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4항공군 (해상자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항공군 (해상자위대)은 1962년 9월 1일 창설된 해상자위대 항공부대로, 시모후사 항공기지에서 제3항공대 등을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P2V-7 항공기를 시작으로 P-2J, P-3C, P-1 초계기를 운용하며, 대잠수함 작전 및 해상 경계 임무를 수행해왔다. 2018년에는 대한민국 해군 구축함에 의해 화기 관제 레이더 조사를 받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제3항공대, 제4정비보급대, 아쓰기 항공기지대, 이오지마 항공기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자위대의 항공군 - 제1항공군 (해상자위대)
    제1항공군은 일본 해상자위대의 항공부대로, 1953년 창설되어 대잠 초계기 등을 운용하며 소말리아 해적 대응을 위해 파견되기도 했다.
  • 해상자위대의 항공군 - 제2항공군 (해상자위대)
    제2항공군은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으로 하치노헤 항공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일본 주변 해역의 해상 초계 및 감시 임무를 수행하며 P-3 오라이온 초계기를 주력으로 운용하고, MQ-9B 시가디언 무인기 시험 운용 등 전력 강화도 추진하고 있다.
  • 하치노헤시 - 가부시마섬
    가부시마섬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검은꼬리갈매기의 번식지이며, 1922년부터 일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1942년 둑길로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 하치노헤시 - NHK 하치노헤 지국
    NHK 하치노헤 지국은 일본의 공영 방송사 NHK의 지국으로, 하치노헤시를 관할하며, 1942년 하치노헤 임시 방송소로 시작하여 현재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제공한다.
  • 1957년 설립 -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경제 공동체는 1957년 로마 조약으로 프랑스, 서독 등 6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관세 동맹을 통해 경제 통합을 추구하고 공동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유럽 연합의 기반이 되었다.
  • 1957년 설립 - 막사이사이상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를 기리기 위해 록펠러 형제 재단의 지원으로 1957년 설립된 막사이사이상은 아시아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해왔으나 2009년부터 특정 부문 없이 시상하며 '아시아의 노벨상'으로도 불리지만 공정성 및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제4항공군 (해상자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개요
부대명제4항공군
원어 이름第4航空群 (다이욘 코쿠군)
영어 이름Fleet Air Wing 4
제4항공군 로고
제4항공군 로고
창설일1962년 9월 1일
소속해상자위대
종류항공군
역할대함전, 대잠수함전
규모불명
명령 체계항공집단
본부아쓰기 항공기지 (가나가와현 아야세시)
별명불명
표어불명
불명
군가불명
마스코트불명
장비불명
참전불명
훈장불명
지휘관해장보
주요 지휘관불명

2. 역사

1962년 9월 1일, 시모후사 항공기지에서 제1항공군의 제3항공대, 제4지원정비대, 시모후사 항공기지대를 편성하여 제4항공군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P2V-7 항공기를 운용하였다. 1963년 3월 15일 제2항공군의 제51항공대가 제4항공군으로 전속되었고, 3월 31일 도쿠시마 항공기지에서 S2F-1를 운용하는 제14항공대가 창설되어 5월 6일 시모후사 기지로 이동하였다. 1965년 10월 10일에는 마리아나 해역 어선 집단 조난 사건에 P2V-7 항공기가 투입되어 수색 및 구조 임무를 수행하였다.

1973년 제4항공군은 아쓰기 항공기지로 이전하였다. 이후 P-2J, P-3C, P-1 등 최신 초계기로 기종을 전환하며 역량을 강화해 왔다. 특히, 2009년 5월 28일에는 소말리아 해적에 대응하기 위해 P-3C 초계기를 지부티에 파견하기도 했다.

2018년 12월 20일에는 노토 반도 앞바다에서 대한민국 해군 광개토대왕함과 관련된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6]

2. 1. 창설 초기 (1962년 ~ 1973년)

1962년 9월 1일, 제1항공군의 제3항공대, 제4지원정비대, 시모후사 항공기지대를 편성하여 시모후사 항공기지에서 제4항공군이 창설되었다.[4] 당시 제4항공군은 사령부, P2V-7 9기로 구성된 제3항공대, 제4지원정비대, 시모후사 항공기지대로 구성되었다.

