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7보병사단은 1953년 창설되어 2022년 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였다. 6.25 전쟁 직후 부대 안정화와 전투력 강화에 주력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대민 지원 및 지역 안정화 작전을 수행했다. 1993년 차기 보병사단 편제로 개편되었으며, 2020년 예하 보병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해체되었다. 과거 북한군의 남침에 대비하여 화천군 일대의 전방 지역을 경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2010년에는 전 사단장 김인동 소장의 군사 기밀 유출 사건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천군 소재의 관공서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화천군 소재의 관공서 - 강원특별자치도화천교육지원청
    강원특별자치도화천교육지원청은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지역 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5보병사단은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서 공을 세워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현재는 경기도 연천군 일대 GOP 경계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이다.
  • 2022년 폐지 - 공동 명단
    공동 명단은 2015년 이스라엘 총선을 앞두고 결성된 정당 연합으로, 다양한 이념을 포괄하며, 2015년 총선에서 13석을 얻어 제20대 크네세트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다.
  • 2022년 폐지 - 삼송동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은 능역을 표시하던 세 그루 소나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신도동에서 동명이 변경되었고, 2022년 분동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3호선 역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기본 정보
명칭제27보병사단
원어 명칭제27보병사단 (第二十七步兵師團)
통칭승리 부대 (이기자 부대)
표어중부 전선의 수호자, 조국 통일의 선봉장
창설일1953년 9월 18일
해체일2022년 11월 30일
국가[[파일:Flag of South Korea.svg|20px]] 대한민국
규모사단
병과보병
역할지역 경계, 수색
상급 부대제2군단
주둔지강원도 화천군
편성지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지휘관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Brigadier General (OF-6).svg|30px]] 준장 민인기 (육사 46기)
주요 지휘관제3대 김계원 준장
제34대 전인범 소장
훈장
수상 내역대통령 부대표창 7회 등
군가
군가27사단가
참전
주요 참전베트남 전쟁
기타

2. 역사

제27보병사단은 1953년 6월 18일 육군본부 일반명령 제202호에 의거 전라남도 광주에서 육군본부 직할 부대로 창설되었다.(사단 창설 기념일은 9월 18일) 이후 강원도 양양군에서 부대를 편성, 이형석 소장이 초대 사단장으로 부임하였다.[22]

1965년 1월 10일 비둘기부대(제101경비대대)가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1993년 12월 1일 차기 보병사단 편제로 개편되었으며, 2020년 12월 1일 예하 보병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22] 2022년 11월 30일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사단이 해체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역사 (1953년 ~ 1965년)

1953년 6월 18일 육군본부 일반명령 제202호에 의거 전라남도 광주에서 육군본부 직할 부대로 창설되었다. (사단 창설 기념일은 9월 18일로 하였다.) 같은 해 9월 18일 육군본부 교부 제1183호에 의거하여 각 부대로부터 기간요원을 차출, 강원도 양양군에서 집결하여 부대를 편성하였다. 같은 해 10월 1일 이형석 소장이 초대 사단장으로 부임하였다.[22]

2. 2. 베트남 전쟁 참전 (1965년 ~ 1973년)

1965년 1월 10일 비둘기부대(제101경비대대)가 창설되었다. 제79보병연대 제3대대가 비둘기부대 예하 제101경비대대에 편입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2. 3. 편제 개편 및 발전 (1973년 ~ 2020년)

1993년 12월 1일 차기 보병사단 편제로 개편되었다.[22] 이 시기에는 과학화 훈련 도입 등 전투력 강화에 주력했다. 특히,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추진으로 인한 안보 불안 우려 속에서도 철통같은 경계 태세를 유지하며 국민들의 신뢰를 얻었다.

2. 4. 부대 해체 (2020년 ~ 2022년)

2020년 12월 1일 예하 보병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22] 2022년 11월 30일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사단이 해체되었다. 병력 감축에 따른 부대 해체는 국방력 강화와 효율적인 군 운용을 위한 조치였으나, 지역 사회와의 유대 관계 약화 등의 아쉬움을 남겼다.

