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1통신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11통신사령부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로, 1944년 2월 1일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제3112통신근무대대로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동하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여러 작전에 참여했고, 이후 독일 군정군으로 주둔했다. 냉전 시기에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했으며, 1996년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에서 재설립되어 현재는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에 위치하며 태평양 지역의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이 부대는 태평양 육상 전쟁망(PLWN)을 유지 및 방어하고, 미국 육군 태평양 사령부(USARPAC)를 지원하며, 2020년 육군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제7통신사령부
미국 육군 제7통신사령부는 미국 국방부 정보망 작전을 수행하며, 국가 지도자, 합동 전력, 육군에게 미국 본토 디지털 인프라를 제공하고, 서반구 내 합동, 범부처, 정부 간 및 다국적군을 지원하는 통신 사령부이다.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는 미국 육군 사이버사령부 직속으로 육군 사이버 공간을 계획, 설계, 보호, 운영하여 합동 작전에서 임무 수행 지휘를 가능하게 하며, 애리조나주 포트 후아추카에 본부를 두고 전 세계에서 육군과 연합군을 지원한다. - 하와이주의 부대 - 미국 태평양 육군
미국 태평양 육군은 미국 육군의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사령부로,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국 부상과 함께 시작되어 주요 전쟁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인도적 지원, 재해 구호, 국토 방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하와이주의 부대 - 제516통신여단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재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해 왔다. - 1963년 폐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3년 폐지 - 대한민국 심계원
대한민국 심계원은 1948년 헌법에 따라 설치되어 1949년부터 1963년 감사원 신설 시까지 운영된 국가기관으로, 회계 감사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명제세, 함태영, 노진설 등이 역대 심계원장을 역임했다.
제311통신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소속 | 미국 육군 |
종류 | 극장 통신 사령부 |
역할 | 아시아-태평양 지역 육군 간의 통신망 유지 |
본부 |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 |
별칭 | 없음 |
표어 | Voice of the Pacific (태평양의 목소리) |
색상 | 파랑, 모나크 오렌지 |
창설일 | 1944년 11월 25일 |
해체일 | 1947년 2월 27일 1950년 1월 27일 1967년 11월 13일 |
재창설일 | 1992년 10월 16일 |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기념일 | 없음 |
웹사이트 | 없음 |
![]() | |
지휘 | |
사령관 | 준장 레이 패리스 |
현재 소속 |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 |
지원 | 미국 태평양 육군 |
역사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
규모 | |
규모 | 3개 대대 |
2. 역사
제311통신사령부는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1996년 제311통신사령부로 개편되었고, 2006년에는 미국 육군 태평양 사령부의 극장 지원 사령부가 되었다.
부대 개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96년 6월 16일 | 제311통신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로 명칭 변경,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에서 활동 시작. |
2006년 9월 16일 | 본부 위치가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로 변경. |
2020년 8월 7일 | 육군우수부대표창 수상.[2] |
2. 1. 창설 및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2월 1일,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제3112통신근무대대로 창설되었다. 유럽 전구에 배치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며, 1946년 12월 5일까지 독일 군정군으로서 주둔하였다.[2]스트리머 | 내역 |
---|---|
![]()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
2. 2. 냉전 시대
1944년 2월 1일,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제3112통신근무대대로 창설되어 유럽 전구에 배치되었다. 1946년 12월 5일까지 독일 군정군으로 주둔하였다.[2] 이후 1952년 4월 10일부터 1963년 2월 20일까지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하였다.[2]제3112통신병대대는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1952년 예비역 육군에 편입되면서 제311통신단으로 개편되었다.[2]
