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 리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 리키(1913–1996)는 영국의 고고학자이자 고인류학자로, 동아프리카에서 선사 시대 유적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어린 시절 이집트학에 관심을 갖게 된 리키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남편 루이스 리키와 함께 케냐 중부에서 연구를 진행했으며, 1959년 올두바이 협곡에서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 두개골을 발견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녀는 1972년 남편 사망 후에도 올두바이와 라에톨리에서 연구를 지속하여 360만 년 전의 라에톨리 호미닌 발자국을 발견하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리키는 15종의 새로운 동물 종과 1개의 새로운 속을 발견했으며, 다양한 상을 수상하고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계 케냐인 - 크리스 프룸
    크리스 프룸은 케냐 출신의 영국 프로 사이클 선수로, 팀 스카이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투르 드 프랑스 4회, 부엘타 아 에스파냐 2회, 지로 디탈리아 1회 우승 등 그랜드 투어에서 총 7번 우승한 세계적인 선수이다.
  • 영국계 케냐인 - 유럽계 케냐인
    유럽계 케냐인은 케냐에 거주하며 역사와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식민 지배 시기 백인 정착을 통해 토지를 할당받았으며, 독립 이후 금융, 운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고인류학자 - 외젠 뒤부아
    외젠 뒤부아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따라 인류와 유인원의 중간 고리를 찾고자 자바 원인을 발견하여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고생물학자이다.
  • 고인류학자 - 레이먼드 다트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해부학자이자 인류학자인 레이먼드 다트는 1924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화석 '타웅 아이'를 발견하여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했으며,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해부학과 교수로 고인류학 연구를 수행했고, 신경과학 분야에도 공헌했다.
  • 영국의 인류학자 -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의 선구자로, 자본주의, 도시화,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며 사회 불평등과 환경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사회비평가이다.
  • 영국의 인류학자 - 팀 잉골드
    팀 잉골드는 영국의 인류학자이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다양한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환경 인식, 기술, 인간-동물 관계 등을 연구했다.
메리 리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7년의 메리 리키
1977년의 리키
출생 이름Mary Douglas Nicol
출생일1913년 2월 6일
출생지런던, 잉글랜드
사망일1996년 12월 9일
사망지나이로비, 케냐
국적영국
배우자루이스 리키(1936년 결혼, 1972년 사별)
자녀조너선 리키
리처드 리키
필립 리키
학문 분야
분야고인류학
직장케냐 중앙부
모교영국, 케냐
알려진 업적진잔트로푸스 화석
라에톨리 발자국
수상허바드 메달 (1962년)
프레스트위치 메달 (1969년)

2. 생애

메리 리키는 1913년 2월 6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어스킨 에드워드 니콜은 수채화 화가였으며, 가족은 미국, 이탈리아, 이집트 등지로 자주 이주했다. 이러한 여행을 통해 메리는 이집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

메리의 외가 증조부는 골동품 수집가인 존 프레어였고, 역사가이자 고고학자인 셰퍼드 프레어와 같은 조상을 두었다. 프레어 가문은 영국의 노예 제도 폐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해방된 노예들을 위한 공동체를 만들기도 했다.[1]

니콜 가족은 프랑스 남부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고, 어린 메리는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 1925년, 12살의 메리는 레제이에서 프랑스 고고학자 엘리 페이로니의 동굴 발굴 현장을 방문하여 선사시대와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녀는 발굴 현장의 쓰레기 더미에서 석기, 긁개 등을 수집하며 자신만의 분류 체계를 만들기 시작했다.[1] 이후 가족은 로트주의 카브레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마을 사제인 압베 르모지를 만나 페슈 메를 동굴의 선사 시대 그림을 보기도 했다.[2]

1926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메리는 런던으로 돌아와 여러 학교를 다녔지만 정규 교육 과정에는 적응하지 못했다. 가톨릭 수녀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시험에 한 번도 합격하지 못했고, 프랑스어 수업에서는 사투리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시 낭송을 거부하고 화학 실험실에서 폭발을 일으켜 두 번이나 퇴학당했다.[3]

정규 교육을 받기 어려웠지만, 메리는 고고학에 대한 열정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런던 박물관에서 고고학 강의를 수강하며 모티머 휠러의 지도를 받았다.[4] 어머니는 메리의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을 문의했지만 거절당했다.

