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왕자의 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왕자의 난은 조선 태종 이방원이 왕세자 자리를 두고 형 회안대군 이방간과 벌인 난이다. 이방원은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세자 자리를 노렸고, 이방간 또한 왕위 계승을 탐내던 중, 박포의 지원을 받아 군사를 일으켰다. 개경 선죽교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이방원이 승리하여 이방간은 유배, 박포는 처형되었다. 이 사건으로 이방원은 권력을 강화하고 왕위 계승의 발판을 마련하여, 결국 정종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태종으로 즉위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0년 한국 - 왕자의 난
왕자의 난은 조선 태조의 왕자들 간에 일어난 왕위 계승 분쟁으로, 1차 난으로 방석과 정도전 등이 살해되고 이방원이 태종이 되었으며, 2차 난을 통해 왕위 계승 문제가 해결되고 중앙 집권 체제가 강화되었다. - 왕자의 난 - 추동궁 마마
추동궁 마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다룬 드라마로, 위화도 회군, 조선 건국, 왕자의 난 등 주요 사건과 왕족, 이성계와 그 가족, 그리고 정도전, 남은, 조준, 하륜 등 건국 공신들과 다양한 평민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왕자의 난 -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 이방원 등이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일으킨 정변으로, 세자 이방석을 폐하고 정도전 등 반대파를 제거하며 이방원이 실권을 장악, 왕권 강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 조선의 정변 - 환국
환국은 조선 시대에 정파 간의 권력 다툼으로 특정 정파가 정권을 장악하고 다른 정파를 몰아내는 정치적 사건을 의미하며, 왕의 권력 강화, 당파 간의 갈등, 왕세자 문제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 조선의 정변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제2차 왕자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제2차 왕자의 난 | |
개요 | |
분쟁 | 제2차 왕자의 난 |
날짜 | 1400년 |
장소 | 조선 개경 |
결과 | 이방원의 결정적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이방간 지지파 |
교전국 2 | 이방원 지지파 |
지휘관 및 지도자 | |
이방간 지지파 | 회안대군 박포 |
이방원 지지파 | 정안대군 민씨 부인 민무구 민무질 하륜 이숙번 조영무 조온 마천목 |
병력 규모 | |
이방간 지지파 | 불명 |
이방원 지지파 | 불명 |
사상자 규모 | |
이방간 지지파 | 불명 |
이방원 지지파 | 불명 |
2. 원인
정안대군(이방원)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실권을 가지게 되었고 세자 자리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나 회안대군(이방간) 또한 세자 자리를 탐내고 있어 제2차 왕자의 난이 벌어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2. 1. 권력 다툼
정안대군(이방원)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실권을 가지게 되었고 세자 자리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나 회안대군(이방간) 또한 세자 자리를 탐내고 있었고 결국 제2차 왕자의 난이 벌어지게 되었다.3. 배경
태조 이성계가 제1차 왕자의 난의 충격으로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떠난 뒤, 정종은 도읍을 다시 개경으로 옮겼다. 태조의 넷째 아들이자 이방원의 형인 이방간은 왕위 계승에 대한 야심이 있었으나, 인격, 공훈, 위세가 방원에 미치지 못하여 항상 시기하고 불안해했다.
한편, 지중추(知中樞) 박포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이 이방원을 제거하려 한다고 밀고하여 방원을 도왔지만, 그 공로에 비해 낮은 상을 받은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방간이 왕위를 넘보기 시작했고, 박포까지 돕기로 하면서 이방간은 군사를 일으켰다.
3. 1. 정치적 상황
태조 이성계가 제1차 왕자의 난의 충격으로 왕위를 정종에게 내주고 떠난 뒤 정종은 도읍을 다시 개경으로 옮겼다. 태조의 4남이자 이방원의 형 이방간은 왕위 계승에 대한 야심과 호기(豪氣)가 있었으나, 인격·공훈·위세가 방원에 미치지 못하여 항상 시기하며 의심하고, 불안한 가운데 있었다.한편 지중추(知中樞) 박포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이 이방원을 제거하려 한다고 밀고하는 등 방원을 도와 난을 성공적으로 수습하는 데 공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상작(賞爵)이 높지 못한 데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런 와중에 이방간이 왕위를 넘보기 시작했고, 뒤이어 박포까지 돕기로 하자 이방간은 군사를 일으켰다.
