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양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양양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를 시작하여 고려 시대에 지양주사로 승격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양양도호부로, 이후 양양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7면으로 개편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79년 양양면이 양양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동해와 태백산맥에 인접해 있으며, 주요 관광지로는 낙산사, 의상대, 해수욕장 등이 있다. 교통은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양양국제공항(임시편 운행)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양군 - 구룡령
  • 양양군 - 한계령
    한계령은 설악산 국립공원을 지나가는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며, 과거 영동과 영서 지방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자 현재는 관광 명소로 널리 알려진 한국의 주요 고개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양양군
지도 정보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양양군
한글 표기양양군
한자 표기襄陽郡
로마자 표기Yangyang-gun
맥큔-라이샤워 표기Yangyang-gun
위치강원특별자치도
지역관동
면적630.08 km²
인구27,582명
인구 밀도50명/km²
방언강원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5면
양양읍
서면, 강현면,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상징
양양군의 휘장
양양군의 휘장
양양군의 기
양양군의 기
군의 나무은행나무
군의 꽃동백나무
군의 새까치
정치 및 행정
군수김진하 (무소속)
국회의원이양수 (국민의힘,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군청 소재지양양읍 군청길 1 (군행리 8)
기타 정보
웹사이트양양군청 공식 홈페이지

2. 역사

고구려 때는 익현현(翼峴縣), 신라 시대에는 수역령(水域領)이었는데, 고려 원종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동 16년(1416년) 양양이라 하였다.[7]


: 7면 - 군내면, 손양면, 강현면, 도천면, 서면, 현북면, 현남면
: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양양군 현남면·현북면·서면강릉군 현남면·현북면·신서면


  • 1953년 7월 27일 :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이 양양군의 전 지역을 수복하였다.
  • 1954년 11월 17일 : 양양군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고, 강릉군에서 현북면과 서면이 환원되었다.[12] (1읍 7면)
  • 1963년 1월 1일 : 속초읍이 속초시로 승격하고, 죽왕면토성면을 고성군으로 이관하였고, 명주군에서 현남면이 환원되었다.[13][14] (6면)
  • 1973년 7월 1일 : 서면 명개리가 홍천군 내면으로 이관되었다.[15]
  • 1979년 5월 1일 : 양양면이 양양읍으로 승격하였다.[16] (1읍 5면)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 강릉부에 속해 양양군이 됨(23부제).
  • 1896년 8월 4일 - 강원도 양양군이 됨(13도제).
  • 1914년 4월 1일 - 군면병합에 따라, '''양양군'''에 다음과 같은 면이 설치됨(7면).
  • * 군내면·순양면·강현면·도천면·서면·현북면·현남면
  • 1919년 (9면)
  • * 고성군 토성면·죽왕면을 편입.
  • * 군내면이 양양면으로 개칭.
  • 1937년 - 도천면이 속초면으로 개칭(9면).
  • 1942년 10월 1일 - 속초면이 속초읍으로 승격(1읍 8면).
  • 1945년 8월 15일 - 소련군 관리하에 놓임. 단, 현남면 및 현북면·서면의 일부는 미군 관리하에 놓임.[4] (남3면, 북1읍 7면)
  • 1945년 9월 16일 - 미군 관리하의 양양군 현북면·현남면·서면이 강릉군에 편입. 양양군 소멸(1읍 7면).
  • * 서면은 '''신서면'''으로 개칭.
  • 1946년 12월 - 소련군 관리하의 현북면이 순양면에 편입(1읍 6면).
  • 1954년 11월 17일 - 수복지구 임시행정처치법에 따라, '''양양군'''에 대한 시정권이 회복. 아래의 1읍 7면으로 재출발.
  • * 속초읍·양양면·순양면·강현면·토성면·죽왕면·현북면·서면 (밑줄은 강릉군으로부터 반환)
  • 1963년 1월 1일 (6면)
  • * 속초읍이 속초시로 승격·분리.
  • * 죽왕면·토성면이 고성군에 반환.
  • * 명주군으로부터 현남면을 반환.
  • 1973년 7월 1일 - 서면의 일부(명개리)가 홍천군 내면에 편입(6면).
  • 1979년 5월 1일 - 양양면이 양양읍으로 승격(1읍 5면).
  • 1983년 2월 15일 - 강현면의 일부(상복리의 일부)가 속초시 설악동에 편입(1읍 5면).


