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궁화호는 1983년 12월 23일 개칭된 대한민국의 완행 열차 등급이다. 새마을호가 정차하지 않는 역에 정차하며 장거리 도시 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해왔다. 2004년 KTX 개통 이후에는 지방 노선에서 보통 열차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2023년 9월부터는 ITX-마음이 무궁화호를 대체할 예정이다. 무궁화호는 대한민국 국화인 무궁화에서 명칭을 따왔으며, 현재 객차를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열차 - 비둘기호
비둘기호는 1984년 보통열차에서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 철도의 최하위 등급 열차로, 다양한 객차를 운용하며 전국을 운행했으나 노후화와 운임 문제로 2000년에 운행이 종료되었고 현재는 일부 객차가 보존되어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비둘기호
비둘기호는 1984년 보통열차에서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 철도의 최하위 등급 열차로, 다양한 객차를 운용하며 전국을 운행했으나 노후화와 운임 문제로 2000년에 운행이 종료되었고 현재는 일부 객차가 보존되어 있다. - 열차 등급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열차 등급 - S-트레인
S-트레인은 세이부 철도, 도쿄 메트로,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공동 운영하는 유료 좌석 지정 열차로, 평일에는 도쿄 도심 통근, 주말 및 공휴일에는 관광 수송에 중점을 두고 운행되며, 모든 좌석은 지정석으로 운영 노선과 시간대에 따라 정차역이 다르다.
무궁화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무궁화호 |
로마자 표기 | Mugunghwa-ho |
한자 표기 | 無窮花號 |
종류 | 지역 철도 |
상태 | 운행 중 |
국가 | 대한민국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첫 운행 | 1984년 1월 1일 |
노선 길이 | 최대 8시간 소요 |
좌석 | 일반석 (2+2 배열) |
식당칸 | 일부 열차에 미니 카페 자동판매기 |
차량 | 다양한 객차 구성, 1998년~2004년 제작 일반 객차 및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제작 구형 객차 |
사용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한국철도공사 7300호대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호남선 중앙선 경전선 영동선 동해선 전라선 장항선 경북선 태백선 충북선 |
기점 |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광주역 동대구역 대전역 부전역 순천 김천역 |
종점 | 부산역 목포역 광주역 영주역 제천역 진주역 순천 익산역 여수엑스포역 포항역 부전역 동대구역 태화강역 동해역 |
정차역 수 | 191 |
이전 운영 주체 | |
이전 운영 주체 | 대한민국 철도청 |
기타 | |
![]() | |
![]() |
2. 역사
무궁화호라는 명칭은 1960년 서울-부산 간 최우등 열차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6] 그러나 1962년에 '재건호'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9년 관광호 운행이 시작되면서 폐지되었다.[6]
현행 무궁화호는 1977년 새마을호와 특급(1984년부터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신설된 '우등'을 전신으로 하며, 1983년 12월 23일에 "무궁화호"로 개칭되었다. 철도청이 광역전철 이외에서 운행하는 4종류의 열차 종별(새마을호, 무궁화호, 비둘기호, 통일호) 중에서, 무궁화호는 새마을호가 정차하지 않는 역에 정차하면서 장거리 도시 간을 하급 열차보다 빠르게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통근열차가 신설되지 않은 지방 노선에서 무궁화호가 최하급 열차 역할을 하게 되었다.[7]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는 것은 아니며, 간선에서는 정차역을 달리하는 치도정차 방식으로 운행하여 소요 시간을 줄이면서도 대부분의 역에 정차한다.[7] 2008년에는 거의 모든 지방 노선에서 무궁화호가 보통열차가 되었고, 경전선이나 중앙선에는 장거리 각역정차 열차도 있다.
2009년에는 무궁화호와 동급인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했다.[8] 초기에는 차량 갱신 시 무궁화호를 누리로로 대체할 예정이었으나,[8] 실제로는 일부만 전환되었고, 2020년에도 무궁화호가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로 남아 있다.
등장 초기에는 장거리 열차에 기동차나 전차도 도입되었지만, 1990년대 말에 모두 객차로 교체되었다. 초기 도입된 객차는 2003년까지 신형 객차로, 디젤 동차는 2010년까지 9501계 디젤 동차로 교체되었다.
