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숲정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 숲정이는 조선 시대 군사훈련 지휘소였으나 천주교 박해 시기 천주교도들의 처형장으로 사용된 곳이다. 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인박해 등 여러 차례의 박해를 거치며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현재는 순교자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한 숲정이 순교탑과 함께 한국 천주교 성지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시의 문화유산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 전주시의 문화유산 - 전주 경기전
전주 경기전은 태종 때 어용전으로 시작하여 세종 때 개칭되었고, 임진왜란 후 재건되었으며, 태조 어진을 모신 정전, 조경묘, 전주사고 등의 유적이 있는 곳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은 전라북도에 지정된 기념물 목록으로, 선사 시대 유적, 성곽, 고건축물 등을 포함하며 1973년부터 1999년까지 지정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기념물 - 아막성
아막성은 전라북도 남원시 아영면에 있는 돌로 쌓은 산성으로, 백제와 신라가 쟁탈전을 벌였던 곳이며, 삼국시대 유물이 발견되어 국경 분쟁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 - 기독교 성지 -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이며, 5,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핵심 쟁점 지역이다. - 기독교 성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전주 숲정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숲정이 (천주교순교지) |
원어 명칭 | 숲정이 (天主敎殉敎地)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1034-1번지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71 |
지정일 | 1984년 9월 20일 |
수량 | 3필지 |
문화재청 ID | 23,00710000,35 |
2. 역사
숲정이는 조선시대에 군사훈련 지휘소가 있던 곳으로, 천주교도들의 목을 베던 처형장이었다. 당시엔 숲이 칙칙하게 우거져 "숲머리" 혹은 "숲정이"라 불렀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전라도의 첫 천주교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의 아내와 제수, 맏며느리 이순이(루갈다) 등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1839년 「기해박해」 때는, 신태보(베드로), 이태권(베드로), 이일언(욥), 정태봉(바오로) 등이 순교했다. 1866년 「병인박해」 때는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손선지(베드로), 한재권(요셉), 조화서(베드로), 이명서(베드로) 등이 순교했다. 1867년에는 김사집(필립보) 등 여러 사람이 순교했다. 이곳은 유항검이 처형된 풍남문 밖의 전동성당, 유항검과 그 가족이 묻힌 치명자산과 함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이다.
2. 1. 조선시대 지명 유래
2. 2. 천주교 박해와 순교
숲정이는 조선시대에 군사훈련 지휘소가 있던 곳으로, 천주교도들의 목을 베던 처형장이었다. 당시엔 숲이 칙칙하게 우거져 "숲머리" 혹은 "숲정이"라 불렀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전라도의 첫 천주교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의 아내와 제수, 맏며느리 이순이(루갈다) 등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1839년 기해박해 때는, 신태보(베드로), 이태권(베드로), 이일언(욥), 정태봉(바오로) 등이 순교했다. 1866년 병인박해 때는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손선지(베드로), 한재권(요셉), 조화서(베드로), 이명서(베드로) 등이 순교했다. 1867년에는 김사집(필립보) 등 여러 사람이 순교했다. 이곳은 유항검이 처형된 풍남문 밖의 전동성당, 유항검과 그 가족이 묻힌 치명자산과 함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이다.2. 2. 1. 신유박해 (1801년)
신유박해(1801년) 때, 전라도의 첫 천주교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의 아내와 제수, 맏며느리 이순이(루갈다) 등이 이곳에서 순교했다. 1839년 기해박해 때는, 신태보(베드로), 이태권(베드로), 이일언(욥), 정태봉(바오로) 등이 순교했다. 1866년 병인박해 때는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손선지(베드로), 한재권(요셉), 조화서(베드로), 이명서(베드로) 등이 순교했다. 1867년에는 김사집(필립보) 등 여러 사람이 순교했다. 이곳은 유항검이 처형된 풍남문 밖의 전동성당, 유항검과 그 가족이 묻힌 치명자산과 함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이다.2. 2. 2. 기해박해 (1839년)
숲정이는 조선시대에 군사훈련 지휘소가 있던 곳으로, 천주교도들의 목을 베던 처형장이었다. 당시엔 숲이 칙칙하게 우거져 "숲머리" 혹은 "숲정이"라 불렀다. 1839년 「기해박해」 때는, 신태보(베드로), 이태권(베드로), 이일언(욥), 정태봉(바오로) 등이 순교했다.2. 2. 3. 병인박해 (1866년 ~ 1867년)
숲정이는 조선시대에 군사훈련 지휘소가 있던 곳으로, 천주교도들의 목을 베던 처형장이었다. 당시엔 숲이 칙칙하게 우거져 "숲머리" 혹은 "숲정이"라 불렀다. 1866년 병인박해 때는 정문호(바르톨로메오), 손선지(베드로), 한재권(요셉), 조화서(베드로), 이명서(베드로) 등이 순교했다. 1867년에는 김사집(필립보) 등 여러 사람이 순교했다. 이곳은 유항검이 처형된 풍남문 밖의 전동성당, 유항검과 그 가족이 묻힌 치명자산과 함께 대표적인 천주교 성지이다.3. 숲정이 순교탑과 성지
숲정이는 옛 전주부성의 북쪽인데 툭 터져 허하다 하여 조선 시대 관찰사 이서구가 1794년경 대규모 숲을 조성케 했다고 전해오고 있다.[1] 이후 이곳을 숲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훗날 이 숲은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는 형장이 되었다.[1] 후대에 순교자들의 정신을 승계하고자 이 곳에 순교자비를 세우고 카톨릭계의 해성 중·고교가 들어섰으나 지금은 아파트 숲속에 치명탑만 남아 있다.[1]
1866년의 병인박해는 5대 종교박해 사건의 하나로 카톨릭신자 13명이 이곳에서 처형되는 사상 유례 없는 참극이 벌어졌던 곳이다. 이 이후 전주는 대표적인 천주교 순교지로 꼽히어 성지순례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1]
3. 1. 숲정이 순교탑
숲정이는 옛 전주부성의 북쪽인데 툭 터져 허하다 하여 조선 시대 관찰사 이서구가 1794년경 대규모 숲을 조성케 했다고 전해오고 있다. 이후 이곳을 숲정이라 불렀다고 한다. 훗날 이 숲은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는 형장이 되었다. 1866년 병인박해 때에는 천주교 신자 13명이 이곳에서 처형되는 참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전주는 대표적인 천주교 순교지로 꼽히어 성지 순례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3. 2. 한국 천주교 성지
숲정이는 옛 전주부성의 북쪽으로, 조선시대 관찰사 이서구가 1794년경 숲을 조성하면서 숲정이로 불리게 되었다.[1] 훗날 이 숲은 천주교 신자들을 처형하는 형장이 되었으며, 순교자들의 정신을 승계하고자 순교자비를 세우고 가톨릭계 해성 중·고등학교가 들어섰으나 현재는 아파트 숲속에 치명탑만 남아 있다.[1]1866년 병인박해 때 가톨릭 신자 13명이 이곳에서 처형되는 참극이 벌어졌다.[1] 이후 전주는 대표적인 천주교 순교지로 꼽히어 성지순례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1]
4.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