2. 1. 고대

고구려 때는 익현현(翼峴縣), 신라 시대에는 수역령(水域領)이었는데, 고려 원종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동 16년(1416년) 양양이라 하였다.[7]

2. 2. 고려 시대

고구려 때는 익현현(翼峴縣), 신라 시대에는 수역령(水域領)이었는데, 고려 원종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동 16년(1416년) 양양이라 하였다.[7]

2. 3. 조선 시대

고구려 때는 익현현(翼峴縣), 신라 시대에는 수역령(水域領)이었는데, 고려 원종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동 16년(1416년) 양양이라 하였다.[7] 1895년 강릉부 양양군[8], 1896년 강원도 양양군으로 개편되었다.[9]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7면(군내면, 손양면, 강현면, 도천면, 서면, 현북면, 현남면)으로 개편되었다.[10] 1919년 고성군에서 죽왕면, 토성면이 편입되었고, 군내면을 양양면으로 개칭하였다. (9면) 1937년 도천면을 속초면으로 개칭하였다. 1942년 10월 1일 속초면이 속초읍으로 승격하였다.[11] (1읍 8면)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였다.[4] 1945년 9월 16일 양양군의 미군정 관할 지역(현남면·현북면·서면)이 강릉군에 편입되었다.[4]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이 양양군의 전 지역을 수복하였다. 1954년 11월 17일 양양군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고, 강릉군에서 현북면과 서면이 환원되었다.[12]

2. 5. 해방 이후

고려 원종 원년(1260년)에 지양주사(知襄州事)로 승격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도호부(都護府)가 되고 1416년에 양양이라 하였다.[7] 1895년 강릉부 양양군,[8] 1896년 강원도 양양군으로 개편하였다.[9] 1914년 4월 1일 7면으로 개편[10]되었으며, 1919년 고성군에서 죽왕면, 토성면이 편입되었고, 군내면을 양양면으로 개칭하였다. (9면) 1937년 도천면을 속초면으로 개칭하였고, 1942년 10월 1일 속초면이 속초읍으로 승격하였다.[11]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미군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1945년 9월 16일 양양군의 미군정 관할 지역(현남면·현북면·서면)이 강릉군에 편입되었다.[4]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이 양양군의 전 지역을 수복하였다. 1954년 11월 17일 양양군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고, 강릉군에서 현북면과 서면이 환원되었다.[12] 1963년 1월 1일 속초읍이 속초시로 승격하고, 죽왕면토성면을 고성군으로 이관하였고, 명주군에서 현남면이 환원되었다.[13][14] 1973년 7월 1일 서면 명개리가 홍천군 내면으로 이관되었고,[15] 1979년 5월 1일 양양면이 양양읍으로 승격하였다.[16]

3. 지리

강원특별자치도의 북동 중앙에 위치하며 동서의 거리는 약 31 km, 남북의 거리는 약 34 km에 달한다. 동쪽은 약 39.5 km에 걸쳐 동해에 연하고, 서쪽은 태백산맥의 준령을 기점으로 하여 인제군인제읍, 북면, 기린면과 접해있고, 남쪽은 강릉시주문진읍, 연곡면, 홍천군내면 등과 접해 있으며, 북쪽은 속초시의 도문동, 설악동에 접하여 4개 시ㆍ군, 8개 읍ㆍ면ㆍ동과 경계하고 있다. 면적 중 대부분이 산지라 이용 가능한 토지가 적으며, 양양군의 인도 밀도는 43명/km2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낮다는 강원도 90명/km2보다도 훨씬 낮다.[17]

대부분 산악지형으로서 전체 면적의 약 74%가 해발 100m ~ 1,360m를 형성하고, 시가지 및 취락은 대부분 100m 이하에서 형성되어 있다. 양양군의 서경은 태백산맥이 뻗어 산악이 중첩하고 북서부에 설악산(1,708m), 남서경에 오대산(1,563m) 등이 솟아 동해안에 급경사하고 있다. 하천은 대개 짧고 급류이며, 수량이 적다. 그리하여 황천·천정천을 이루며 그 중에 큰 것은 남대천이다. 평지는 동해안을 따라 2~4km의 폭을 가지고 길게 발달하고 있다. 해안선은 53km에 달하나 매우 단조롭고 곳곳에 사빈·석호·단구가 발달하여 경승지가 많다.[17]

