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성술의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성술 기호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에서 유래하여 그리스-로마 시대를 거쳐 중세 유럽에서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기호는 태양, 달, 행성, 황도대 별자리, 각, 달의 위상 등을 나타내며, 개인의 성격, 운명, 사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주된다. 점성술에서 행성은 고유한 기호와 의미를 가지며, 이는 신화, 상징, 원소 등과 관련된다. 대부분의 점성술 기호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의 상징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 종교의 상징 - 세계축
    세계축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상징적인 축으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우주의 중심이나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되며, 질서와 혼돈, 신성함과 세속됨, 인간과 초월적 존재 사이의 연결을 상징하고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질서 유지, 영적인 깨달음 추구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 기호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기호 - 카르투슈
    카르투슈는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의 이름을 새기는 데 사용된 타원형 장식틀로, 대중문화에서 고대 이집트 배경 작품의 소품으로 등장하며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문장학의 도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문장학의 도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점성술의 기호
점성술 기호
황도대 기호
황도대 기호
종류
황도대 별자리양자리 (♈)
황소자리 (♉)
쌍둥이자리 (♊)
게자리 (♋)
사자자리 (♌)
처녀자리 (♍)
천칭자리 (♎)
전갈자리 (♏)
궁수자리 (♐)
염소자리 (♑)
물병자리 (♒)
물고기자리 (♓)
행성태양 (☉)
(☽)
수성 (☿)
금성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또는 ♅)
해왕성 (♆)
명왕성 (♇)
왜행성세레스 ( Ceres)
에리스 ( Eris)
기타키론 ( Chiron)
릴리스 ( Lilith)
노드 ( Node)
각(점성술)합 ( Conjunction, 0°)
60도 ( Sextile, 60°)
사각 ( Square, 90°)
삼각 ( Trine, 120°)
대립 ( Opposition, 180°)

2. 역사와 기원

점성술 및 천문학 기호의 역사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 문명에서 사용된 기호들은 그리스-로마 시대를 거치며 점차 발전했고, 중세 유럽에서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착되었다.

많은 고대 별자리가 보존된 중세 비잔틴 코덱스에 고전 행성, 황도대 기호, 어스펙트, 롯, 달의 노드에 대한 기호가 나타난다.[1] 이 그리스 별자리의 원본 파피루스에는 태양을 나타내는 기호인 원(

|16px|old sun symbol]])과 달을 나타내는 초승달이 있었다.[2]

행성기호유래
태양24px고대 이집트에서 라의 심볼로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12x12px로 대체되었다.
수성24px케리케이온. 또는 날개 달린 메르쿠리우스 (헤르메스)의 헬멧.
금성24px베누스 (아프로디테)의 손거울.
지구24px4원소의 흙(지)의 기호 전용으로, 사방에서 대지를 나타낸다. 또는 적도와 본초 자오선.
24px보주. 세계 (세계를 통치하는 것)의 상징.
24px24px초승달.
화성24px마르스 (아레스)의 방패, 또는 방패와 창.
세레스24px수확의 낫. 세레스는 농업의 여신.
팔라스24px아테나의 방패 아이기스. 팔라스는 아테나의 이명이기도 하다.
주노24px플로라가 유노에게 보낸 마법의 꽃.
베스타24px24px성스러운 불. 베스타는 화덕의 여신.
목성24px유피테르 (제우스)의 번개. 또는 제우스의 머리글자 Ζ (제타). 또는 숫자 4 (천동설에서는 지구를 세지 않고 제4행성).
토성24px사투르누스 (크로노스)의 우라노스를 죽이는 데 사용된 큰 낫. 또는 숫자 5.
카이론24px발견자 코왈의 머리글자 K.
천왕성24px발견자이자 과거 행성명이기도 한 허셜의 머리글자 H.
24px백금 기호의 전용으로, 금 + 철 (태양+화성). 단, 백금 기호에는 16x16px (은+금, 달+태양)도 사용되었다.
해왕성24px넵투누스 (포세이돈)의 삼지창.
24px발견자 중 한 명인 르 베리에의 머리글자 LV의 모노그램.
명왕성24px플루토의 처음 두 글자를 합한 것으로, 발견에 기여한 퍼시벌 로웰의 머리글자이기도 한 PL의 모노그램.
에리스24px에리스의 손. 디스코드주의의 심볼.



행성 기호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형태와는 달랐다. 현재의 형태가 된 것은 르네상스 시대이다.

지동설에 의해 지구가 행성이 되면서, 지구의 기호가 추가되었다.

1781년 천왕성을 시작으로 새로운 행성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그들을 위한 새로운 행성 기호가 고안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행성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행성이 아닌 최초의 몇몇 소행성과 명왕성에도 기호가 있다. 또한 카이론과 에리스는 천문학적으로는 행성으로 간주된 적이 없지만, 점성술에서는 행성과 마찬가지의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기호가 부여되어 있다.

