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릉 (조선 인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릉은 조선 인조와 그의 원비 인렬왕후의 합장릉이다. 인조는 인조반정으로 즉위하여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었으며, 남한산성에서 항거하다 삼전도의 굴욕을 겪었다. 인렬왕후가 1635년 사망하자, 1636년 파주 운천리에 장릉을 조성하고 인조는 자신의 능을 미리 마련해 두었다가 1649년 사망 후 묻혔다. 그러나 능에 화재가 발생하고 이변이 계속되자 1731년 현재의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무덤 - 영릉 (조선 진종)
영릉은 조선의 추존왕 진종의 능으로, 본래 이행이라는 이름으로 경종의 맏아들로 태어나 영조 즉위 후 왕세제로 책봉되었으나 10세에 요절하였으며,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파주 삼릉 내에 위치한다. - 파주시의 무덤 - 순릉 (공혜왕후)
순릉은 조선 성종의 비인 공혜왕후 한씨의 능으로, 그녀는 한명회의 딸로서 성종과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지만 19세에 요절하여 파주에 위치한 순릉에 안장되었으며, 왕비의 능으로서 석물의 수가 다른 능보다 많다는 특징을 가진다. - 파주시의 문화유산 - 자운서원
자운서원은 효종의 친필 사액으로 세워진 서원으로, 이이와 신사임당의 유물을 전시하며, 매년 율곡문화제가 개최되고, 주변에 시도 기념물과 연수원, 박물관 등이 위치한다. - 파주시의 문화유산 - 화석정
화석정은 1443년 이이의 5대 조부 이명신이 건립하고 이숙함이 이름을 지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었으나 여러 차례 복원된 정자이다. - 조선의 왕릉 - 태강릉
태릉은 조선 중종의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의 단릉으로, 원래 중종의 정릉 옆에 묻히길 원했으나 침수 문제로 현재 위치에 안장되었으며, 제향은 태릉봉향회에서 주관하고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 인근에 강릉과 태릉선수촌이 있고 2014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 조선의 왕릉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장릉 (조선 인조)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파주 장릉 (坡州 長陵) |
로마자 표기 | Paju Jangneung |
위치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장릉로 90 |
좌표 | 37°46′18″N 126°42′33″E |
상세 정보 | |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사적 제203호 |
지정일 | 1970년 5월 26일 |
시대 | 조선 시대 |
면적 | 414,427m² |
소유자 | 문화재청 |
관리자 | 문화재청 |
세계유산 정보 | |
유형 | 문화 |
지정 기준 | (iii), (iv), (vi) |
지정 연도 | 2009년 (제33차 회의) |
지정 번호 | 1319 |
지역 | 아시아 및 오스트랄라시아 |
추가 정보 | |
관리 | 문화재청 |
2. 조성
장릉은 조선 16대 왕 인조와 그의 원비 인렬왕후의 합장릉이다. 1635년 인열왕후가 승하하자 능호를 《장릉》이라 하고 1636년 파주 운천리에 처음 조성되었다.[4] 인조는 자신의 능 자리도 미리 마련해 두었고, 1649년 승하 후 그곳에 묻혔다.
그러나 이후 화재가 발생하고 뱀과 전갈이 석물 틈에 집을 짓는 등 이변이 계속되어 1731년 현재 위치인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로 옮겨졌다.[4] 묘는 17세기 한국 미술의 특징을 따라 모란과 연꽃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다.[1][2][3]
2. 1. 최초 조성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는 1623년 3월 13일 즉위하였다. 그 후 청과의 외교 관계가 악화되어 1627년 정묘호란, 1636년 병자호란 등의 변란을 겪었으며, 남한산성에서 항거하다 삼전도의 굴욕을 겪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청에 볼모로 보내는 치욕적인 삶을 살게 된다.인조의 원비 인렬왕후는 서평부원군 한준겸의 딸로 선조 27년 1594년 7월 1일 강원도 원주시에서 태어났다. 광해군 2년 1610년 가례를 올려 청성현부인으로 봉해졌으며, 1623년 인조가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인조 13년 1635년 12월 9일 산후병으로 42세의 나이로 인렬왕후가 승하하자 능호를 《장릉》이라 하고 이듬해 1636년 4월 12일 파주시 운천리의 언덕에 능을 조영하였다. 인조는 장릉을 조영하면서 오른쪽에 미리 자신의 능을 마련해 두었다가 인조 27년 1649년 5월 8일 승하한 후 그곳에 묻혔다.[4]
2. 2. 이장
인조의 원비 인렬왕후는 1635년 12월 9일 산후병으로 42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능호는 《장릉》이라 하였고, 이듬해 1636년 4월 12일 파주 운천리의 언덕에 능을 조영하였다. 인조는 장릉을 조영하면서 오른쪽에 미리 자신의 능을 마련해 두었다가 1649년 5월 8일 승하한 후 그곳에 묻혔다.[4]그러나 이후 화재가 발생하고 뱀과 전갈이 능 주위로 무리를 이루고 석물 틈에 집을 짓는 등 이변이 계속되었다. 영조 7년 1731년 8월 30일 천장을 결정하고 현재의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로 옮겼다.[4]
3. 특징
장릉은 조선 16대 왕 인조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인열왕후의 합장릉이다. 1635년 파주 운천리에 처음 조성되었으나, 화재와 뱀, 전갈 등이 나타나 1731년 현재 위치인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로 옮겨졌다.[4] 묘는 모란과 연꽃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17세기 한국 미술의 특징을 보여준다.[1][2][3]
참조
[1]
웹사이트
Jangneung Royal Tomb, Paju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11-28
[2]
웹사이트
파주 장릉
http://royaltombs.c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11-24
[3]
서적
Nomination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UNESCO
2015-11-29
[4]
웹인용
능이야기, 장릉(長陵)
http://royaltombs.ch[...]
문화재청
200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