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르 공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르 공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 프랑스가 폴란드 침공에 대응하여 독일 국경에서 시작한 제한적인 군사 작전이다. 프랑스는 1921년 프랑스-폴란드 동맹에 따라 독일에게 전쟁을 선포하고, 1939년 9월 7일 라인강 계곡에서 공세를 시작했다. 프랑스군은 독일군의 저항이 약한 틈을 타 12개 마을을 점령했지만, 폴란드를 지원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9월 12일 공세 중단 결정이 내려졌고, 프랑스군은 마지노 선으로 철수하면서 이른바 "가짜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자르 공세는 독일군의 병력 전환을 유도하지 못했고, 연합군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프랑스 - 프랑스의 대독 선전포고 (1939년)
    1939년 프랑스의 대독 선전포고는 독일의 폴란드 침공에 대한 규탄과 자유 및 정의 수호를 명분으로 프랑스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계기가 된 사건이다.
  • 1939년 프랑스 - 왜 단치히를 위해 죽어야 하는가?
    "왜 단치히를 위해 죽어야 하는가?"는 1939년 마르셀 데아가 프랑스가 단치히를 위해 폴란드를 방어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한 기고문으로, 국가 이익과 동맹의 가치를 평가하는 맥락에서 인용되며 당시 프랑스 내 유화 정책 논쟁을 촉발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미쳤다.
  • 1939년 10월 - 폴란드 침공
    폴란드 침공은 나치 독일이 폴란드에 대한 영토적 야욕을 실현하기 위해 감행한 군사 작전이자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을 초래한 결정적 사건으로, 독일과 소련의 양면 공격으로 폴란드는 패배하여 분할 점령되었고 유럽 전역으로 전쟁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 1939년 10월 - 창사 전투 (1939년)
    창사 전투 (1939년)는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후난성의 창사를 점령하려 했으나, 중국군의 종심 방어와 초토화 작전으로 일본군을 격퇴하고 중국군의 사기를 높인 전투이다.
  • 1939년 독일 - 타넨베르크 작전
    탄넨베르크 작전은 나치 독일이 폴란드 침공과 함께 폴란드 사회 핵심 구성원을 제거하기 위해 1939년에 실행한 비밀 작전으로, 아인자츠그룹이 폴란드 엘리트 계층을 제거하는 데 주력하여 수많은 지식인과 지도자들이 희생되었다.
  • 1939년 독일 - 강철 조약
    강철 조약은 1939년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전쟁 발생 시 상호 지원을 규정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되지만, 이탈리아의 항복으로 1943년 사실상 해체되었다.
자르 공세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프랑스군의 배치
프랑스군의 배치
분쟁가짜 전쟁의 일부
기간1939년 9월 7일 - 1939년 10월 16일 (1개월 9일)
장소자를란트, 독일
결과독일의 승리
프랑스군의 전술적 철수
가짜 전쟁의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제3공화국
외교적 지원영국
교전국 2나치 독일
지휘관
프랑스모리스 가믈랭
앙드레-가스통 프레틀라
독일에르빈 폰 비츨레벤
병력 규모
프랑스40–85개 사단
전차 400대
야포 4,700문
독일22개 사단
야포 100문
피해 규모
프랑스사상자 2,000명
전차 4대 파괴
독일사망 552명
실종 114명
항공기 11대 격추
캠페인 정보

2. 배경

1921년, 프랑스폴란드는 군사 협약을 통해 독일을 상대로 방어 동맹을 맺었다.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틀 후인 1939년 9월 3일,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독일에 전쟁을 선포했다.[1]

2. 1. 프랑스-폴란드 동맹

1921년, 프랑스폴란드는 군사 협약을 통해 독일을 상대로 방어 동맹을 맺었다.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틀 후인 1939년 9월 3일 독일에 전쟁을 선포했다.[1]

2. 2. 독일의 폴란드 침공

프랑스폴란드는 1921년 군사 협약을 통해 독일을 상대로 방어 동맹을 맺었다.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틀 후인 1939년 9월 3일 독일에 전쟁을 선포했다.[1]

3. 공세의 목적

프랑스-폴란드 동맹에 따르면, 프랑스군은 동원 3일 이내에 주요 공세를 시작해야 했다. 프랑스군은 프랑스 국경과 지크프리트 선 사이의 지역을 효과적으로 장악하고 독일 방어선을 탐색해야 했다. 이 지역은 독일 제1군이 방어하고 있었다. 동원령 15일째(9월 16일)에 프랑스군은 독일을 전면 공격할 예정이었다. 8월 26일에 프랑스에서 선제 동원령이 시작되었고, 9월 1일에 전면 동원령이 선포되었다.[12]