1801년부터 수년간 4개의 소행성이 발견되었지만, 1845년부터는 다수의 소행성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각각에 기호가 고안되었지만, 수가 너무 많아지자, 1851년 엔케가 ①~⑪(원 안의 숫자 1~11)을 제5번 소행성 아스트라에아부터 제15번 소행성 에우노미아까지의 기호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1852년에 엔케는 현재의 소행성 번호와 같은 ⑤~⑮(원 안의 5~15)를 사용하도록 수정했고, 1864년까지는 최초의 4개의 소행성에도 ①~④(원 안의 1~4)를 사용하게 되었다[48]

수성, 금성, 목성, 토성의 기호는 후기 그리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51] 목성과 토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그리스어 이름의 첫글자의 문자도안으로 확인되었고, 수성의 기호는 양식화된 카두케우스이다.[51] 몬더는 초기 문헌에서 고대 행성과 관련된 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행성 기호의 선례를 발견했다.

2세기에 제작된 비안키니의 별자리판[52]은 행성 기호의 초기 형태가 갖추어져 있는데, 행성의 신에 대한 그리스식 인격화를 시사한다. 수성은 카두케우스를 지닌다. 금성은 다른 줄 목걸이와 연결된 목걸이를 하고 있다. 화성은 창을 갖고 있고, 목성은 지팡이를, 토성은 큰 낫을 들고 있다. 태양은 방사성으로 퍼지는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으며 은 초승달 모양의 머리 장식을 하고 있다.[53]

12세기 요한네스 카마테로스의 《점성술 개론(Compendium of Astrology)》에 있는 한 도해는 태양이 하나의 광선을 가진 원으로 표현되어 있고, 목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피테르에 상응하는 제우스의 첫글자인) ''제타''(Ζ)로 표시되어 있으며, 화성은 창이 겹쳐진 방패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다른 행성들의 기호는 현대의 것들과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현대식 기호에서 보여지는 십자모양은 없다.[53] 태양의 현대 기호는 한 원에 점이 찍혀있는 그림(☉)인데, 그 모양은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나타났다.[54]

천왕성과 해왕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발견이 있은 후 얼마 안 돼서 만들어졌다. 천왕성은 두 개의 기호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요한 G 쾰러에 의해 고안되고 보데에 의해 개선된

Uranus
이다. 이 기호는 본래 새로 발견된 금속 플래티넘을 표시할 예정이었는데, 일반적으로 백금이라고 불리는 플래티넘은 철이 섞인 상태로 화학자들에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것의 기호는 철♂과, 금☉의 기호가 혼합되어 있다.[55][56] 천왕성의 또 다른 기호인
|15px|Uranus]]는 1784년에 랄랑드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허셜과 랄랑드는 그것에 대해 "당신의 이름의 첫글자가 얹어진 원"이라고 묘사했다.[57] 해왕성이 발견된 이후, 경도국은 ''넵튠''(Neptune)의 이름과 삼지창과 유사한 기호를 제안했다.[58]

19세기 초에 발견된 세레스와 팔라스 그리고 유노 이렇게 세 개의 점성학적 기호들도 역시 그것들의 발견 직후에 만들어졌다. 처음에, 그것들은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반세기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주세페 피아치의 세레스 발견 직후, 한 천문학 단체는 그것의 이름을 발견자의 이름으로 하자는 제안을 비준했고, 그 행성의 기호로써 낫 모양을 선정했다.[59] 팔라스의 기호인 팔라스 아테나의 창은 바론 프란츠 사버 폰 자흐에 의해 고안되었고 그의 저널 《월간 통신(''Monatliche correspondenz'')》에서 소개되었다. 카를 루트비히 하딩은 유노를 발견하고 이름 지었으며, 별 하나가 위에 있는 홀(笏)을 그것의 기호로 지정했다.[60]

베스타의 현대 점성술의 기호는 엘레너 바흐에 의해 만들어졌다.[61] 그녀는 《소행성의 천문력(Ephemerides of the Asteroids)》으로써 네 개의 주요 소행성을 사용한 선구자로 인정된다.[62] 베스타를 표기한 바흐의 기호는 베스타의 제단을 표현한 것을 단순화한 것이다.[61] 베스타의 최초 기호인
|18px|Vesta]]은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올베르스 박사가 먼저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된) 그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지만, 그것의 이름을 지을 영예는 가우스에게 넘겼다. 가우스는 그 행성의 이름을 여신 베스타로 지었고, 그것의 기호는 성화가 타고 있는 그 여신의 제단임을 명시했다.[63][64]

