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군수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군수사령부는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수 지원 부대이다. 1950년 7월 4일 부산 기지사령부로 창설되어 부산 군수사령부, 제2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서울, 대구, 군산 항만 지역을 지원했다. 이후 1957년 오키나와에서 재소집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했으며, 1975년에는 제1군단지원사령부 예하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저스트 커즈 작전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군수사령부 - 제8군수사령부
    제8군수사령부는 1951년 창설되어 남유럽 태스크포스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 1960년 개편 후 리보르노항 운영 및 소유권 이관을 주도하고 1995년 해체되었다.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KCOMZ
    KCOMZ는 1952년 대구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 중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제2군수사령부와 제3군수사령부의 기능을 통합하여 설립되었고,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
  • 6.25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3원정지원사령부
    제3원정지원사령부는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창설되어 냉전 시대 서유럽 방어, 21세기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아프가니스탄 비전투원 대피 작전 등 다양한 군사 및 인도적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핵심적인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1952년 폐지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는 일본의 비군사화와 민주화를 목표로 일본 점령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1945년 포츠담 선언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를 최고사령관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진행했다.
  • 1952년 폐지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제2군수사령부
제2군수사령부
DUI
활동 기간1950년 7월 4일 ~ 1952년 11월 1일
1957년 5월 15일 ~ 1972년 5월 15일
1975년 12월 21일 ~ 2004/6년?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병과전투근무지원
참전한국 전쟁
미국의 파나마 침공
지휘관
주요 지휘관준장 리처드 S. 위트컴

2. 역사

1950년 7월 4일, 크룸프 가빈 준장과 참모, 대원들은 극동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부산에 도착하여 유엔사령부 소속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기지사령부를 조직하였다.[1] 곧이어 7월 13일에 부산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고, 9월 19일에 제2군수사령부로 서수부대가 되었다.[1]

1951년 9월, 사령부의 대응 지역이 서울, 대구, 군산 항만 지역으로 나뉘었다.[1]

1952년 7월 11일, 한국 전구에서의 통합된 군수 운영 및 전투 부대에 대한 지원을 위해 KCOMZ가 설립되었다.[1] 휴전이 체결된 후, 제2군수사령부는 한반도를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지면서 해산하였다.[1]

1957년 5월 15일, 미국 류큐 열도 사령부를 지원하기 위해 오키나와현 포트 버크너에서 재소집되었다.

1962년 5월, 제9군수사령부가 주태국 미국 육군 지원대(USARSUPTHAI)에 소속되어 태국으로 옮겨가면서, 오키나와에 남은 군수사령부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베트남 외부에서 주월 미군 최고위지휘부인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를 위한 지원부대로 지정되었다.

1972년 5월 15일에 미국 류큐 열도 육군과 함께 해체되었고, 제2군수사령부를 대신하여 오키나와의 모든 육군 부대에 지원을 맡을 오키나와 기지사령부가 설립되었다.

3년 뒤, 1975년 12월 21일에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제1군단지원사령부 예하 "제2지원소 (군단물류관리원)"로 다시 창설되었다. 1989년 12월 20일에는 미국의 파나마 침공 계획인 저스트 커즈 작전에 참가하였다.

2. 1. 한국 전쟁

1950년 7월 4일, 크룸프 가빈 준장과 참모, 대원들은 극동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부산에 도착하여 유엔사령부 소속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기지사령부를 조직하였다.[1] 곧이어 7월 13일에 부산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고, 9월 19일에 제2군수사령부로 서수부대가 되었다.[1] 10월 10일, 제10(X)군단이 한반도 북동부의 원산 항에 상륙한 뒤, 제10(X)군단 지원사령부인 제3군수사령부제8군으로 전속되었다.[1]

1951년 9월, 사령부의 대응 지역이 서울, 대구, 군산 항만 지역으로 나뉘었다.[1]

1952년 7월 11일, 한국 전구에서의 통합된 군수 운영 및 전투 부대에 대한 지원을 위해 KCOMZ가 설립되었다.[1] 제3군수사령부와 함께 예하 사령부로서 전속하였다.[1] 휴전이 체결된 후에 한반도를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질 때, 제2군수사령부는 해산하였다.[1]

2. 2. 베트남 전쟁

1957년 5월 15일, 미국 류큐 열도 사령부를 지원하기 위해 오키나와현 포트 버크너에서 재소집되었다.

1962년 5월, 제9군수사령부가 주태국 미국 육군 지원대(USARSUPTHAI)에 소속되어 태국으로 옮겨가면서, 오키나와에 남은 군수사령부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베트남 외부에서 주월 미군 최고위지휘부인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를 위한 지원부대로 지정되었다.

1972년 5월 15일에 미국 류큐 열도 육군과 함께 해체되었고, 제2군수사령부를 대신하여 오키나와의 모든 육군 부대에 지원을 맡을 오키나와 기지사령부가 설립되었다.

2. 3. 그 이후

3년 뒤, 1975년 12월 21일에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제1군단지원사령부 예하 "제2지원소 (군단물류관리원)"로 다시 창설되었다. 1989년 12월 20일에는 미국의 파나마 침공 계획인 저스트 커즈 작전에 참가하였다.