프랑스군의 동원은 본질적으로 구식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전장에 병력을 신속하게 배치하는 능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군은 여전히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술을 믿고 있었고, 이는 수송과 배치에 시간이 걸림에도 불구하고 고정 포병에 크게 의존했다. 또한, 진격을 시작하기 전에 많은 장비를 보관소에서 꺼내야 했다.[13]

4. 프랑스군의 작전

자르 공세 이후 프랑스가 얻은 영토.


프랑스는 독일 선전 포고 나흘 뒤인 9월 7일 라인강 계곡을 따라 공세를 시작했다. 당시 독일 국방군은 대부분 폴란드 침공에 투입된 상태였고, 프랑스군은 독일 국경에서 상당한 병력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프랑스는 폴란드를 지원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프랑스 제2군 소속 11개 사단은 자르브뤼켄 인근 32km 지역에서 약한 독일군의 저항을 받으며 진격했다. 프랑스군은 8km를 전진하며 12개 마을과 도시를 점령했고[14], 독일군은 소극적으로 저항하며 후퇴했다. 르노 R35 전차 4대가 빌리스브루크 북부 광산에서 파괴되었다. 9월 10일 아파츠에서 독일군의 소규모 반격이 있었으나, 몇 시간 후 프랑스군이 탈환했다. 9월 12일, 제32 보병 연대가 브렌셀바흐 마을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대위 1명, 병장 1명, 병사 7명이 사망했다.[15] 프랑스군은 와른트 숲을 점령한 후 공세를 중단했으며, 7.8km2의 독일 지뢰밭 지역을 점령했다. 프랑스군은 지크프리트 선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당시 서부 전선에서는 프랑스의 대규모 공격이 예상되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의 대규모 공습을 우려하여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독일 전선 항공기의 90%가 폴란드에 투입되었고, 서부 전선을 지키는 독일군 부대가 실제 전투 능력을 상실한 상태여서 프랑스가 3:1의 병력 우위에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4. 1. 프랑스군의 동원

프랑스군동원령이 시작된 지 3일 후에 주요 공세를 위한 준비를 시작해야 했다. 프랑스군은 프랑스 국경과 지크프리트 선 사이의 지역을 효과적으로 장악하고 독일 방어선을 탐색해야 했다. 이 지역은 독일 제1군이 방어하고 있었다. 동원령 15일째(9월 16일)에 프랑스군은 독일을 전면 공격할 예정이었다. 8월 26일에 프랑스에서 선제 동원령이 시작되었고, 9월 1일에 전면 동원령이 선포되었다.

프랑스군의 동원은 본질적으로 구식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전장에 병력을 신속하게 배치하는 능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1] 프랑스군은 여전히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술을 믿고 있었고, 이는 수송과 배치에 시간이 걸림에도 불구하고 고정 포병에 크게 의존했다. 또한, 진격을 시작하기 전에 많은 장비를 보관소에서 꺼내야 했다.[2]

4. 2. 초기 진격 (9월 7일 ~ 9월 12일)

프랑스는 독일 선전 포고 4일 후인 9월 7일 라인강 계곡의 공세를 시작했다. 독일 국방군(Wehrmacht)은 대부분 폴란드 공격에 투입되었고, 프랑스 군은 독일 국경에서 매우 큰 병력차를 보였다. 그러나, 프랑스는 폴란드를 지원하기 위한 어떤 지원도 하지 않았다. 프랑스 제 2군의 일부인 11개 프랑스군 사단은 자르브뤼켄 32km를 따라서 약한 독일군의 저항을 만났다. 프랑스군은 8km를 전진하며 12개 마을과 도시를 점령했고[14], 독일군은 약한 저항을 하며 후퇴했다. 르노 R35 전차 4대가 빌리스브루크 북부 광산에서 파괴되었다. 9월 10일 아파츠 마을에서 작은 독일군의 반격이 있었으나, 몇 시간 후 프랑스군이 탈환했다. 9월 12일 제32 보병 연대가 대위 한명, 병장 한명, 병사 7명이 사망하면서 브렌셀바흐 마을을 점령했다.[15] 프랑스군은 와른트 숲을 점령한 후 공세를 중단했으며, 7.8km2의 독일 중지뢰밭 영토를 점령했다. 프랑스군은 지크프리트 선에 도달하지 못했다.