2003년 이후 객차 신규 제작이 중단되고, 누리로 대체도 중단되면서 객차 부족이 심화되어 운행 편수와 차량 수가 감소했다. 정비 불량 차량까지 운용되는 경우도 많아졌다.[9]
2023년 9월 1일부터 노후화된 무궁화호를 대체하기 위해 ITX-마음이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9] 다만, 무궁화호가 정차했던 일부 역은 ITX-마음 운행 시 통과한다.
2. 1. 명칭의 유래
무궁화(대한민국의 국화)에서 이름을 따왔다.[6]무궁화호라는 명칭은 1960년 서울-부산 간 최우등 열차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다.[6] 그러나 1962년에 '재건호'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9년 관광호 운행이 시작되면서 폐지되었다.[6]
2. 2. 도입 초기 (1977년 ~ 1984년)
1977년 새마을호와 특급(1984년부터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우등'''이 신설된 것이 시초이며, 1984년 1월 1일부터 '''무궁화호'''로 개칭되었다.[6] 무궁화호라는 이름 자체는 제1공화국 시절이었던 1960년에 처음 명명되었으나, 이는 현재의 무궁화호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1980년에는 우등형 전기 동차가 운행을 시작했는데, 당시 국산 기술 부족으로 일본 기술 차관으로 제작되었다.[7]
2. 3. 발전과 변화 (1984년 ~ 2004년)
1984년 1월 1일부터 '무궁화호'라는 이름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6] 무궁화호라는 이름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인 1960년에 처음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무궁화호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1984년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NDC)가 도입되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도입된 초기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가 무궁화호로 등급이 내려갔다. 1990년대에는 구형 무궁화호 객차를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되어, 수동문이 자동문으로 바뀌고 객실 좌석 배열이 변경되었다. 1990년대 말에는 EEC가 통일호로 등급이 내려갔다.[12]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근처에서 무궁화호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78명이 사망하고 198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고는 삼성물산이 무단으로 터널 공사를 하면서 선로가 붕괴되어 발생했으며, 대한민국 철도 역사상 최악의 사고로 기록되었다.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증기기관차가 견인하는 관광열차가 무궁화호 등급으로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일요일과 공휴일에 경의선과 교외선을 경유하여 서울역과 의정부역을 왕복 운행했다. 그러나 한국고속철도(KTX) 건설, IMF 외환 위기, 증기기관차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2000년 5월 운행이 중단되었다. 2000년에는 비둘기호가 퇴역하였다.
2. 4. KTX 개통 이후 (2004년 ~ 현재)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무궁화호가 완행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7] KTX 개통 이후에도 주요 간선 철도 노선에 장대 무궁화호가 편성되었으나, 점차 사라졌다. 2006년 11월 6일 이후 장대 무궁화호는 정기열차에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12]2009년에는 무궁화호와 동급인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했다.[8]
2016년 4월 22일, 전라선 율촌역 부근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1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당했다. 조사 결과 기관사의 과실로 인한 사고로 밝혀졌다.[4]
2018년에는 새마을호가 퇴역하고 특실 객차가 폐지되었다.[13]
2023년 9월 1일부터 노후화된 무궁화호를 대체하기 위해 ITX-마음이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9] 2023년 12월에는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RDC) 운행이 종료되었다.
3. 운행 구간
2023년 12월 18일 기준으로 무궁화호가 운행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통일호와 비둘기호 서비스가 중단된 이후, 일부 열차는 무궁화호로 개량되었으나, 정차역이 더 많아졌다. 무궁화호의 정차역은 열차마다 다르다.
'''참고: 굵은 글씨로 표시된 역은 필수 정차역이다.'''
