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선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에 있는 역이다. 1967년 영업을 시작하여, 무연탄 취급, 화물 취급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2015년 무궁화호 정기 운행이 종료되고 정선아리랑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정선선이 지난다. 역 주변에는 봉양초등학교, 정선 아리랑 시장 등이 있으며, KBS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 촬영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2023년 5월 15일부터 정선역에서는 승차권 발매가 중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선선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선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정선군의 건축물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군의 건축물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정선군의 교통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군의 교통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정선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 이름정선역
한자 표기旌善驛
로마자 표기Jeongseon Station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애산리
노선정선선
구조지상역
승강장해당 사항 없음
선로해당 사항 없음
개업일1967년 1월 20일
폐업일해당 사항 없음
재건축해당 사항 없음
역 코드해당 사항 없음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한국어 정보
역 종류보통역
역 등급3급
영업 거리민둥산 기점 22.6 km
이전 역선평
이전 역 간 거리8.9 km
다음 역나전
다음 역 간 거리10.0 km
역 구조지상역
승강장1면 2선
승차 인원해당 사항 없음
통계 연도해당 사항 없음
승강 인원해당 사항 없음
관리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민둥산관리역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1
이미지
역 건물
역 건물
정선역사 (광장쪽)
정선역사 (광장쪽)
정선역사 (선로쪽/현재는 역명판에 정선역이라고 쓰여 있다.)
정선역사 (선로쪽/현재는 역명판에 정선역이라고 쓰여 있다.)

2. 연혁

날짜내용
1966년 8월 24일역사 신축 착공
1966년 12월 30일역사 준공
1967년 1월 20일영업 개시[3]
1979년 12월 1일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4]
1996년 5월 10일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 취소[5]
2002년 11월 27일정선아리랑유람열차 운행 개시
2006년 5월 1일소화물 취급 중지
2006년 11월 15일화물 취급 중지[6]
2015년 1월 15일무궁화호 정기 운행 종료
2015년 1월 22일정선아리랑열차 운행 개시[1]
2023년 5월 15일정선역 승차권 발매 중지


3. 역 구조

정선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4. 역 주변


  • 봉양초등학교
  • 정선애산우편취급국
  • 정선군청 제2청사
  • 정선군국민체육센터
  • 정선 아리랑 시장 (정선 5일장 (매월 2, 7, 12, 17, 22, 27일) 및 주말장이 열리는 전통 시장)
  • 정선 레일바이크 (구절리역 ~ 아우라지역 구간 운행)

5. 기타


  • KBS 해피선데이의 코너 1박 2일 촬영 장소이다.[1]
  • 구절리역 영업 중지로 인해 구절리역 역 방문 스탬프가 정선역으로 이동 비치되었다.[2]
  • 가리왕산 회동광산까지 연결되는 지선인 (가칭) '회동선'(檜洞線)이 존재했으나, 정식 명칭, 개설 및 폐지 시기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3]
  • 정선역과 아우라지역 구간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정기 여객 열차가 통표 폐색 방식으로 운행하는 구간이다.[4]
  • 역 방문 스탬프는 매표소 바로 앞에 있다.[5]
  • 정선역은 1인 근무역으로 지정되어 있다.[6]
  • 2023년 5월 15일부터 정선역에서는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으므로, 열차 승차 후 승무원에게 구입해야 한다.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A-train 즐기기 http://www.letskorai[...]
[2] 문서 구절리역의 스탬프도 같이 비치되어 있다.
[3]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305호 1967-01-13
[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2호 1979-11-29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1996-23호 1996-05-04
[6] 간행물 대한민국 관보 건설교통부고시제2006-400호 2006-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