1963년 3월 15일 제2항공군의 제51항공대가 제4항공군으로 전속되었다. 3월 31일 도쿠시마 항공기지에서 S2F-1를 운용하는 제14항공대가 창설되었고, 5월 6일 시모후사 기지로 이동하였다.

1965년 10월 10일, 태풍 카르멘으로 인해 마리아나 해역에서 조업 중이던 일본 어선 7척이 조난되는 마리아나 해역 어선 집단 조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수색 및 구조를 위해 제2항공군에서 P2V-7 4기, 제4항공군에서 P2V-7 6기, 총 10기의 P2V-7 항공기가 재해 파견되었다. 이는 고정익 항공기의 첫 실 임무 해외 파견이었다.[4]

1969년 7월 29일, 제51항공대가 항공집단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1971년 6월 25일 아쓰기 항공기지에 아쓰기 항공기지분견대가 창설되어 1973년 10월 16일까지 활동하다가, 정식 부대인 아쓰기 항공기지대로 재편성되었다. 12월 25일, 제4항공군은 아쓰기 항공기지로 이전하였다.

2. 2. 아쓰기 기지 이전 및 현대화 (1973년 ~ 현재)

1973년 10월 16일, 아쓰기 항공기지분견대가 아쓰기 항공기지대로 재편성되었다. 제4항공군은 아쓰기 항공기지로 이전하였다.[4] 1974년 7월 6일, 제3항공대에 P-2J가 배치되기 시작했다.[4]

1983년 3월 30일, P-3C 초계기 6기로 제6항공대가 창설되었다. 제6항공대는 해상자위대 최초의 P-3C 부대였다.[4] 1984년 5월 10일에는 제3항공대에 P-3C가 배치되기 시작했고, 1985년 1월 10일에는 제3항공대에서 P-2J의 운용이 종료되었다.

2008년 3월 26일, 제3항공대와 제6항공대가 통합되어 새로운 제3항공대가 되었다.[4]

2009년 5월 28일, 제4항공군의 P-3C 초계기 2대가 제1차 파견 해적 대처 항공 부대로 지부티에 파견되었다.[4]

2015년 3월 23일, P-1 초계기가 제3항공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5] 2017년 8월 29일, 제3항공대에서 P-3C 초계기의 운용이 종료되고 P-1 초계기로의 기종 전환이 완료되었다.[5]

2018년 12월 20일, 노토 반도 앞바다의 EEZ 내에서 경계 감시 중이던 제4항공군 소속 P-1 초계기가 대한민국 해군 구축함 광개토대왕으로부터 화기 관제 레이더 조사를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6]

3. 주요 임무 및 활동

제4항공군은 동해 및 서해를 포함한 주변 해역에서 초계 및 감시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독도 주변 해역에서의 초계 활동은 한국과의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18년 발생한 대한민국 해군 레이더 조사 문제는 이러한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일본 정부는 이 사건을 통해 한국 측에 강력하게 항의했다.[1]

4. 부대 구성

제4항공군의 사령부는 아쓰기 항공 기지에 설치되어 있다. 제4항공군은 항공 초계 및 감시 임무를 수행하는 제3항공대와 이를 지원하는 제4정비보급대, 아쓰기 항공기지대, 이오지마 항공기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4. 1. 현 부대


  • 제3항공대
  • * 제31비행대: P-3C
  • * 제32비행대: P-3C
  • 제4정비보급대
  • * 제4항공기정비대
  • * 제4전자정비대
  • * 제4무기정비대
  • * 제41기측정비대
  • * 제42기측정비대
  • * 제4보급대
  • 아쓰기 항공기지대
  • * 아쓰기 관리대
  • * 아쓰기 항공경비대
  • * 아쓰기 운항대
  • * 아쓰기 경리대
  • * 아쓰기 위생대
  • * 아쓰기 항공위생대

