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고려-거란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고려-거란 전쟁은 1018년에 발발한 고려와 거란의 전쟁이다. 거란의 팽창 정책과 고려의 북방 정책, 그리고 송나라와의 관계가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이 전쟁은 고려의 국방력 강화와 국제 관계 재정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는 거란에 조공을 바치고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송나라와의 관계도 지속하며 자주적인 외교를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9년 한국 - 고려-거란 전쟁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 고려와 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세 차례의 전쟁인 고려-거란 전쟁은 서희의 외교 담판과 강감찬의 귀주대첩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고려군의 저항으로 거란의 침략을 격퇴하고 동아시아 세력 균형에 기여했다.
제3차 고려-거란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제3차 고려-거란 전쟁 | |
개요 | |
![]() | |
분쟁 | 제3차 고려-거란 전쟁 |
전체 전쟁 | 고려-거란 전쟁 |
날짜 | 1018년 ~ 1019년 |
장소 | 한반도 북부 |
결과 | 고려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고려 |
교전국 2 | 요나라 |
지휘관 | |
고려 지휘관 | 강감찬 강민첨 김종현 조원 박종검 유참 |
요나라 지휘관 | 소배압 소굴렬 소한령 소요지 해리 † 아과달 † 작고 † |
병력 규모 | |
고려 병력 | 208,000 명 |
요나라 병력 | 100,000 명 |
사상자 규모 | |
고려 사상자 | 불명 |
요나라 사상자 | 90,000 명 이상 |
2. 배경
고려-거란 전쟁의 배경은 복합적이다. 고려의 북방 정책, 거란의 팽창 정책, 송나라와의 관계 등이 얽혀 있었다.
고려-거란 전쟁은 크게 세 차례의 침입으로 나눌 수 있다.
거란은 1019년에 고려를 다시 침공하려 했으나, 양측 모두 서로를 군사적으로 제압할 수 없음을 깨달았다. 이에 1020년 현종은 다시 조공을 바쳤고, 1022년 거란은 현종의 통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2][13]
3. 전개 과정
4. 결과 및 영향
4. 1. 국제 관계 재정립
1020년, 고려 현종은 거란에 다시 조공을 보냈고, 1022년 거란은 현종의 통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2][13] 같은 해 거란은 사신을 보내 현종을 국왕으로 책봉했고, 1031년 현종이 사망하자 왕흠 역시 요나라 조정으로부터 국왕으로 책봉받았다. 고려는 요나라의 속국으로 남았지만, 요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양국 관계는 평화롭게 유지되었다.[12][13] 역사학자 비엘렌슈타인에 따르면, 고려는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고 유지했으며, 현종은 자신의 연호를 유지했고, 양국은 1022년에 대등한 입장에서 평화를 맺었다.
5. 역사적 평가
고려-거란 전쟁은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참조
[1]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7-30
[2]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30
[3]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30
[4]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07-30
[5]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7-30
[6]
웹사이트
귀주대첩
http://100.naver.com[...]
[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6-07-30
[8]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30
[9]
서적
The Hutchinson Dictionary of Ancient and Medieval Warfa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30
[10]
서적
Establishing a Pluralist Society in Medieval Korea, 918-1170: History, Ideology and Identity in the Koryŏ Dynasty
https://books.google[...]
BRILL
2016-07-30
[1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6-07-30
[12]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30
[13]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6-07-30
[14]
문서
현재의 평안남도 순천시 (평안남도)|순천시
[15]
문서
지금의 황해북도 신계군
[16]
문서
지금의 평안북도 구성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