노선 | 정차역 |
---|---|
경부선 | 서울, 용산, 영등포, 안양, 수원, 오산, 서정리, 평택, 성환, 천안, 전의, 조치원, 부강, 신탄진, 대전, 옥천, 이원, 지탄, 심천, 영동, 황간, 추풍령, 김천, 구미, 양목, 왜관, 신동, 대구, 동대구, 경산, 남성현, 청도, 상동, 밀양, 삼랑진, 원동, 물금, 화명, 구포, 사상, 부산 |
호남선 | 서대전, 계룡, 연산, 논산, 강경, 함열, 익산, 김제, 신태인, 정읍, 배기장사, 장성, 광주송정, 나주, 다사, 함평, 무안, 몽탄, 일로, 임성리, 목포 |
중앙선 | 청량리, 덕소, 양평, 용문, 지평, 석불, 일신, 매곡, 양동, 삼산, 서원주, 원주, 봉양, 제천, 단양, 풍기, 영주, 안동, 의성, 탑리, 화본, 신녕, 부경천, 영천, 아화, 신경주 |
전라선 | 익산, 삼례, 전주, 임실, 오수, 남원, 곡성, 구례구, 순천, 여천, 여수엑스포 |
충북선 | 대전, 신탄진, 조치원, 오송, 청주, 오근장, 청주국제공항, 증평, 음성, 주덕, 충주, 삼탄, 봉양, 제천 |
경전선 | 삼랑진, 할림정, 진영, 질리, 창원중앙, 창원, 마산, 중리, 함안, 군북, 반성, 진주, 와산, 북천, 횡천, 하동, 진상, 광양, 순천, 벌교, 조성, 예당, 득량, 보성, 명봉, 이양, 능주, 효천, 서광주, 광주송정 |
영동선 | 영주, 봉화, 춘양, 임기, 현동, 분천, 양원, 승부, 석포, 철암, 동백산, 도계, 신기, 동해 |
태백선 | 제천, 영월, 예미, 민둥산, 사북, 고한, 태백, 동백산 |
장항선 | 천안, 아산, 온양온천, 도고온천, 신례원, 예산, 삽교, 홍성, 광천, 청소, 대천, 웅천, 팡요, 서천, 장항, 군산, 대야, 익산 |
동해선 | 부전, 센텀, 신해운대, 기장, 남창, 태화강, 불국사, 신경주, 서경주, 앙강, 포항, 월포, 장사, 강구, 영덕 |
경북선 | 김천, 옥산, 청리, 상주, 함창, 점촌, 용궁, 개포, 예천, 영주 |
광주선 | 광주송정, 흥덕, 광주 |
대구선 | 동대구, 하양, 영천 |
3. 1. 현재 운행 구간
무궁화호는 2021년 12월 현재, 한국철도공사(KORAIL)가 여객 영업을 하는 대부분의 지방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ITX-새마을이 서울특별시와 지방 도시를 잇는 것과 달리, 무궁화호는 여기에 더해 지방 도시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완적인 역할도 한다. 또한, 부산광역시 인근 도시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거리 열차는 주로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운행된다.3. 2. 과거 운행 구간
4. 정차역
무궁화호는 주요 역뿐만 아니라 KTX나 새마을호가 정차하지 않는 역에도 정차하여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각 노선별 필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정차역 |
---|---|
경부선 | 서울[26]-용산[27]-영등포-안양-수원-오산-서정리-평택-성환-천안-전의-조치원-부강-신탄진-대전-옥천-이원-지탄-심천-각계-영동-황간-추풍령-김천-구미-약목-왜관-신동-대구-동대구-경산-남성현-청도-상동-밀양-삼랑진-원동-물금-화명-구포-사상-부산 |
호남선 | 서대전-계룡-연산-논산-강경-함열-익산-김제-신태인-정읍-백양사-장성-광주송정-나주-다시-함평-무안-몽탄-일로-임성리-목포 |
전라선 | 익산-삼례-전주-임실-오수-남원-곡성-구례구-순천-여천-여수엑스포''' |
충북선 | 동대구-대전-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오근장-청주공항-증평-음성-주덕-충주-삼탄-봉양- 제천''' |
경전선 | 삼랑진-한림정-진영-진례-창원중앙-창원-마산-중리-함안-군북-반성-진주-완사-북천-횡천-하동-진상-광양-순천-벌교-조성-예당-득량-보성-명봉-이양-능주-효천-서광주-광주송정''' |
영동선 | 영주-봉화-춘양-임기-현동-분천-양원-승부-석포-철암-동백산-도계-신기-동해''' |
태백선 | 제천-쌍룡-영월-예미-민둥산-사북-고한-태백'''-동백산 |
장항선 | 천안-아산-온양온천-도고온천-신례원-예산-삽교-홍성-광천-청소-대천-웅천-판교-서천-장항-군산-대야-익산''' |
동해선 | 부전-센텀-신해운대-기장-남창-태화강-북울산-경주-서경주-안강-포항''' |
경북선 | 김천-옥산-청리-상주-함창-점촌-용궁-개포-예천-영주''' |
광주선 | 광주송정-극락강-광주''' |
대구선 | 동대구-하양-영천''' |
교외선 | 대곡-원릉-일영-장흥-송추-의정부''' |
5. 차량
무궁화호 열차는 현재 모두 객차형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동차형은 2023년 12월 18일을 끝으로 운행이 종료되었다.[3]
- '''여객차'''
무궁화호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사용된다.
