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조선은 기조력이 큰 주요 4분조의 진폭 합계를 평균 수면에서 뺀 조위로 정의된다. 해도의 수심은 저조선을 기준으로 하며, 영해와 배타적 경제 수역의 경계는 저조선을 기선으로 한다. 또한, 만조 시 예상되는 최고 조위인 약최고고조면은 해안선 결정 기준이 되며, 교각이나 송전선 등 구조물의 최저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면으로 사용된다. 약최저저조면과 약최고고조면 사이의 영역은 갯벌 또는 은현암으로 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 - 초대륙
    초대륙은 대부분의 대륙이 합쳐진 거대한 육괴로, 지구 내부 열 흐름 차단으로 분열과 재결합을 반복하는 윌슨 순환을 거치며 지구 역사상 여러 차례 형성되었고 판 구조 운동, 화산 활동, 기후 변화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지리 - 온천
    온천은 지열 활동이나 지구 내부 열에 의해 데워진 물이 솟아나는 곳으로, 다양한 화학 성분과 유량을 가지며, 생명 기원 연구 및 치료적 용도로 활용된다.
저조선
략최저저조면
영어Nearly Lowest Low-water Level, N.L.L.W.L
정의바닷물의 높이의 기준면의 하나
저조선
정의바다와 육지 사이의 경계선
종류평균만조위선
평균해면
평균저조위선
대조승수
관련 정보영해
배타적 경제 수역
통상기선
직선기선

2. 정의

저조선은 기조력이 큰 주요 4분조(M 분조, K 분조, S 분조, O 분조)의 진폭(평균으로부터의 최대 변이)의 합계를, 관측으로 결정된 평균 수면으로부터 뺀 조위이다.

2. 1. 주요 4분조

주요 4분조는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조석의 주요 성분이다. 각 분조는 고유한 주기와 진폭을 가지며, 이들의 조합으로 실제 조위가 결정된다.

주요 4분조의 강체 지구 평형 조석 진폭과 주기
순위분조명칭진폭 (cm)주기 (일)요인
1M2주태음 반일주조24.4090.5175251달의 조석력
2K1일월 합성 일주조14.2450.9972695
3S2주태양 반일주조11.4560.5000000태양의 조석력
4O1주태음 일주조10.1281.0758059



실제 조위의 진폭은 위 표의 값과 비례하지만, 위도, 지형, 경년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이용

약최저저조면은 해도에서 수심을 표시하는 기준면으로 사용된다. 한국의 해도 역시 약최저저조면을 기준으로 수심을 나타낸다.[1]

3. 1. 영해 및 배타적 경제 수역

해도에 표시되는 수심은 약최저저조면을 기준으로 한다.[1] 영해배타적 경제 수역은 조위가 약최저저조면에 있을 때의 수륙 경계, 즉 저조선(유엔 해양법 조약 제5조)을 기선으로 한다. 약최저저조면은 각지의 검조소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3. 2. 약최고고조면

해도에 표시되는 수심은 약최저저조면을 기준으로 한다. 반면, 만조 시 등 이것보다 높아지지 않는다고 예상되는 조위를 '''약최고고조면'''(약 최고 고조면)이라고 부른다.[1] 지형도 상의 해안선은 이 약최고고조면에서의 수륙 경계선으로 규정된다. 또한, 교각이나 송전선 등 수면 위 구조물의 최저 높이를 나타낼 때의 기준면으로도 사용된다. 지형도에서 약최저조조면과 약최고고조면 사이의 영역은 갯벌 또는 은현암으로 표시된다. 일본의 2만 5천 분의 1 지형도에서 그려지는 은현암은 "만조 시 해면 아래, 간조 시 해면 위에 있으며, 지형도상에서 1.5mm×1.5mm 이상이 되는 것"과 "지형도상에서는 1.5mm×1.5mm를 밑돌지만, 좋은 목표가 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海の自然のなるほど 「海の深さの基準」 http://www.kaijipr.o[...] 日本海事広報協会 2015-02-11
[2] 서적 大竹(2010):98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