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작은볼기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은볼기근은 부채꼴 모양의 골반 근육으로, 엉덩뼈 바깥면에서 시작하여 넙다리뼈의 큰돌기 앞쪽에 닿는다. 이 근육은 엉덩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간볼기근과 함께 엉덩관절을 벌리고, 앞쪽 섬유는 엉덩관절을 굽히고 넓적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한다. 위볼기신경 마비로 인해 작은볼기근이 마비되면 다리를 벌리기 어려워져 트렌델렌버그 보행이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 근육 - 긴발가락폄근
    긴발가락폄근은 정강뼈 등에서 시작하여 발가락 4개에 닿으며, 발가락뼈사이근 및 벌레근에서 섬유를 받아 널힘줄을 형성하여 먼쪽발가락뼈에 부착되는 다리 근육이다.
  • 하지 근육 - 짧은종아리근
    짧은종아리근은 종아리뼈에서 시작하여 다섯째 발허리뼈에 닿아 발의 외전과 족저 굴곡을 담당하며 한 다리로 설 때 발을 안정시키는 근육이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작은볼기근
개요
라틴어musculus glutaeus minimus
영어gluteus minimus muscle
한국어작은볼기근
일본어小臀筋 (しょうでんきん, shōdenkin)
작은볼기근 (빨간색으로 표시). 뒤쪽에서 본 모습.
작은볼기근 (빨간색으로 표시). 뒤쪽에서 본 모습.
작은볼기근과 주변 볼기 근육 (뒤쪽에서 본 모습)
작은볼기근과 주변 볼기 근육 (뒤쪽에서 본 모습)
기시 및 정지
이는곳 (기시)엉덩뼈의 앞볼기근선과 아래볼기근선 사이 영역 (중간볼기근 아래)
닿는곳 (정지)넙다리뼈의 큰돌기
혈액 공급 및 신경 분포
혈액위볼기동맥
신경위볼기신경 (L4, L5, S1 신경 뿌리)
작용
작용중간볼기근과 함께 작용: 엉덩관절 벌림, 넓적다리 안쪽돌림, 엉덩관절의 모음을 막음
대항근넙다리뼈 가쪽돌림근
참고 문헌
참고 문헌Greco AJ, Vilella RC.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Gluteus Minimus Muscle. StatPearls. 2020 Jul.

2. 구조

작은볼기근은 부채꼴 모양이며, 앞볼기근선과 아래볼기근선 사이의 엉덩뼈 바깥면, 그리고 뒤쪽에서는 큰궁둥패임의 모서리에서 시작된다.

근섬유들은 깊은 면에서 합쳐져 방사형의 널힘줄을 형성하며, 이 널힘줄은 넙다리뼈의 큰돌기 앞쪽 경계에 힘줄로서 닿는다. 이 힘줄은 엉덩관절의 관절주머니로 확장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작은볼기근은 엉덩관절을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볼기와 넓적다리 뒤쪽의 근육들. 작은볼기근이 강조되어 있다.

2. 1. 위치 관계

윤활주머니가 작은볼기근의 힘줄과 큰돌기 사이에 놓인다.

중간볼기근과 작은볼기근 사이에는 위볼기동맥, 위볼기정맥의 깊은가지, 위볼기신경이 위치한다.

작은볼기근의 깊은쪽에는 넙다리곧은근의 힘줄과 엉덩관절의 관절주머니가 존재한다.

2. 2. 변이

작은볼기근은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는 가쪽넓은근 이는곳의 바깥쪽 부분, 궁둥구멍근, 위쌍동근으로 근육 슬립을 낼 수 있다. 작은볼기근은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뉘거나, 이상근, 상쌍자근 또는 외측광근의 기시 바깥쪽 부분으로 힘줄을 보낼 수 있다.

3. 기능

작은볼기근과 중간볼기근은 다리가 펴진 상태에서 벌림 작용을 하며, 한쪽 다리로 몸을 지탱할 때 넙다리근막긴장근과 함께 주로 사용된다. 또한 고관절의 국소 안정화 근육이기도 하다.

3. 1. 세부 기능

중간볼기근과 작은볼기근은 다리가 펴진 상태일 때 엉덩관절을 벌린다. 또한 한쪽 발로 서 있을 때 넙다리근막긴장근과 함께 몸통을 지지한다.

앞쪽의 섬유는 엉덩관절을 굽히는 역할도 하며, 큰돌기를 앞쪽으로 당겨 넓적다리를 안쪽으로 돌린다.[12][13] 이 작용은 넙다리근막긴장근도 함께 돕는다.

중간볼기근과 작은볼기근은 같은 작용을 일으킨다고 설명되어 왔다. 주된 기능은 넙다리뼈 벌림이지만, 넙다리뼈의 위치에 따라 안쪽돌림과 굽힘을 일으킬 수도 있다.[14] 한편 엉덩관절이 굽혀진 상태일 때 작은볼기근은 넓적다리를 안쪽으로, 엉덩관절이 펴진 상태일 때는 넓적다리를 바깥쪽으로 돌린다는 연구도 있다.[14][15]

엉덩관절 위쪽 관절주머니에 붙은 작은볼기근은 관절이 움직이는 동안 관절주머니를 관절로부터 뒤로 들이는 역할을 한다. 이 기전은 무릎에서 무릎관절근의 작용과 비슷하게 관절주머니의 충돌을 막을 수도 있다.[16]

4. 임상적 중요성

위볼기신경 마비 등으로 인해 중간볼기근이나 작은볼기근이 마비되면 다리를 벌리기 어려워질 수 있다. 환자는 이때 보행 양상이 트렌델렌버그 보행으로 바뀌면서 이런 벌림의 어려움을 보상한다. 상둔 신경 마비 등으로 인해 이 근육 또는 중둔근이 마비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다리를 벌리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사람들은 걷는 데 어려움을 겪을 때 트렌델렌버그 보행을 취함으로써 이를 보상하려 한다.

5. 추가 이미지

엉덩관절 주변의 구조물. 작은볼기근은 중간의 왼쪽에 그려져 있다.


오른쪽 골반뼈 바깥면


오른쪽 넙다리뼈 앞면


볼기와 넓적다리 뒤쪽의 동맥


오른쪽 하지 뒤쪽의 신경

  • -|]]

참조

[1] 간행물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Gluteus Minimus Muscle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0-07
[2] 간행물 Motor Control Programs and Walking
[3] 서적 How Man Moves: kinesiological methods and studies Heinemann
[4] 간행물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luteus minimus muscle 2000
[5] 문서 Clinical Musculoskeletal Anatomy CBLS 2004
[6] 서적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7] 웹사이트 小殿筋(しょうでんきん) https://dictionary.g[...]
[8] 웹사이트 小臀筋(しょうでんきん) http://www.musculatu[...]
[9] 문서 외전이나 내회전에 대해서는, [[해부학에 있어서 운동의 표현]]을 참조할 것.
[10] 웹사이트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옛 대한의협 3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11] 저널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Gluteus Minimus Muscle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0-07
[12] 저널 Motor Control Programs and Walking
[13] 서적 How Man Moves: kinesiological methods and studies https://archive.org/[...]
[14] 저널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luteus minimus muscle 2000
[15] 문서 Clinical Musculoskeletal Anatomy CBLS 2004
[16] 서적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