2. 1. 어린 시절과 가족

메리 리키는 1913년 2월 6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어스킨 에드워드 니콜은 수채화를 그려 영국에서 판매했고, 이 때문에 가족은 미국, 이탈리아, 이집트 등 여러 곳으로 이주했다. 메리는 이러한 여행 중에 이집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외가쪽 증조부는 골동품 수집가인 존 프레어(John Frere)였으며, 역사가이자 고고학자인 셰퍼드 프레어(Sheppard Frere)와 같은 조상을 가지고 있다. 프레어 가문은 영국의 노예 제도 폐지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노예에서 해방된 사람들을 위한 공동체를 만들기도 했다.

니콜 가족은 프랑스 남부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고, 어린 메리는 유창한 프랑스어를 구사하게 되었다. 1925년, 12살의 메리는 가족과 함께 레제이(Les Eyzies)에 머물렀는데, 당시 프랑스인 고고학자이자 선사학자인 엘리 페이로니(Élie Peyrony)가 그곳의 한 동굴을 발굴하고 있었다. 메리는 그가 발굴한 유적지 안을 지나갈 허락을 받았고, 여기서 선사 시대와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우게 되었다. 그녀는 쓰레기 더미에서 석기나 긁개 등을 수집하기 시작하여 자신의 분류 체계를 처음으로 만들었다.[1] 가족은 그 후 로트주(Lot)의 카브레(Cabrières)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압베 르모지(Abbé Lemozi)라는 마을 사제를 만났다. 두 사람은 페슈 메를(Pech Merle) 동굴에 있는 들소와 말의 선사 시대 그림을 보러 가기도 했다.[2]

2. 1. 1. 가족 배경과 이주 경험

메리 리키는 1913년 2월 6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어스킨 에드워드 니콜과 세실리아 마리온(프레어) 니콜 사이에서 태어났다. 니콜 가족은 미국, 이탈리아, 이집트 등 여러 곳으로 이주했는데, 아버지 어스킨은 이 곳들에서 그린 수채화를 영국에서 판매했다. 메리는 이러한 여행 중에 이집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메리의 외가 쪽으로는 고고학자 존 프레어의 3대손이었으며, 역사가이자 고고학자인 셰퍼드 프레어와 같은 조상을 공유했다. 프레어 가문은 19세기 영국 식민 제국에서 활동적인 노예 해방론자였으며, 해방된 노예들을 위한 여러 공동체를 설립했다. 리키가 1984년 자서전을 출판했을 때 이러한 공동체 중 세 곳(케냐 프레어타운,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레어타운, 인도 프레어타운)이 여전히 존재했다.

니콜 가족은 프랑스 남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고, 어린 메리는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1925년, 메리가 12살이었을 때, 니콜 가족은 레지 공동체에 머물렀는데, 당시 프랑스의 고고학자이자 선사 시대 학자인 엘리 페이로니가 그곳의 동굴을 발굴하고 있었다. 메리는 그의 발굴 잔해를 살펴볼 수 있는 허락을 받았고, 여기서 선사 시대와 고고학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그녀는 발굴장의 폐기물에서 돌촉, 긁개, 석판 등을 수집하여 자신의 첫 번째 분류 체계를 개발했다.[1]

가족은 프랑스 로트주의 마을 카브레로 이주했다. 메리는 마을 사제인 르모지 신부를 만났는데, 그는 메리와 친구가 되어 한동안 그녀의 멘토가 되었다. 두 사람은 페슈 메를 동굴을 둘러보며 들소와 말의 선사 시대 그림을 감상했다.[2]

2. 1. 2. 이집트와 프랑스에서의 경험

메리 리키는 1913년 2월 6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어스킨 에드워드 니콜은 수채화를 그려 영국에서 판매했고, 이 때문에 가족은 미국, 이탈리아, 이집트 등 여러 곳으로 이사했다. 메리는 이러한 여행 중에 이집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

메리의 외가 쪽으로는 고고학자 존 프레어의 후손이었으며, 역사가이자 고고학자인 셰퍼드 프레어와 같은 조상을 공유했다. 프레어 가문은 노예 해방 운동에 적극적이었으며, 해방된 노예들을 위한 공동체를 설립하기도 했다.[1]