부대 개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44년 1월 26일 | 미국 육군에서 제3112통신대대 본부로 창설. |
1944년 2월 1일 |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활동 시작. |
1945년 6월 7일 | 제3112통신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편 및 명칭 변경. |
1946년 12월 5일 | 독일에서 활동 중단. |
1952년 3월 27일 | 제311통신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명칭 변경, 조직 예비군에 배정. |
1952년 4월 10일 |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 시작 (조직 예비군은 1952년 7월 9일 육군 예비군으로 명칭 변경). |
1954년 4월 26일 | 제311통신단 본부 및 본부 파견대로 개편 및 명칭 변경. |
1963년 2월 20일 |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 중단.[2] |
2. 3. 현대
1996년 6월 16일,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에서 제311통신사령부로 재창설되었다.[2] 2006년 9월 16일,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로 이전하여 미국 육군 태평양 사령부의 극장 지원 사령부가 되었다.[2]제311통신사령부는 태평양 지역에서 육군의 모듈화 및 변환을 지원하기 위해 현역 군인, 미국 육군 예비군 사령부(USARC) 구성 부대, 민간인 직원 팀의 강점을 결합하여 극장 전체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한다.[2]
2020년 8월 7일, 육군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2]
3. 임무 및 역할
제311통신사령부는 태평양 육상 전쟁망(PLWN)을 유지 및 방어하고, 미국 태평양 육군(USARPAC)을 지원하며, 글로벌 네트워크 협력 임무를 수행한다. PLWN은 태평양 지역에서 사용되는 안전한 육군 네트워크이며, USARPAC의 작전 통신 사령부로서 제311통신사령부는 비상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PLWN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USARPAC의 주요 하위 사령부와 자매 극장 지원 사령부를 지원하고, 제9통신사령부(육군)/NETCOM의 글로벌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목표와 협력하여 육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표준이 태평양 극장에서 구현되도록 한다.[1]
3. 1. 태평양 육상 전쟁망(PLWN) 유지 및 방어

태평양 육상 전쟁망(PLWN)은 미국 태평양 육군(USARPAC)이 태평양 지역에서 사용하는 안전한 육군 네트워크이다. 제311통신사령부는 이 PLWN을 유지하고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USARPAC의 작전 통신 사령부로서, 제311통신사령부는 태평양 지역 내 비상 작전 시 소집된 육군 부대의 배치와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PLWN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311통신사령부는 USARPAC의 주요 하위 사령부와 자매 극장 지원 사령부를 지원하기 위해 PLWN을 유지 및 업그레이드한다. 또한, 제9통신사령부(육군)/NETCOM의 글로벌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목표와 협력하여, 육군 CIO/G6와 제9통신사령부의 육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표준이 태평양 극장에서 지원 및 구현되도록 보장한다.
태평양 랜드워넷은 연합군, 합동군 및 육군 부대의 작전과 일상적인 작전을 지원하며, 전방 배치 및 미국 본토 주둔 군사 부대를 지원하도록 확장 가능하다. PLWN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예하 부대 지휘 및 통제
- 군수 지원 제공
- 부대 보호
- 정보 배포 관리 및 콘텐츠 스테이징(IDM/CS) 수행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및 정책 구현
- 네트워크 관리 및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관리(NME SM) 수행
- 정보 보증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방어(IA/CND) 제공
- 컴퓨터 네트워크 방어(IA/CND)
3. 2.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
미국 태평양 육군(USARPAC)의 작전 통신 사령부인 제311통신사령부는 태평양 지역 내 비상 작전 수행을 위해 소집된 육군 부대의 배치 및 통합 지원을 위해 태평양 육상 전쟁망(PLWN)을 확장하는 임무를 수행한다.[1]제311통신사령부는 USARPAC 임무 지원을 위한 통신 지원 외에도, USARPAC의 주요 하위 사령부(MSC)와 자매 극장 지원 사령부(TEC)를 지원하기 위해 PLWN을 유지 및 업그레이드한다.[1]
또한 제9통신사령부(육군)/NETCOM의 글로벌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목표와 협력하여, 육군 CIO/G6와 제9통신사령부의 육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표준이 태평양 극장에서 지원 및 구현되도록 보장한다.[1]
제311통신사령부의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예하 부대 지휘 및 통제
- 군수 지원 제공
- 부대 보호
- 정보 배포 관리 및 콘텐츠 스테이징(IDM/CS) 수행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및 정책 구현
- 네트워크 관리 및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관리(NME SM) 수행
- 정보 보증 및 컴퓨터 네트워크 방어(IA/CND) 제공
- 컴퓨터 네트워크 방어(IA/CND)
3. 3. 글로벌 네트워크 협력
