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연 증감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 증감률(RNI, Rate of Natural Increase)은 인구 통계학에서 출생과 사망만을 기준으로 인구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자연 증감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빼서 해당 인구 집단의 총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며, 백분율 또는 인구 1,000명당 숫자로 표현된다. 자연 증감률은 인구 변동의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 변천 모형의 단계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각국 정부는 출산율 장려 또는 억제를 통해 자연 증감률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시행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통계량 - 슬래커
    슬래커는 게으름뱅이나 무위도식하는 사람을 뜻하는 용어로, 노동자 시위, 징병 기피자, X세대를 거쳐 대중문화에서 직업 윤리에 대한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거나 슬랙웨어 리눅스 배포판 사용자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인구통계량 - 넷카페 난민
    넷카페 난민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넷카페에서 장기간 생활하며 주거, 법적 문제, 감염병 위험 등에 직면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며, 일본 정부는 이들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자연 증감률
개요
정의인구의 출생률에서 사망률을 뺀 값
설명인구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양수이면 인구 증가, 음수이면 인구 감소를 의미함.
참고 자료미국 인구 조사국: 인구 변화 이해
유엔 경제사회국: 세계 인구 전망
Our World In Data: 자연적 인구 증가율
대한민국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 참고

2. 자연 증감률의 계산

자연 증감률(RNI)은 특정 인구 집단의 출생 수와 사망 수의 차이를 통해 인구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백분율(%) 또는 인구 1,000명당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

자연 증감률은 다음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 '''백분율(%)로 나타내는 경우:''' (출생 수 - 사망 수) ÷ 총 인구 수 × 100
  • '''인구 1,000명당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 (출생 수 - 사망 수) ÷ (총 인구 수 ÷ 1,000)


인구 1,000명당 자연 출생 수에서 1,000명당 사망 수를 빼서 계산할 수도 있으며, 이 값을 다시 1,000으로 나누면 백분율로 변환할 수 있다.

2. 1. 계산 예시

어떤 인구 집단 5,000명이 1년 동안 1,150명의 출생과 900명의 사망을 경험한다고 가정해 보자.

해당 연도의 자연 증감률(RNI)을 백분율로 나타내려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1,150 – 900) ÷ 5,000 = 0.05 = +5%

인구 1,000명당 RNI를 숫자로 나타내려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1,150 – 900) ÷ (5,000/1,000) = 250 ÷ 5 = +50

이는 또한 인구 1,000명당 자연 출생 수에서 1,000명당 사망 수를 뺀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 (1,150 ÷ 5) – (900 ÷ 5) = 230 – 180 = +50

인구 1,000명당 RNI를 백분율로 변환하려면, 1,000으로 나눈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50 ÷ 1,000 = 0.05 = +5%

3. 자연 증감률의 활용

자연 증감률은 인구 통계학자들이 특정 지역의 인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연 증감률은 인구 유입과 유출을 제외하고 출생과 사망만을 기준으로 인구 증가를 나타내기 때문에,[1] 자연 인구 변화와 전체 인구 변화를 비교하면 특정 지역에서 어떤 요인이 더 지배적인지 알 수 있다. 여러 지역 간의 이러한 차이를 통해 출생이 사망보다 많은 지역과 이주로 인해 변화하는 지역을 구분할 수 있다.

2014년과 2015년 사이에 인구가 증가한 미국 카운티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 증감률의 추세는 해당 지역이나 국가가 인구 변천 모형의 어떤 단계에 있는지 보여준다.

3. 1. 인구 변화 요인 분석

자연 증감률은 인구 통계학자들이 특정 지역의 인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자연 증감률은 인구 유입과 유출을 제외하고 출생과 사망만을 기준으로 인구 증가를 나타낸다. 자연 인구 변화와 전체 인구 변화를 비교하면 특정 지역에서 어떤 요인이 더 지배적인지를 알 수 있다.[1] 여러 지역 간의 이러한 차이를 살펴보면 주로 출생이 사망을 초과하여 변화하는 지역과 주로 이주로 인해 변화하는 지역을 알 수 있다. 오른쪽의 지도는 미국에 대한 그러한 분석을 보여준다.[1]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 증감률의 추세는 해당 지역 또는 국가가 인구 변천 모형 (DTM)의 어떤 단계에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3. 2. 인구 변천 모형(DTM)과의 관계

자연 증감률은 인구 통계학자들이 특정 지역의 인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자연 증감률은 인구 유입과 유출을 제외하고 출생과 사망만을 기준으로 인구 증가를 나타낸다.[1] 자연 인구 변화와 전체 인구 변화를 비교하면 특정 지역에서 어떤 요인이 더 지배적인지를 알 수 있다. 여러 지역 간의 이러한 차이를 살펴보면 주로 출생이 사망을 초과하여 변화하는 지역과 주로 이주로 인해 변화하는 지역을 알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른 자연 증감률의 추세는 해당 지역 또는 국가가 인구 변천 모형 (DTM)의 어떤 단계에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4. 국가별 자연 증감률 정책

세계 각국에서는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자연 증감률(RNI)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부의 시도가 흔히 나타난다.[4] 이러한 정책들은 출산율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가족, 여성 건강, 모성/아동 건강을 지원하는 훌륭한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춘 국가는 유아 사망률이나 산모 사망률이 낮아 자연 증감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4. 1. 출산 장려 정책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싱가포르는 출산율 증가를 장려하기 위해 가족에게 "유행병 베이비 보너스"를 제공하여 자연 증감률(RNI)을 증가시켰다.[5] 미국도 이와 유사한 정책을 고려했다.[6]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출산율을 감소시켜 자연 증감률을 낮추려는 의도로 시행되었다.[7]

4. 2. 출산 억제 정책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은 출산율을 감소시켜 자연 증감률(RNI)을 낮추려는 의도로 시행되었다.[7] 반면,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싱가포르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가족에게 "유행병 베이비 보너스"를 제공하여 자연 증감률을 증가시켰다.[5] 미국도 이와 비슷한 정책을 고려했다.[6]

4. 3. 사회 기반 시설과 자연 증감률

세계 각국에서는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자연 증감률(RNI)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부의 시도가 흔히 나타난다.[4] 정책은 출산율 증가를 장려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싱가포르는 더 높은 출산율을 장려하기 위해 가족에게 "유행병 베이비 보너스"를 제공하여 RNI를 증가시켰다.[5] 미국도 이와 유사한 정책을 고려했다.[6] 또 다른 예로는 출산율을 감소시켜 RNI를 감소시키려는 의도로 시행된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이 있다.[7]

가족, 여성 건강, 모성/아동 건강을 지원하는 훌륭한 사회 기반 시설을 갖춘 국가는 유아 사망률이나 산모 사망률이 낮아 RNI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웹사이트 Growth or Decline: Understanding How Populations Change https://www.census.g[...] 2016-03-24
[2]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3] 웹사이트 Estimates, 1950 - 2020: Annually interpolated demographic indicators - Rate of natural increase (per 1,000 population) https://ourworldinda[...]
[4] 웹사이트 Government policies to raise or lower the fertility leve https://www.un.org/e[...] 2017-12
[5] 웹사이트 Singapore offers 'pandemic baby bonus' to boost births https://www.bbc.com/[...] 2020-10-06
[6] 웹사이트 Would Americans Have More Babies if the Government Paid Them? https://www.nytimes.[...] 2021-02-17
[7] 논문 The Effect of China's One-Child Family Policy after 25 Years http://discovery.ucl[...] 2005-09-15
[8] 웹인용 2020년 출생·사망통계(잠정) https://www.korea.kr[...] 202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