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닛 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닛 본은 영국의 의사이자 생리학자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서머빌 컬리지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런던 빈민가에서 의료 실습을 하며 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목격했다. 1938년에는 런던에 국립 혈액 은행을 신설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기아 연구를 수행했다. 혈액 질환, 수혈, 기아, 방사능의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1934년에는 《빈혈학》을 출간했다. 1945년부터 1967년까지 처칠 병원에서 근무하며 서머빌 컬리지의 학장을 역임했고, 1957년에는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과학자 - 아널드 리스
    아널드 리스는 낙타 전문가로 알려진 영국의 수의사이자, 1920년대부터 파시즘 운동에 참여하여 제국 파시스트 연맹을 설립하고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친 극우 파시스트 활동가이다.
  • 영국의 과학자 - 제임스 H. 윌킨슨
    제임스 H. 윌킨슨은 영국의 수치해석학자로, 선형 대수 계산 및 오차 분석 분야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했고, 탄도학 연구 및 ACE 컴퓨터 프로젝트 참여, NAG 활동, 그리고 관련 저술을 남겼다.
  • 영국의 여자 과학자 - 메리 리키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고인류학자인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 협곡과 라에톨리에서의 발굴, 특히 360만 년 전 라에톨리 발자국 화석 발견을 통해 인류 진화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남편 루이스 리키와 함께 아프리카에서 다양한 유적지를 탐사하며 많은 유물과 화석을 발견하고 새로운 동물 종을 발견하는 등 고인류학 분야에 공헌하여 널리 인정받았다.
  • 영국의 여자 과학자 - 헬렌 샤먼
    헬렌 샤먼은 1991년 주노 계획으로 미르 우주 정거장에서 과학 실험을 수행하며 영국 최초의 우주 비행사가 된 영국의 화학자이자 우주 비행사이다.
  • 영국의 생리학자 - 로버트 에드워즈
    로버트 에드워즈는 인간 체외 수정 기술을 개발하여 불임 치료에 획기적인 공헌을 한 영국의 생리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이며, 그의 연구는 시험관 아기 탄생을 이끌고 추가적인 혁신의 기반을 마련했다.
  • 영국의 생리학자 - 토머스 영
    토머스 영은 1773년에 태어나 1829년에 사망한 영국의 과학자이자 의사로, 빛의 파동설, 영의 계수, 색각 이론 등을 제시하고 이집트 상형 문자 해독에 기여했다.
재닛 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4년의 본
1944년의 본
작위데임
본명재닛 마리아 본
출생1899년 10월 18일
출생지잉글랜드 브리스틀 클리프턴
사망1993년 1월 9일
사망지영국
직업내과 의사, 생리학자, 대학 학장
학력
교육노스 포어랜드 로지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서머빌 칼리지
경력
소속 대학옥스퍼드 대학교
서머빌 칼리지 학장6대
임기 시작1945년
임기 종료1967년
이전헬렌 다시셔
이후바버라 크레이그
수상
훈장대영 제국 훈장 데임 커맨더 (DBE) (1957년)
학술왕립 학회 회원 (FRS) (1979년)

2. 학업

재닛 본은 영국 브리스틀의 클리프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버지니아 울프의 사촌이자 훗날 럭비 스쿨의 교장이 된 윌리엄 와이어마르 본이었고 어머니는 메이지 사이몬즈였다.[15] 재닛은 가정 교사로부터 기초 교육을 받았고 노스 포어랜드 로지에 입학하였다. 졸업 후 옥스퍼드 대학교의 서머빌 컬리지로 진학하였다.[15] 서머빌 컬리지에서 찰스 스콧 셰링턴과 J. B. S. 홀데인에게서 의학을 배웠고, 의료 실습은 런던의 유니버시티 컬리지 병원에서 받았다.[15] 런던 빈민가에서 일하며 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목격했다.[3] 뒤이어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으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하였다.[16][4]

3. 경력

재닛 본은 여성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배척당하고 젊은 여자로만 취급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16][4] 울프는 본을 "매력적인 여성: 유능함, 공평함, 하루 종일 모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혈액 실험을 함."이라고 묘사하였다.[16][5] 본은 연구를 할 때조차 편견에 시달렸다.[17]

1932년, 본은 공동 운전자이자 동료 의사인 프랜시스 샬롯 네이시와 함께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여성 컵을 수상했다. 그들은 도로 사고 피해자들을 돌보기 위해 한 시간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에서 우승했다.[6]

1938년 해머스미스 병원의 왕립 대학원 의학 학교에서 근무하던 본은 페데리코 듀란-조르다와 함께 런던에 국립 혈액 은행을 신설하였다. 혈액을 모으기 위해 개조한 우유병에는 "의학 연구 위원회" 또는 "재닛 본"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었다.[16][18][4][7]