3. 주요 임무 및 역할

1950년 7월 4일, 크룸프 가빈 준장과 참모, 대원들은 극동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부산에 도착하여 유엔사령부 소속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기지사령부를 조직하였다. 곧이어 7월 13일에 부산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고, 9월 19일에 제2군수사령부로 서수부대가 되었다.[1] 10월 10일, 제10(X)군단이 한반도 북동부의 원산 항에 상륙한 뒤, 제10(X)군단 지원사령부인 제3군수사령부제8군로 전속하였다.[1]

1951년 9월, 사령부의 대응지역이 서울, 대구, 군산 항만지역으로 나뉘었다.[1]

1952년 7월 11일, 한국 전구에서의 통합된 군수 운영 및 전투부대에 지원을 위해 KCOMZ가 설립되었고, 제3군수사령부와 함께 예하사령부로서 전속하였다.[1] 휴전이 체결된 후에 한반도를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질 때, 제2군수사령부는 해산하였다.[1]

1957년 5월 15일, 미국 류큐 열도 사령부를 지원하기 위해 오키나와현 포트 버크너에서 재소집되었다.[1]

1962년 5월, 제9군수사령부가 주태국 미국 육군 지원대(USARSUPTHAI)에 소속되어 태국으로 옮겨가면서, 오키나와에 남은 군수사령부가 되었다.[1]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베트남 외부에서 주월 미군 최고위지휘부인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를 위한 지원부대로 지정되었다.[1]

1972년 5월 15일에 미국 류큐 열도 육군과 함께 해체되었고, 제2군수사령부를 대신하여 오키나와의 모든 육군 부대에 지원을 맡을 오키나와 기지사령부가 설립되었다.[1]

4. 부대 편성

1951년 9월, 사령부의 대응 지역이 서울, 대구, 군산 항만 지역으로 나뉘었다.[1] 1952년 7월 11일, 한국 전구에서의 통합된 군수 운영 및 전투 부대에 대한 지원을 위해 KCOMZ가 설립되었다. 제3군수사령부와 함께 예하 사령부로서 전속되었다. 휴전이 체결된 후, 제2군수사령부는 해산하였다.[1]

부대기간
서울 지역사령부1951년 9월
대구 지역사령부1951년 9월
부산 지역사령부1951년 9월
군산 항만 지역사령부1951년 9월
제3군수사령부1950년 10월 10일 ~ 1952년 10월 31일
제3수송군사철도근무대
제7수송중형항만대부산 항만 운용
제192병기대대
제335병기대대
제772헌병대대
제226병기기지창
제8069부대부산 보충대대



1962년 5월, 제9군수사령부가 주태국 미국 육군 지원대(USARSUPTHAI)에 소속되어 태국으로 옮겨가면서, 오키나와에 남은 군수사령부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베트남 외부에서 주월 미군 최고위지휘부인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를 위한 지원부대로 지정되었다.[1] 제267화학중대는 레드햇 작전에 참여하였다.[1]

1975년 12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제1군단지원사령부 예하 "제2지원소 (군단물류관리원)"로 재소집되었다. 1989년 12월 20일, 미국의 파나마 침공 계획인 저스트 코즈 작전에 참가하였다.[1]

4. 1. 한국 전쟁

1950년 7월 4일, 크룸프 가빈 준장과 참모, 대원들은 극동 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부산에 도착하여 유엔사령부 소속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 기지사령부를 조직하였다. 곧이어 7월 13일에는 부산 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고, 다시 9월 19일에 제2군수사령부로 서수부대가 되었다. 10월 10일, 제10(X)군단이 한반도 북동부의 원산항에 상륙한 뒤, 제10(X)군단 지원사령부인 제3군수사령부제8군으로 전속되었다.[1]

1951년 9월, 사령부의 대응지역이 서울, 대구, 군산 항만지역으로 나뉘었다.[1]

1952년 7월 11일, 한국 전구에서의 통합된 군수 운영 및 전투부대에 지원을 위해 KCOMZ가 설립되었다. 제3군수사령부와 함께 예하사령부로서 전속하였다. 휴전이 체결된 후에 한반도를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질 때, 제2군수사령부는 해산하였다.[1]

부대기간
서울 지역사령부1951년 9월
대구 지역사령부1951년 9월
부산 지역사령부1951년 9월
군산 항만 지역사령부1951년 9월
제3군수사령부1950년 10월 10일 ~ 1952년 10월 31일
제3수송군사철도근무대
제7수송중형항만대부산 항만 운용
제192병기대대
제335병기대대
제772헌병대대
제226병기기지창
제8069부대부산 보충대대


4. 2. 베트남 전쟁

1962년 5월, 제9군수사령부가 주태국 미국 육군 지원대(USARSUPTHAI)에 소속되어 태국으로 옮겨가면서, 오키나와에 남은 군수사령부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베트남 외부에서 주월 미군 최고위지휘부인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를 위한 지원부대로 지정되었다.[1]

제267화학중대는 레드햇 작전에 참여하였다.[1]

4. 3. 저스트 코즈 작전

3년 뒤, 1975년 12월 21일에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제1군단지원사령부 예하 "제2지원소 (군단물류관리원)"로 재소집되었다. 1989년 12월 20일에 미국의 파나마 침공 계획인 저스트 코즈 작전에 참가하였다.[1]

5. 역대 지휘관

6. 표창

스트리머내역참고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한국 전쟁, 1950년 8월 1일 ~ 1953년 9월 30일일반명령 제1954-23호[1]
한국 전쟁, 1953년일반명령 제1955-41호[2]
공로부대표창
동남아시아, 1965년 10월 31일 ~ 1966년 12월 31일일반명령 제1968-30호[3]
동남아시아, 1968년일반명령 제1968-55호[4]
동남아시아, 1961년 1월 ~ 1970년 6월일반명령 제1970-56호[5]
동남아시아, 1972년, 2차 떡갈잎 클러스터일반명령 제1972-40호[6]


참조

[1] 문서 General Order No. 54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54-03-31
[2] 문서 General Order No. 41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55-06-22
[3] 문서 General Order No. 30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68-06-25
[4] 문서 General Order No. 55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68-10-11
[5] 문서 General Order No. 56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72-10-27
[6] 문서 General Order No. 40 https://web.archive.[...] 미국 육군부 1972-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