명왕성은 천왕성과 같이 두 개의 기호를 갖고 있다. 그 기호들 중 하나는 (플루토(Pluto) 또는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의 약자로 해석될 수 있는) ''PL''의 철자도안이며, 1930년 5월 1일에 그 새로운 행성의 발견은 이 이름으로 알려졌다.[65] 그것의 또 다른 기호는 폴 클랜시의 점성술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는데, 수성의 기호를 기초로 수성이 거래하는 위치를 뜻하는 원과 호가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그 기호는 데인 러디야르에 의해 "열린 잔 위에 떠있는 원으로 플루톤의 심적 경향을 지닌 그 행성의 성격을 암시한다"고 묘사된다. 그러나, 신비 과학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적절한 전통적 해석 보다는 블라바츠키의 해석에 있어서 그러한 의미는 쉽게 문제시된다.[66]

센타우루스인 키론의 기호는 (발견자 찰스 코월(Kowal)의) 철자 K가 붙은 열쇠로써, 천문학자 알 모리슨이 제안했는데, 그는 그 기호를 그와 몰리 마호니 그리고 말린 바소프와 논의로 얻어진 것이라고 소개했다.[67]

2. 1. 고대 기원

많은 고대 천궁도가 보존되어 있는 중세 비잔티움의 사본들에서 고대 행성, 황도대 별자리, 각, 가상점, 달의 교점 기호들이 발견된다.[50] 그리스 천궁도의 원본 파피루스에는 태양이 광선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고 달이 초승달 모양으로 표시된 원이 발견된다.[54]

수성, 금성, 목성, 토성의 기호는 후기 그리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51] 목성과 토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그리스어 이름의 첫글자의 문자도안으로 확인되었고, 수성의 기호는 양식화된 카두케우스이다.[51] 몬더는 초기 문헌에서 고대 행성과 관련된 신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행성 기호의 선례를 발견했다.

2세기에 제작된 비안키니의 별자리판[52]은 행성 기호의 초기 형태가 갖추어져 있는데, 행성의 신에 대한 그리스식 인격화를 시사한다. 수성은 카두케우스를 지닌다. 금성은 다른 줄 목걸이와 연결된 목걸이를 하고 있다. 화성은 창을 갖고 있고, 목성은 지팡이를, 토성은 큰 낫을 들고 있다. 태양은 방사성으로 퍼지는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으며 은 초승달 모양의 머리 장식을 하고 있다.[53]

12세기 요한네스 카라테로스의 《점성술 개론(Compendium of Astrology)》에 있는 한 도해는 태양이 하나의 광선을 가진 원으로 표현되어 있고, 목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피테르에 상응하는 제우스의 첫글자인) ''제타''(Ζ)로 표시되어 있으며, 화성은 창이 겹쳐진 방패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다른 행성들의 기호는 현대의 것들과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현대식 기호에서 보여지는 십자모양은 없다.[53] 태양의 현대 기호는 한 원에 점이 찍혀있는 그림(☉)인데, 그 모양은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나타났다.[54]

2. 2.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많은 고대 천궁도가 보전되어 있는 중세 비잔티움의 사본들에서 고대 행성과 황도대 별자리, 각, 가상점 그리고 달의 교점의 기호들이 나타난다.[50] 그러한 그리스 천궁도의 원본 파피루스에서는 태양이 광선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고 달이 초승달 모양으로 표시된 한 원이 발견된다.[54] 수성과 금성, 목성 그리고 토성의 기호는 후기의 그리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51] 목성과 토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그리스어 이름의 첫글자의 문자도안으로 확인되었고, 수성의 기호는 양식화된 카두케우스이다.[51]

몬더는 더 이른 문헌들에서 고대 행성과 연관된 신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행성 기호의 선례를 발견하였다. 2세기에 제작된 비안키니의 별자리판[52]은 행성 기호의 초기 형태가 갖추어져 있는데, 행성의 신에 대한 그리스식 인격화를 시사한다.: 수성은 카두케우스를 지닌다. 금성은 다른 줄 목걸이와 연결된 목걸이를 하고 있다. 화성은 창을 갖고 있고, 목성은 지팡이를, 토성은 큰 낫을 들고 있다. 태양은 방사성으로 퍼지는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으며 달은 초승달 모양의 머리 장식을 하고 있다.[53]

12세기 요한네스 카마테로스의 《점성술 개론(Compendium of Astrology)》에 있는 한 도해는 태양이 하나의 광선을 가진 원으로 표현되어 있고, 목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피테르에 상응하는 제우스의 첫글자인) ''제타''(Ζ)로 표시되어 있으며, 화성은 창이 겹쳐진 방패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다른 행성들의 기호는 현대의 것들과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현대식 기호에서 보여지는 십자모양은 없다.[53] 태양의 현대 기호는 한 원에 점이 찍혀있는 그림(☉)인데, 그 모양은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나타났다.[54]