3. 역대 지휘관

성명재임 기간출신교·기수전직후직비고
1이형석1953년 10월 9일 ~ 1954년 8월 24일일본육군사관학교 45기제8사단장합동참모본부 제1국장준장
2김봉철1954년 8월 25일 ~ 1954년 10월 9일군영 1기제29연대장제33사단장[4]
3김계원1954년 10월 10일 ~ 1956년 4월 12일군영 1기육군포병사령관정보국장준장
4정래혁1956년 4월 13일 ~ 1956년 11월 13일일본육군사관학교 58기
군영 1기
보병학교장육군본부 작전국장준장
5이치업1956년 11월 14일 ~ 1958년 8월 12일경찰학교 2기제8사단장援護處訴請委員長준장
6박경원1958년 8월 13일 ~ 1959년 7월 7일경찰학교 2기제1사단장육군본부 물류감준장
7김동수1959년 7월 8일 ~ 1960년 7월 1일중앙군관학교 한국인 특별반준장
8전부일1960년 7월 2일 ~ 1962년 3월 2일경찰학교 2기제50사단장제5군관구사령관
9안광영[5]1962년 3월 2일 ~ 1964년 1월 9일경찰학교 3기제50사단장제2군단 부군단장준장
10이준학[6]1964년 1월 10일 ~ 1966년 3월 15일7기제31사단장국방부 재정국장
11임지순[7]1966년 3월 16일 ~ 1967년 12월 7일8기 2특제36사단장군수참모부 차장
12나희필1967년 12월 7일 ~ 1969년 11월 26일5기군사고등법원 판사육군본부 관리참모부 차장
13윤흥정1969년 11월 27일 ~ 1971년 11월 29일8기
14최영식1971년 11월 29일 ~ 1974년 1월 24일8기
15김선일1974년 1월 24일 ~ 1976년 2월 26일7기제5군단 부군단장준장
16권영각1976년 2월 27일 ~ 1978년 2월 25일포병간부학교 5기국방부 장관 보좌관합동군사령부 참모부장[8]
17정진권1978년 2월 25일 ~ 1980년 1월 6일8기육군교육사령관
18정승현1980년 1월 7일 ~ 1981년 7월 17일갑종 46기예비역
19김찬기1981년 7월 17일 ~ 1983년 6월 22일
20편동수[9]1983년 6월 23일 ~ 1985년 6월 9일14기제5포병여단장제6군단 부군단장
21윤인하1985년 6월 9일 ~ 1987년 6월 9일
22편장원1987년 6월 10일 ~ 1989년 1월 9일18기제3군단장
23양상태[10]1989년 1월 10일 ~ 1991년 1월 6일19기[11]국방부 제1차관보
24오형근1991년 1월 7일 ~ 1992년 12월 28일22기국방부 투자사업조정관작전참모부 차장
25김현수1992년 12월 29일 ~ 1994년 4월 24일
26이풍길1994년 4월 24일 ~ 1995년 10월 23일24기군수국장[12]
27김승광[13]1995년 10월 23일 ~ 1997년 10월 24일25기국방부 장관 보좌관제2군 부사령관[14]
28김기성1997년 10월 25일 ~ 1999년 11월 11일육군사관학교 27기육군본부 군수부장
29김군식[15]1999년 11월 12일 ~ 2001년 11월 19일3사 1기정보사령관
30이명구[16]2001년 11월 20일 ~ 2003년 9월 8일29기국군체육부대[17]육군본부 감찰관
31하정열2003년 9월 9일 ~ 2005년 11월 11일31기제3군 군수처장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18]
32이승우2005년 11월 12일 ~ 2007년 11월 9일33기인사참모부장[19]
33김인동[1]2007년 11월 9일 ~ 2009년 11월 10일3사 12기제6군단 참모장[20]
34전인범2009년 11월 10일 ~ 2011년 11월 12일학사 37기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 전작권 전환추진단장합동군사령부 작전참모차장
35이진원2011년 11월 12일 ~ 2013년 4월 26일39기육군본부 전략기획처장육군본부 전력기획참모부장
36김종태2013년 4월 26일 ~ 2015년 4월 15일3사 18기육군교육사령부 교육훈련부장
37김정수2015년 4월 15일 ~ 2017년 9월42기한미연합사령부 기획참모차장[21]수도방위사령관


4. 임무

주된 임무는 화천군 일대의 전방 지역을 수색 및 경계하며 북한군의 남침에 대비하는 것이었다.[1]

5. 편제

제27보병사단은 제77보병여단 "용호", 제78보병여단 "상승독수리", 제79보병여단 "쌍독수리", 포병여단 "최무선"과 여러 직할대대로 구성되었다. 포병여단은 제7보병사단과 제15보병사단을 지원했다.

직할대대로는 본부대, 공병대대,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 화생방지원대, 수색대대, 의무대대, 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 보충중대, 방공중대, 전차중대가 있었다.

5. 1. 해체 직전 편제


  • 제77보병여단 "용호"
  • 제78보병여단 "상승독수리"
  • 제79보병여단 "쌍독수리"
  • 포병여단 "최무선" (제7, 15사단 지원)
  • * 제239포병대대
  • * 제251포병대대
  • * 제259포병대대 (15사단을 지원)
  • * 제99포병대대 (전군 최초 창설 포병대대 6곳 중 하나)
  • 직할대대
  • * 본부대
  • * 공병대대
  • * 정비대대
  • * 보급수송대대
  • * 화생방지원대
  • * 수색대대
  • * 의무대대
  • * 정보통신대대
  • * 군사경찰대
  • * 보충중대
  • * 방공중대
  • * 전차중대

