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산형은 벌금, 과료, 몰수 등을 포함하며, 범죄자에 대한 재산상의 제재를 의미한다. 영국에서는 1066년 노르만 정복 이후 벌금형이 시행되었으며, 마그나 카르타를 통해 벌금 부과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졌다. 미국에서는 연방 민사 소송 규칙에 따라 무의미한 소송을 제기한 변호사에게 벌금을 부과하거나, 국제 비상 경제 권한법 위반으로 은행에 벌금을 부과하는 사례가 있다. 캐나다에서는 민사 몰수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본 형법 역시 벌금과 과료를 주형으로, 몰수를 부가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 형법 역시 벌금, 과료, 몰수를 재산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납 시 노역장 유치 등의 조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산형 | |
|---|---|
| 어머스먼트 (Amercement) | |
| 유형 | 재산형 |
| 설명 | 중세 잉글랜드 법원에서 부과하는 금전적 처벌 |
| 특징 | 범죄의 심각성에 비례하여 부과되고, 자유재량에 따라 금액이 결정됨. |
| 대상 | 경미한 범죄 또는 법정 모욕 행위 |
| 법적 지위 | 벌금과는 달리 어머스먼트는 왕실이나 다른 수혜자에게 귀속되지 않음. |
| 역사적 맥락 | 봉건적 의무를 위반하거나, 영주에 대한 존경심을 결여한 경우에도 부과되었음. |
| 평가 | 법원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금액이 결정될 수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었음. 현대 법률 시스템에서는 유사한 개념이 벌금 또는 과태료 형태로 존재함. |
| 재산형 (財産刑) | |
| 유형 | 형벌의 일종 |
| 내용 | 범죄자로부터 재산을 박탈하는 형벌 |
| 종류 | 벌금 과료 몰수 추징 |
| 현대적 의미 | 경제적 제재를 통해 범죄 억제 효과를 기대함. 범죄 수익 환수를 통해 정의 실현에 기여함. |
| 집행 | 벌금, 과료는 금전 납부, 몰수, 추징은 해당 재산의 강제 집행 |
| 재산형 (財産刑) | |
| 유형 | 형벌의 일종 |
| 내용 | 범죄자로부터 재산을 박탈하는 형벌 |
| 종류 | 벌금 과료 몰수 추징 |
| 현대적 의미 | 경제적 제재를 통해 범죄 억제 효과를 기대함. 범죄 수익 환수를 통해 정의 실현에 기여함. |
| 집행 | 벌금, 과료는 금전 납부, 몰수, 추징은 해당 재산의 강제 집행 |
2. 역사
1066년 노르만 정복 시기부터 영국의 벌금형 제도가 시행되었지만, 1100년 잉글랜드의 헨리 1세 즉위 당시에는 혁신적인 제도로 여겨졌다. 초기에는 피해자, 영주, 교회 등 여러 주체가 벌금을 요구하여 범죄자의 부담이 컸으나, 왕실이 개입하여 특정 조건 하에 보호를 제공하고 범죄자의 재산과 범죄 심각성에 따라 벌금액을 규제했다. 범죄자 이웃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벌금액을 평가하는 규칙도 생겨났다.