- * 장대형 무궁화호 여객차
- * 유선형 무궁화호 여객차
- * 구 새마을호 차량 (2024년 5월 퇴역)
- * 일부 무궁화호 열차에는 지하철과 유사한 형태의 고밀도 자유석 차량으로 개조된 구형 카페 차량이 있다.[3]
과거에는 어린이 놀이 공간 등을 갖춘 스낵카도 연결된 적이 있었으며, 2004년 한국고속철도(KTX) 개통으로 남는 특실차 4량을 개조하여 관광 전용 열차 '''TLX'''가 제작되었다. 이후 8량으로 증편되어 '''레디버드'''(Ladybird)로 명명되고, 단체·임시열차로 운행 중이다.
또한, 남는 여객차를 개조하여 침대차와 식당차를 포함한 특별열차 '''해랑'''으로 완성되었다. 2008년부터 한국 국내를 순회하는 투어용 단체·임시열차로 정기 운행되고 있다. 차체는 짙은 남색으로 도색되었고, 금색 줄무늬와 봉황을 디자인한 심볼 마크를 새겼다.
1980년대 초반까지 제작된 탕엥산 객차, 직각 새마을호에서 격하된 객차, 구특전 무궁화호 객차, 1985년에서 1989년에 생산되어 대수선을 거친 대수선 객차, 1989년에서 1993년까지 생산된 2X3 배열 좌석 개조 객차, 1994년에서 1996년까지 생산된 일반실 클래식 디자인형 객차, 1996년에서 1997년까지 생산된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생산된 나뭇결 후기형 객차,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생산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리미트 초기형 객차, 2003년에 제작된 디자인리미트사의 리미트 후기형 객차 등 다양한 종류의 객차가 있다.[3]
5. 1. 동차
우등형 디젤 동차(DEC)는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전기식 제어 방식으로 최고 시속은 120km이다. 9201계(초기 201계)는 1980년에 새마을호로 등장하여 전라선 서울 - 남원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외관은 9900계 전동차와 유사하지만, 선두차는 동력실이 절반을 차지하고 객실이 좁은 PMC(Power-Motor-Car) 형식이며, 전기식 변속기 방식을 채택했다. 5량 편성 2개 조로 총 10량이 제작되었다. 1986년 새마을호에 신형 객차가 도입되면서 무궁화호로 격하되어 경춘선 (청량리 - 춘천) 운행에 투입되었다. 2000년경에 용도 폐기되어 10량 모두 폐차되었다.[3]- 형식
형식 | 구분 | 량수 | 좌석 | 비고 |
---|---|---|---|---|
9201형(구 201형) | 선두동력차 | 4량 (9201 - 04) | 39석(PMC) | 엔진 1기(KTA38L 970마력), 발전기 1기, 전동기 2기 |
9301형(구 301형) | 동력차 | 4량 (9301 - 04) | 83석 | 전동기 4기 |
9401형(구 401형) | 부수차 | 2량 (9401 - 02) | 83석 |
- 편성
# 9201 - 9301 - 9401 - 9302 - 9202
# 9203 - 9303 - 9402 - 9303 - 9204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NDC)는 9211계로 불리는 디젤 동차이다.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하였으며, 유체 변속 방식으로 제어되고 최고 시속은 120km이다. 1984년 10월에 211계 디젤 동차를 이용한 무궁화호가 등장했다. 처음에는 2량 편성(211 - 411)이었지만, 1985년부터 중간 동력차 311형이 신조되어 3량 편성과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주요 운행 노선은 부산 - 마산, 부산 - 울산, 부산 - 대구, 대구 - 마산, 경춘선(청량리 - 춘천) 등이었다. 1987년(231계), 1988년(281계)로 차량 번호가 변경되었고, 1992년부터 9211계로 최종 운용되었다.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총 36량이 제작되었지만, 1994년 열차 충돌 사고로 3량이 손실되었다. 2010년 NDC 운행이 종료되었다.[10]
- 형식
형식 | 구분 | 량수 | 좌석 | 비고 |
---|---|---|---|---|
9211형(구 231, 281) | 선두 동력차 | 12량 (9211 - 22) | 89석 | 엔진 2기(커민스제 NTA855RI 315마력) |
9311형(구 331, 381) | 중간 동력차 | 12량 (9311 - 22) | 83석(78석 차량 있음) | 엔진 2기 |
