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선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으로, 1962년 예미~정선 구간 건설을 시작하여 1974년 여량~구절리 구간을 완공했다. 제천~백산 구간이 태백선으로 편입되면서 증산~여량 구간으로 축소되었고, 2004년 구절리역과 아우라지~구절리 구간의 영업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민둥산~아우라지역 구간에 정선아리랑열차가 운행되며, 과거 비둘기호, 통일호, 통근열차, 무궁화호 등이 운행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1502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2호선 블루어-댄포스
2호선 블루어-댄포스선은 토론토 지하철의 주요 노선으로, 1966년 개통 이후 연장을 거쳐 현재 키플링역과 케네디역을 잇는 핵심 간선 역할을 하며, 스카버러 지역 연장 공사 및 미시소거 지역 서부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196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슬로 메트로
오슬로 메트로는 1966년 개통된 노르웨이 오슬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6개의 노선과 101개의 역을 갖추고 동서부를 연결하며 루테르에서 관리하고 확장 계획을 통해 교통망을 강화하고 있다. - 정선선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정선선 - 아우라지역
아우라지역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정선선 소속의 지상역으로, 1971년 여량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및 어름치 카페, 캡슐 하우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정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旌善線 |
한글 | 정선선 |
한자 | 旌善線 |
가타카나 | チョンソンソン |
영어 | Jeongseon Line |
종류 | 지선철도 |
상태 | 영업 중2022년 3월 31일까지 영업중단. |
기점 | 민둥산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종점 | 구절리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역 수 | 7 |
노선 번호 | 31502 |
개통일 | 1967년 1월 20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관광개발 (레일바이크) |
영업 거리 | 45.9 km |
궤간 | 1.435 mm |
선로 | 단선 |
신호 | ATS 통표 폐색 |
지도 | |
노선도 | |
![]() | |
역 목록 (민둥산역 - 아우라지역) | |
기타 | |
설명 | 아우라지 역과 구절리 역 구간은 아리아리호 열차가 운행됨 |
2. 연혁
1962년 정선선 건설이 시작된 이후, 1973년 태백선 개통으로 노선이 축소되고 여객 운송 방식도 여러 차례 바뀌었다. 2000년대에는 태풍 루사 피해와 복구, 레일바이크 도입 등 다양한 사건이 있었다.
날짜 | 내용 |
---|---|
2002년 8월 31일 | 태풍 루사 피해로 정선~구절리 간 열차 운행 중단. |
2004년 2월 10일 | 정선~구절리 간 열차 운행 재개. |
2004년 6월 27일 | 별어곡~선평 간 낙석사고 발생. 7월 9일까지 운행 중단. |
2004년 9월 23일 | 구절리역 및 아우라지~구절리 간 7.2km 영업 중지.[12] |
2005년 7월 1일 | 정선선 레일바이크 운행 개시.[13] |
2006년 8월 1일 | 관광열차 아리아리호 아우라지~구절리 간 운행 개시. |
2007년 5월 5일 | 정선선 관광열차[14]에 MTB열차 운행 개시. |
2008년 1월 1일 | 정선선 전용 통근열차 객차 운행 중지, 제천~증산~아우라지 무궁화호 운행 개시. |
2009년 7월 1일 | 서울~아우라지 무궁화호 임시열차 운행 개시.[15] |
2010년 1월 5일 | 서울~아우라지 무궁화호가 청량리역~아우라지로 단축. 이후 정선 5일장이 서는 날만 운행. |
2011년 10월 5일 |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나전, 선평, 별어곡역 여객 중지, 전 열차 통과. |
2015년 1월 12일 | 청량리~아우라지 무궁화호 마지막 운행. |
2015년 1월 14일 | 제천~아우라지 무궁화호 마지막 운행. |
2015년 1월 22일 | 정선선 경유 정선 아리랑 열차(A-train) 운행 개시. |
2017년 12월 18일 | 증산역을 민둥산역으로 변경[16]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502로 변경[17] |
2. 1. 정선선 건설과 태백선 편입 (1962년 ~ 1973년)
정선선은 태백산 지구의 탄광 개발로 생산된 석탄을 산업 시설로 수송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영월선 및 함백선의 연장 노선으로 건설이 시작되었다.[6]날짜 | 내용 |
---|---|
1962년 5월 10일 | 정선선 예미~정선 간 착공 |
1966년 1월 10일 | 예미~증산 간 개통 |
1966년 2월 28일 | 정선~여량 간 착공 |