이러한 벌금 제도는 일종의 요금 체계를 형성했고, 왕실은 더 많은 것을 요구할 권리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이를 존중했다. 이러한 지불은 "벌금(amercements)"으로 알려졌다. 사소한 범죄의 경우, 사람들은 "자비에 처해졌다(in mercy)"라고 표현했다. 헨리 1세의 헌장은 벌금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고 이전 앵글로-색슨 시대의 제도로 되돌아가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마그나 카르타는 벌금 부과의 폐단을 줄이고자 노력했다. 마그나 카르타 제20장은 일반 평민, 제21장은 남작, 제22장은 성직자의 벌금 부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2. 1. 영국의 벌금형
영국의 벌금형 제도는 1066년 노르만 정복 시기부터 시행되었지만, 1100년 잉글랜드의 헨리 1세 즉위 당시에는 혁신적인 제도로 여겨졌다. 초기에는 피해자, 영주, 교회 등 여러 주체가 벌금을 요구하여 범죄자의 부담이 컸으나, 왕실이 개입하여 특정 조건 하에 보호를 제공하고 범죄자의 재산과 범죄 심각성에 따라 벌금액을 규제했다. 범죄자 이웃으로 구성된 배심원단이 벌금액을 평가하는 규칙도 생겨났다.이러한 벌금 제도는 일종의 요금 체계를 형성했고, 왕실은 더 많은 것을 요구할 권리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이를 존중했다. 이러한 지불은 "벌금(amercements)"으로 알려졌다. 사소한 범죄의 경우, 사람들은 "자비에 처해졌다(in mercy)"라고 표현했다. 헨리 1세의 헌장은 벌금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고 이전 앵글로-색슨 시대의 제도로 되돌아가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마그나 카르타는 벌금 부과의 폐단을 줄이고자 노력했다. 마그나 카르타 제20장은 일반 평민, 제21장은 남작, 제22장은 성직자의 벌금 부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2. 1. 1. 마그나 카르타와 벌금
마그나 카르타는 벌금 부과의 폐단을 줄이고자 했다. 1215년 마그나 카르타 제20조는 자유민, 상인, 농노 등 계층별 벌금 부과 기준을 명시했다.| 계층 | 벌금 부과 기준 |
|---|---|
| 자유민 | 경미한 범죄는 죄의 정도에 따라, 중대한 범죄는 죄의 심각성에 따라 벌금 부과, 생계는 보존 |
| 상인 | 자유민과 동일, 재고는 보존 |
| 농노 | 자유민, 상인과 동일, 경작 도구와 씨앗("웨이나지움(waynagium)")은 보존 |
벌금은 국왕 재판관의 잠정 평가와 이웃 배심원의 평가, 두 단계로 부과되었다. 국왕 재판관은 범죄 심각성에 비례하여 벌금액을 잠정 평가했고, 치안관 또는 경찰관이 12명 이웃 배심원의 도움을 받아 벌금을 확정했다. 배심원은 범죄자의 지불 능력을 고려해 벌금을 감액하기도 했다.
파이프 롤 기록에 따르면, 헨리 2세 통치 시기 한 사제는 국왕 재판관에게 100마르크 벌금을 부과받았으나, 이웃 배심원 평가로 40마르크로 감액되었고, 이후 "빈곤 때문에" 완전히 사면되었다.
마그나 카르타는 빌레인(농노)에게도 일정 부분 보호를 제공했으나, 이는 왕이 부과하는 벌금에 한정되었다. 왕의 자비에 놓인 빌레인은 자유 보유자나 상인과 같은 대우를 받았지만, 영주 부과 벌금에서는 보호받지 못했다. 1217년 재발행 마그나 카르타 16조는 왕이 "자신의 것 외의" 빌레인에게 과도한 벌금을 부과할 수 없도록 제한, 왕실 영지 빌레인에 대한 왕 권한을 명확히 했다.
2. 1. 2. 플랜태저넷 왕조 시대
13세기 후반, 잉글랜드에서는 법을 어겼을 때 내는 벌금(amercement)과 특별한 혜택을 얻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바치는 공물(fine)이 구분되었다.[1] 시간이 지나면서 벌금(fine)은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고, 벌금(amercement)은 점차 쓰이지 않게 되었다.[1]벌금 부과의 단계벌금 부과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2]
| 단계 | 내용 |
|---|---|
| 1단계 | 평민의 경우, 순회 재판관이 치안관의 도움을 받아 범죄의 경중에 따라 벌금을 잠정적으로 결정했다.[2] |
| 2단계 | 치안관이나 그의 경찰관은 정식 군 법정에서 12명의 이웃의 도움을 받아 벌금을 확정했는데, 이때 위반자의 지불 능력을 고려하여 벌금을 줄이기도 했다.[2] |
"파인(Fine)"이라는 단어는 자발적인 요소가 점차 사라지면서 현대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아머스먼트(Amercement)"는 일상적인 사용에서 사라졌다.
