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대 요크 공작 랭글리의 에드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랭글리의 에드먼드(1341-1402)는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의 아들이자 초대 요크 공작이다. 그는 1370년대 프랑스 원정에 참여했고, 1399년 헨리 4세의 즉위에 기여하며 랭커스터 왕조에 충성을 맹세하고 은퇴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2세'에 등장하며, 요크 왕조의 시조로서 장미 전쟁의 배경이 된다. 그의 후손들은 잉글랜드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백작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스튜어트
글로스터 공작 헨리 스튜어트는 찰스 1세의 아들이자 잉글랜드 왕족으로, 내전 중 의회파에 인질로 잡히고 국외로 추방되었다가 스튜어트 왕정 복고 후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했지만 천연두로 사망했다. - 케임브리지 백작 - 제3대 요크 공작 요크의 리처드
에드워드 3세의 후손인 제3대 요크 공작 요크의 리처드는 헨리 6세와 대립하며 장미 전쟁의 주요 인물이 되었고,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권력을 장악하려 했으나 웨이크필드 전투에서 전사했다. - 1341년 출생 - 이존오
이존오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공민왕 때 신돈의 권세를 비판하다 좌천되었으며, 강직한 성품과 신돈에 대한 적개심을 드러낸 시조로 알려져 있다. - 1341년 출생 - 김사형
김사형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군사 업무를 관장하며 대마도 원정을 지휘하여 왜구 소탕에 공을 세웠으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편찬에 참여했다. - 1402년 사망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 출신으로, 1385년 밀라노의 지배권을 장악하여 밀라노 공국을 건설하고 롬바르디아 지역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며, 1395년 밀라노 공작 작위를 받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피렌체 정복에 실패하고 1402년 페스트로 사망한 인물이다. - 1402년 사망 - 조반니 1세 벤티볼리오
조반니 1세 벤티볼리오는 벤티볼리오 가문의 시초이자 볼로냐의 참주였으며, 1462년에 사망했다.
제1대 요크 공작 랭글리의 에드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에드먼드 오브 랭글리 |
작위 | 요크 공작 |
출생일 | 1341년 6월 5일 |
출생지 | 하트퍼드셔 킹스랭글리 |
사망일 | 1402년 8월 1일 (61세) |
사망지 | 링컨셔 에프워스 |
배우자 | 이사벨라 데 카스티야 (1372년 결혼, 1392년 사망) 조앤 홀랜드 (1393년 결혼) |
자녀 | 에드워드 노리치 콘스탄스 오브 요크 리처드 오브 코니스버러 |
가문 | 플랜태저넷 가문 (출생) / 요크 가문 (창시자) |
아버지 | 에드워드 3세 |
어머니 | 필리파 드 에노 백작영애 |
묻힌 곳 | 킹스랭글리 수도원 (1402년–1575년) / 올 세인츠 교회, 킹스랭글리 (1575년 이후) |
작위 정보 | |
요크 공작 임명 | 1385년 8월 6일 |
케임브리지 백작 임명 | 1362년 |
경력 | |
오항 총독경 | 1376년–1381년 1396년–1398년 |
2. 초기 생애
1341년, 에드워드 3세와 필리파 오브 에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세 잉글랜드의 왕자들 대부분이 그랬듯이, 출생지인 하트퍼드셔의 킹스 랭글리에서 유래한 "에드먼드 오브 랭글리"라는 별명이 붙었다.[1]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1370년대에 프랑스를 상대로 여러 군사 원정에 참여했다. 1369년, 그는 400명의 무장 병력과 400명의 궁수를 이끌고 존 헤이스팅스와 함께 브르타뉴와 앙굴렘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10] 이듬해 그는 펨브룩과 다시 합류하여 벨 페르슈 요새를 구원하는 원정에 참여했고, 이후 그의 맏형 흑태자 에드워드와 함께 리모주를 포위하고 약탈하는 작전에 참여했다.[10] 1375년, 그는 마르 백작과 함께 브레스트를 구원하기 위해 항해했지만, 초반의 성공 이후 휴전이 선언되었다.[10]
1399년, 리처드 2세가 폐위되고 헨리 볼링브로크가 헨리 4세로 즉위하자,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랭커스터 왕조에 충성을 맹세하고 정치 일선에서 은퇴했다.[6] 그해 말, 잠시 동안 서부 변경 수비대장으로 임명되었다.[5]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출생지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1402년 61세의 나이로 킹스 랭글리에서 사망했다.[12] 그는 킹스 랭글리 수도원에 안치되었으나, 수도원이 해산된 후 1575년에 그의 무덤은 근처의 올 세인트 교회, 킹스 랭글리로 옮겨졌다.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첫 번째 부인으로 카스티야의 페드로 1세의 딸인 이사벨라와 결혼했다.[13] 이사벨라는 에드먼드의 형인 존 오브 곤트의 두 번째 부인인 카스티야의 콘스탄스의 여동생이었다. 이들은 2남 1녀를 두었다.[13]
랭글리의 에드먼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2세''에서 주요 등장인물로 묘사된다.[9] 극 중에서 에드먼드는 조카 리처드 2세의 고문직을 사임하지만, 왕을 배신하는 것을 꺼린다. 그는 결국 헨리 볼링브로크의 편에 서서 볼링브로크의 아버지 존 오브 곤트가 사망한 후 리처드가 몰수한 볼링브로크의 영지를 되찾도록 돕기로 결정한다. 볼링브로크가 리처드를 폐위시키고 헨리 4세로 즉위한 후, 에드먼드는 그의 아들 오마르(노리치의 에드워드)가 새 국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음을 알게 된다. 에드먼드는 이 음모를 폭로하지만, 그의 아내 이사벨라가 헨리에게 아들을 용서해달라고 설득한다. 실제 에드먼드의 아내 이사벨라는 볼링브로크(헨리 4세)에 대한 음모가 벌어지기 8년 전인 1392년에 사망했다.[9]
에드먼드의 손자 요크 공 리처드는 1455년에 장미전쟁을 일으켰으나 1460년에 전투중에 사망하였다.[13] 이에 에드먼드의 증손자인 에드워드 4세는 랭커스터 가문과의 권력 투쟁에서 헨리 6세를 죽이고 요크 왕가를 창업하였다.
