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16통신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10월 16일 재창설되어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3367통신근무대대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선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제516통신근무대대, 제516통신단을 거쳐 현재의 제516통신여단으로 재편되었다. 현재 하와이, 알래스카, 일본 등에 예하 부대를 두고 있으며,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해체된 단체 - 제4통신단 (미국)
    제4통신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통신 부대로, 태평양 전쟁 참전 및 주유·주한 미군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가 1975년 해산되었다.
  • 1967년 해체된 단체 - 제8군사경찰여단
    제8군사경찰여단은 주한 미군에 배속되어 법 집행 및 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부대로, 1967년 창설된 제8군사경찰단에서 시작되어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제728군사경찰대대와 제71화학중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평택 미군기지 이전 사업 관련 지역 사회와의 협력 및 갈등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50년 해체된 단체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1950년 해체된 단체 - 제2군단 (대한민국)
    제2군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전쟁 중 해체 후 재창설되었으며 현재 춘천에 사령부를 두고 중부 전선을 담당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단이다.
  • 미국의 통신여단 - 제21통신여단
    제21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을 위해 창설되어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해산되었다가 재창설되어 현재 여러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
  • 미국의 통신여단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제516통신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516통신여단 어깨 소매 휘장
제516통신여단 어깨 소매 휘장
별칭팀 시그널
표어 (번역)태평양의 목소리
제516통신여단 식별 부대 휘장
식별 부대 휘장
일반 정보
창설일1992년 10월 16일
국가미국
군종미국 육군
병과통신대
종류통신여단
역할아시아-태평양 지역 육군 간의 통신망 유지
규모3개 대대
본부하와이주 호놀룰루 포트 샤프터
지휘관
현재 지휘관대령 앤드류 브로코프
명령 체계제311통신사령부
이전 활동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아시아-태평양 전구

2. 역사

1992년 10월 16일, 제516통신여단은 제1106통신여단의 임무를 이어받아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에서 재창설되었다. 제516통신여단은 개정된 조직 및 장비표(MTOE) 부대였고, 제1106통신여단은 분배 및 허용표(TDA) 부대였다.

제516통신여단의 역사는 두 갈래로 나뉜다. 조직 및 장비표(TOE) 상으로는 1944년 뉴기니에서 창설된 제3367통신근무대대가 기원이다. 분배 및 허용표(TDA) 상으로는 1964년 하와이 스코필드 배럭스에서 창설된 미국 육군 전략 통신 사령부(STRATCOM-PAC)-태평양의 후신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3367통신근무대대는 뉴기니, 레이테, 남부 필리핀, 루손 전투에서 공을 세워 전투 표창을 받았고,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종전 후 괌에서 제516통신근무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54년 독일에서 제516통신단으로 재지정되었으나 1967년 해체되었다. 제516통신여단 예하의 각 통신대대(제30, 58, 59, 78, 307통합전구통신대대)도 제2차 세계 대전 전투 표창을 받았다. 제30, 59, 307대대는 유럽 전선, 제58, 78대대는 태평양 전선에서 복무했다.

STRATCOM-PAC은 1960~70년대 베트남, 한국,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대만, 태국, 하와이 등 지구 표면의 3분의 1에 달하는 광대한 지역에서 미 육군의 통신-전자 임무를 담당했다. 당시 27,000명 이상의 군인과 민간인이 배속되었고, 이 중 약 21,000명이 베트남 주둔 제1통신여단(미국) 소속이었다. 1989년 제1106통신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알래스카, 하와이, 일본, 오키나와에 5개 통신대대를 두었다.

1990-91년, 제1106통신여단 소속 군인 19명이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되어 사막의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을 지원했다. 이후 제516통신여단은 소말리아, 쿠웨이트, 아이티, 온두라스, 보스니아, 동티모르 등에서 유엔 및 미국의 활동을 지원했다. 2002년 이후에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지원했다.

2. 1. 창설 및 제2차 세계 대전

부대는 1944년 10월 10일 제3367통신근무대대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11월 25일 뉴기니에서 창설된 직후, 레이테, 루손, 남필리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주필 미군으로서 필리핀 제도에 주둔하였으며, 1944년 10월 17일부터 1945년 7월 4일까지의 활약으로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종전 후, 1947년 2월 27일에 해산하였다가 같은 해 8월 19일에 제516통신근무대대로 재창설되었다. 1947년 9월 12일부터 1950년 1월 27일까지 에 주둔하였다.