3. 1. 지형

강원특별자치도의 북동 중앙에 위치하며 동서의 거리는 약 31 km, 남북의 거리는 약 34 km에 달한다. 동쪽은 약 39.5 km에 걸쳐 동해에 연하고, 서쪽은 태백산맥의 준령을 기점으로 하여 인제군인제읍, 북면, 기린면과 접해있고, 남쪽은 강릉시주문진읍, 연곡면, 홍천군내면 등과 접해 있으며, 북쪽은 속초시의 도문동, 설악동에 접하여 4개 시ㆍ군, 8개 읍ㆍ면ㆍ동과 경계하고 있다. 면적 중 대부분이 산지라 이용 가능한 토지가 적으며, 양양군의 인도 밀도는 43명/km2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낮다는 강원도 90명/km2보다도 훨씬 낮다.[17]

대부분 산악지형으로서 전체 면적의 약 74%가 해발 100m ~ 1,360m를 형성하고, 시가지 및 취락은 대부분 100m 이하에서 형성되어 있다. 양양군의 서경은 태백산맥이 뻗어 산악이 중첩하고 북서부에 설악산(1,708m), 남서경에 오대산(1,563m) 등이 솟아 동해안에 급경사하고 있다. 하천은 대개 짧고 급류이며, 수량이 적다. 그리하여 황천·천정천을 이루며 그 중에 큰 것은 남대천이다. 평지는 동해안을 따라 2~4km의 폭을 가지고 길게 발달하고 있다. 해안선은 53km에 달하나 매우 단조롭고 곳곳에 사빈·석호·단구가 발달하여 경승지가 많다.[17]

3. 2. 기후

동해에 면하고 서쪽 태백산맥이 겨울에 북서 계절풍을 가로막아 푄 현상으로 기온을 높여 같은 위도의 서해안에 비해 연평균 2.5 °C 높고, 특히 1월 평균 기온은 3 °C나 높다.[18] 가을에 강수량이 비교적 많은 것도 특색이다.[18] 연평균 기온은 11.8 °C, 1월 평균 기온은 -2.2 °C, 8월 평균 기온은 24.3 °C이고, 역대 최고 기온은 39.2 °C(1939년 7월), 역대 최저 기온은 -19 °C(1944년 2월)였고, 연평균 강수량은 1,400 mm이다.[18]

4. 행정 구역

양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법정리 124개, 436개 반으로 구성된다.[19] 양양군의 면적은 629.32 km2이며,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27,479명, 가구는 13,374 가구이다. 이 중 42.6%가 양양읍에 거주하며[20], 남녀 성비는 1.03 : 1이다.

양양군의 행정구역


읍면동한자면적인구세대
양양읍襄陽邑32.3511,7185,305
서면西面268.063,2511,586
손양면巽陽面47.322,3921,186
현북면縣北面164.472,7621,461
현남면縣南面64.343,1811,705
강현면降峴面52.784,1752,131
총계襄陽郡629.3227,47913,374


  • 인구는 2015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면적은 2011년 통계연보

5. 교통

양양 나들목(고속도로 진입로) 이전


서울양양고속도로인제 나들목에서 서양양 나들목, 양양 분기점, 양양 나들목을 거쳐 동해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동해고속도로북강릉 나들목에서 남양양 나들목, 하조대 나들목, 양양 분기점/양양 나들목, 북양양 나들목을 거쳐 속초 나들목으로 이어진다. 양양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해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002년, 양양군은 남쪽의 강릉시와 북쪽의 속초시를 연결하는 자체 공항을 개항했다. 이 공항은 설악산 국립공원에 매료된 많은 관광객들을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승객 부족으로 2009년 폐쇄되었으나, 1년 후 다시 문을 열었다.[2] 양양국제공항이 있으나, 플라이강원이 파산하여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2023년 현재 정규 항공편이 없는 상태이다. 2023년 8월 한 달간 김포국제공항청주국제공항을 오가는 임시편이 운영될 예정이다. 몇몇 비행학교가 입주하고 있어 경비행기와 해양경찰 항공대 소속 헬리콥터가 간혹 운항하고 있다.

