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7보병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보병여단은 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 예하의 여단으로, 한국 전쟁 당시 압록강에 도달한 최초의 부대였다. 1946년 2월 청주에서 창설되어 제4여단, 제6여단을 거쳐 제6사단에 배속되었으며, 부산 교두보 전투와 1950년 유엔군 공세에 참전했다. 특히 1950년 10월, 희천시를 거쳐 초산군까지 진격하여 압록강에 도달했으나, 온정 전투 이후 퇴각 과정에서 고창군 남쪽에서 적의 봉쇄에 직면하여 많은 피해를 입었다.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에 따라 제7보병연대가 제7보병여단으로 승격되었다. 또한 제7보병연대는 건군 이래 국군 최초로 부대 전 장병 일계급 특진 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여단 - 제23경비여단
    대한민국 육군의 제23경비여단은 2021년 9월 1일에 창설되어, 4개의 경비대대와 직할대로 구성되며, 제8군단에서 제3군단으로 소속이 변경된 경비 부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여단 - 제17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은 한국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운 부대로, 1948년 창설되어 수도방위사령부에서 제2보병사단을 거쳐 현재는 제12보병사단에 배속되었으며, 백인엽 중령이 초대 연대장을 지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은 1948년에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서 춘천 방어 전투를 비롯한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큰 전공을 세웠으며, 휴전 이후 휴전선 중부 지역 경계를 담당하다가 현재는 여러 여단과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1기갑여단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소속 제1기갑여단은 1968년 창설되어 철원 지역을 방어하는 핵심 전력으로, 전차대대, 기계화보병대대, 자주포병대대 및 직할대로 구성되며 국군 최초의 기갑공병부대와 육군 최초의 전투근무지원대대를 예하에 둔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카투사
    카투사는 한국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의 합의로 창설되어 미군에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로,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군의 작전 및 행정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병무청 추첨과 영어 성적을 통해 선발되지만, 법적 근거 미비 등의 논란도 있다.
제7보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7보병여단
원어 명칭제7보병여단 (第七步兵旅團)
활동 기간1946년 2월 7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보병
종류보병부대
역할GOP 경계
규모여단
명령 체계제6보병사단
본부강원도 철원군
별명초산부대
표어(알 수 없음)
군가(알 수 없음)
마스코트(알 수 없음)
장비(알 수 없음)
참전한국 전쟁
기념일(알 수 없음)
장식(알 수 없음)
훈장(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지휘관
여단장[[파일:KA insignia (cloth) Colonel.gif|30px]] 대령 ?
주요 지휘관(알 수 없음)

2. 역사

제7보병연대는 한국 전쟁 중 압록강에 최초로 도달한 부대로 알려져 있으며,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제8군의 지휘를 받은 유일한 한국군 부대였다.[1] 1946년 창설된 이후[2]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부산 교두보 전투[3]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1950년 북진 시 유엔군 중 가장 먼저 압록강변에 도달하는 전과를 세웠다.[4] 이후 국방개혁 2.0 계획에 따라 2020년 12월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

제7보병연대는 1946년 2월 7일 충청북도 청주에서 창설되었으며, 초대 연대장은 민기식 중위였다. 1949년 4월 제4여단에 배속되었고, 이후 1949년 5월 제6사단이 창설되면서 제6사단 예하 부대가 되었다.[2]

2. 2. 한국 전쟁

제6보병사단 예하 제7보병연대는 한국 전쟁 발발 이후 부산 교두보 전투에 참전하였다.[3] 이후 1950년 유엔군 공세 당시 제6사단의 북진 작전에 참여하여 눈부신 활약을 펼쳤다.

1950년 10월 23일 밤, 연대는 구장동에서 북쪽으로 약 약 25.75km 떨어진 희천시에 도달했다. 다음 날인 24일 밤에는 온정리를 통과한 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압록강에 인접한 약 80.47km 거리의 초산군으로 빠르게 진격했다. 10월 25일 아침, 연대에서 파견된 증강된 정찰 소대가 초산군에 가장 먼저 진입하여, 북한군이 좁은 부교를 통해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후퇴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이로써 제7보병연대는 유엔군 및 한국군 부대를 통틀어 최초이자 유일하게 압록강 변에 도달하는 기록을 세웠으며,[4][1]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국 제8군의 지휘를 받은 유일한 한국군 부대이기도 했다.[1]

그러나 온정 전투 이후 전황이 급변하자 제6사단은 연대에 남쪽으로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연대는 철수 전 보급품이 필요했고, 10월 28일에 공중 투하를 통해 보급품을 받았다. 다음 날인 29일 아침, 남쪽으로 이동하던 중 약 약 32.19km 떨어진 고창군 남쪽에서 중공군의 강력한 봉쇄선에 직면했다. 낮 동안에는 강력한 항공 지원에 힘입어 적을 격퇴할 수 있었으나, 밤이 되자 중공군의 공세에 밀려 연대는 큰 피해를 입고 흩어졌다. 연대 소속 3,552명 중 약 875명의 장교와 사병만이 군우리로 탈출하여 제6사단 본대에 합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혁혁한 전과와 희생을 기려, 제7보병연대는 건군 이래 대한민국 국군 최초로 부대 전 장병이 일계급 특진하는 영예를 안았다.[6]

2. 3. 국방개혁 2.0

2020년 12월부터 국방개혁 2.0 계획에 따라, 제7보병연대를 포함한 6사단 예하 연대들이 여단으로 승격 및 개편되었다.

3. 기록

제6보병사단 7연대 시절, 건군 이래 국군 최초로 부대 전 장병이 일계급 특진하는 기록을 세웠다.[6]

참조

[1] 서적 Cold Days in Hell: American POWs in Korea Texas A&M University Press 2013-01-31
[2] 웹사이트 7th Infantry Regiment http://www.globalsec[...]
[3]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5
[4] 서적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뉴스 남침 북한군에 밀리던 국군 첫 승전보 '주역' http://www.jbnews.co[...] 2015-06-24
[6] 웹사이트 전대원 일계급 특진 이뤄…귀신 잡는 해병 태어나다 https://www.narasa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