푈클링겐의 독일 식민 연맹 사무실 밖의 프랑스 군인


거의 모든 사람은 전쟁 발발 직후 서부 전선에서 프랑스의 대규모 공격을 예상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양국 모두 독일의 대규모 공습을 두려워하여 신중을 기했다. 그들은 독일 전선 항공기의 90%가 폴란드에 있다는 것을 몰랐고, 전선을 지키고 있던 몇 안 되는 독일 부대가 실제로 "뼈만 남은" 상태로 실제 전투 능력을 상실하여 프랑스가 독일보다 3:1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9월 7일에 공세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한 지 4일 후였다. ''국방군''은 폴란드 공격에 참여했고 프랑스는 독일 국경에서 결정적인 수적 우위를 누렸지만, 프랑스는 폴란드를 도울 수 있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제2군 집단의 일부인 11개 프랑스 사단은 자르브뤼켄 근처를 따라 약한 독일의 저항에 맞서 진격했다. 프랑스군은 일부 지역에서 최대 8km까지 진격했으며 저항 없이 약 12개의 마을을 점령했다.

프랑스군 점령 도시
게르스하임
메델스하임
Ihn
니더가일바흐
블리스멩겐
루트바일러
브렌셸바흐
라우터바흐
니달토르프
클라인블리터스도르프
아우어스마허
지터스발트 (일부 프랑스 보고서에서는 "히틀러도르프"라고 불리기도 함)



르노 R35 전차 4대가 블리스브뤼크 북쪽에서 지뢰에 의해 파괴되었다.

9월 9일까지 프랑스는 바르트 숲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9월 10일, 독일의 소규모 반격으로 아파흐 마을을 탈환했지만, 프랑스군은 불과 몇 시간 만에 손실을 되돌렸습니다. 9월 12일, 프랑스 제32 보병 연대는 독일 마을 브렌셸바흐를 점령하여 추가적인 진전을 이루었으며, 이 과정에서 대위 1명, 상사 1명, 사병 7명의 손실을 입었다.[2] 프랑스, 독일, 룩셈부르크 국경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서 쉥겐 다리가 파괴되었다.[3]

라우터바흐의 프랑스 군인


프랑스군은 독일군이 심하게 지뢰를 매설한 바르트 숲을 점령한 후 공세를 중단했다. 프랑스는 지크프리트 선 바로 앞에서 멈췄지만, 자르브뤼켄 바로 동쪽의 몇 킬로미터 남쪽에 도달했다.

4. 3. 공세 중단과 철수 (9월 12일 ~ 10월 17일)



프랑스군은 독일군이 심하게 지뢰를 매설한 바르트 숲을 점령한 후 공세를 중단했다. 프랑스는 지크프리트 선 바로 앞에서 멈췄지만, 자르브뤼켄 바로 동쪽의 몇 킬로미터 남쪽에 도달했다.

프랑스는 라인-모젤 전선 전체에서 독일 영토를 점령했지만, 폴란드가 붕괴된 후,[4] 9월 21일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프랑스 부대에 마지노 선의 출발점으로 복귀하라고 명령했다. 앙리 지로와 같은 일부 프랑스 장군은 철수를 기회 낭비로 보고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철수가 진행되는 동안, 9월 28일 독일 제18 보병 연대(당시 새로 창설된 제52 사단)의 반격이 비스히마임과 옴머스하임 사이 지역에서 발생했고, 프랑스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10월 17일, 철수가 완료되었다. 프랑스군 사상자는 약 2,000명(사망, 부상 또는 질병)이었다.[2]

5. 작전 결과 및 영향

프랑스군의 폴란드 군사 작전의 총책임자인 루이스 파우리.