제311통신사령부(극장)는 제9통신사령부(육군)/NETCOM의 글로벌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목표와 협력한다. 이러한 행정적인 사령부 관계를 통해 부대는 육군 CIO/G6와 제9통신사령부의 육군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표준이 단일 글로벌 육군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태평양 극장에서 지원되고 구현되도록 보장한다.4. 편성
제311통신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로,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제1통신여단과 하와이에 주둔하는 제516통신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예하 부대
4. 2. 지휘 구조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자료에 제311통신사령부가 대한민국과의 군사적 협력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이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상징
제311통신사령부의 상징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 견장 패치: 불꽃 속에서 솟아오르는 불사조는 재탄생을 의미하며 새로운 사령부를 나타낸다. 오렌지색 반구는 조직의 전 세계적인 역량을 상징한다. 파란색 배경은 하늘을 암시하며 위성을 통한 음성, 사진,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1]
- 부대 휘장: 주황색과 흰색(은색)은 통신 부대에서 사용하는 색상이다. 화살표는 전투 준비 태세를 나타내며, 하늘을 가리켜 위성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상징한다. 지구본은 부대의 전 세계적인 능력을 상징한다. 부대 모토는 극장의 통신 연결 고리로서 부대의 임무를 강조한다.[1]
이 견장 패치와 부대 휘장은 1996년 3월 22일에 승인되었다.
6. 1. 견장 패치
불꽃 속에서 솟아오르는 불사조는 재탄생을 의미하며 새로운 사령부를 나타낸다. 오렌지색 반구는 조직의 전 세계적인 역량을 상징한다. 파란색 배경은 하늘을 암시하며 위성을 통한 음성, 사진,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1] 이 견장 패치는 1996년 3월 22일에 승인되었다.6. 2. 부대 휘장
주황색과 흰색(은색)은 통신 부대에서 사용하는 색상이다. 화살표는 전투 준비 태세를 나타내며, 하늘을 가리켜 위성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상징한다. 지구본은 부대의 전 세계적인 능력을 상징한다. 부대 모토는 극장의 통신 연결 고리로서 부대의 임무를 강조한다.[1] 이 부대 휘장은 1996년 3월 22일에 승인되었다.7. 계보 및 수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을 지원하기 위해 1944년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제3112통신병대대로 창설되었다.[1] 제3112통신병대대는 노르망디, 북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에서 작전에 참여했다. 이후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1952년 예비역 육군에 편입되면서 제311통신단으로 개편되었고, 1996년 메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에서 제311통신사령부(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2006년 9월에는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로 이전하여 미국 육군 태평양 사령부의 극장 지원 사령부가 되었다.
제311통신사령부는 현역 군인, 미국 육군 예비군 사령부(USARC) 구성 부대, 민간인 직원 팀의 강점을 결합하여 극장 전체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한다.
- 1944년 2월 1일, 뉴저지주 포트 몬머스에서 활동을 시작했다.[1]
- 1946년 12월 5일, 독일에서 활동이 중단되었다.[1]
- 1952년 4월 10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을 시작했다.[1] (1952년 7월 9일 조직 예비군은 육군 예비군으로 명칭 변경)[1]
- 1963년 2월 20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활동이 중단되었다.[1]
7. 1. 계보
- 1944년 1월 26일, Headquarters, 3112th Signal Service Battalion영어 (제3112통신근무대대)로 Army of the United States에 배정됨.[1]
- 1945년 6월 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112th Signal Service Battalion영어 (제3112통신근무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편.[1]
- 1952년 3월 27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11th Signal Group영어 (제311통신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조직화된 예비대에 배정됨.[1]
- 1952년 7월 9일, 조직화된 예비대가 ''육군 예비대''로 개편됨.[1]
- 1954년 4월 2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11th Signal Group영어 (제311통신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로 개편.[1]
- 1996년 6월 16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11th Signal Command영어 (제311통신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편.[1]
- 2006년 9월 16일, 본부 위치가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로 변경됨.[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