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9전구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미국 류큐 열도 육군 휘하의 제9군수사령부로 1960년 오키나와에서 창설되었다. 베트남 전쟁과 태국 지원을 위해 군수지원대를 파견했으며,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제9전구군지역사령부로 재편성되어 주일 미국 육군과 결합했다. 2000년 다구성군 부대로 개편되었으며, 2007년 제1군단 전방본부 도착 후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해체된 단체 - 빌리티스의 딸들
    빌리티스의 딸들은 1955년 미국에서 결성된 레즈비언 권익 옹호 단체로, 레즈비언들을 위한 사교 모임과 정보 공유의 장을 제공하고 《사다리》를 발행하며 레즈비언 인권 운동의 초석을 다졌으나, 1970년대에 해산되었다.
  • 1970년 해체된 단체 - 제199보병여단
    제199보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보병 여단으로, 기병 부대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서 훈련 부대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래의 군 지휘관과 전투원을 양성하고 있다.
  • 2007년 해체된 단체 - 올리브나무 (이탈리아)
    올리브나무는 1990년대 중반 이탈리아에서 중도 정당과 좌파 정당의 연합으로 결성되어 1996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로마노 프로디를 총리로 하는 정부를 출범시켰으며, 평화, 안정, 번영을 상징하는 다양한 이념의 정당 통합을 의미한다.
  • 2007년 해체된 단체 - 제5군단 포병대
    제5군단 포병대는 2차 세계 대전, 냉전,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하여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벌지 전투 등에서 활약했지만, 2007년 해체되었다.
  • 미국 육군 예비군의 사령부 - 미국 육군 예비군사령부
    미국 육군 예비군사령부는 미국 육군 예비군의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하며, 1990년에 임시 부대로 설립되어 1991년에 공식 부대가 되었고,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에 위치한다.
  • 미국 육군 예비군의 사령부 - 제377전구지원사령부
    제377전구지원사령부는 미국 육군 예비군 부대로, 1942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소말리아, 테러와의 전쟁 등에 참전하고 육군 근무부대표창 등을 수상했다.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44공병단 (건설) 휘장
SSI
제9전구지원사령부 DUI
DUI
일반
종류전구지원사령부
본부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활동 기간1960년 10월 24일 ~ 1970년 6월 12일
1994년 12월 9일 ~ 2007년 9월 15일

2. 역사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5월 3일 미국 류큐 열도 육군 휘하 제9군수사령부로 오키나와에서 창설되었다. 1961년 3월 15일 재편성된 후, 베트남 전쟁과 태국에서의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1970년 6월 12일 캠프 사마에 산에서 해체되었다가, 1994년 12월 9일 캠프 자마에서 제9전구군지역사령부로 다시 창설되었다. 이후 주일 미국 육군(USARJ)과 통합되었고, 2000년 10월 14일에는 제9전구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05년 주일 미군 재편 계획에 따라 제1(I)군단의 캠프 자마 이동이 고려되었으나 주민 반대로 무산되었고, 2007년 9월 15일 제1(I)군단 전방본부가 캠프 자마에 도착한 뒤 해산하였다.[1][2][4]

2. 1. 창설과 초기 활동 (1960년대)

미국 류큐 열도 육군 휘하 사령부로서 1960년 5월 3일에 오키나와에서 제9군수사령부 본부로 창설되었다. 1961년 3월 15일, 제9군수사령부 본부 및 본부파견대로 재편성되었다.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12월에 육군 항공부대가 베트남 공화국에 도착하자, 제9군수사령부는 이들을 지원할 군수지원대를 편성하여 12월 17일에 파견했다. 군수지원대는 개편을 거쳐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의 주월 미국 육군(USARV)이 되었다.

USARSUPTHAI 패치


1962년 5월, 태국 정부의 요청으로 미국은 미국 태평양 육군 예하에 "미국 육군 태국 지원대"(United States Army Support, Thailand (USARSUPTHAI)영어)를 편성하여 파견하였는데, 지리적 위치가 가까운 제9군수사령부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제9군수사령부는 태국으로 건너가 코랏 분지에 있는 코랏에서 제44공병건설단에게 캠프 프렌드쉽(Camp Friendship영어) 건설을 지시하였고, 처음에는 민간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나중에 JTF-116의 군수지원부대가 되었다.

2. 2. 베트남 전쟁 지원 (1960년대 ~ 1970년대)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1960년대에 육군 항공부대가 베트남 공화국에 도착하자, 제9군수사령부는 이들을 지원할 군수지원대를 편성하여 12월 17일에 보냈다. 이 군수지원대는 개편을 거쳐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MACV)의 주월 미국 육군(USARV)이 되었다.