자르 공세는 40개 사단 규모의 전면적인 공격이 실현되지 않았고, 독일군의 병력 전환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등 미미한 결과를 낳았다. 폴란드군의 서부 작전 계획(Plan West)은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의 공세가 동부 전선의 폴란드군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5]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독일군 사령관 알프레트 요들은 "만약 우리가 1939년에 붕괴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폴란드 전역 동안 서부에 있던 약 110개의 프랑스 및 영국 사단이 23개의 독일 사단에 대해 완전히 무력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9]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장군은 만약 프랑스가 1939년 9월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했다면 독일군은 "1~2주만 버틸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진술했다.[10]

5. 1. 프랑스군의 철수와 "가짜 전쟁"

9월 12일, 영국-프랑스 최고 전쟁위원회가 프랑스 아브빌에서 처음 열렸다. 이 회의에서 모든 공세를 즉시 중단한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지크프리트 선에서 1km 이내로 진격을 중지하라고 명령했다. 폴란드는 이 결정에 대해 통보받지 못했다. 가믈랭은 에드워드 리츠-시미그위 원수에게 자신의 사단 절반이 적과 교전 중이며, 프랑스군의 진격으로 인해 독일군이 6개 사단을 폴란드에서 철수해야 했다고 설명했다.[16][17] 다음 날, 프랑스군의 폴란드 군사 작전 지휘관 루이스 파우리는 폴란드 참모총장 바츠와우 스타히에비츠에게 9월 17일에서 20일까지 서부 전선에서의 주요 공세를 연기한다고 알렸다.

10월 16일부터 17일까지, 폴란드 전역에서 승리한 독일군은 여전히 공세가 취소된 프랑스군을 몰아내기 위한 반격을 시작했고, 프랑스군은 계획대로 철수했다.[16][17] 독일군 보고에 따르면 196명이 사망, 114명이 실종, 356명이 부상당했다.[11] 10월 17일까지 11대의 독일군 비행기가 대공포에 의해 격추되었다고 한다.[18] 프랑스군은 약 2,000명의 사상자(사망, 부상, 질병)가 발생했다고 추정한다.[15] 모든 프랑스군 사단은 마지노 선의 막사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로써 가짜 전쟁이 시작되었다.

5. 2. 독일군의 피해

독일 측 보고에 따르면 196명이 사망했고, 114명이 실종되었으며, 356명이 부상을 입었다.[11] 또한 10월 17일까지 11기의 비행기가 대공포에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18]

5. 3. 프랑스군의 피해

프랑스군은 자르 공세에서 약 2,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5] 모든 프랑스군 사단들은 마지노 선의 막사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가짜 전쟁이 시작되었다.

6. 평가



폴란드군의 서부 작전 계획은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의 공세가 폴란드 전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5] 그러나 자르 공세는 미미하고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독일군 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전혀 내지 못했다.

당시 영프 최고 전쟁 위원회는 공세를 중단하기로 결정했지만, 폴란드 측에는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6] 모리스 가믈랭은 에드워드 리즈-시미글리에게 프랑스군이 독일군 6개 사단을 폴란드에서 철수시켰다고 거짓 보고를 하기도 했다. 루이 포리는 폴란드 측에 공세 연기를 통보했다.

이후 독일군은 반격을 통해 잃었던 영토를 되찾았고,[7] 프랑스군은 마지노 선으로 철수하면서 가짜 전쟁이 시작되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독일군 지휘관 알프레트 요들은 당시 서부전선의 연합군 전력이 압도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지 않아 독일이 버틸 수 있었다고 증언했다.[9]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장군 또한 만약 프랑스가 1939년 9월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했다면 독일군은 "1~2주만 버틸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진술했다.[10]

6. 1. 군사적 평가

폴란드군의 방어 계획인 서부 작전 계획은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의 공세가 동부의 폴란드 전선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다.[5] 그러나 미미하고 미온적인 자르 공세는 독일군의 병력 전환을 전혀 이끌어내지 못했다. 40개 사단 규모의 전면적인 공격은 실현되지 않았다.

9월 12일, 영프 최고 전쟁 위원회가 프랑스 아베빌에서 처음으로 소집되었고, 모든 공격 행위를 즉시 중단하기로 결정되었다.[6]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자신의 부대에 지크프리트 선을 따라 독일군 진지에서 1km 이상 떨어지도록 명령했다. 폴란드에는 이 결정이 통보되지 않았다. 대신 가믈랭은 에드워드 리즈-시미글리 원수에게 자신의 사단의 절반이 적과 접촉하고 있으며, 프랑스군의 진격으로 인해 ''국방군''이 최소 6개 사단을 폴란드에서 철수해야 했다고 잘못 알렸다.

