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52년 영국이 미얀마의 수도 양곤을 봉쇄하고 국왕의 선박을 나포하면서 시작된 전쟁이다. 이 전쟁은 1846년 버간 왕이 즉위한 후 25년간의 평화로운 시기가 끝난 후 발발했다. 영국은 얀다보 조약과 관련된 문제로 조지 램버트 준장을 파견했고, 램버트의 행동이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전쟁 결과 영국은 저지대 미얀마를 점령하고, 1853년 1월 20일 병합 선언을 발표하며 어떠한 조약도 없이 전쟁을 종결했다. 이 전쟁으로 미얀마에서는 왕조가 교체되었으며, 영국의 지배가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2년 분쟁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24년부터 1826년까지 영국과 미얀마 간에 아라칸 지역 분쟁, 미얀마의 아삼 침략, 영국의 제국주의적 팽창 등으로 인해 발발했으며 영국군의 승리로 얀다보 조약이 체결되어 미얀마가 아삼, 마니푸르, 아라칸 등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었다.
  • 미얀마가 참전한 전쟁 - 동남아시아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동남아시아 전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의 동남아시아 군사 작전과 연합국의 대응을 포괄하는 태평양 전쟁의 중요한 부분으로, 복잡한 지형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국적의 군대가 참여하여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전장이었다.
  • 영국이 참전한 전쟁 -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전쟁은 1803년부터 1815년까지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국과 유럽 열강 간의 대규모 전쟁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비롯되어 프랑스의 유럽 대륙 영향력 확장을 가져왔으나 몰락했고, 유럽 정치 지형 변화, 민족주의 발흥, 군사 혁신, 빈 회의를 통한 세력 균형, 나폴레옹 법전 등의 유산을 남겼다.
  • 영국이 참전한 전쟁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1852년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에서 싸우고 있는 버마 왕실 군대
1852년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에서 싸우고 있는 버마 왕실 군대
기본 정보
분쟁 명칭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
다른 명칭
IPA(미얀마어):
일부영국-미얀마 전쟁
기간1852년 4월 5일 – 1853년 1월 20일 (9개월 16일)
장소하부 버마
결과영국의 승리
파간 민이 민돈 민에 의해 쿠데타로 폐위됨
영토 변경영국 동인도 회사가 하부 버마 통제권을 장악함
교전 세력
교전국 1
지휘관 및 지도자
영국 제국헨리 고드윈| 가넷 울즐리}}
꼰바웅 왕조파간 민| 마웅 지| 캭 론}}

2. 배경

1852년, 제임스 앤드루 브라운-램지(제10대 달후지 백작)은 조지 램버트 준장을 얀다보 조약과 관련된 몇 가지 사소한 문제로 버마에 파견했다. 리처드 코브덴은 해군 준장을 협상에 파견하고 (무력 외교) 최초 보상 요구액 1,000파운드를 100배인 10만파운드로 올린 달후지 백작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한 버마 사회 및 외교 문제에 훨씬 더 경험이 많은 테나세림의 영국 위원인 아치볼드 보글 대령 대신 램버트를 선택한 달후지 백작을 비판했다. 달후지 백작은 램버트가 적대 행위 발발의 원인이라는 것을 부인했다.[1]

2. 1. 꼰바웅 왕조와 영국 동인도 회사

1846년에 즉위한 꼰바웅 왕조의 버간 왕이 미얀마를 다스리고 있었다. 25년간 평화가 지속된 후 1852년 영국령 인도 정부는 해군 관리 코모도르 램버트를 미얀마의 수도 양곤에 파견해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조사하게 하였다. 그러던 와중 램버트가 국왕 소유의 배를 나포하자 제2차 전쟁이 시작되었다.[1]

1852년, 제임스 앤드루 브라운-램지 경(제10대 달후지 백작)은 조지 램버트 준장을 얀다보 조약과 관련된 몇 가지 사소한 문제로 버마에 파견했다. 버마는 즉시 양보하여, 동인도 회사전쟁 명분으로 삼았던 총독을 해임했다. 달후지 백작은 사적인 편지에서 램버트를 "불붙기 쉬운 제독"이라고 묘사했으며,[1] 결국, 그는 양곤 항구를 봉쇄하고 국왕 파간의 왕실 선박을 나포하는 등 매우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해군적 대립을 유발하여 제2차 영국-버마 전쟁을 시작했다. 이 전쟁은 회사가 페구 지방을 합병하고 저지 버마로 이름을 바꾸면서 종결되었다.[2]