남애항은 양양군에서 가장 큰 항구로, 강원도에서 아름답다고 손꼽히는 미항 중 하나이다. 항구를 중심으로 남애 1~4리의 4개 포구 마을이 길게 늘어서 있으며, 동해안 일출의 최고 명소이기도 하다.

기사문항은 현북면 기사문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7년 3월 22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기사문리 주민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며, 어업 활성화로 인해 다른 어촌 마을에 비해 생활 수준이 높은 편이다. 6.25 전쟁 이후에는 명태잡이가 성행하여 경상남도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많다.

동해선 양양역이 있었으나 폐선되었고, 2028년에 재개통할 예정이다.

5. 1. 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인제 나들목에서 서양양 나들목, 양양 분기점, 양양 나들목을 거쳐 동해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동해고속도로북강릉 나들목에서 남양양 나들목, 하조대 나들목, 양양 분기점/양양 나들목, 북양양 나들목을 거쳐 속초 나들목으로 이어진다. 양양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해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 2. 항공

양양국제공항이 있으나, 플라이강원이 파산하여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2023년 현재 정규 항공편이 없는 상태이다. 2023년 8월 한 달간 김포국제공항청주국제공항을 오가는 임시편이 운영될 예정이다. 몇몇 비행학교가 입주하고 있어 경비행기와 해양경찰 항공대 소속 헬리콥터가 간혹 운항하고 있다.

5. 3. 항구

남애항은 양양군에서 가장 큰 항구로, 강원도에서 아름답다고 손꼽히는 미항 중 하나이다. 항구를 중심으로 남애 1~4리의 4개 포구 마을이 길게 늘어서 있으며, 동해안 일출의 최고 명소이기도 하다.

기사문항은 현북면 기사문리에 있는 어항이다. 2007년 3월 22일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되었다. 기사문리 주민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며, 어업 활성화로 인해 다른 어촌 마을에 비해 생활 수준이 높은 편이다. 6.25 전쟁 이후에는 명태잡이가 성행하여 경상남도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많다.

5. 4. 철도

동해선 양양역이 있었으나 폐선되었고, 2028년에 재개통할 예정이다.

6. 관광

구룡령 옛길은 문화재청이 지정한 "명승 29호 문화재 길"로 옛사람들의 삶의 애환이 서려 있는 조붓하고 애틋한 길이다. 현재 폐점된 구룡령휴게소가 있는 국도 제56호선 고갯마루에서 출발한다. 가파른 나무계단을 오르면 길은 오롯하다.[21]

의상대


낙산사 원통보전


'''낙산사'''는 671년(신라 문무왕 11년) 의상이 관음보살의 진신이 이 해변의 굴 안에 머문다는 말을 듣고 굴 속에 들어가 예불하던 중 관음보살이 수정으로 만든 염주를 주면서 절을 지을 곳을 알려 주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고 낙산사라 하였다 한다. 헌안왕 2년(858) 범일대사가 중창하였으나 1231년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조선 세조 13년(1467) 왕명으로 크게 중창하였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화재를 겪었다. 다시 인조 원년(1624), 9년(1631)과 21년(1643) 재차 중건이 있었으나 정조 원년(1777) 화재를 당하여 다음해 다시 중건하였다.[22]

'''의상대'''는 강현면 전진리 동해안에 있는 정자로 낙산사에서 홍련암의 관음굴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의 고승 의상이 낙산사를 창건할 때 좌선하였던 곳으로, 1925년 팔각형 정자를 짓고 의상대라 명명하였다.

  • 진전사지 삼층석탑


'''해수욕장'''

  • 낙산해수욕장
  • 오산해수욕장
  • 동호해수욕장
  • 하조대해수욕장
  • 인구해수욕장
  • 지경해수욕장
  • 오색 탄산 온천

6. 1. 주요 관광지

구룡령 옛길은 문화재청이 지정한 "명승 29호 문화재 길"로 옛사람들의 삶의 애환이 서려 있는 조붓하고 애틋한 길이다. 현재 폐점된 구룡령휴게소가 있는 국도 제56호선 고갯마루에서 출발한다. 가파른 나무계단을 오르면 길은 오롯하다.[21]