9411형(구 431, 481) | 선두 제어차 | 12량 (9411 - 22) | 79석 | 발전기 1기(1990년 제작 9421・22는 동력 엔진 1기를 탑재하여 동력차로 개조) |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RDC)는 통근열차로 사용되었던 9501계 동차(CDC)를 무궁화호 타입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2008년 4월 15일부터 대구 - 마산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동대구 - 포항 구간 등에서도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0년 2월 17일을 기하여 전폐된 NDC의 역할을 이어받았다. 2023년 12월 17일을 기하여 모든 차량의 운행을 종료했다.
우등형 전기 동차(EEC)는 대한민국 최초의 전철 특급열차로 1980년에 한국철도 9900계 10량 편성 2대, 총 20량이 등장했다. 청량리에서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을 경유하여 동해까지 하루 1회 왕복 운행하다가 19년간 운행했으나, 1999년에 통일호로 강등되어 2001년에 폐차되었다.
5. 2. 객차
무궁화호 객차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1977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되었다. 특실 전용 객차, PC방 객차, 장애인 객차, 바둑 객차, 유아 놀이방 객차, 구형 카페 객차, 스낵카, 놀이방&스낵카, 예식장 객차, 식당차 등 다양한 종류의 객차가 존재하였다. 객차 연식에 따라 제조사가 다르며, 탕엥산, 대우산, 한진산, 디자인리미트산 객차가 있다.[3]주요 객차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탕엥산 객차: 1980년대 초반까지 제작된 객차.
- 직각 새마을호 격하 객차: 원래 직각 새마을호였지만 무궁화호로 격하된 객차.
- 구특전 무궁화호 객차: 새마을호였지만 새로운 객차형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와 새마을호 PP동차의 도입으로 무궁화호로 격하된 객차.
- 대수선 객차: 1985년에서 1989년에 생산되어 대수선을 거친 객차.
- 2X3 배열 좌석 개조 객차: 1989년에서 1993년까지 생산된 객차.
- 일반실 클래식 디자인형 객차: 1994년에서 1996년까지 생산된 객차.
-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6년에서 1997년까지 생산된 객차. 외관은 클래식 객차와 비슷하지만, 내부 벽면에 나뭇결 시트지가 부착되어 있다.
- 나뭇결 후기형 객차: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생산된 객차. 내부 조명이 간접조명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객실 구석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었다.
- 리미트 초기형 객차: 2000년에서 2002년까지 생산된 디자인리미트사의 객차.
- 리미트 후기형 객차: 2003년에 제작된 디자인리미트사의 객차. 객실과 통로 사이 문이 자동문으로 변경되었고, 객실과 통로 간 벽이 유리벽으로 변경되었다.
무궁화호 객차는 한국철도공사(KORAIL) 차량 중에서 수도권 전철 전동차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력 열차이다. 초기에는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도입된 통일호 객차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1985년부터는 사양이 크게 변경된 차량이 추가 도입되었다. 1986년 새마을호에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신형 여객차가 도입되면서 새마을호에서 대량으로 강등된 객차가 무궁화호 특실로 운행되었고, 이후 무궁화호용으로 개량된 차량이 신규 제작되었다.
현재 무궁화호에 사용되는 객차는 크게 장대형 객차와 리미트 차량 두 종류로 나뉜다. 장대형 객차는 1990년대 중반부터 제작되었고, 리미트 차량은 2000년경부터 디자인리미트사에서 제작하여 도입되었다.