분쟁의 성격은 의회에 잘못 전달되었고, 의회는 대중에게 공개된 사실을 더 "억압"하는 역할을 했지만, 대부분의 사실은 원래 익명의 팸플릿인 ''인도에서 어떻게 전쟁이 일어나는가''에서 상반된 설명들을 비교하여 읽음으로써 밝혀졌다. 리처드 코브덴의 이 설명은 실제로 버마를 침략하고 합병하기로 결정한 사람이 누구였는지에 대한 거의 유일한 동시대 증거로 남아있다.[3]

리처드 코브덴은 해군 준장을 협상에 파견하고 (무력 외교) 최초 보상 요구액 1,000파운드를 100배인 10만파운드로 올린 달후지 백작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한 버마 사회 및 외교 문제에 훨씬 더 경험이 많은 테나세림의 영국 위원인 아치볼드 보글 대령 대신 램버트를 선택한 달후지 백작을 비판했다. 달후지 백작은 램버트가 적대 행위 발발의 원인이라는 것을 부인했다.[1]

2. 2. 전쟁의 발발

1852년, 영국얀다보 조약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빌미로 조지 램버트 준장을 미얀마에 파견했다.[2] 미얀마는 즉시 양보하여, 동인도 회사전쟁 명분으로 삼았던 총독을 해임했다.[2] 달후지 백작은 램버트를 "불붙기 쉬운 제독"이라고 묘사했다.[1] 결국, 램버트는 양곤 항구를 봉쇄하고 국왕 파간의 왕실 선박을 나포하는 등 도발적인 행동을 통해 해군 충돌을 유발하여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을 일으켰다.[2]

3. 전쟁 과정

1852년 7월경까지 영국은 저지 미얀마 지대의 항구들을 점령하고 수도로 진군하려고 했다. 영국령 인도군은 느리지만 확실하게 미얀마 중부의 티크나무 삼림지대를 점령했다.

1853년 버간 황제가 죽고 새로운 황제 민돈 황제가 즉위하자 민돈은 영국군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영국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더 이상 북쪽으로 진군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얀마는 이 전쟁으로 저지대 지역을 잃고 고지대 지역으로 쫓겨났다.[5]

다바인 영주 마웅 지

3. 1. 영국의 군사 작전

1852년 4월 5일, 영국 동인도 회사는 마르타반 항구를 점령하면서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의 첫 번째 주요 타격을 가했다. 양곤은 4월 12일에 점령되었고, 쉐다곤 파고다는 포격[4]을 받아 4월 14일에 점령되었으며, 격렬한 전투 끝에 미얀마군은 북쪽으로 후퇴했다. 바세인은 5월 19일에 점령되었고, 페구는 쉐마도 파고다 주변에서 치열한 전투 끝에 6월 3일에 점령되었다. 우기 동안 영국 동인도 회사 이사회와 영국 정부는 이라와디강 계곡의 하류 지역, 즉 프롬을 포함한 지역의 병합에 대한 승인을 얻었다.[5] 전투가 끝난 후 제국 전역의 여러 미얀마 파고다가 약탈되었다.[6]

달후지 경은 7월과 8월에 양곤을 방문하여 문무관과 해군 당국자들과 함께 모든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5] 그는 수도로 진군하여 인와 궁정에 조건을 제시하는 방식으로는 전쟁을 수행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했는데, 이는 왕국의 완전한 병합을 고려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며, 당분간 군사적, 경제적 측면에서 달성 불가능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1] 그 결과, 고드윈 소장은 10월 9일에 프롬을 점령했으며, 제1차 영국-미얀마 전쟁에서 사망한 마하 반둘라 장군의 아들인 다바인 영주의 지휘를 받는 미얀마군은 약간의 저항만 했다. 그러나 고드윈 소장은 작가 제인 오스틴의 형제인 찰스 오스틴 제독이 사망한 후, 램버트가 단지 제독임에도 불구하고 왕립 해군과 상대해야 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1] 12월 초, 달후지 경은 파간 왕에게 페구 지방이 앞으로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을 것이라고 알렸다.[5]