헨리 2세 시대의 파이프 롤 기록을 보면, 한 사제가 100마르크의 벌금을 선고받았지만, 이웃들의 증언을 통해 40마르크로 감액된 사례가 있다.[3] 이는 지불 능력에 따라 벌금이 조정되었음을 보여준다.[3]
대헌장에서는 자유 보유자, 상인, 농노의 벌금 부과를 다루면서 이웃 배심원의 기능만을 언급하고, 국왕 재판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4] 이는 백작과 남작에게 부여되는 처우를 규정하는 조항과는 대조적이다.[4]
3. 현대적 사용
미국에서는 연방 민사 소송 규칙(FRCP) 11조에 따라 무의미한 소송을 제기한 변호사에게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2] 집행 영장에 따라 재산을 압류하기를 거부한 보안관을 상대로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2006년 이후 미국 은행들은 국제 비상 경제 권한법 또는 적과의 교역법 위반으로 막대한 금액을 배상받았는데, 자산 몰수 법의 민사적 성격으로 인해 은행은 형사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아도 된다.
캐나다에서는 여러 주에서 민사 몰수법을 시행하여 범죄 관련 재산을 몰수할 수 있다. 2009년 캐나다 대법원은 온타리오주 민사 구제법 2001이 Chatterjee v. Ontario (법무장관) 사건에서 헌법에 합치된다고 판결하였다.[11]
일본 형법에서는 주형으로 벌금·과료가, 부가형으로 몰수가 규정되어 재산형에 포함된다.
3. 1. 미국
미국에서는 연방 민사 소송 규칙(FRCP) 11조에 따라 무의미한 소송을 제기한 변호사에게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2] 집행 영장에 따라 재산을 압류하기를 거부한 보안관을 상대로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2006년 이후 미국 은행들은 국제 비상 경제 권한법 또는 적과의 교역법 위반으로 막대한 금액을 배상받았는데, 자산 몰수 법의 민사적 성격으로 인해 은행은 형사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아도 된다.
3. 2. 캐나다
2014년 1월 기준으로 캐나다 8개 주에서 민사 몰수법을 시행하고 있다.[3] 2009년 캐나다 대법원은 온타리오주 민사 구제법 2001이 Chatterjee v. Ontario (법무장관) 사건에서 헌법에 합치된다고 판결하였다.[11]
3. 2. 1. 캐나다의 사례
캐나다의 여러 주에서는 민사 몰수법을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은 범죄와 관련된 재산을 몰수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유콘 주민들은 2010년에 "법안 82"를 거부했다.[3][6]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는 아직 시행하지 않은 주로 보인다.
2009년, 캐나다 대법원은 온타리오주 민사 구제법 2001이 Chatterjee v. Ontario (법무장관) 사건에서 연방-주 관할권에 대한 문제와 관련하여 헌법에 합치된다고 판결했다.[11]
앨버타주 퀸즈 벤치 법원[23][24]과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대법원[25][26]은 불법적으로 획득한 증거를 배제했다.
3. 3. 일본
일본의 현행 형법에서는 주형(그것만으로 선고할 수 있는 형)으로 벌금·과료가 규정되어 있다. 그 외에 부가형(단독으로는 선고할 수 없는 부가적인 형)으로 규정되어 있는 몰수도 재산형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재산형을 선고받았지만 지불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노역장 유치가 이루어지지만, 이는 벌금·과료분을 일수 계산하여 행해지는 징역과 유사한 처우이며, 노역이라고 통칭된다.4. 한국의 벌금형 제도 (더불어민주당 관점 추가)
한국 형법은 벌금, 과료, 몰수를 재산형으로 규정하고 있다.[17] 벌금 미납 시 노역장 유치 또는 재산 압류 등의 강제 집행이 가능하다.
4. 1.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일본 刑法 (日本)|형법 (일본)|형법일본어에서는 주형(그것만으로 선고할 수 있는 형)으로 벌금·과료가 규정되어 있다. 부가형(단독으로는 선고할 수 없는 부가적인 형)으로 규정되어 있는 몰수도 재산형에 포함된다. 재산형을 선고받았지만 지불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노역장 유치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벌금·과료분을 일수 계산하여 행해지는 징역과 유사한 처우이며, 노역이라고 통칭된다.문제점 및 개선 방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 서민 경제 부담 가중: 벌금형은 서민층에게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주어 생계 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형벌 불평등 심화: 동일한 범죄라도 경제적 능력에 따라 벌금의 체감 정도가 달라 형벌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 재산 비례 벌금제 도입 (더불어민주당 주장): 재산 정도에 따라 벌금액을 차등화하는 재산 비례 벌금제(일수 벌금제) 도입을 통해 형평성을 제고해야 한다.