4. 2. 과거 부대

부대명기간
제3항공대
제31비행대 (P-3C 운용)
제32비행대 (P-3C 운용)
제4정비보급대
제4항공기정비대
제4전자정비대
제4무기정비대
제41기측정비대
제42기측정비대
제4보급대
아쓰기 항공기지대
아쓰기 관리대
아쓰기 항공경비대
아쓰기 운항대
아쓰기 경리대
아쓰기 위생대
아쓰기 항공위생대



'''창설 당시'''

부대명
제3항공대 (P2V-7 9기)
제4지원정비대
시모후사 항공기지대



부대명기간
제6항공대1983년 3월 30일 ~ 2008년 3월 26일
제14항공대1963년 3월 31일 ~ 1981년 7월 15일
제51항공대1963년 3월 15일 ~ 1969년 7월 29일
하치노헤 구난비행대1960년 12월 16일 ~ 2008년 3월 26일


5. 역대 지휘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해장보 (소장) 계급이다.)대성명재직 기간출신교・기수전 직책후 직책비고1아베 헤이지로1962. 9. 1. ~ 1964. 7. 15.해군병학교 61기카노야 교육항공군 사령
1962. 7. 16. 항공집단 사령부 부속제1항공군 사령취임 당시 1등 해좌
1964. 1. 1. 해장보 승진2우치다 야스시1964. 7. 16. ~ 1964. 12. 15.해군병학교 64기카노야 교육항공군 사령
1963. 9. 1. 해상막료감부 부속제2항공군 사령1등 해좌3오카지마 기요쿠마1964. 12. 16. ~ 1965. 11. 15.해군병학교 63기방위대학교 교수
1964. 5. 1. 교육항공집단 사령부 부속자위함대 사령부 부속
1966. 5. 16. 도쿄 업무대 부속
1966. 7. 1. 퇴직 (해장보 승진)1등 해좌4히지 츠네오1965. 11. 16. ~ 1967. 12. 15.해군병학교 64기해상막료감부 방위부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부속
1968. 12. 31. 퇴직취임 당시 1등 해좌
1967. 1. 1. 해장보 승진5미야타케 유타카1967. 12. 16. ~ 1969. 4. 15.해군병학교 65기방위연수소 소원제2항공군 사령1등 해좌6미야지마 나오요시1969. 4. 16. ~ 1970. 6. 30.해군병학교 66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제2항공군 사령취임 당시 1등 해좌
1970. 1. 1. 해장보 승진7비다 마사유키1970. 7. 1. ~ 1971. 7. 4.해군병학교 67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제1항공군 사령8가토리 에이오1971. 7. 5. ~ 1972. 6. 30.해군병학교 70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해상막료감부 조사부장9아오키 구니오1972. 7. 1. ~ 1974. 6. 30.해군병학교 70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요코스카 지방총감부 막료장10마츠이 미사오1974. 7. 1. ~ 1976. 6. 30.해군병학교 73기해상막료감부 총무부 인사과장통합막료학교 부교장11소네 신키치1976. 7. 1. ~ 1978. 3. 15.요코하마 공대제61항공대 사령해상막료감부 부속
1978. 4. 19. 퇴직취임 당시 1등 해좌
1977. 1. 17. 해장보 승진12카와노 타다오1978. 3. 16. ~ 1979. 12. 4.해군병학교 73기고즈키 교육항공군 사령해상막료감부 부속
1980. 3. 17. 퇴직취임 당시 1등 해좌
1978. 7. 1. 해장보 승진13시게노 마사오1979. 12. 5. ~ 1981. 6. 30.해군병학교 75기오무라 항공대 사령교육항공집단 사령관취임 당시 1등 해좌
1980. 1. 1. 해장보 승진14고가 겐이치로1981. 7. 1. ~ 1983. 1. 19.구마모토대 3기 간후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항공집단 사령부 부속