'''낙산사'''는 671년(신라 문무왕 11년) 의상이 관음보살의 진신이 이 해변의 굴 안에 머문다는 말을 듣고 굴 속에 들어가 예불하던 중 관음보살이 수정으로 만든 염주를 주면서 절을 지을 곳을 알려 주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고 낙산사라 하였다 한다. 헌안왕 2년(858) 범일대사가 중창하였으나 1231년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조선 세조 13년(1467) 왕명으로 크게 중창하였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화재를 겪었다. 다시 인조 원년(1624), 9년(1631)과 21년(1643) 재차 중건이 있었으나 정조 원년(1777) 화재를 당하여 다음해 다시 중건하였다.[22]

'''의상대'''는 강현면 전진리 동해안에 있는 정자로 낙산사에서 홍련암의 관음굴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의 고승 의상이 낙산사를 창건할 때 좌선하였던 곳으로, 1925년 팔각형 정자를 짓고 의상대라 명명하였다.

  • 진전사지 삼층석탑


'''해수욕장'''

  • 낙산해수욕장
  • 오산해수욕장
  • 동호해수욕장
  • 하조대해수욕장
  • 인구해수욕장
  • 지경해수욕장
  • 오색 탄산 온천

6. 2. 해수욕장

낙산해수욕장, 오산해수욕장, 동호해수욕장, 하조대해수욕장, 인구해수욕장, 지경해수욕장 등이 있다.[21]

6. 3. 기타

구룡령 옛길은 문화재청이 지정한 "명승 29호 문화재 길"로 옛사람들의 삶의 애환이 서려 있는 조붓하고 애틋한 길이다. 현재 폐점된 구룡령휴게소가 있는 국도 제56호선 고갯마루에서 출발한다. 가파른 나무계단을 오르면 길은 오롯하다.[21]

671년(신라 문무왕 11년) 의상이 관음보살의 진신이 이 해변의 굴 안에 머문다는 말을 듣고 굴 속에 들어가 예불하던 중 관음보살이 수정으로 만든 염주를 주면서 절을 지을 곳을 알려 주어 이곳에 낙산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헌안왕 2년(858) 범일대사가 중창하였으나 1231년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조선 세조 13년(1467) 왕명으로 크게 중창하였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화재를 겪었다. 다시 인조 원년(1624), 9년(1631)과 21년(1643) 재차 중건이 있었으나 정조 원년(1777) 화재를 당하여 다음해 다시 중건하였다.[22]

의상대는 강현면 전진리 동해안에 있는 정자로 낙산사에서 홍련암의 관음굴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의 고승 의상이 낙산사를 창건할 때 좌선하였던 곳으로, 1925년 팔각형 정자를 짓고 의상대라 명명하였다.

그 외에도 진전사지 삼층석탑과 낙산, 오산, 동호, 하조대, 인구, 지경 해수욕장 등이 있다.

7. 문화

8. 교육

강원특별자치도속초양양교육지원청에서 교육 부분을 담당하였으나, 양양 지역 학생들의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양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하였다. 또한 도서관 시설 개선을 위해 양양교육도서관 자료실 증축 및 환경개선공사를 실시하였다. 양양군의 초등학교는 13곳, 분교는 4곳이다. 현재 많은 초등학교들이 학생 수 부족으로 인하여 폐교 위기에 놓였다. 2019년 양양고등학교양양여자고등학교를 통폐합하고, 양양중학교양양여자중학교를 통폐합하면서 양양읍에는 중학교가 1곳만 남았고, 양양군 전체에서 고등학교는 1곳만 남았다.

9. 사건

1681년 양양 지진은 1681년에 발생한 지진이다. 낙산사 산불은 2005년에 발생하였다.

10. 자매 도시

wikitable

지역 & 국가도시


11. 출신 인물

wikitable

출신 인물
진종문
김택남
이종빈
김두한
오세훈


12. 역대 군수

wikitable

대수이름임기정당비고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뉴스 World | Asia-Pacific | South Korea's abandoned airport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5-18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4] 웹사이트 양양의 역사 - 전통의 고장 양양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yangyang.or.k[...]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백과사전 양양의 상징물
[7] 백과사전 양양의 연혁
[8]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9]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12]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13] 법률 법률 제1176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4] 법률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15]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6]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7] 백과사전 양양의 자연
[18] 백과사전 기후
[19] 웹사이트 양양군의 행정구역 http://www.yangyang.[...] 2012-04-15
[20] 웹사이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3-11
[21] 서적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2009
[22] 백과사전 낙산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