3. 2. 미얀마의 저항

쉐다곤 파고다는 포격[4]을 받고 1852년 4월 14일에 점령되었으며, 격렬한 전투 끝에 미얀마군은 북쪽으로 후퇴했다. 마하 반둘라 장군의 아들인 다바인 영주가 지휘하는 미얀마군은 프롬에서 약간의 저항을 했다.[1] 전투가 끝난 후 제국 전역의 여러 미얀마 파고다가 약탈되었다.[6]

3. 3. 전쟁의 종결

1853년 버간 황제가 죽고 민돈 황제가 즉위하자 민돈은 영국군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영국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는 않았지만 더 이상 북쪽으로 진격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얀마는 이 전쟁으로 저지대 지역을 상실하고 고지대 지역으로 쫓겨났다.[5]

1853년 1월 20일에 병합 선언이 발표되었고,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어떠한 조약도 체결되지 않은 채 종결되었다.[5] 이 전쟁은 아마라푸라 (당시에는 아바 궁정으로 불림)에서 혁명을 초래했는데, 파간 민(1846–1852)이 그의 이복 형제인 민돈 민(1853–1878)에 의해 축출되었다. 민돈은 즉시 평화를 모색했지만, 협상을 위해 그가 보낸 두 명의 이탈리아 사제는 영국군이 이미 그들의 영토 내에 닝얀 티크 숲의 풍부한 지대를 확보한 채 약 80.47km 더 북쪽의 메데에 위치해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기정사실로 제시되었다.[1] 1885–1886년에 새로운 적대 행위가 발발하기 전까지는 조약이 체결되지 않았지만, 영국령 버마와 아바 왕국 간의 무역은 재개되었다.

4. 전쟁의 결과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1853년 1월 20일 병합 선언과 함께 조약 체결 없이 끝났다.[5] 이 전쟁으로 미얀마는 저지대 지역을 상실하고 고지대 지역으로 밀려났다.[5]

전쟁 결과, 미얀마에서는 아마라푸라에서 혁명이 일어나 버간 왕(1846–1852)이 이복형제 민돈 민(1853–1878)에게 왕위를 빼앗겼다.[1] 민돈 왕은 즉시 평화를 모색했으나, 협상 사절단은 영국군이 이미 닝얀 티크 숲의 풍부한 지대를 확보하고 약 80.47km 북쪽 메데에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1] 1885년-1886년 새로운 적대 행위가 있기 전까지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지만, 영국령 버마와 아바 왕국 간 무역은 재개되었다.

이 전쟁은 제임스 앤드루 브라운-램지 경(제10대 달후지 백작)이 얀다보 조약 관련 사소한 문제를 구실로 조지 램버트 준장을 버마에 파견하며 시작되었다. 버마는 즉각 양보하여 동인도 회사전쟁 명분으로 삼았던 총독을 해임했으나, 램버트는 해군 대립을 유발해 전쟁을 일으켰다.[2] 전쟁 후, 회사는 페구 지방을 합병하고 저지 버마로 이름을 고쳤다.[2]

이 분쟁의 성격은 의회에 잘못 전달되었고, 의회는 사실을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리처드 코브덴의 팸플릿 ''인도에서 어떻게 전쟁이 일어나는가''를 통해 대부분의 사실이 밝혀졌다.[3] 코브덴은 해군 준장을 협상에 파견하고 최초 보상 요구액 1000GBP를 10만파운드로 올린 달후지 백작을 비판했다. 또한 버마 문제에 경험이 많은 아치볼드 보글 대령 대신 램버트를 선택한 달후지 백작을 비판했다.[1]

4. 1. 미얀마의 왕조 교체

1853년 버간 왕이 죽고 민돈 왕이 즉위하자, 민돈은 영국군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영국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더 이상 북쪽으로 진격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얀마는 이 전쟁으로 저지대 지역을 잃고 고지대 지역으로 쫓겨났다.[5] 이 전쟁은 아마라푸라에서 혁명을 초래했는데, 당시에는 여전히 아바 궁정으로 불렸으며, 버간 왕(1846–1852)이 그의 이복 형제인 민돈 민(1853–1878)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민돈은 즉시 평화를 모색했지만, 협상을 위해 그가 보낸 두 명의 이탈리아 사제는 영국군이 이미 그들의 영토 내에 닝얀 티크 숲의 풍부한 지대를 확보한 채 약 80.47km 더 북쪽의 메데에 위치해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기정사실로 제시되었다.[1]