2. 3. 근대 이후

천왕성과 해왕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발견이 있은 후 얼마 안 돼서 만들어졌다. 천왕성은 두 개의 기호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요한 G 쾰러에 의해 고안되고 보데에 의해 개선된 이다. 이 기호는 본래 새로 발견된 금속 플래티넘을 표시할 예정이었는데, 일반적으로 백금이라고 불리는 플래티넘은 철이 섞인 상태로 화학자들에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것의 기호는 철♂과, 금☉의 기호가 혼합되어 있다.[55][56] 천왕성의 또 다른 기호인 |15px|Uranus]]는 1784년에 랄랑드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허셜과 랄랑드는 그것에 대해 "당신의 이름의 첫글자가 얹어진 원"이라고 묘사했다.[57] 해왕성이 발견된 이후, 경도국은 ''넵튠''(Neptune)의 이름과 삼지창과 유사한 기호를 제안했다.[58]

19세기 초에 발견된 세레스와 팔라스 그리고 유노 이렇게 세 개의 점성학적 기호들도 역시 그것들의 발견 직후에 만들어졌다. 처음에, 그것들은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반세기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주세페 피아치의 세레스 발견 직후, 한 천문학 단체는 그것의 이름을 발견자의 이름으로 하자는 제안을 비준했고, 그 행성의 기호로써 낫 모양을 선정했다.[59] 팔라스의 기호인 팔라스 아테나의 창은 바론 프란츠 사버 폰 자흐에 의해 고안되었고 그의 저널 《월간 통신(''Monatliche correspondenz'')》에서 소개되었다.[12] 카를 루트비히 하딩은 유노를 발견하고 이름 지었으며, 별 하나가 위에 있는 홀(笏)을 그것의 기호로 지정했다.[60]

베스타의 현대 점성술의 기호는 엘레너 바흐에 의해 만들어졌다.[61] 그녀는 《소행성의 천문력(Ephemerides of the Asteroids)》으로써 네 개의 주요 소행성을 사용한 선구자로 인정된다.[62] 베스타를 표기한 바흐의 기호는 베스타의 제단을 표현한 것을 단순화한 것이다.[61] 베스타의 최초 기호인 |18px|Vesta]]은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올베르스 박사가 먼저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된) 그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지만, 그것의 이름을 지을 영예는 가우스에게 넘겼다. 가우스는 그 행성의 이름을 여신 베스타로 지었고, 그것의 기호는 성화가 타고 있는 그 여신의 제단임을 명시했다.[63][64]

명왕성은 천왕성과 같이 두 개의 기호를 갖고 있다. 그 기호들 중 하나는 (플루토(Pluto) 또는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의 약자로 해석될 수 있는) ''PL''의 철자도안이며, 1930년 5월 1일에 그 새로운 행성의 발견은 이 이름으로 알려졌다.[65] 그것의 또 다른 기호는 폴 클랜시의 점성술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는데, 수성의 기호를 기초로 수성이 거래하는 위치를 뜻하는 원과 호가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그 기호는 데인 러디야르에 의해 "열린 잔 위에 떠있는 원으로 플루톤의 심적 경향을 지닌 그 행성의 성격을 암시한다"고 묘사된다. 그러나, 신비 과학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적절한 전통적 해석 보다는 블라바츠키의 해석에 있어서 그러한 의미는 쉽게 문제시된다.[66]

센타우루스인 키론의 기호는 (발견자 찰스 코월(Kowal)의) 철자 K가 붙은 열쇠로써, 천문학자 알 모리슨이 제안했는데, 그는 그 기호를 그와 몰리 마호니 그리고 말린 바소프와 논의로 얻어진 것이라고 소개했다.[67]

3. 기호와 의미



, 유노, 강교점, 금성, 베스타, 하우메아/Haumea영어, 수성, 화성, {{llang|en|Makemake|마케마케]], 히기에아 및 오르쿠스/Orcus영어가 있다.]]

3. 1. 점성술의 행성

점성술에서 행성은 개인의 성격, 운명, 사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73] 각 행성은 고유한 기호와 의미를 가지며, 이는 신화, 상징, 원소 등과 관련된다. 행성 기호는 (항상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정신을 뜻하는 원, 마음을 뜻하는 초승달 모양, 실질적이거나 육체적인 것을 표현하는 십자, 그리고 행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는 화살표의 네 가지 공통 요소로 분해될 수 있다.[73]