니콜 가족은 프랑스 남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으며, 메리는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1925년, 메리가 12살이었을 때, 가족은 레지에 공동체에 머물렀는데, 그곳에서 고고학자 엘리 페이로니가 동굴을 발굴하고 있었다. 당시 고고학은 초기 단계였기 때문에 페이로니는 과학적인 발굴을 하지 않았고, 발견물의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메리는 페이로니의 발굴 잔해를 살펴볼 수 있는 허락을 받았고, 이것이 그녀의 선사시대와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녀는 발굴장의 폐기물에서 돌촉, 긁개 등을 수집하여 자신의 첫 번째 분류 체계를 개발했다.[1]

이후 가족은 프랑스 로트주의 카브레로 이주했다. 메리는 그곳에서 마을 사제인 르모지 신부를 만났고, 르모지 신부는 메리의 멘토가 되었다. 두 사람은 페슈 메를 동굴을 둘러보며 들소와 말의 선사 시대 그림을 감상했다.[2]

2. 2. 교육 과정

메리 리키는 어린 시절 프랑스 남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다. 1925년에는 레지에 머물며 고고학자 엘리 페이로니의 발굴 현장을 방문하여 선사 시대와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이때부터 석기를 수집하고 자신만의 분류 체계를 만들기 시작했다.[1] 이후 카브레로 이주하여 페슈 메를 동굴의 선사 시대 그림을 감상하기도 했다.[2]

1926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런던으로 돌아온 메리는 여러 학교를 다녔지만, 정규 교육 과정에는 적응하지 못했다.

2. 2. 1. 정규 교육과 퇴학

메리는 현지 가톨릭 수녀원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시험에 한 번도 합격하지 못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유창한 프랑스어 구사자였으나, 사투리 때문에 선생님에게 눈총을 받아 프랑스어 공부에서는 뛰어난 성적을 내지 못했다. 시 낭송을 거부하여 퇴학당했고, 이후 화학 실험실에서 폭발을 일으켜 두 번째 수녀원 학교에서도 퇴학당했다.[3]

2. 2. 2. 비정규 교육

메리는 정규 교육을 받기 어려웠지만, 고고학에 대한 열정으로 런던에서 다양한 기회를 얻었다. 1926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와 함께 런던으로 이주하여 켄싱턴에 정착했다. 정식 학생은 아니었지만,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런던 박물관에서 고고학 강의를 수강하며 모티머 휠러의 지도를 받았다.[4]

어머니는 메리의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을 문의했지만, 시간 낭비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메리는 1951년 명예 박사 학위를 받기 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와 교류하지 않았다.

2. 3. 결혼과 가족 생활

메리 리키는 남편 루이스 리키와 많은 공동 연구 결과를 발표했지만, 그녀의 공헌은 종종 남편의 공으로 돌아갔다. 루이스 리키는 1972년 10월 1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메리 리키는 고고학 연구를 계속하여 고인류학 분야에서 독자적인 인정을 받았다. 아들 리처드 리키도 고인류학자가 되었고, 메리는 그의 경력 시작을 도왔다. 다른 두 아들 조나단과 필립 리키는 다른 분야에서 활동했다.

2. 3. 1. 루이스 리키와의 만남과 결혼

메리와 루이스 리키, 올두바이 협곡


영국의 고고학자 캐턴 톰슨을 통해 메리 리키는 자신의 책 ''아담의 조상들''(1934)의 삽화가가 필요했던 루이스 리키를 만났다. 작업을 하는 동안 두 사람은 연애 관계를 맺게 되었다. 루이스 리키는 당시 기혼이었고 아들 콜린이 태어난 직후 두 사람은 함께 살기 시작했다. 1936년 프리다 리키가 루이스 리키와 이혼한 후 두 사람은 결혼했다. 이 일로 루이스 리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직위를 잃었다.