1967년 1월 20일 | 증산~정선 간 22.6km 완공[7] |
1969년 10월 15일 | 정선~나전 간 9.9km 완공[8] |
1971년 5월 21일 | 나전~여량 간 6.1km 완공[9] |
1973년 10월 16일 | 제천~백산 간이 태백선으로 명명됨에 따라 정선선은 증산~여량으로 축소[6] |
2. 2. 구절리 연장과 여객 운송 변화 (1974년 ~ 2000년)
1973년 10월 16일, 제천~백산 간 구간이 태백선으로 명명되면서 정선선은 증산~여량 구간으로 축소되었다.[6] 이후 1974년 12월 20일 여량~구절리 간 8.0km 구간이 완공되었다.[10]1990년대 말까지 객차 1량과 기관차 1량으로 구성된 비둘기호가 하루에 수차례 운행되었으며, 청량리역에서는 통일호도 운행되었다. 2000년 11월 14일 증산~구절리 간 비둘기호 운행이 중단되면서, 정선선 전 노선에서 비둘기호 등급이 폐지되었다.[11] 2000년 1월 1일에는 여량역이 아우라지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날짜 | 내용 |
---|---|
1974년 12월 20일 | 여량~구절리 간 8.0 km 완공.[10] |
2000년 1월 1일 | 여량역을 아우라지역으로 개명. |
2000년 11월 14일 | 증산~구절리 간 비둘기호 폐지.[11] |
2. 3. 태풍 루사 피해와 복구, 그리고 레일바이크 (2002년 ~ 현재)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해 정선선은 큰 피해를 입어, 정선역~구절리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2] 2004년 2월 10일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같은 해 6월 27일 별어곡역~선평역 구간에서 낙석사고가 발생하여 7월 9일까지 다시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12] 결국 2004년 9월 23일 아우라지역~구절리역 구간은 영업이 중지되었다.[12]이후 2005년 7월 1일부터 해당 구간에 KORAIL관광개발이 운영하는 레일바이크가 운행되기 시작했다.[13] 이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정선선은 1990년대 말까지 비둘기호가 운행되었던 노선으로, 2000년 11월 14일 비둘기호 운행이 중단된 이후에는 통일호를 거쳐 무궁화호 객차를 활용한 통근열차가 운행되었다. 그러나 2008년 통근열차 운행이 중지되고, 제천역까지 직통하는 무궁화호가 운행되었으나 이마저도 2015년 1월 14일에 중단되었다.
2015년 1월 22일부터는 정선 아리랑 열차(A-train)가 운행을 시작하여, 현재는 이 관광열차만이 정선선을 운행하고 있다.
3. 역 목록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민둥산 | Mindungsan | 민둥山 | 0.0 | 0.0 | 태백선 | 강원특별자치도 | 정선군 | 구 증산(甑山) |
별어곡 | Byeoreogok | 別於谷 | 6.4 | 6.4 | ||||
선평 | Seonpyeong | 仙坪 | 7.3 | 13.7 | ||||
- | - | 폐역[18] | ||||||
정선 | Jeongseon | 旌善 | 8.9 | 22.6 | ||||
- | - | 폐역 및 구 외반점역 | ||||||
나전 | Najeon | 羅田 | 10.0 | 32.6 | ||||
아우라지 | Auraji | 6.1 | 38.7 | 구 여량(餘量) | ||||
구절리 | Gujeol-ri | 九切里 | 7.2 | 45.9 | 레일바이크, 아리아리호 운행, 열차 운행 중지 |
4. 노선 특징
태백산지구의 탄광 개발에 맞추어 산업시설에 석탄을 수송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최초에는 영월선 및 함백선의 연장 노선인 정선선으로 건설이 이루어졌다.[6] 1973년 10월 이후 고한선과 황지지선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태백선으로 명명되면서, 정선선은 증산~여량 간으로 축소되었다.[6] 이후 비둘기호가 가장 최후까지 운행했던 노선으로, 적자 운송의 대표적 노선으로 인지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지자체의 관광 진흥 노력에 따라 관광노선으로서의 입지를 점차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6]
이 노선은 평시에는 민둥산 - 아우라지간 정선아리랑열차(A-train)가 하루 2왕복 운행하는 것이 여객 운행의 전부이며, 이 중 1왕복은 민둥산역을 지나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그 외에 화물 일부[19]와 관광 목적의 임시열차가 운행된다. 과거에는 구절리에서 출발하여 태백선 및 중앙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통일호가 하루 1회 운행하였지만 새벽 3:50에 구절리역을 출발했기 때문에[20][21] 수요는 많지 않았고, 연선의 침체 및 대한민국 철도청의 장거리 통일호 감축에 따라 폐지되었다. 정선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비둘기호 열차가 운행한 노선이며, 정선 - 아우라지 구간은 정기 여객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에서 유일하게 통표 폐색을 사용하고 있다.