이름그림상징의미
태양
Sol
태양의 기호(원테두리 점)잠재력의 근원이 두르고 있는 신령(원)[73]
First quarter moon
초승달마음 또는 감수성을 통해 발전하는 인간의 정신(신월형)[73]
수성
Mercury
메르쿠리우스날개 달린 모자와 카두케오스물질(십자)와 신령(원)위에 균형을 이룬 마음(신월형)[73]
금성
Venus
베누스의 손거울물질(십자)위의 신령(원)[73]
지구
Earth
지구, 태양의 기호(태양 십자)행성 지구: 기본 방위. 혹은 십자 보주[73]
화성
Mars
마르스의 방패와 창신령(원) 위의 힘(화살표)[73]
세레스
Ceres
추수의 여신으로서의 케레스의 상징인 큰 낫(아래의 손잡이).물질의 십자가에 의존하는 감수성의 신월형인 양식화된 큰 낫[73]
목성
Jupiter
유피테르의 벼락 또는 독수리물질(십자)의 지평선 위로 떠오르는 마음(신월형)[73]
토성
Saturn
사투르누스의 낫마음이나 인간 정신(신월형)에 우선하는 물질(십자)[73]
천왕성
Uranus
H는 발견자인 허셜의 성의 첫글자이다.통찰력을 얻는 안테나 모양을 한 영혼의 원과 우세한 물질의 십자,[73]
Uranus
화성과 태양의 기호의 조합에서 파생되었다.종종 점성학적으로도 사용되는 천문 기호. 잠재력의 근원이 두르고 있는 신령(원)위의 힘.[73]
해왕성
Neptune
넵투누스의 삼지창물질(십자)을 초월하는 마음 또는 감수성(신월형)[73]
명왕성
Pluto (alternate)
해왕성의 점성술 기호의 변형신령(원)에 다다르기 위해 물질(십자)를 초월하는 마음(신월형)[73]
Pluto
플루톤 또는 퍼시벌 로웰의 PL의 철자도안종종 점성술에 사용되는 천문 기호[73]



태양, , 명왕성을 포함한 태양계의 8개 행성은 점성술에서 10대 천체로 간주된다. 이들의 기호는 호로스코프에 표시되거나, 애스펙트 기호와 조합되어 사용된다. (예: (태양과 달의 합)) 또한 사인 기호와 조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예:

12x12px
(태양이 백양궁에 있다), 05 (태양이 백양궁의 5도에 있다, 즉 태양의 황경이 5도)) 역행 기호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 ℞ (화성이 역행 중))

7행성의 기호는 근세 초기 연금술 및 화학에서 원소 기호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기호가 추가되었다.[49] 19세기에는 돌턴의 기호나 현대적인 라틴 문자 1~2자로 이루어진 원소 기호로 대체되었다.

1753년 린네는 생물의 성을 나타내는 기호로 ☿・♀・♂를 채용했다. ♂와 ♀는 현재도 암수를 나타내는 기호로 자주 사용된다.

과거 천문학에서도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행성을 간결하게 나타내기 위해 영어 이름의 머리글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제천문연맹(IAU)이 정하는 위성이나 고리의 가칭에서는, 8행성이 H, V, E, M, J, S, U, N으로 표시된다.

3. 2. 황도대 별자리

황도대 별자리는 태양이 1년 동안 지나는 경로인 황도에 위치한 12개의 별자리를 의미한다. 각 별자리는 고유한 기호와 의미를 가지며, 개인의 성격, 특징, 운세 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름상징기호그림기호 풀이
양자리숫양♈︎숫양의 머리과 뿔
황소자리황소♉︎
20px
황소의 머리와 뿔
쌍둥이자리쌍둥이♊︎
20px
동료
게자리♋︎
20px
게의 집게발
사자자리사자♌︎
20px
사자의 머리와 갈기
처녀자리처녀♍︎
20px
보리 다발
천칭자리천칭♎︎
20px
수평저울
전갈자리전갈♏︎
20px
전갈의 꼬리
사수자리궁수♐︎
20px
켄타우로스의 화살
염소자리[74]바다염소♑︎
20px
물고기의 꼬리를 가진 염소의 몸과 머리.
x20px
물병자리물동이를 든 사람♒︎
20px
물결, 때때로의 현대적인 견해로는 번쩍하는 번개나 정기의 파형, 또는 전하를 띈 물.
물고기자리물고기♓︎
20px
두 마리의 물고기가 한 곳에 묶여 있지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헤엄치고 있다.
뱀주인자리뱀을 맨 사람 사람이 뱀을 매고 있다


3. 3. 각

점성술에서 '''각'''(어스펙트)은 행성이 서로, 그리고 상승점, 천정, 하강점, 하위 천정 등 점성술적 관심 지점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41] 각은 행성 간의 상호 작용, 에너지 흐름 등을 나타내며,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름기호설명
20px
0° 의 각도 또는 같은 별자리에 있는 두 개 이상의 행성.
선이 달린 원은 같은 곳(또는 각도의 시작점)에 있는 두 개의 객체를 의미한다.
십이분위각
20px
30°의 각도 또는 한 개의 별자리 차이
육각형의 안쪽에서만(육분위각 참조)의 상반부에서 모서리들과 중심을 잇는 선들
팔분위각
25px
45°의 각도("반직각" 또는 "반배사분위각")
직각(사분위각)을 이등분한 선
육분위각
25px
60°의 각도 또는 두 개의 별자리 차이
육각형의 모서리를 잇는 중심을 가로지르는 선들
오분위각Q72°의 각도
사분위각
20px
90°의 각도나 세 별자리 차이 또는 같은 양상
한 내각이 직각인 정사각형
삼분위각
25px
120°의 각도나 네 별자리 차이 또는 같은 원소의 삼궁
정삼각형
삼배팔분위각
20px
135° 의 각도("직각과 반" 또는 "일배반사분위각")
사분위각의 기호와 그 하변에 걸쳐 있는 팔분위각의 기호는 그 둘의 합을 의미한다.
이배오분위각bQ144°의 각도
오엽각
25px
150°의 각도("불합") 또는 다섯 별자리 차이
육각형의 안쪽에서만(육분위각 참조)의 하반부에서 모서리들과 중심을 잇는 선들
20px
180°의 각도 또는 여섯 별자리 차이
합의 상형문자와 그 꼭대기의 원은 두 객제가 서로 (맞은편에서) 대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러시아 점성가들은 추가 또는 고유한 어스펙트 기호를 사용한다.[42][41]