2. 3. 2. 세 아들과의 고고학 탐사

메리와 루이스 리키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조나단(1940년생), 리처드(1944년생), 필립(1949년생)이었다. 넷째 아이는 딸이었으나 유아기에 사망했다. 리키 부부는 세 아들과 함께 가능한 한 발굴과 탐사를 진행했다.[6] 세 아들은 유년 시절을 여러 고고학 유적지에서 보냈으며, 부모를 따라 여러 작업 현장에 동행했다. 발굴은 가족 전체의 노력이었다.[6]

아이들은 부모처럼 자유로운 삶을 사랑하며 자랐다. 메리 리키는 식탁에서 음식과 음료를 마음대로 먹는 애완용 바위너구리들을 손님들이 쫓아내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았다. 그녀의 자서전에는 케냐에서 아이들을 키우는 동안 겪은 임신이나 어려움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그녀는 담배를 많이 피웠는데, 처음에는 담배를 피우다가 나중에는 시가를 피웠고, 평소에는 발굴 작업을 하는 것처럼 옷을 입고 다녔다.

3. 주요 연구 업적

메리 리키는 고고학고인류학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발견을 했다. 1960년대에 카모야 키메우(Kamoya Kimeu)와 함께 일하면서 그에게 고생물학, 진화론, 발굴 기술을 가르쳤고,[12] 이후 키메우는 차세대 케냐 화석 발견자들을 교육하여 존경받는 케냐의 고생물학자이자 큐레이터가 되었다.

1972년 남편 루이스 리키가 사망한 후에도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 협곡과 라에톨리(Laetoli)에서 연구를 계속하면서, 375만 년 이상 된 호미닌 화석과,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약 360만 년 전 화산재 층에서 라에톨리 호미닌 발자국을 발굴했다.

메리 리키는 경력 전반에 걸쳐 15종의 새로운 동물 종과 1개의 새로운 속을 발견했으며, 197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3. 1. 초기 연구 활동 (1930년대 ~ 1950년대)

메리 리키는 1930년부터 1934년까지 햄버리에서 도로시 리델 밑에서 수습 생활을 했고, 1934년에는 스완스콤(Swanscombe) 발굴 현장에 참여하여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큰 코끼리 이빨을 발견했다.[7]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메리와 루이스 리키는 케냐 중부의 하이랙스 힐(Hyrax Hill)과 뇨로 강 동굴(Njoro River Cave)과 같은 후기 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연구했다. 1948년 10월, 메리 리키는 루싱가 섬(Rusinga Island)에서 프로콘술 아프리카누스(Proconsul africanus) 두개골을 발견했다. 또한 탄자니아 중부의 콘도아 이랑기 암벽화(Kondoa Irangi Rock Paintings)를 기록하고 발표했다.

리키 부부의 가장 유명한 연구는 탄자니아 북부 세렝게티 평원의 올두바이 협곡에서 이루어졌다. 이 유적지에서는 올두완(Oldowan) 찍개부터 다용도 손도끼(hand axes)까지 다양한 석기들이 발견되었다. 그들이 발굴한 가장 오래된 도구들은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200만 년 전 이상의 것으로 추정된다.

1959년 7월 17일, 루이스는 몸이 아파 캠프에 머물렀고, 메리는 현장으로 나갔다. 메리는 "두개골의 일부인 것 같고" "호미닌(hominid)"처럼 보이는 뼈 조각을 발견하고,[8] 표토를 털어내자 "턱의 곡선에 박힌 두 개의 큰 이빨"이 나타났다.[9] "내가 그를 찾았다!"고 외치며 캠프로 돌아왔다.[9] 다음 날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고, 몇 주 만에 부분적인 두개골이 발견되었지만, 스크리(scree)에 흩어진 파편들을 재구성해야 했다.[10] 루이스 리키는 두개골을 조사한 후, 그것이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ines)의 종이라고 결론지었다.[11] 그는 결국 이 발견에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Zinjanthropus boisei)" 즉 "동아프리카 인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 "잔지(Zanj)"는 동아프리카 해안을 가리키는 고대 아랍어이다. 이 이름은 나중에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로, 어떤 학자들에 의해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Australopithecus boisei)*로 개정되었지만, 분류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3. 1. 1. 햄버리와 스완스콤 발굴

메리는 1930년대에 모티머 윌러의 지도하에 세인트올번스 발굴에 참여한 후, 헨브리(Hembury)에서 도로시 리델(Dorothy Liddell)의 지도 아래 발굴에 참여했다. 리델은 4년간 메리를 가르쳤으며, 이 시기에 메리가 그린 도구 그림들은 거트루드 케이튼 톰프슨(Gertrude Caton Thompson)의 주목을 받아 그녀의 저서 『The Desert Fayoum』의 삽화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21]