4. 2. 영국의 지배 강화

1853년 1월 20일 병합 선언이 발표되면서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조약 체결 없이 종결되었다.[5] 이 전쟁으로 아마라푸라(아바 궁정)에서 혁명이 일어나 파간 민(1846–1852)이 이복형제 민돈 민(1853–1878)에게 축출되었다. 민돈은 즉시 평화를 모색했으나, 협상을 위해 보낸 두 명의 이탈리아 사제는 영국군이 이미 닝얀 티크 숲의 풍부한 지대를 확보하고 약 80.47km 더 북쪽의 메데에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했고, 이는 기정사실로 제시되었다.[1] 1885년-1886년 새로운 적대 행위가 발발하기 전까지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지만, 영국령 버마와 아바 왕국 간의 무역은 재개되었다.

4. 3. 전쟁에 대한 논란

제임스 앤드루 브라운-램지 경(제10대 달후지 백작)은 1852년 조지 램버트 준장을 얀다보 조약 관련 사소한 문제를 이유로 버마에 파견했다. 버마는 즉시 양보하여 동인도 회사전쟁 명분으로 삼았던 총독을 해임했다. 달후지 백작은 사적인 편지에서 램버트를 "불붙기 쉬운 제독"이라고 묘사했다.[1] 램버트는 양곤 항구를 봉쇄하고 국왕 파간의 왕실 선박을 나포하는 등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해군 대립을 유발하여 제2차 영국-버마 전쟁을 일으켰다. 전쟁은 회사가 페구 지방을 합병하고 저지 버마로 이름을 바꾸면서 끝났다.[2]

분쟁의 성격은 의회에 잘못 전달되었고, 의회는 대중에게 공개된 사실을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실은 익명의 팸플릿인 ''인도에서 어떻게 전쟁이 일어나는가''에서 상반된 설명들을 비교하여 읽음으로써 밝혀졌다. 리처드 코브덴의 이 설명은 버마 침략 및 합병 결정의 배후에 누가 있었는지에 대한 거의 유일한 동시대 증거로 남아있다.[3]

리처드 코브덴은 해군 준장을 협상에 파견하고 (무력 외교) 최초 보상 요구액 1000GBP를 100배인 10만파운드로 올린 달후지 백작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한 버마 사회 및 외교 문제에 경험이 많은 테나세림의 영국 위원 아치볼드 보글 대령 대신 램버트를 선택한 달후지 백작을 비판했다. 달후지 백작은 램버트가 적대 행위 발발의 원인이라는 것을 부인했다.[1]

5. 이후의 상황

1853년 1월 20일 병합 선언이 발표되면서 제2차 영국-미얀마 전쟁은 조약 체결 없이 종결되었다.[5] 이 전쟁으로 아마라푸라(인와 궁정)에서 혁명이 일어나 파간 민(1846–1852)이 이복 형제인 민돈 민(1853–1878)에게 축출되었다. 민돈은 즉시 평화를 모색했지만, 그가 보낸 두 명의 이탈리아 사제는 영국군이 이미 닝얀 티크 숲의 풍부한 지대를 확보하고 약 80.47km 더 북쪽의 메데에 위치한 것을 확인했고, 이는 기정사실로 제시되었다.[1] 1885년1886년 새로운 적대 행위가 발발하기 전까지 조약은 체결되지 않았지만, 영국령 버마와 아바 왕국 간의 무역은 재개되었다.

참조

[1] 서적 Burma http://mission.itu.c[...] Hutchinson University Library 2005-05-19
[2]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a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3] 문서 This text went through several "editions" rapidly, with the third edition already in print in 1853 (this was subsequently reprinted in 'The Political Writings of Richard Cobden, vol. 2') https://archive.org/[...]
[4] 서적 The Second Burmese War: A Narrative of the Operations at Rangoon, in 1852 https://books.google[...] Smith, Elder & Company 1853
[5] 서적 Burmese Wars
[6] 서적 Nationalism as Political Paranoia in Burma: An Essay on the Historical Practice of Power Nias Repor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