3. 4.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지구에서 관측되는 달의 밝고 어두운 부분의 변화를 나타낸다.[75][76] 점성술에서 달의 위상은 감정, 주기, 변화 등을 상징한다.

이름기호설명
삭월
New moon
삭월을 또는 태양과 달이 0°~45°의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초승달
Crescent moon
초승달 또는 태양과 달이 45°~90°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상현반달
First quarter moon
빛이 차오를 때의 반달 또는 태양과 달이 90°~135°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상현달
Gibbous moon
빛이 차오르는 볼록한 달 또는 태양과 달이 135°~180°의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보름달
Full moon
보름달 또는 태양과 달이 180°~225°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하현달
Disseminating moon
빛이 이지러지는 볼록한 달 또는 태양과 달이 225°~270°의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하현반달
Last quarter moon
빛이 이지러질 때의 반달 또는 태양과 달이 270°~315°의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그믐달
Balsamic moon
그믐달을 또는 태양과 달이 315°~360°의 범위에 있음을 표시한다.


3. 5. 다른 기호

상승점은 특정 순간에 황도와 천구의 지평선이 교차하는 곳으로, 천궁도나 출생 차트 구성에 사용된다. 영어로는 ascendant(''어센던트'') 또는 라틴어로는 ascensum coeli(''아스켄숨 코엘리'')라고도 한다. 중천점은 황도와 지방 자오선이 교차하는 점으로, 마찬가지로 천궁도나 출생 차트 구성에 사용되며, 영어로는 midheaven(''미드해븐''), 라틴어로는 medium coeli(''미디움 코엘리'')라고도 한다.

모든 점성가들이 교점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베다 점성술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달의 교점은 용두(라후, ''카푸트 트라코니스'' 또는 ''아나비바존'')와 용미(케투, ''카우다 드라코니스'' 또는 ''카타비바존'')로도 알려져 있다.

역행운동 기호(℞)는 점성술 차트에서 행성의 외견상의 역행 운동을 표시한다. 혜성 기호(
|25px]])는 혜성을 나타내지만, 주류 점성술에서는 혜성의 사용이 보급되어 있지 않다.

검은 달 릴리트는 의 장축단을 나타내며, 전통적으로 지심 좌표로 측정할 때 달의 평균 장축단의 위치에 있다. 검은 달의 변형들로는 평균 궤도를 실제 접촉 궤도나 개입 궤도로 대체한 것, 장축단 대신에 달의 궤도의 빈 공간에 초점을 맞춘 것, 지구 중심적 위치 대신에 무게중심이나 지표점중심 위치로 측정한 것이 포함된다.[77]

2 팔라스의 기호(
|25px|Pallas]])는 창(변형은 위가 삼각형이다.) 또는 황을 뜻하는 연금술의 기호를 나타낸다. 10 히기에이아는 뱀이 휘감고 있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25px|Hygiea]]) 또는 두 마리의 뱀이 휘감고 있는 지팡이(
|25px|Hygiea]])로 나타낸다. 3 유노의 기호(
|25px|Juno]])는 별이 위에 있는 홀을, 4 베스타의 기호(
|25px|Vesta]])는 화로 또는 제단과 피워져 있는 불을 상징한다.

2060 키론의 기호(
|25px|Chiron]])는 켄타우로스의 양식화된 몸을 나타낸다. 행운의 가상점 기호(
|25px]])는 34도 회전된 행성 지구를 뜻하는 그림문자이다.

왜행성 에리스의 기호는 에리스의 손(
|25px|⯰]])과 명왕성, 화성, 금성의 기호에 기초하여 헨리 셀트저가 제안한 기호(
|25px|Eris]])가 있다.[78][79]

4. 유니코드

대부분의 점성술 및 천문학 기호는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어 컴퓨터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80] 유니코드에는 8개의 행성, 태양, , 명왕성, 4대 소행성 등의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은 BMP의 Miscellaneous Symbols(기타 기호, U+2600-26FF)에 수록되어 있지만, 일부()는 SMP의 Alchemical Symbols(연금술 기호, U+1F700-1F773)에 수록되어 있다.

소행성 등 몇몇 기호는 2008년의 유니코드 5.1에서, "연금술 기호"는 2010년의 유니코드 6.0에서 확장되었으며, 지원하는 글꼴은 아직 드물다.