다음 날, 폴란드 주재 프랑스 군사 임무단 사령관 루이 포리 장군은 폴란드 참모총장 바츨라프 스타키에비츠 장군에게 서부 전선에서 계획된 대규모 공세가 9월 17일에서 20일로 연기되어야 한다고 통보했다.

10월 16일부터 17일까지, 폴란드 전역에서 돌아온 병력으로 보강된 독일군은 잃었던 영토를 탈환하기 위한 반격을 감행했고, 프랑스 호위 부대가 점령하고 있었다.[7] 독일 보고서에 따르면 196명의 병사가 사망하고, 114명이 실종, 356명이 부상당했다고 한다.[1] 또한 10월 17일 기준으로 독일 항공기 11대가 격추되었다고 주장했다.[8] 프랑스는 자르 공세에서 약 2,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2] 그 무렵, 모든 프랑스 사단은 마지노 선을 따라 병영으로 철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가짜 전쟁이 시작되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독일군 사령관 알프레트 요들은 "만약 우리가 1939년에 붕괴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폴란드 전역 동안 서부에 있던 약 110개의 프랑스 및 영국 사단이 23개의 독일 사단에 대해 완전히 무력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9]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장군은 만약 프랑스가 1939년 9월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했다면 독일군은 "1~2주만 버틸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진술했다.[10]

6. 2. 정치적 평가

영국-프랑스 최고 전쟁위원회는 1939년 9월 12일 프랑스 아브빌에서 처음 열렸다. 이 회의에서 모든 공세를 즉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모리스 가믈랭 장군은 "지크프리트 선 1km 내"로의 진격을 중지하라고 명령했지만, 폴란드에는 이 결정이 통보되지 않았다. 가믈랭은 에드워드 리츠-시미그위 원수에게 프랑스군이 진격하여 독일군 6개 사단이 폴란드에서 철수해야 했다고 거짓으로 알렸다.[16]

다음 날, 프랑스군의 폴란드 군사 작전 책임자인 루이스 파우리는 폴란드 참모총장 바츠와우 스타히에비츠에게 서부전선의 주요 공세가 9월 17일에서 20일로 연기되었다고 알렸다.[17]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독일군 사령관 알프레트 요들은 "만약 우리가 1939년에 붕괴되지 않았다면, 그것은 폴란드 전역 동안 서부에 있던 약 110개의 프랑스 및 영국 사단이 23개의 독일 사단에 대해 완전히 무력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9]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장군은 만약 프랑스가 1939년 9월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했다면 독일군은 "1~2주만 버틸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10]

참조

[1] 문서 Berlin Diary https://archive.org/[...] 1939-10-20
[2] 웹사이트 La drôle de guerre 39-40 http://www.cheminsde[...] 2021-09-22
[3] 간행물 The Luxembourg Grey Book https://www.ibiblio.[...] Government of Luxembourg 2016-03-13
[4]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5] 서적 Marshal Edward Śmigły-Rydz Rydz and the Defense of Poland
[6] 서적 The Collapse of the Third Republic: An Inquiry into the Fall of France in 1940 Pocket Books
[7] 뉴스 Germans counterattack in the Saar region http://www.onwar.com[...] Chronology of WWII 1939-10-16
[8] 뉴스 Berlin expects Italy will react to New Turkish Treaty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1939-10-20
[9] 웹사이트 Trial of the Major War Criminals before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https://www.loc.gov/[...]
[10] 기타 World at War – "France Falls" Thames TV
[11] 문서 Berlin Diary http://archive.org/s[...] 1939-10-20
[12] 서적 The War: A Concise History 1939-1945 Julian Messner, Inc.
[13] 서적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G.P. Putnam’s Sons
[14] 문서 거헤임, 메델헤임, 아인, 니에데르겔베치, 빌리에스메겐, 루드웨일러, 브렌셀바흐, 라우터바츠, 니에달트도프, 클레인빌리테르스도프, 아우르스메처, 시티테르스윌드(당시 히틀러스도프).
[15] 웹사이트 La drôle de guerre http://www.cheminsde[...] Ministére de la Defénse 2015-09-23
[16] 서적 "Hitler's Blitzkrieg Campaigns: The Invasion And Defense Of Western Europe, 1939-1940" Da Capo Press
[17] 뉴스 Germans counterattack in the Saar region http://www.onwar.com[...] Chronology of WWII 2013-10-14
[18] 뉴스 Berlin expects Italy will react to New Turkish Treaty http://news.google.c[...] Associated Press 1939-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