1983. 2. 16. 교육항공집단 사령관15히가시야마 슈이치로1983. 1. 20. ~ 1984. 1. 16.도쿄 수산대 4기 간후해상막료감부 방위부장자위함대 사령부 막료장16테라이 아타고1984. 1. 17. ~ 1985. 6. 30.해상보안대 2기, 6기 간후제2항공군 사령교육항공집단 사령관17사이토 마사사부로1985. 7. 1. ~ 1987. 7. 6.방대 2기해상막료감부 방위부 방위과장통합막료회의 사무국 제2막료실장18나가쿠라 타다아키1987. 7. 7. ~ 1988. 7. 6.방대 2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구레 지방총감부 막료장19가와무라 스미히코1988. 7. 7. ~ 1990. 3. 15.방대 4기제5항공군 사령통합막료학교 부교장20마츠모토 테츠오1990. 3. 16. ~ 1991. 6. 30.방대 5기제1항공군 사령교육항공집단 사령관21나카마 테츠야1991. 7. 1. ~ 1993. 6. 30.방대 10기제5항공군 사령부 수석 막료통합막료회의 사무국 제4막료실장22오니시 히데오1993. 7. 1. ~ 1996. 3. 24.방대 8기카노야 항공기지대 사령요코스카 지방총감부 막료장23미타니 야스히로1996. 3. 25. ~ 1997. 6. 30.방대 10기교육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통합막료학교 부교장24우메노 타다시1997. 7. 1. ~ 1999. 3. 28.방대 11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오미나토 지방총감부 막료장25아라카와 타카이치1999. 3. 29. ~ 2001. 3. 26.방대 16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제1항공군 사령26아카호시 게이지2001. 3. 27. ~ 2002. 3. 21.방대 17기해상막료감부 감리부 총무과장해상막료감부 감리부장27시가 요스케2002. 3. 22. ~ 2003. 3. 26.방대 16기해상막료감부 조사부 조사제1과장제1항공군 사령28나카이 타카오2003. 3. 27. ~ 2005. 1. 11.방대 15기제21항공군 사령퇴직29오가와 고이치2005. 1. 12. ~ 2007. 12. 2.방대 19기제51항공대 사령통합막료학교 부교장30타카하시 카즈오2007. 12. 3. ~ 2009. 7. 20.방대 19기통합막료학교 부교장퇴직31사토 마코토2009. 7. 21. ~ 2011. 8. 4.방대 26기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장해상막료감부 감찰관32키쿠치 사토시2011. 8. 5. ~ 2012. 7. 25.방대 28기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통합막료학교 부교장33모리타 요시카즈2012. 7. 26. ~ 2014. 8. 4.방대 30기항공집단 사령부 훈련 주임 막료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34후타가와 타츠야2014. 8. 5. ~ 2016. 6. 30.방대 32기오미나토 지방총감부 막료장해상자위대 간부학교 부교장35마츠모토 칸2016. 7. 1. ~ 2017. 12. 19.방대 35기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장항공집단 사령부 막료장36카네시마 히로시2017. 12. 20. ~ 2019. 12. 19.방대 36기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장제5항공군 사령37히라키 타쿠히로2019. 12. 20. ~ 2021. 3. 25.방대 33기제51항공대 사령제31항공군 사령38카네야마 테츠지2021. 3. 26. ~ 2023. 8. 28.방대 38기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후생과장항공집단 사령부 부속
2023. 12. 22. 마이즈루 지방총감부 막료장39도쿠도메 히데카즈2023. 8. 29. ~와세다대 49기 간후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
인사계획과장취임 당시 1등 해좌
2023. 12. 22. 해장보 승진


참조

[1] 웹사이트 厚木航空基地 https://www.mod.go.j[...] 2017-02-08
[2] 웹사이트 JMSDF Order of Battle http://www.j-hangars[...] Thompson, Paul 2017-02-08
[3] 웹사이트 自衛隊法施行令(昭和29年政令第179号)第18条の5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8-30
[4] 웹사이트 第3航空隊 http://www.mod.go.jp[...]
[5] 웹사이트 厚木航空基地HP トピックス:P-1への移行完了 https://www.mod.go.j[...]
[6] PDF 韓国海軍艦艇による火器管制レーダー照射事案 https://www.mod.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