1962년 5월, 태국 정부의 요청으로 미국은 미국 태평양 육군 예하에 "미국 육군 태국 지원대"(United States Army Support, Thailand (USARSUPTHAI)영어})를 편성하여 파견하였는데, 제9군수사령부도 지리적 위치가 가까워 여기에 포함되었다. 제9군수사령부는 태국으로 건너가 코랏 분지에 있는 코랏에서 제44공병건설단에게 캠프 프렌드쉽(Camp Friendship영어) 건설을 지시하였고, 처음에는 민간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나중에 JTF-116의 군수지원부대가 되었다.

1970년 6월 12일, 사령부는 캠프 사마에 산(Camp Samae San영어)에서 해체되었다.[1]

2. 3. 태국 지원 (1962년 ~ 1970년)

1962년 5월, 태국 정부의 요청으로 미국은 미국 태평양 육군 예하에 "미국 육군 태국 지원대"(United States Army Support, Thailand|USARSUPTHAI영어)를 편성하여 파견하였는데, 거기에 지리적 위치가 가까운 제9군수사령부도 포함되었다. 제9군수사령부는 태국으로 건너가 코랏 분지에 있는 코랏에서 제44공병건설단으로 하여금 캠프 프렌드쉽(Camp Friendship영어) 건설을 지시하였고, 처음에는 민간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나중에 JTF-116의 군수지원부대가 되었다.[1]

1970년 6월 12일, 사령부는 캠프 사마에 산(Camp Samae San영어)에서 해체되었다.[1]

2. 4. 주일 미군 지원 및 재편 (1994년 ~ 2007년)

1994년 12월 9일, 캠프 자마에서 제9전구군지역사령부로 재편성 및 재소집되었다. 전날 해체된 제9(IX)군단을 대신하여 주일 미국 육군(USARJ)과 결합하여 주일 미국 육군/제9전구군지역사령부가 되었다.[1]

2000년 10월 14일, 제9전구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제310전구지원사령부의 기능을 병합하고 버지니아주에 주둔하고 있던 제300지역지원단을 배속받았다.[1]

2005년, 주일 미군의 재편성에 따라 포트 루이스의 제1(I)군단이 캠프 자마로 옮겨올 예정이었지만, 주민들의 심각한 반대로 무산되고, 대신 전방사령부를 설치하는 쪽으로 계획이 수정되었다.[1][2]

홋카이도에 있는 육상자위대의 히가시치토세 주둔지에서 개최된 2005년도 야마사쿠라 46회차 훈련에 참가하였다.[3]

2007년 9월 15일, 제1(I)군단 전방본부가 캠프 자마에 도착한 뒤에 해산하였다.[4]

3. 부대

wikitext

제9전구지원사령부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9군수사령부 (1960년 ~ 1970년)'''


  • 본부 및 본부분견대
  • 제44건설공병단 (건설): 1962년 12월 재소집, 1970년 1월 1일 해산.
  • 제519수송대대
  • 제57병기중대
  • 제207통신중대
  • 제281헌병중대
  • 제596병참중대
  • 제738공병중대
  • 제501야전창: 1967년 1월 8일 ~ 1968년 10월 20일 해산.
  • 제35재무분견대
  • 제70항공분견대
  • 제528공병분견대
  • 제31야전병원
  • 제7항공수송소대: 1968년 ~ 1969년


'''제9전구지원사령부 (1994년 ~ 2007년)'''

3. 1. 제9군수사령부 (1960년 ~ 1970년)


  • 본부 및 본부분견대
  • 제44건설공병단 (건설): 1962년 12월 재소집, 1970년 1월 1일 해산.
  • 제519수송대대
  • 제57병기중대
  • 제207통신중대
  • 제281헌병중대
  • 제596병참중대
  • 제738공병중대
  • 제501야전창: 1967년 1월 8일 ~ 1968년 10월 20일 해산.
  • 제35재무분견대
  • 제70항공분견대
  • 제528공병분견대
  • 제31야전병원
  • 제7항공수송소대: 1968년 ~ 1969년

3. 2. 제9전구지원사령부 (1994년 ~ 2007년)

4. 계보


  • 1960년 5월 3일: 제9군수사령부, 본부 (Headquarters, 9th Logistical Command)
  • 1961년 3월 15일: 제9군수사령부, 본부 및 본부분견대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9th Logistical Command)
  • 1994년 12월 9일: 제9전구군지역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9th Theater Army Area Command)
  • 1994년 12월 9일: 주일 미국 육군/제9전구군지역사령부, 본부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Jpan/9th Theater Army Area Command)
  • 2000년 10월 14일: 제9전구지원사령부 (9th Theater Support Command)

참조

[1] 뉴스 美육군 1군사령부, 日자마기지로 이전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05-10-31
[2] 뉴스 미, 육군 제1군단 日 자마기지 이전 중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2-09
[3] 뉴스 Army setting stage for 46th annual Yama Sakura exercise in northern Japan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05-01-15
[4] 뉴스 Army making plans for new I Corps element http://www.stripes.c[...]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07-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