사 및 물류 거점이었기 때문에 연합국의 집중적인 폭격 목표가 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1945년 이후, 가오슝항은 중화민국 정부의 관리하에 들어가게 된다.

2. 3. 중화민국 시대 (1945년 ~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화민국 정부는 항구 개발을 재개하여 석호 내부에 연안 공업 지구를 개발했다. 1975년에 샤오강과 치진 사이의 육지를 뚫어 "제2항만"이 건설되었다.

제2항만 입구 남쪽에는 최근에 건설된 국제터미널(6부두) 근처에 박물관과 공원이 있다. 이 박물관은 확장된 항만 근처에 있던 상당히 큰 규모의 주거 지역의 역사와 철거 과정을 보여준다.[3]

이 항만은 중국 해안에서 인도 남단, 몸바사를 거쳐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 그리고 트리에스테의 상부 아드리아 해 지역까지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며, 트리에스테는 중앙 유럽과 동유럽으로 연결되는 철도망을 갖추고 있다.[4][5]

2017년, 타이완 국제항만공사는 가오슝항 확장 공사를 완료하고 컨테이너와 여객 처리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설을 추가했다.

가오슝항은 스타 크루즈의 슈퍼스타 버고와 같은 대형 크루즈 선박의 승하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이동식 조절식 여객 브리지를 도입하여 여객 서비스 시설을 확장했다. 새로운 3층 여객 브리지는 최대 8m 높이까지 크루즈 선박 해치의 높이에 맞춰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크루즈 선박 부두를 국제여행센터와 연결하는 에어컨이 설치된 밀폐된 통로도 완공했다. 타이완 국제항만공사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항만의 크루즈 사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2017년 가오슝항에는 약 12만 7천 명의 크루즈 승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항만의 페리 터미널도 확장되고 있다. 2017년 관광 성수기 동안 부다이-펑후 노선을 이용한 승객은 53만 명이 넘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수치이다. 증가하는 환승 승객을 수용하기 위해 항만은 기존 여객 서비스 센터를 개조하고 있다. 페리 부두도 확장되어 500톤이 넘는 페리 두 척을 동시에 정박할 수 있게 되어 부다이 항에 최대 9척의 페리를 동시에 정박할 수 있는 충분한 부두 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6]

3. 주요 시설

가오슝항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 처리를 위한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 중 하나로 여객 터미널이 있으며, 크루즈 및 페리 운항을 지원한다.

3. 1. 여객 터미널

2017년, 타이완 국제항만공사는 가오슝항 확장 공사를 완료하며 여객 처리량 증진을 위한 새로운 시설을 추가했다.

특히 크루즈 선박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여객 서비스 시설을 확장했다. 스타 크루즈의 슈퍼스타 버고와 같은 대형 크루즈 선박의 승하선을 돕기 위해 새로운 이동식 조절식 여객 브리지를 도입했다. 이 3층짜리 여객 브리지는 크루즈 선박 해치의 높이에 맞춰 최대 8m까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크루즈 선박 부두와 국제여행센터를 연결하는 에어컨이 설치된 밀폐형 통로도 완공하여 이용객의 편의성을 높였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항만의 크루즈 사업은 성장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는 약 12만 7천 명의 크루즈 승객이 가오슝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항만의 페리 터미널 역시 확장되었다. 2017년 관광 성수기 동안 부다이-펑후 노선을 이용한 승객은 53만 명이 넘어, 전년 같은 기간보다 5.4% 증가했다. 늘어나는 환승객을 수용하기 위해 항만 당국은 기존 여객 서비스 센터를 개조하고 있다. 페리 부두도 확장되어 500ton이 넘는 페리 두 척을 동시에 정박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부다이 항에는 최대 9척의 페리가 동시에 정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6]

4. 국제 관계

가오슝항은 중국 해안에서 출발하여 인도 남단, 케냐몸바사를 거쳐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지중해를 지나 이탈리아트리에스테 항구까지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이다. 트리에스테는 중앙 유럽 및 동유럽 지역과 연결되는 철도 교통망을 갖추고 있어, 가오슝항이 국제적인 물류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보여준다.[4][5]

5. 사고 및 사건


  • 2018년, 중국 화물선 차이나 스틸 이노베이터(Chinese Steel Innovator)가 입항 중에 에버그린 에버 레이든(Evergreen Ever Laden)의 후미와 충돌했다. 사망자나 부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7]
  • 2021년 6월 3일, OOCL이 운영하는 도킹선이 다른 선박과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을 충돌하여 크레인이 붕괴되었다.[8] 또 다른 크레인도 손상되었지만 붕괴되지는 않았다.[9]

6. 여담

타이완의 일제 강점기 시절 가오슝항은 일본의 주요 거점 항구 중 하나였다. 당시 일본은 이 항구를 통해 일본 국내 화물을 조선, 만주 등 인접 식민지 지역이나 멀리 오세아니아까지 운송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타이완 총독부는 가오슝항을 현대적인 항구로 만들기 위해 대규모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1단계 공사는 1908년, 2단계 공사는 1912년에 완료되었으나, 3단계 공사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중단되었다. 이 시기인 1920년에 항구의 명칭이 기존의 '타구(打狗)'에서 '가오슝(高雄)'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가오슝항은 연합국의 주요 공격 목표가 되어 심한 폭격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일본은 타이완, 조선, 만주, 사할린 남부, 남양 군도, 쿠릴 열도 등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포기하였다. 이에 따라 가오슝항을 포함한 타이완은 중화민국에 귀속되었다.

7. 갤러리

타가오(打狗) 항, 1897년


페리에서 본 일출 무렵의 가오슝 항구 스카이라인


컨테이너 처리 구역


가오슝항 입구

8. 지도

가오슝항 지도 범례
색상구역 종류
style="background-color:#ffaaaa;" |공업 지역
style="background-color:#fff9ae;" |컨테이너 부두
style="background-color:#ffd282;" |벌크화물 및 기타 화물 부두
style="background-color:#ffd2ff;" |창고 교환 지역
style="background-color:#8f93c8;" |어항
style="background-color:#64a0aa;" |상업 지역
style="background-color:#c83737;" |중화민국 해군 기지



참조

[1] 웹사이트 World Shipping Council - Top 50 Container Ports https://wayback.arch[...] 2018-04-22
[2] 웹사이트 Kaohsiung Port http://khh.travel/Ar[...]
[3] 웹사이트 Hongmaogang Cultural Park https://web.archive.[...] 2018-04-22
[4] 서적 To Rule Eurasia's Waves: The New Great Power Competition at Sea 2020
[5]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018
[6] 뉴스 Taiwan's Port of Kaohsiung Readies for Growth https://www.maritime[...] 2018-04-22
[7] 웹사이트 VLOC Collides with Containership at Taiwan's Kaohsiung Harbour https://www.seanews.[...] 2018-06-20
[8] 웹사이트 Video shows massive container crane collapse at Kaohsiung port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6-03
[9] 웹사이트 OOCL vessel blamed for crane collapse at Taiwan port https://www.freightw[...] 2021-06-04
[10] 웹사이트 應用統計分析報告: 七港營運實績分析 http://www.klhb.gov.[...] Keelung Harbor Bureau 2008-06-03
[11] 웹사이트 高雄港がUNCTAD「世界の港湾別コンテナ取扱量」ランキングで第12位 http://www.roc-taiwa[...] 台北駐日経済文化代表處
[12] 문서 TEU는 20피트 짜리 컨테이너의 1대 분량 규모를 가진 넓이 또는 크기로 보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