수색대대


KH179 155mm 견인곡사포 사격훈련을 실시하는 제99포병대대


고무보트 훈련을 실시하는 부대원

5. 2. 과거 편제


  • 제77보병여단 "용호"
  • * 신병교육대
  • 제78보병여단 "상승독수리"
  • 제79보병여단 "쌍독수리"
  • 포병여단 "최무선" (제7, 15사단 지원)
  • * 제239포병대대
  • * 제251포병대대
  • * 제259포병대대 (15사단을 지원)
  • * 제99포병대대 (전군 최초 창설 포병대대 6곳 중 하나)
  • 직할대대
  • * 본부대
  • * 공병대대
  • * 정비대대
  • * 보급수송대대
  • * 화생방지원대
  • * 수색대대
  • * 의무대대
  • * 정보통신대대
  • * 군사경찰대
  • * 보충중대
  • * 방공중대
  • * 전차중대


6. 논란 및 사건사고

2010년, 전 사단장 김인동[1] 소장이 군사 기밀을 유출한 사건이 있었다. 김인동 소장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보병교본, 작전계획 5027 등을 조선노동당 작전부에 유출한 혐의로 체포되었다.[2][3] 정보는 전 안기부 정보원 박채서(朴采緒)를 통해 전달되었으며, 박채서는 북한과 이중 스파이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6. 1. 김인동 소장 군사 기밀 유출 사건

2010년, 전 사단장 김인동[1] 소장이 2003년~2005년에 걸쳐 보병교본 등의 군사교범과 작전계획 5027을 전 안기부 정보원 박채서(朴采緒)를 통해 조선노동당 작전부에 유출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체포되었다.[2][3] 박채서는 북한과 이중 스파이 관계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조

[1] 뉴스 [2泊3日同行取材]陸軍勝とう部隊酷寒期訓練(“ [2박3일 동행취재]육군 이기자부대 혹한기 훈련”) http://m.monthly.cho[...] 2008-04-01
[2] 뉴스 北朝鮮、「黒金星」に黄長鎏氏の所在確認を指示 http://japanese.dong[...] 2010-06-10
[3] 뉴스 スパイ「黒金星」に「作戦計画5027」渡した現役陸軍少将拘束 http://www.dailynk.c[...] 2010-07-20
[4] 뉴스 (3587)第79話第79話陸士卒業生(40)張昌国('' (3587)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0) 장창국'') http://news.joins.co[...] 1982-12-13
[5] 웹사이트 李承雨 http://dnc.go.kr/_pr[...]
[6] 웹사이트 李俊鶴 http://dnc.go.kr/_pr[...]
[7] 웹사이트 任智淳 http://dnc.go.kr/_pr[...]
[8] 뉴스 国防次官権寧珏氏('' 국방차관 권영각 씨'') http://news.joins.co[...] 1982-05-26
[9] 웹사이트 片東洙 http://www.visionkor[...]
[10] 웹사이트 梁祥泰 http://people.joins.[...]
[11] 웹사이트 梁祥泰将軍(陸士19期)夫人喪 http://www.starflag.[...]
[12] 뉴스 国防部、軍需局長など解任(''국방부,軍需국장등 해임'') http://news.joins.co[...] 1997-05-02
[13] 뉴스 陸軍「勝とう部隊」、韓国型「ウォーゲーム」初公開(''육군 「이기자부대」,한국형 「워게임」 첫 공개'') http://news.donga.co[...] 1997-06-27
[14] 뉴스 [講師](前)軍人共済会ギムスングァン理事長(''[강사](전)군인공제회 김승광 이사장'') http://www.newsedu.c[...] 2011-12-21
[15] 웹사이트 国のための犠牲にはお金より名誉を(''육군 중앙수사단장에 김종출 소장'')] http://www.smc.go.kr[...]
[16] 웹사이트 李明九 http://people.joins.[...]
[17] 뉴스 韓国軍事問題研究院長李明九前少将('' (3587)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0) 장창국'') http://stock.hankyun[...] 2013-09-05
[18] 웹사이트 보도자료 https://webcache.goo[...]
[19] 뉴스 実体のない「盧武鉉軍脈」清算掲げ優秀な人材進級で大挙脱落させて(''실체없는 ‘盧武鉉 軍脈’ 청산 내세워 우수 인재들 진급에서 대거 탈락시켜'') http://monthly.chosu[...] 2008-12-10
[20] 뉴스 「A級特殊工作員」から「スパイ」に規定された「黒金星」('' 'A급 특수공작원'에서 '간첩'으로 규정된 '흑금성' '') http://www.ohmynews.[...] 2010-11-01
[21] 뉴스 陸軍第27師団長にキム・ジョンス少将就任('' 육군 제27사단장에 김정수 소장 취임'') http://www.newsis.co[...] 2015-04-15
[22] 문서 차기(次期) 보병사단은 1990년대 당시의 보병사단 편제를 미래 작전환경에 맞춰 실험적으로 개편한 것이다. 당시 1개 연대에 4개 대대가 있던 4각 편제를 3개 대대의 3각 편제로 개편하는 것이 주요 개편 골자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