과거에는 어린이 놀이 공간 등을 갖춘 스낵카도 연결된 적이 있었다.
1990년대 초반, 새마을호에 푸시풀 방식의 디젤 동차가 대량 도입됨에 따라, 남게 된 스테인리스 객차가 무궁화호 특실로 운행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특실" 전용 열차 운행은 폐지되었고, 구 새마을 객차는 KTX 개통과 함께 정기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2007년 10월 1일 중앙선 계통 열차에서 특실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2018년 12월 28일 특실 운용이 폐지되고, 2024년 4월 30일 객차는 폐차될 예정이다.
한국에서도 경부선 등에서 정기 야간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무궁화호로 운행되었다. 과거에는 객차 편성의 맨 뒤에 2단식 침대차가 연결된 열차가 있었다. 현재의 침대차는 모두 리미트사 제작의 신형 차량이지만, 수요 감소로 정기 운행은 종료되었고, 매우 드물게 투어 임시 열차에 연결될 뿐이다.
2004년 한국고속철도(KTX) 개통으로 남는 특실차 4량을 개조하여 관광 전용 열차 '''TLX'''가 제작되었다. 이후 8량으로 증편되어 '''레디버드'''(Ladybird)로 명명되고, 단체·임시열차로 운행 중이다.
또한, 남는 여객차를 개조하여 침대차와 식당차를 포함한 특별열차 '''해랑'''으로 완성되었다. 2008년부터 한국 국내를 순회하는 투어용 단체·임시열차로 정기 운행되고 있다. 차체는 짙은 남색으로 도색되었고, 금색 줄무늬와 봉황을 디자인한 심볼 마크를 새겼다.
DEC(Diesel Electric (Excellent) Car)는 9201계로 불리는 디젤 동차이다.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하였으며, 전기식 제어 방식, 최고 시속 120km이다.
9201계(초기 201계)는 1980년에 새마을호로 등장하여 전라선 서울 - 남원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5량 편성 2개 조로 총 10량이 제작되었다. 1986년에 새마을호에 스테인리스제 신형 객차가 도입되면서 구형 객차와 함께 무궁화호로 격하되어 경춘선(청량리 - 춘천) 운행에 투입되었다. 2000년경에 용도 폐기되어 10량 모두 폐차되었다.
; 형식
형식 | 구분 | 차량 번호 | 좌석 | 비고 |
---|---|---|---|---|
9201형(구 201형) | 선두동력차 | 9201 - 04 | 39석 | 엔진 1기, 발전기 1기, 전동기 2기 (PMC) |
9301형(구 301형) | 동력차 | 9301 - 04 | 83석 | 전동기 4기 |
9401형(구 401형) | 부수차 | 9401 - 02 | 83석 |
; 편성
편성 1 |
---|
9201 - 9301 - 9401 - 9302 - 9202 |
편성 2 |
9203 - 9303 - 9402 - 9303 - 9204 |
5. 3. 식당차와 카페 객차
2008년 2월 4일 장항선을 시작으로 기존 식당차 대신 카페 객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는 인력 관리 효율성 문제 때문이었다. 이후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경북선 등지로 확대되었고, 2009년 2월 23일부터는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등지에도 카페 객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12월부터는 충북선, 호남선, 경전선, 영동선, 동해남부선 등지를 운행하는 단거리 무궁화호에 미니카페가 투입되었다. 무궁화호 식당차는 기존 일반 객차를 개조한 차량이었으며, 2001년경 디자인리미트에서 새로 제작한 식당차는 레일크루즈 해랑으로 개조되었다.2018년부터는 가판대, 노래방, 테라피룸을 철거하고 자판기 위치 조정, 콘센트 설치, 장의자 설치 등 편의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3년 내 폐차 계획이 수립된 노후 차량은 개조 대상에서 제외되었다.[3]
2022년 1월 1일 기준 카페 객차 투입 구간은 다음과 같다.