3. 2. 이방간의 야심
태조 이성계가 제1차 왕자의 난의 충격으로 왕위를 정종에게 내주고 떠난 뒤 정종은 도읍을 다시 개경으로 옮겼다. 태조의 4남이자 이방원의 형 이방간은 왕위 계승에 대한 야심과 호기(豪氣)가 있었으나, 인격·공훈·위세가 방원에 미치지 못하여 항상 시기하며 의심하고, 불안한 가운데 있었다.[1]한편 지중추(知中樞) 박포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이 이방원을 제거하려 한다고 밀고하는 등 방원을 도와 난을 성공적으로 수습하는 데 공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상작(賞爵)이 높지 못한 데 불만을 품고 있었다.[1]
이런 와중에 이방간이 왕위를 넘보기 시작했고, 뒤이어 박포까지 돕기로 하자 이방간은 군사를 일으켰다.[1]
4. 경과
이방원도 군사를 동원하여 개경 선죽교에서 양측 군대가 대치하며 전투가 시작되었다. 방간의 군대는 사조지에 군사를 멈추고, 보병 40명은 마정동 안에, 기병 20명은 전목 동구에서 나와 전투를 벌였다. 그 과정에서 방원 휘하의 목인해가 얼굴에 화살을 맞고, 김법생도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1]
이에 방원은 하륜을 시켜 교서를 짓게 한 뒤, 군전에 가게 했다. 상당후 이저와 이화, 이맹종(의령군) 등 방원 휘하의 군사들이 모두 투입되어 방간의 부하 이성기가 이숙번의 활에 맞아 죽고, 서익, 마천목, 이유 등도 선봉에 서서 방간의 군사를 추격하여 승패가 결정되었다.
전국(戰局)은 방간의 군대에게 불리하여 패주하게 되니, 이방원의 병력은 이방간의 병력을 무찔렀으며 이방간은 묘련 북동으로 달아나다가 탄현문 근처에서 소근, 고신부, 이광득, 권희달에게 추격당해 붙들리고 만다.
거병 작란(擧兵作亂)하여 동기(同氣)를 모해했다는 죄명으로 이방간은 토산으로 유배되었고 박포는 죽주(지금의 충청북도 영동)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되었다.
4. 1. 전투 발발
이방원도 군사를 동원하여 개경 선죽교에서 양측 군대가 대치하며 전투가 시작되었다. 방간의 군대는 사조지에 군사를 멈추고, 보병 40명은 마정동 안에, 기병 20명은 전목 동구에서 나와 전투를 벌였다. 그 과정에서 방원 휘하의 목인해가 얼굴에 화살을 맞고, 김법생도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1]이에 방원은 하륜을 시켜 교서를 짓게 한 뒤, 군전에 가게 했다. 상당후 이저와 이화, 이맹종(의령군) 등 방원 휘하의 군사들이 모두 투입되어 방간의 부하 이성기가 이숙번의 활에 맞아 죽고, 서익, 마천목, 이유 등도 선봉에 서서 방간의 군사를 추격하여 승패가 결정되었다.
전투는 방간의 군대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어 패주하게 되었고, 이방원의 병력은 이방간의 병력을 무찔렀다. 이방간은 묘련 북동쪽으로 달아나다가 탄현문 근처에서 소근, 고신부, 이광득, 권희달에게 추격당해 붙잡혔다.
이방간은 형제를 모해하려 했다는 죄명으로 토산으로 유배되었고, 박포는 죽주(지금의 충청북도 영동)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되었다.
4. 2. 이방원의 승리
이방원도 군사를 동원하여 개경 선죽교에서 두 병력이 대치하며 전투가 시작되었다. 방간의 군대는 사조지에 군사를 주둔시키고, 보병 40명은 마정동 안에, 기병 20명은 전목 동구에서 나와 전투를 벌였다. 그 과정에서 방원 휘하의 목인해가 얼굴에 화살을 맞고, 김법생도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1]이때 방원은 하륜에게 명하여 교서를 짓게 하고 군전에 보내, 상당후 이저와 이화, 이맹종 등 방원 휘하의 군사들이 모두 투입되었다. 방간의 부하 이성기가 이숙번의 활에 맞아 죽고, 서익, 마천목, 이유 등도 선봉에 서서 방간의 군사를 추격하여 승패가 결정되었다.
전세는 방간의 군대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어 패주하게 되었고, 이방원의 병력은 이방간의 병력을 격파하였다. 이방간은 묘련 북동쪽으로 도망가다가 탄현문 근처에서 소근, 고신부, 이광득, 권희달에게 붙잡혔다.
이방간은 형제간에 싸움을 일으켜 동기를 해치려 했다는 죄명으로 토산으로 유배되었고, 박포는 죽주(지금의 충청북도 영동)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되었다.
5. 결과
이 전투의 승리로 이방원은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졌으며, 이는 이방원의 왕위 계승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
정종은 하륜 등의 주청으로 상왕 태조의 허락을 얻어 1400년 음력 2월 이방원을 왕세자로 삼았고, 같은 해 음력 11월에 왕위를 넘겨주었다. 이가 바로 조선 제3대 왕 태종이다.[1]
5. 1. 이방원의 권력 강화
이 전투의 승리로 이방원은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졌으며, 이는 이방원의 왕위 계승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정종은 하륜 등의 주청으로 상왕 태조의 허락을 얻어 1400년 음력 2월 이방원을 왕세자로 삼았고, 같은 해 음력 11월에 왕위를 넘겨주었다. 이가 바로 조선 제3대 왕 태종이다.[1]
5. 2. 유배와 처형
이방원은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자신의 기반을 더욱 튼튼하게 다졌으며, 이는 결국 이방원이 왕위를 계승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정종은 하륜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상왕 태조의 허락을 얻어 1400년 음력 2월 이방원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다. 같은 해 음력 11월, 정종은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이방원은 조선 제3대 임금인 태종으로 즉위하였다.[1]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