본은 혈액의 질병, 수혈, 기아의 처치, 방사능 처치가 뼈와 골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19][8] 1934년 출간된 본의 《빈혈학》은 혈액 질병 치료에 대한 최초의 서적 중 하나였다. 전쟁 후 본은 플루토늄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1]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의학 연구 위원회는 본을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로 파견하여 기아 연구를 수행하게 했다. 본은 그곳에서 극심한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식량 공급 전략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3][1]

1945년부터 1967년 은퇴할 때까지 본은 처칠 병원에서 근무하였고, 서머빌 컬리지의 학장이 되었다. 재닛 본이 학장으로 있는 동안 셜리 윌리엄스마거릿 대처와 같은 여성들이 서머빌 컬리지를 졸업하였다. 본은 또한 너필드 재단의 임원으로서 양성 평등을 위한 동일 임금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옥스퍼드 지방 병원 이사회에서도 4년간 이사장을 역임하였다.[13][1]

3. 1. 초기 경력과 연구 활동

재닛 본은 여성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배척당하고 젊은 여자로만 취급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16][4] 울프는 본을 "매력적인 여성: 유능함, 공평함, 하루 종일 모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혈액 실험을 함."이라고 묘사하였다.[16][5] 본은 연구를 할 때조차 편견에 시달렸다.[17]

1932년, 본은 공동 운전자이자 동료 의사인 프랜시스 샬롯 네이시와 함께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여성 컵을 수상했다. 그들은 도로 사고 피해자들을 돌보기 위해 한 시간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에서 우승했다.[6]

1938년 해머스미스 병원의 왕립 대학원 의학 학교에서 근무하던 본은 페데리코 듀란-조르다와 함께 런던에 국립 혈액 은행을 신설하였다. 혈액을 모으기 위해 개조한 우유병에는 "의학 연구 위원회" 또는 "재닛 본"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었다.[16][18][4][7]

본은 혈액의 질병, 수혈, 기아의 처치, 방사능 처치가 뼈와 골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19][8] 1934년 출간된 본의 《빈혈학》은 혈액 질병 치료에 대한 최초의 서적 중 하나였다. 전쟁 후 본은 플루토늄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1]

1945년 2차대전이 끝나자 의학 연구 위원회는 본을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로 파견하여 기아 연구를 수행하게 했다. 본은 그곳에서 극심한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식량 공급 전략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3][1]

1945년부터 1967년 은퇴할 때까지 본은 처칠 병원에서 근무하였고, 서머빌 컬리지의 학장이 되었다. 재닛 본이 학장으로 있는 동안 셜리 윌리엄스마거릿 대처와 같은 여성들이 서머빌 컬리지를 졸업하였다. 본은 또한 누필드 재단의 임원으로서 양성 평등을 위한 동일 임금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옥스퍼드 지방 병원 이사회에서도 4년간 이사장을 역임하였다.[13][1]

3. 2. 제2차 세계 대전과 혈액 은행 설립

재닛 본은 여성 의사로서 환자들로부터 배척당했고, 연구를 할 때조차 편견에 시달렸다.[17] 울프는 본에 대해 "매력적인 여성: 유능함, 공평함, 하루 종일 모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혈액 실험을 함." 이라고 묘사하였다.[16] 1932년, 본은 공동 운전자이자 동료 의사인 프랜시스 샬롯 네이시와 함께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여성 컵을 수상했는데, 도로 사고 피해자들을 돌보기 위해 한 시간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주에서 우승했다.[6]

1938년 해머스미스 병원의 왕립 대학원 의학 학교에서 근무하던 본은 페데리코 듀란-조르다와 함께 런던에 국립 혈액 은행을 신설하였다. 혈액을 모으고 보관하기 위해 개조한 우유병에는 "MRC 병" 또는 "재닛 본"이라는 라벨을 붙였다.[4][7][16][18]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의학 연구 위원회는 본을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로 파견하여 기아를 연구하고 극심한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먹이는 전략을 크게 개선하는 데 기여하였다.[1][13] 본은 혈액 질환, 수혈, 기아 치료, 방사능이 뼈와 골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였다.[8][19] 1934년 출간된 본의 《빈혈학》은 혈액 질병 치료에 대한 최초의 서적 가운데 하나였다.[1] 전쟁 후 본은 플루토늄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

3. 3. 전후 연구 활동과 사회 참여

여성 의사였던 본은 환자들로부터 배척당했고 그저 젊은 여자로만 취급당했다. 울프는 본에 대해 "매력적인 여성: 유능함, 공평함, 하루 종일 모호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혈액 실험을 함." 이라고 묘사하였다.[16][4][5] 본은 연구를 할 때 조차 편견에 시달렸다.[17]