3. 1. 2. 케냐 중부 유적지 연구

메리 리키는 어린 시절 프랑스 남부에서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925년 레제이(Les Eyzies)에서 엘리 페이로니(Élie Peyrony)의 동굴 발굴을 접하고 선사 시대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그녀는 발굴지 쓰레기 더미에서 석기 등을 수집하며 자신만의 분류 체계를 만들기도 했다.[17] 이후 카브렐(Cabrières)에서 아베 르모지(Abbé Lemozi) 신부를 만나 페슈 메를(Pech Merle) 동굴의 선사 시대 그림을 보며 고고학에 대한 열정을 더욱 키웠다.[18]

정규 교육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고고학에 대한 꾸준한 관심으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과 런던 박물관에서 강의를 듣고 발굴 조사에 참여하며 경험을 쌓았다. 특히 도로시 리델(Dorothy Liddell) 밑에서 4년간 헨브리(Hembury)의 신석기 시대 지층 발굴에 참여하며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고,[21] 이때 그린 도구 그림은 거트루드 케이튼 톰프슨(Gertrude Caton Thompson)의 눈에 띄어 그녀의 저서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21]

3. 2. 올두바이 협곡과 라에톨리에서의 발견 (1950년대 후반 ~ 1980년대)

메리 리키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케냐 중부의 하이랙스 힐(Hyrax Hill)과 뇨로 강 동굴(Njoro River Cave)과 같은 후기 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1948년 10월에는 루싱가 섬(Rusinga Island)에서 *프로콘술 아프리카누스(Proconsul africanus)* 두개골을 발견했으며, 탄자니아 중부의 콘도아 이랑기 암벽화(Kondoa Irangi Rock Paintings)를 기록하고 발표하기도 했다.

리키 부부의 가장 유명한 연구는 탄자니아 북부 세렝게티 평원의 올두바이 협곡에서 이루어졌다. 이 유적지에서는 올두완(Oldowan) 찍개부터 다용도 손도끼(hand axes)까지 다양한 석기들이 발견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도구들은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200만 년 전 이상의 것으로 추정된다.

1959년에는 진잔트로푸스(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 발견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에 리키 부부는 카모야 키메우(Kamoya Kimeu)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으며, 메리는 그의 전문 지식을 높이 평가하여 고생물학, 진화론 및 발굴 기술을 가르쳤다.[12]

1972년 남편 루이스 리키가 사망한 후,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와 라에톨리(Laetoli)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라에톨리 유적지에서는 375만 년 이상 된 호미닌 화석을 발견했고, 1976년부터 1981년까지는 약 360만 년 전 화산재 층을 걸어 다니던 라에톨리 호미닌 발자국을 발굴했다.

3. 2. 1. 진잔트로푸스(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 발견

올두바이 협곡에 있는, 메리 리키가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한 *A. boisei*인 "진잔트로푸스" 발견 지점을 표시하는 기념비와 명판.


1959년 7월 17일 아침, 루이스 리키는 몸이 아파 올두바이 협곡 캠프에 머물렀고, 메리 리키는 현장으로 나갔다. 어느 순간 메리는 "두개골의 일부인 것 같고" "호미닌(hominid)"처럼 보이는 뼈 조각을 발견했다.[8] 표토를 털어내자 "턱의 곡선에 박힌 두 개의 큰 이빨"이 나타났고, 메리는 "내가 그를 찾았다!"고 외치며 캠프로 돌아왔다.[9]

다음 날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고, 몇 주 만에 부분적인 두개골이 발견되었지만, 스크리(scree)에 흩어진 파편들을 재구성해야 했다.[10] 루이스 리키는 두개골을 조사한 후, 그것이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ines)의 종이라고 결론지었다.[11]

루이스는 이 발견에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Zinjanthropus boisei)" 즉 "동아프리카 인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잔지(Zanj)는 동아프리카 해안을 가리키는 고대 아랍어이다. 이 이름은 나중에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로, 어떤 학자들에 의해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Australopithecus boisei)*로 개정되었지만, 분류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3. 2. 2. 호모 하빌리스 발견

메리와 루이스 리키 부부는 탄자니아 북부 세렝게티 평원의 올두바이 협곡에서 가장 유명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유적지에서는 올두완(Oldowan) 찍개부터 다용도 손도끼(hand axes)까지 다양한 석기들이 발견되었다. 그들이 발굴한 가장 오래된 도구들은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200만 년 전 이상의 것으로 추정된다.