2. 2. 유럽 주둔 및 냉전

1954년 1월 14일, 제516통신단으로 재편성되어 2월 10일 독일 카를스루에의 Neureut 막사에서 재소집되었다. 중부군집단(CENTAG) 통신국의 지시에 따라 "연합 보조 무선전화 중계지"(Allied Alternate Radio Relay Site영어)를 운영하며 정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유럽사령부, 제7군, SHAPE, COMZEUR, 제4통신단 등 여러 부대의 야전훈련연습(FTX)에 인원과 장비를 지원하였다.[1]

프랑스의 대통령 샤를 드골북대서양 조약 기구 탈퇴를 선언하고 외국군의 철수를 요구하면서, 프랑스 주둔 여단 예하부대인 제17통신대대가 1963년 8월 12일에 해산되었다.[1]

1967년 11월 13일, 독일에서 단 본부가 해산되었다.[1]

2. 3. 아시아-태평양 복귀 및 현대

1992년 10월 16일,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에서 제1106통신여단이 제516통신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이후 소말리아, 쿠웨이트, 아이티, 온두라스, 보스니아, 동티모르 등에서 평화 유지 및 인도적 지원 활동에 참여하였다.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에 참전하여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2012년 10월 12일, 오키나와현 포트 버크너에 주둔하던 제58통신대대가 해산되고,[3] 예하 중대인 제333, 349통신중대의 작전통제권은 제78통신대대로 이관되었다.[4]

3. 부대 구성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태평양 육군을 지원하는 제30통신대대, 미국 육군 알래스카를 지원하는 제59통신대대, 주일본 미국 육군을 지원하는 제78통신대대, 하와이에 주둔하는 제307원정통신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307원정통신대대 예하 C 중대는 알래스카에서 미국 육군 알래스카를 지원한다.[5]

3. 1. 현재 부대


  • 제4지역사이버센터; 2005년 10월 16일 ~ 현재[5]
  • 제30통신대대 - 미국 태평양 육군 지원, 하와이주 호놀룰루 포트 샤프터
  • * 하와이 네트워크기획원
  • 제59통신대대 - 미국 육군 알래스카 지원, 알래스카주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 기지
  • * 알래스카 네트워크기획원
  • 제78통신대대 - 주일본 미국 육군 지원, 일본 가나가와현 자마시 캠프 자마
  • 제307통신대대 - 하와이

3. 2. 과거 부대

부대활동 기간비고
제17통신대대 (옛 제175통신중대 (근무))1963년 8월 12일프랑스 Angevillers|앙주빌레영어에서 해산
제29통신대대 (건설)
제58통신대대1992년 10월 16일 ~ 2012년 10월 12일해산
제72통신대대
제447통신대대 (건설)
제201통신중대 (건설)
제229통신중대 (건설)
제6980민간노무단 (건설)
제6981민간노무단 (건설)


4. 기록

제516통신여단은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944년 10월 17일 ~ 1945년 7월 4일)

4. 1. 계보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367th Signal Service Battalion|제3367통신근무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 1944년 10월 10일 창설.[1]
  • 516th Signal Service Battalion|제516통신근무대대영어: 1947년 8월 19일 재지정.[1]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516th Signal Group|제516통신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 1954년 1월 14일 재지정 및 정규군 배정.[1]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16th Signal Brigade|제516통신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1992년 10월 16일 재창설.[1]

4. 2. 참전 훈장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 (1944년 10월 17일 ~ 1945년 7월 4일)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516th https://web.archive.[...] U.S. Army 2011-06-24
[2] 웹사이트 516th Mission and Vision https://web.archive.[...] U.S. Army 2011-06-24
[3] 웹인용 58th Signal Battalion Inactivation Ceremony https://www.facebook[...] 311th Signal Command 2014-10-10
[4] 뉴스 58th Signal Battalion colors cased, 333rd, 349th Signal Companies OPCON to 78th Signal Battalion http://www.army.mil/[...] 미국 육군 공사 사무소 2014-10-10
[5] 웹인용 4th Signal Center https://history.army[...] 미국 육군 역사관 2019-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