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근 밀도는 자연수의 부분집합 A에 대해, A의 원소 중 n 이하의 값들의 개수를 n으로 나눈 값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 위쪽 점근 밀도와 아래쪽 점근 밀도를 통해 점근 밀도를 정의하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점근 밀도는 집합의 여집합, 유한 집합, 완전 제곱수, 짝수 집합 등 다양한 집합에 대해 계산할 수 있으며, 소수 정리와 같은 수학적 개념과 관련이 있다. 또한 로그 밀도와 같은 다른 밀도 함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점근 밀도
점근 밀도
분야
수학, 정수론
정의
자연수 집합의 밀도
관련 개념
자연 밀도, 상대 밀도
자연 밀도와의 관계
자연 밀도 존재 시
점근 밀도 존재 및 동일
점근 밀도 존재 시
자연 밀도 존재 여부 불확실
2. 정의
자연수의 부분집합 ''A''가 주어졌을 때, ''A''의 원소 중 ''n'' 이하의 값들의 개수를 ''a''(''n'')라고 한다. ''n''이 무한대로 갈 때 극한값
:
이 존재하면, ''A''는 점근밀도 를 갖는다고 말한다.[4]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a''(''n'')을 ''n''보다 작거나 같은 ''A''의 원소 개수로 정의하면, ''A''의 자연 밀도는 다음과 같다.
: (''n'' → ∞ 일 때)
''A''가 자연 밀도 를 가지면 이 된다.
2. 1. 위쪽 및 아래쪽의 점근 밀도
자연수의 부분집합 ''A''가 주어져 있을 때, ''A''의 원소 중 ''n'' 이하의 값들의 개수를 ''a''(''n'')라고 하면, ''n''이 무한대로 갈 때 극한값
:
이 존재하면 점근밀도 를 갖는다고 말한다.
위에서 쓰인 기호를 토대로 '''위쪽 점근 밀도'''(upper asymptotic density)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