1959년 7월 17일 아침, 루이스는 몸이 아파 캠프에 머물렀고, 메리는 현장으로 나갔다. 어느 순간 그녀는 "두개골의 일부인 것 같고" "호미닌(hominid)"처럼 보이는 뼈 조각을 발견했다.[8] 표토를 털어내자 "턱의 곡선에 박힌 두 개의 큰 이빨"이 나타났고, 그녀는 "내가 그를 찾았다!"고 외치며 캠프로 돌아왔다.[9] 다음 날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고, 몇 주 만에 부분적인 두개골이 발견되었지만, 스크리(scree)에 흩어진 파편들을 재구성해야 했다.[10] 루이스 리키는 두개골을 조사한 후, 그것이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ines)의 종이라고 결론지었다.[11] 그는 결국 이 발견에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Zinjanthropus boisei)" 즉, "동아프리카 인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잔지(Zanj)"는 동아프리카 해안을 가리키는 고대 아랍어이다. 이 이름은 나중에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로, 어떤 학자들에 의해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Australopithecus boisei)*로 개정되었지만, 분류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3. 3. 카모야 키메우와의 협력

1960년대에 리키 부부는 젊은 카모야 키메우(Kamoya Kimeu)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는데, 메리는 특히 그의 전문 지식을 높이 평가했다. 리키 부부는 카모야 키메우에게 고생물학, 진화론, 발굴 기술을 가르쳤다.[12] 카모야 키메우는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케냐 화석 발견자들을 교육하여 존경받는 케냐의 고생물학자이자 큐레이터가 되었다.[12]

4. 연구 방법론 및 학문적 기여

메리 리키는 어린 시절 프랑스 남부에서 고고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1925년 레지에서 고고학자 엘리 페이로니의 발굴 현장을 방문, 선사 시대 도구들을 수집하고 분류하며 고고학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1] 카브레의 르모지 신부와 교류하며 페슈 메를 동굴의 선사 시대 그림을 감상하는 등 초기 고고학 경험을 쌓았다.[2] 이러한 경험은 훗날 메리 리키가 고고학 및 고인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기는 밑거름이 되었다.

4. 1. 석기 연구와 분류 체계

메리 리키는 1930년대부터 올두바이 협곡을 중심으로 석기 연구에 매진했다. 그녀는 올두완(Oldowan) 찍개부터 다용도 손도끼(hand axes)까지 다양한 석기를 발굴하고 분류하는 체계를 개발했다.[8] 발굴된 가장 오래된 도구들은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2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보인다.[8]

메리 리키의 석기 연구는 초기 인류의 행동과 기술 발달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올두바이 협곡에서 발견된 다양한 석기들은 인류 조상들이 어떻게 도구를 사용하고 발전시켜 왔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고있다.

4. 2. 고생물학적 발견과 인류 진화 연구

메리 리키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케냐 중부의 하이랙스 힐(Hyrax Hill), 뇨로 강 동굴(Njoro River Cave)과 같은 후기 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유적지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1948년 10월에는 루싱가 섬(Rusinga Island)에서 *프로콘술 아프리카누스(Proconsul africanus)* 두개골을 발견했으며, 탄자니아 중부의 콘도아 이랑기 암벽화(Kondoa Irangi Rock Paintings)를 기록하고 발표하기도 했다.

리키 부부의 가장 유명한 연구는 탄자니아 북부 세렝게티 평원의 올두바이 협곡에서 이루어졌다. 이 유적지에서는 올두완(Oldowan) 찍개부터 다용도 손도끼(hand axes)까지 다양한 석기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가장 오래된 도구들은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200만 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1959년 7월 17일,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 협곡에서 "진잔트로푸스 보이세이"(Zinjanthropus boisei)라고 명명된 중요한 두개골을 발견했다. "잔지(Zanj)"는 동아프리카 해안을 가리키는 고대 아랍어이다. 이 두개골은 나중에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로, 또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이세이(Australopithecus boisei)*로 재분류되었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분류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960년대에 리키 부부는 카모야 키메우(Kamoya Kimeu)와 함께 일했고, 메리는 그의 전문 지식을 높이 평가하여 고생물학, 진화론 및 발굴 기술을 가르쳤다. 카모야 키메우는 이를 바탕으로 존경받는 케냐의 고생물학자이자 큐레이터가 되었다.[12]