U+2295 ⊕ 와 U+2299 ⊙는 지구 기호·태양 기호와 비슷하지만, 수학 기호의 직합과 직적이다.

JIS X 0208에는 화성과 금성의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기호그림유니코드[80]특수문자
태양24pxU+2609
24pxU+1F71A🜚
24px
U+263E
24pxU+263D
수성24pxU+263F
금성24pxU+2640
지구24pxU+1F728🜨
화성24pxU+2642
목성24pxU+2643
토성24pxU+2644
천왕성
24px
U+2645
24pxU+26E2
해왕성24pxU+2646
24px
U+2BC9
1 세레스24pxU+02A1ʡ
2 팔라스24pxU+26B4
3 유노24pxU+26B5
4 베스타24pxU+26B6
2060 키론24pxU+26B7
에리스24pxU+2BF0
24pxU+2BF1
명왕성24pxU+2647
24pxU+2BD3
24px
U+2BD4
24px
U+2BD5
24px
U+2BD6
하우메아
24px
U+1F77B🝻
마케마케
24px
U+1F77C🝼
공공
24px
U+1F77D🝽
콰오아
24px
U+1F77E🝾
오르쿠스
24px
U+1F77F🝿
양자리
24px
U+2648♈︎
황소자리
24px
U+2649♉︎
쌍둥이자리
24px
U+264A♊︎
게자리
24px
U+264B♋︎
사자자리
24px
U+264C♌︎
처녀자리
24px
U+264D♍︎
천칭자리
24px
U+264E♎︎
전갈자리
24px
U+264F♏︎
사수자리
24px
U+2650♐︎
염소자리
24px
U+2651♑︎
x24px
물병자리
24px
U+2652♒︎
물고기자리
24px
U+2653♓︎
24px
U+260C
엄폐
24px
U+1F775🝵
십이분위각
24px
U+26BA
팔분위각
24px
≈ U+2220
육분위각
24px
U+26B9
오분위각QU+0051Q
사분위각
24px
U+25A1
삼분위각
24px
U+25B3
삼배팔분위각
24px
U+26BC
이배오분위각bQ없음bQ
오엽각
24px
U+26BB
24px
U+260D
월식
24px
U+1F776🝶
삭월24pxU+1F311🌑︎
초승달24pxU+1F312🌒︎
상현반달24pxU+1F313🌓︎
상현달24pxU+1F314🌔︎
보름달24pxU+1F315🌕︎
하현달24pxU+1F316🌖︎
하현반달24pxU+1F317🌗︎
그믐달24pxU+1F318🌘︎
상승점Aˢᶜ없음ASC
중천점Mᶜ없음MC
승교점24pxU+260A
강교점24pxU+260B
검은 달 릴리트24pxU+26B8
역행 운동U+211E
행운의 가상점24pxU+1F774🝴
혜성24pxU+2604