노선 | 구간 | 번호 |
---|---|---|
경부선 | 서울 ~ 부산 | 1201~1218 |
서울 ~ 대전 | 1313~1324 | |
대전 ~ 부산 | 1351~1362 | |
호남선 | 용산 ~ 목포 | 1401~1408 |
전라선 | 용산 ~ 여수엑스포 | 1501~1508 |
장항선 | 용산 ~ 익산 | 1551~1568 |
2019년 12월 2일 기준 카페 객차가 운행되지 않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 구간에는 판매 승무원이나 자판기가 없다.
노선 | 구간 | 번호 |
---|---|---|
경부선 | 서울 ~ 대전 | 1311~1312 |
대전 ~ 부산 | 1355~1356 | |
경전선 | 부전 ~ 순천 | 1952~1953 |
순천 ~ 광주송정 | 1971~1974 | |
충북선 | 동대구 ~ 영주 | 4301~4304 |
동해선 | 동대구 ~ 태화강 | 1772, 1785~1786, 1789 |
동대구 ~ 부전 | 1773~1774, 1777, 1779~1780, 1784, 1788, 1793~1795 |
6. 차내 안내방송
무궁화호는 자동 안내방송과 승무원의 육성 안내방송을 혼합하여 시행한다. 자동 안내방송은 한국어와 영어로 제공된다.[28] 2006년까지는 일본어, 중국어로도 안내방송을 시행했으나, 이후에는 한국어와 영어로만 안내하고 있다.
출발, 정차, 종착 안내방송 내용과 사용되는 음악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안내방송은 시대별로 이선, 이윤정, 조영미, 조예신 등이 담당했으며, 2021년부터는 기계 합성음이 사용되고 있다.[32] 영어 안내방송은 시대별로 브랜든, 리사 켈리 등이 담당했으며, 2021년 12월 28일부터는 기계 합성음이 사용되고 있다.
언어 | 담당 성우 | 기간 |
---|---|---|
한국어 | 이선 | 2002년~2004년 |
이윤정 | 2006년 ~ 2010년 | |
기계 합성음 | 2010년 ~ 2012년 7월[28] | |
조영미 | 2012년 7월 ~ 2014년 5월 11일[29][30] | |
조예신 | 2014년 5월 12일~2021년 1월 4일[31] | |
기계 합성음 | 2021년 1월 5일~현재[32] | |
영어 | 브랜든 | 2000년 ~ 2010년, 2012년 7월 ~ 2014년 5월 11일 |
기계 합성음 | 2010년 ~ 2012년 7월 | |
리사 켈리 | 2014년 5월 12일 ~ 2021년 12월 27일[31] | |
기계 합성음 | 2021년 12월 28일 ~ 현재 |
참조
[1]
웹사이트
Mugunghwa-ho South Korean Regional Trains Reviews, Photo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16
[2]
웹사이트
Mugunghwa-ho South Korean Regional Trains Reviews, Photo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16
[3]
웹사이트
Mugunghwa-ho South Korean Regional Trains Reviews, Photos & More
https://trainreview.[...]
2020-10-16
[4]
웹사이트
Mugungwaha train derailed
http://www.kookje.co[...]
Kuje Newspaper
2016-04-24
[5]
웹사이트
서울에서地方への行き方~鉄道編~
http://www.konest.co[...]
[6]
서적
写真で見た韓国鉄道100年
韓国鉄道庁・公報担当官室
1999
[7]
서적
2018-19 地球の歩き方 韓国
ダイヤモンド社
2018-01-03
[8]
뉴스
무궁화호 열차 점차 사라진다
https://www.ytn.co.k[...]
YTN
2020-01-06
[9]
뉴스
21세기 한국서…이런 '누더기 열차' 19대 운행 중입니다
https://www.joongang[...]
中央日報
2023-10-01
[10]
웹사이트
韓国鉄道公社の報道資料
http://info.korail.c[...]
2010-02-17
[11]
웹사이트
야외전시장(野外展示場)
https://www.railroad[...]
한국철도박물관
2021-04-06
[12]
문단
[13]
문단
[14]
문단
[15]
문단
[16]
문단
[17]
문단
[18]
문단
[19]
문단
[20]
문단
[21]
문단
[22]
문단
[23]
문단
[24]
문단
[25]
문단
[26]
문단
[27]
문단
[28]
문단
[29]
문단
[30]
문단
[31]
기타
[32]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