- 사회봉사명령 확대: 벌금형 대신 사회봉사명령을 확대하여 사회적 기여를 유도하고, 벌금 납부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 몰수 대상 축소 및 절차 강화 (진보 진영 주장 반영): 검찰의 자의적인 몰수 및 추징을 방지하기 위해 몰수 대상을 축소하고, 몰수 절차에 대한 법원의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
- 정치적 목적의 벌금형 남용 방지 (더불어민주당 입장 반영): 정치적 반대 세력 탄압을 위한 벌금형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Magna Carta: A Commentary on the Great Charter of King John, with an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Glasgow: Maclehose
1914
[2]
판례
Frantz v. U.S. Powerlifting Federation
1987
[3]
뉴스
WHEN THE PROVINCE GOES AFTER ILL-GOTTEN GAINS, WHO PAYS?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14-01-25
[4]
법률
Victims Restitution and Compensation Payment Act
http://justice.alber[...]
2001
[5]
논문
Forfeited: Civil Forfeiture and the Canadian Constitution
https://tspace.libra[...]
2010
[6]
뉴스
Fighting civil forfeiture
http://www.yukon-new[...]
Yukon News
2010-05-07
[7]
뉴스
Province streamlines forfeitures of property from alleged criminals, minister says
http://globalnews.ca[...]
Edmonton Journal
2013-04-15
[8]
웹사이트
Alberta government notes on "Civil Forfeiture Process"
http://justice.alber[...]
2014-01-30
[9]
법률
S.O. 2001, c. 28
https://www.ontario.[...]
[10]
법률
Safer Roads for a Safer Ontario Act, 2007
https://www.ontario.[...]
2007
[11]
판례
Chatterjee v. Ontario (Attorney General)
http://www.canlii.or[...]
2009
[12]
문서
This name change is important for archivists
[13]
보고서
Civil forfeiture in Ontario 2007: An update on the Civil Remedies Act, 2001
http://www.attorneyg[...]
A-G Ont
2007
[14]
회의록
Official Report of DEBATES OF THE LEGISLATIVE ASSEMBLY (Hansard)
http://www.leg.bc.ca[...]
2005-03-07
[15]
뉴스
Lawsuit over Man. house spurs rights concerns
http://www.cbc.ca/ne[...]
cbc.ca
2010-12-30
[16]
뉴스
Critics warn civil forfeiture gives government a ‘licence to steal’ as Hells Angels gear up to fight legislation
http://news.national[...]
nationalpost.com
2013-10-11
[17]
웹사이트
Nova Scotia webpage on "Civil Forfeiture Unit"
https://novascotia.c[...]
2017-08-24
[18]
웹사이트
Criminal Law and the Division of Powers: Chatterjee v. Attorney General of Ontario
http://www.thecourt.[...]
thecourt.ca
2014-01-30
[19]
논문
FORFEITED: Civil Forfeiture and the Canadian Constitution
https://tspace.libra[...]
2010
[20]
논문
Property, Proportionality and the Instruments of Crime
http://www.blakesfil[...]
[21]
논문
The Seizure of Illicit Assets: Patterns of Civil Forfeiture in Canada and Ireland
2013
[22]
논문
Ontario (Attorney General) v. $29,020 in Canadian Currency: A Comment on Proceeds of Crime and Provincial Forfeiture Laws
2006
[23]
판례
Alberta Attorney-General v Squire
http://www.civilforf[...]
2012
[24]
판례
Alta A-G v Squire
http://www.canlii.or[...]
2012
[25]
판례
British Columbia Director of Civil Forfeiture v Huynh
http://www.civilforf[...]
2013
[26]
판례
BC DCV v. Huynh
http://www.canlii.or[...]
2013
[27]
웹사이트
日本の刑罰は、剥奪される法益の種類により、生命刑、自由刑、財産刑に分けられる。
https://www.keijihir[...]
Agoora(アゴラ)
2023-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