5. 한국의 관점

5. 1.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1975
[2] 서적 Greek Horoscopes https://archive.org/[...]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7
[3] 서적 Astronomical papyri from Oxyrhynchus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4] 웹사이트 Bianchini's planisphere http://brunelleschi.[...] Istituto e Museo di Storia della Scienza (Institute and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2010-03-17
[5] 간행물 The origin of the symbols of the planets
[6] 서적 Von dem neu entdeckten Planeten https://archive.org/[...] Beim Verfaszer 1784
[7] 서적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Neptune https://archive.org/[...] Smithsonian Institution 1850
[8] 서적 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G. & C. Merriam Webster
[9] 간행물 The meaning of the symbol "H+o" for the planet Uranus 1917
[10] 서적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Neptune https://archive.org/[...] Smithsonian Institution 1850
[11] 서적 Berliner astronomisches Jahrbuch führ das Jahr 1804 https://books.google[...]
[12] 간행물 "[no title cited]"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no title cited]"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Asteroid symbols http://www.suberic.n[...] 2010-05-20
[15] 웹사이트 Eleanor Bach http://www.solsticep[...] 2010-05-20
[16] 서적 Monatliche Correspondenz zur Beförderung der Erd- und Himmels-Kunde https://books.google[...]
[17] 서적 Effemeridi astronomiche di Milano per l'anno 1809 https://books.google[...]
[18] 간행물 Chiron 1977
[19] 간행물 The Trans-Neptunian planet http://articles.adsa[...] 1930
[20] 웹사이트 PART FIVE: Mercury and Pluto http://www.khaldea.c[...] 1966
[21] 웹사이트 Symbols for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http://www.suberic.n[...] Suberic.net 2013-07-03
[22] 웹사이트 What is a Dwarf Planet? https://www.jpl.nasa[...] 2015-04-22
[23] 서적 The ABC of the Old Science of Astrology https://books.google[...] Cosimo 2006
[24] 서적 Christian Astrology http://www.skyscript[...] 1659
[25] 웹사이트 Mercury Retrograde http://janetsplan-it[...] 2005
[26] 웹사이트 Recipe definition http://www.m-w.com/c[...] M-w.com 2007-04-25
[27] 문서 Text format can be forced by appending the character U+FE0E to the sign
[28] 문서 Emoji format can be forced by appending the character U+FE0F to the sign
[29] 문서 Emoji format can be forced by appending the character U+FE0F to the sign
[30] 서적 Myths & Symbols of Vedic Astrology 2003
[31] 서적 Horoscope symbols Para Research 1981
[32] 웹사이트 L2/16-067R: Astrological Plutos https://www.unicode.[...] 2016-08-12
[33] 웹사이트 Proposal to add some Western Astrology Symbol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6-05-09
[34]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historical asteroid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3-09-18
[35] 웹사이트 Additional Symbols for Astrology https://www.unicode.[...] 2016-05-28
[36] 웹사이트 Comment on U+26B7 CHIRON https://www.unicode.[...] 2021-08-26
[37] 웹사이트 Eris and Sedna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6-06-12
[38] 웹사이트 Preliminary presentation of constellation symbols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24-10-22
[39]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dwarf-planet symbol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1-10-26
[40] 웹사이트 L2/16-064: Extra Symbols from Uranian Astrology https://www.unicode.[...] 2016-03-06
[41] 웹사이트 L2/17-020R2: Feedback on Extra Aspect Symbols for Astrology https://www.unicode.[...] 2017-01-24
[42] 웹사이트 L2/16-174R: Extra Aspect Symbols for Astrology https://www.unicode.[...] 2016-06-09
[43] 웹사이트 The Black Moon Apogee and its Variants http://www.expreso.c[...] 2010-08-20
[44] 문서 Unicode Code Charts
[45] 문서 出典は画像の説明文を参照。
[46] 문서 これら4つの出典は英語版 [[:en:Astrological symbols]] を参照。
[47] 서적 占星術のシクミがわかる本 シャングリラ・プレス 1996
[48] 웹사이트 When did the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http://aa.usno.navy.[...] アメリカ海軍天文台
[49] 웹사이트 http://www.meta-synt[...]
[50]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1975
[51] 서적 Astronomical papyri from Oxyrhynchus https://archive.org/[...] 1999
[52] 웹인용 Bianchini's planisphere http://brunelleschi.[...] Istituto e Museo di Storia della Scienza (Institute and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2013-03-19
[53] 간행물 The origin of the symbols of the planets 1934
[54] 서적 Greek Horoscopes 1987
[55] 서적 Von dem neu entdeckten Planeten http://books.google.[...] 1784
[56] 서적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Neptune http://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850
[57] 웹인용 The meaning of the symbol H+o for the planet Uranus http://adsabs.harvar[...] 2013-05-16
[58] 서적 Report on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Neptune http://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850
[59] 서적 Berliner astronomisches Jahrbuch führ das Jahr 1804 http://books.google.[...] 1801
[60] 서적 Monatliche correspondenz zur beförderung der erd- und himmels-kunde, Volume 10 http://books.google.[...] 1804
[61] 웹인용 Asteroid Symbols http://www.suberic.n[...] 2013-03-21
[62] 웹인용 Memorial for Astrologer, Eleanor Bach http://www.solsticep[...] 2013-03-21
[63] 서적 Monatliche correspondenz zur beförderung der erd- und himmels-kunde, Volume 15 http://books.google.[...] 1807
[64] 서적 Effemeridi astronomiche di Milano per l'anno 1809 http://books.google.[...] 1808
[65] 간행물 The Trans-Neptunian planet http://articles.adsa[...] 1930
[66] 웹인용 PART FIVE: Mercury and Pluto http://www.khaldea.c[...] 2013-03-21
[67] 간행물 Chiron 1977
[68] 서적 The ABC of the Old Science of Astrology http://books.google.[...] 2006
[69] 서적 Christian Astrology http://www.skyscript[...] 1659
[70] 웹인용 Mercury Retrograde http://janetsplan-it[...] 2013-05-16
[71] 웹인용 Recipe definition http://www.m-w.com/c[...] M-w.com 2013-05-16
[72] 저널 The Medical Examiner, and record of medical science http://books.google.[...]
[73] 웹사이트 Glyphs of the general astrological and Uranian planets http://www.uranian-i[...] 2020-06-28
[74] 서적 Myths & Symbols of Vedic Astrology
[75] 웹사이트 The Eight Lunation Types http://www.khaldea.c[...]
[76] 간행물 Key to Symbols http://www.khaldea.c[...] 2010-09-23
[77] 웹인용 The Black Moon Apogee and its Variants http://www.expreso.c[...] 2013-03-21
[78] 웹인용 Chiron and friends http://www.zanestein[...]
[79] 웹사이트 Hail Eris! http://www.astrograp[...] 2010-09-17
[80] 웹인용 Unicode 6.0 Character Code Charts http://www.unicode.o[...] 2013-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