통일호가 폐지된 시점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는 이 구간에 전국 유일의 객차형 통근열차가 운행하였다. 이 열차는 비둘기호 시절의 별명을 따서 ‘꼬마열차’로 불리었으며, 노후한 최초기형의 새마을호[22][23] 객차를 관광 목적에 맞게 개조하여 운영하였다. 이 객차는 제천열차승무사무소 소속 승무원이 승차하였으며, 제천역에서 태백선을 경유하여 영주역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 후부에 연결되어 민둥산역까지 회송 운행했다.[24] 그 당시에는 '정선아리랑 유람열차'로 불렸으며, 현재도 발전차 1량이 남아 무궁화호 등에 편성되고 있다. 2008년부터는 이 구간에 통근열차의 운행이 중단되고, 그 대신 2015년 1월 14일까지 무궁화호가 태백선을 따라 제천역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었다.
수도권 거주 정선선 관광객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09년 7월 1일부터 서울역 - 아우라지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 1왕복이 신설되었다가, 2010년 1월 5일부터 청량리역까지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고 이후 정선 5일장이 서는 날만 운행하는 것으로 축소되었으며 2015년 1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을 중단하게 되었다. 또한, 열차운행이 폐지된 아우라지 - 구절리 간에는 관광용의 레일바이크 및 열차 아리아리호가 운행중에 있다.
5. 운행 차량
현재 정선아리랑열차와 아리아리호 객차가 운행되고 있다.[25] 기관차로는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아리아리호 견인 전용 모터 카가 사용된다.
과거 운행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6. 교통량 및 이용객 현황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정선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1]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에 따른 이용객 현황은 다음과 같다.[26]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한국철도통계에 따르면, 각 종별 열차 이용객 수는 다음과 같다.[26]
구분 | 이용 인원수 (명)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비둘기 | 92,639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통일(통근) | 9,769 | 83,702 | 67,177 | 44,873 | 79,037 | 82,201 | 76,387 | 54,511 | 0 | 0 | 0 | 0 | 0 | 0 | 0 | 0 |
무궁화 | 26,132 | 14,786 | 15,008 | 15,618 | 11,989 | 14,128 | 11,977 | 2,228 | 30,802 | 32,178 | 40,059 | 35,742 | 34,476 | 38,261 | 34,775 | 2,365 |
새마을 | 0 | 0 | 0 | 0 | 85 | 745 | 259 | 14,924 | 19,359 | 361 | 428 | 587 | 0 | 0 | 0 | 44,998 |
건설 | 160 | 161 | 144 | 2 |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 |||||||||||
정기권 | 216 | 0 | 0 | 0 |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 |||||||||||
합계 | 128,916 | 98,649 | 82,329 | 60,493 | 9,111 | 97,074 | 88,623 | 71,663 | 50,161 | 32,539 | 40,487 | 36,329 | 34,476 | 38,261 | 34,775 | 47,363 |
6. 1. 교통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정선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1]
6. 2.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7. 미래
태백산지구의 탄광 개발에 맞추어, 이를 산업시설에 수송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최초에는 영월선 및 함백선의 연장 노선인 정선선으로 건설이 이루어졌다. 1973년 10월 이후 고한선과 황지지선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태백선으로 명명되면서, 정선선은 증산~여량 간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비둘기호가 가장 최후까지 운행했던 노선으로, 적자 운송의 대표적 노선으로 인지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지자체의 관광 진흥 노력에 따라 관광 노선으로서의 입지를 점차 확보하고 있다.[6]
현재 정선선에 대한 개량, 전철화 등의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다. 한편 강원도의회, 정선군 의회 등에서는 구절리역~횡계 간 32.4km의 철도 노선 신설을 여러 차례 요청한 바 있으며, 특히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와 연계하여 추진을 시도하였으나, 경제적 타당성 등의 이유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305호
1967-01-13
[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51호
1969-10-08
[3]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3호
1971-05-12
[4]
웹사이트
비둘기호여 안녕! 2000년 11월 14일 정선선 비둘기호 마지막 운행일! 옛날티브이 고전영상 옛날영상
https://www.youtube.[...]
MBC강원영동
2022-05-17
[5]
기타
[6]
뉴스
<매경>이 최악의 경영 성적 기록했다는 코레일 정선선은 '지역 이어주는 동맥'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23-12-19
[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305호
1967-01-13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51호
1969-10-08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3호
1971-05-12
[10]
뉴스
정선선 연장 완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4-12-20
[11]
뉴스
아듀! 비둘기호
https://news.kbs.co.[...]
KBS
2000-11-15
[12]
뉴스
[정선]정선5일장·꼬마열차 운행구간·시간 변경
https://n.news.naver[...]
강원일보
2004-09-13
[13]
뉴스
철로자전거로 정선여행
https://n.news.naver[...]
한겨레
2005-07-01
[14]
기타
[15]
기타
[1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2017-12-18
[1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18]
서적
강원도
http://ilovetrain.co[...]
뿌리깊은나무
1983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웹인용
하이텔 철도사랑동호회 ‥ 파란 ∽ 클럽
http://club.paran.co[...]
2018-11-09
[24]
기타
[25]
기타
[26]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