1938년 해머스미스 병원의 왕립 대학원 의학 학교에서 근무하던 본은 페데리코 듀란-조르다와 함께 런던에 국립 혈액 은행을 신설하였다. 우유병을 개조한 병에 혈액을 모으고 그 위에 "의학 연구 위원회" 또는 "재닛 본"이라 적은 라벨을 붙였다.[16][18][4][7]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의학 연구 위원회는 본을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로 파견하여 기아를 연구하고 극심한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먹이는 전략을 크게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13][1]

본은 혈액의 질병, 수혈, 기아의 처치, 방사능 처치가 뼈와 골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19][8] 1934년 출간된 본의 《빈혈학》은 혈액 질병 치료에 대한 최초의 서적이었다. 전쟁 후 본은 플루토늄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1]

1945년부터 1967년 은퇴할 때까지 처칠 병원에서 근무하였고, 서머빌 컬리지의 학장이 되었다. 재닛 본이 학장으로 있는 동안 셜리 윌리엄스마거릿 대처와 같은 여성들이 서머빌 컬리지를 졸업하였다. 본은 또한 너필드 재단의 임원으로서 양성 평등을 위한 동일 임금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옥스퍼드 지방 병원 이사회에서도 4년간 이사장을 역임하였다.[13][1]

4. 서훈

재닛 본은 1957년 신년 서훈에서 대영 제국 훈장의 2등급인 사령관 여기사(Dame Commander) 작위를 수여받았다.[20][10] 1967년 옥스퍼드 대학교는 은퇴하는 본에게 최고위 서훈인 닥터 오브 시빌 로우(Doctor of Civil Law(DCL), 민법 박사)를 수여하였다.[13][1] 1979년 왕립학회 특별회원으로 선출되었다.[21][11]

5. 저작

재닛 본은 1934년 Oxford University Press를 통해 《빈혈학》(The Anemias)을 출판했다. 1936년에는 《병리학 및 세균학 저널》에 〈백적혈모구 빈혈〉(Leuco-erythoblastic Anemias)을 발표했다. 1945년에는 《영국 의학 저널》에 〈벨젠 강제 수용소의 현황〉(Conditions at Belsen Concentration Camp)을 기고했다. 1969년에는 《뼈 생리학》(The Physiology of Bone)을, 1973년에는 《방사능 조사가 골격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Irradiation of the Skeleton)을 클래런던 출판부(Claredon Press)에서 출간했다.

6. 사생활

재닛 본은 1930년 웨이페어스 트레벌 에이전시의 데이비드 고레이와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다.[13] 메리(1932)와 프랜시스(1935)이다.

참조

[1] 뉴스 Obituary: Dame Janet Vaugha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3-01-12
[2] 간행물 Vaughan [married name Gourlay], Dame Janet Maria
[3] 웹사이트 A Very Naughty Little Girl https://longreads.co[...] 2015-03-10
[4] 서적 Blood: An Epic History of Medicine and Commerce Little, Brown and company
[5] 서적 Women in science :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Routledge 2007
[6] 논문 Driving ambitions: women in pursuit of a medical education, 1890-1939 1998
[7] 서적 Blood Banking and Transfusion Medicine: Basic Principles &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8]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0
[9] 웹사이트 Somerville College Pages 343-347 A History of the County of Oxford: Volume 3, the University of Oxford. https://www.british-[...] Victoria County History, 1954 2022-11-29
[10] 간행물 London Gazette 1956-12-28
[11] 논문 Dame Janet Maria Vaughan, D.B.E., 18 October 1899 – 9 January 1993
[12] 문서 “Gourlay Mary A / Vaughan” in Register of Births for Paddington RD, vol. 1a (1932), p. 19; “Gourlay Frances P / Vaughan” in Register of Births for Marylebone RD, vol. 1a (1935), p. 605
[13] 뉴스 Obituary: Dame Janet Vaughan https://www.independ[...] 1993-01-12
[14] 논문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15] 웹인용 A Very Naughty Little Girl https://longreads.co[...] Longreads 2017-03-04
[16] 서적 인용 Blood: An Epic History of Medicine and Commerce Little, Brown and company
[17] 서적 인용 Women in science :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7
[18] 서적 인용 Blood Banking and Transfusion Medicine: Basic Principles & Practi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9] 서적 인용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 https://archive.or[...] Routledge 2000
[20] 뉴스 "No. 40960" https://www.thegazet[...]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956-12-28
[21] 논문 Dame Janet Maria Vaughan, D.B.E., 18 October 1899 – 9 January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