1972년 남편 루이스 리키가 사망한 후에도 메리 리키는 올두바이와 라에톨리(Laetoli)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특히 라에톨리 유적지에서는 375만 년 이상 된 호미닌 화석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리키와 그녀의 직원들은 약 360만 년 전 화산재 층을 걸어 다녔던 라에톨리 호미닌 발자국을 발견했다.

메리 리키는 경력 전반에 걸쳐 15종의 새로운 동물 종과 1개의 새로운 속을 발견했으며, 1979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5. 비판과 논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비판과 논란 섹션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6.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메리 리키의 발견과 연구는 한국 고고학 및 고인류학 연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녀의 업적은 전 세계적으로 고인류학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간접적으로 한국의 학계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메리 리키의 발견은 대중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가 발견한 화석 인류와 석기는 인류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특히, 그녀의 발견은 교과서에 실리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개되면서, 한국의 학생들과 일반인들에게 고인류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7. 수상 및 영예

연도상/훈장/학위명수여 기관
1962년허버드 메달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루이스 리키와 공동 수상)
1968년명예 이학박사(D.Sc.)위트워터스랜드 대학교
1969년프레스토위치 메달런던 지질학회 (루이스 리키와 공동 수상)[16]
1975년금메달여성지리학자 협회
1976년명예 과학박사(DSSc)예일 대학교
1978년린네 금메달스웨덴 왕립과학원
1980년엘리자베스 블랙웰 상(수여 기관 정보 없음)
1980년명예 이학박사(D.Sc.)미시간 대학교
1981년명예 문학박사(D.Litt.)옥스퍼드 대학교


8. 저서

출판 연도제목비고
1950년Njoro 강 동굴 발굴루이스 리키와 공저
1971년올두바이 협곡: 1960-1963년 1층과 2층 발굴
1979년올두바이 협곡: 초기 인류를 찾아서
1983년사라져 가는 아프리카의 예술: 탄자니아의 암벽화
1984년과거를 드러내다


참조

[1] 서적 Ancestral Passions
[2] 서적 Disclosing the Past
[3] 서적 Disclosing the Past
[4] 서적 Disclosing the Past
[5] 서적 Disclosing the Past
[6] 서적 Women in Human Evolution Psychology Press 1997
[7] 서적 Disclosing the Past
[8] 서적 My Search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뉴스 Kamoya Kimeu, Fossil-Hunting 'Legend' in East Africa, Is Dead https://www.nytimes.[...] 2022-08-13
[13] 웹사이트 Mary Leakey's 100th Birthday //www.google.com/doo[...] 2013-02-06
[14] 웹사이트 Mary Leakey Girls High School; All details, KCSE Results Analysis and Admission Process https://keweb.co/mar[...] 2022-11-22
[15] 웹사이트 Scientists – Civilization 6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21-06-20
[16] 웹사이트 Mary Leakey http://faculty.webst[...] 2016-05-25
[17] 서적 Ancestral Passions
[18] 서적 Disclosing the Past
[19] 서적 Disclosing the Past
[20] 서적 Disclosing the Past
[21] 서적 Disclosing the Past
[22] 서적 Women in Human Evolution Psychology Press 1997
[23] 서적 Disclosing the Past
[24] 서적 My Search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뉴스 Kamoya Kimeu, Fossil-Hunting 'Legend' in East Africa, Is Dead https://www.nytimes.[...] 2022-08-13
[29] 웹사이트 Mary Leakey's 100th Birthday //www.google.com/doo[...] 2013-02-06
[30] 웹사이트 Mary Leakey Girls High School; All details, KCSE Results Analysis and Admission Process https://keweb.co/mar[...] 2022-11-22
[31] 웹사이트 Scientists – Civilization 6 Wiki Guide – IGN https://www.ign.com/[...] 2021-06-20
[32] 웹사이트 Mary Leakey http://faculty.webst[...] 2016-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