[1]
서적
The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The St. Catherine Press
존 드 바렌, 제7대 서리 백작이 사망하자 에드먼드는 트렌트 강 북쪽, 주로 요크셔에 있는 백작의 영지를 하사받았다. 1359년에는 아버지 에드워드 3세의 프랑스 원정에 참전했고, 1361년 가터 훈장을 받았다. 1362년에는 아버지에 의해 케임브리지 백작에 봉해졌다.[1]
1363년, 아버지의 계략으로 플랑드르 백작루이 2세의 외동딸이자 상속녀인 마르그리트와의 결혼이 추진되었으나, 프랑스왕샤를 5세의 방해로 혼인 무효가 되었다.[10]
3. 군사 경력
1370년대에 영국 사절단은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와 동맹을 맺었고, 포르투갈은 랭커스터 가문의 군대와 함께 카스티야를 공격하기로 약속했다.[10] 프랑스 카롤린 전쟁의 결과로 존 오브 곤트는 카스티야 침공을 연기해야 했다.[10] 1381년, 에드먼드는 마침내 존의 카스티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한 실패한 원정을 이끌었고, 페르난디네 전쟁의 일환으로 카스티야 왕관을 공격하는 페르난두 왕과 합류했다.[10] 수개월 동안의 우유부단함 끝에 카스티야와 포르투갈 사이에 다시 평화가 선언되었고, 에드먼드는 불만을 품은 병사들을 이끌고 귀국해야 했다.[10]
에드먼드는 1376년 6월 12일에 도버 성의 총사령관과 친퀘 포트의 관리자로 임명되어 1381년까지 직무를 수행했다.[11] 1385년 8월 6일, 그는 요크 공작으로 승격되었다.[11] 에드먼드는 1394/95년에 그의 조카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가 아일랜드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동안 왕국의 수호자로 활동했으며, 1395년 의회를 주재했다.[12] 그는 또한 리처드 2세가 어린 신부 발루아의 이사벨라를 맞이하기 위해 프랑스를 잠시 방문한 1396년에도 왕국의 수호자였다.[12] 1399년 여름, 리처드 2세가 또 다른 장기간의 아일랜드 작전을 위해 떠났을 때 공작은 왕국의 감시자로 남겨졌다.[12] 그해 6월 말, 망명한 헨리 볼링브로크가 요크셔의 브리들링턴에 상륙했다.[12] 에드먼드는 볼링브로크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소집했지만, 대신 그와 합류하기로 결정했고, 그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12] 그는 이후 볼링브로크가 리처드 2세를 폐위하고 헨리 4세가 되면서 랭커스터 왕조에 충성을 다했다.[12]
4. 헨리 4세 즉위와 은퇴
5. 사망
6. 결혼과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비고 노리치의 에드워드 1373년 1415년 10월 25일 제2대 요크 공작, 아쟁쿠르 전투에서 전사[13] 요크의 콘스탄스 1374년경 1416년 11월 29일 토마스 르 디스펜서와 결혼, 앤 네빌의 외증조모[13] 코니스버러의 리처드 1385년경 1415년 8월 5일 제3대 케임브리지 백작, 헨리 5세에 대한 반역죄로 처형[13]
1392년 이사벨라가 사망한 후, 에드먼드는 켄트 백작 토마스 홀랜드의 딸인 조앤 드 홀랜드와 재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14]
7. 셰익스피어 희곡에서의 등장
8. 가계도
9. 후대의 권력 투쟁
그러나 에드워드 4세가 1483년에 41세라는 젊은 나이에 갑자기 사망하자, 에드먼드의 또 다른 증손자 리처드 3세는 조카(에드워드 4세)의 왕위를 찬탈하였다. 리처드 3세의 재위는 길지 못하였는데, 1485년에 튜더 가의 헨리 7세와 벌인 보스워스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전사하고 말았기 때문이다.[13]
참조
[2]
서적
John of Gaunt: The Exercise of Princely Power in Fourteenth-Century Europe
Routledge
[3]
웹사이트
Encyclopedia Britannica Edmund of Langley First Duke of York
http://www.britannic[...]
[4]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III: Divided Houses
Faber & Faber Ltd.
[5]
서적
Henry IV: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1399–1406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11-12-19
[6]
간행물
York, Edmund of Langley, Duke of
[7]
간행물
An Ambivalent "first Yorkist": Edmund of Langley, Duke of York (d. 1402)
2023
[8]
웹사이트
'Parishes: King\'s Langley', A History of the County of Hertford: Volume 2, pp. 234–245.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8-05-31
[9]
웹사이트
Marks of Cadency in the British Royal Family
http://www.heraldica[...]
[10]
문서
尾野、P23、佐藤、P102。
[11]
문서
森、P160 - P161、P164、川北、P106、P110、ロイル、P32 - P33、P52。
[12]
문서
森、P167 - P169、尾野、P24、川北、P113、ロイル、P80 - P81。
[13]
문서
森、P231、尾野、P24。
[14]
문서
エドマンドもジョウンも[[エドワード1世 (イングランド王)|エドワード1世]]の血を引い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