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보병사단은 1948년 4월 29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이다.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춘천 방어 전투에서 북한군의 남침을 3일간 저지하는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큰 전공을 세웠으며, 1950년에는 국군과 연합군 최초로 압록강변까지 진격하기도 했다. 휴전 이후에는 휴전선 중부 지역의 경계를 담당하며, 연대급 부대가 여단으로 승격되는 등 편성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제2, 제7, 제19 보병여단과 포병여단, 직할대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7보병여단
제7보병여단은 1946년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보병부대로, 한국 전쟁 때 유엔군 최초로 압록강에 도달했으며 2020년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 철원군 (남) 소재의 관공서 - 제1기갑여단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소속 제1기갑여단은 1968년 창설되어 철원 지역을 방어하는 핵심 전력으로, 전차대대, 기계화보병대대, 자주포병대대 및 직할대로 구성되며 국군 최초의 기갑공병부대와 육군 최초의 전투근무지원대대를 예하에 둔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는 1953년 창설되어 강원도 화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를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101경비대대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으로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6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창설일 | 1948년 6월 14일 |
종류 | 보병 |
역할 | 지역 방어 |
규모 | 사단 |
상급 부대 | 제5군단 |
주둔지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
별칭 | 청성 (靑星) |
표어 | 수사불패 청성투혼 (雖死不敗 靑星鬪魂) |
지휘관 | |
현재 사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심진선 |
주요 지휘관 | Lt. Col. 이형근 김종오 장도영 |
전투 및 훈장 | |
참전 | 한국 전쟁 |
전투 훈장 | 한국 전쟁 |
통칭 및 기타 정보 | |
통칭 | 제6보병사단 (第六步兵師團) |
군가 | 6사단가 |
2. 부대 연혁
1948년 4월 29일 국방부 일반명령(육) 제15호에 의거, 당시 경기도였던 수색리(지금의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일대)에서 조선경비대 제4여단으로 최초 창설되었다. 1948년 6월 14일 제4여단은 충청북도 충주시로 이동하였다.[28] 1948년 11월 20일에는 제6여단으로 개칭되었으며, 1949년 5월 12일 육군본부 일반명령에 의거, 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제6보병사단은 제2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19보병여단, 포병여단과 여러 직할대로 편성되어 있다.[29] 포병여단은 본부포대와 제27포병대대, 제76포병대대, 제77포병대대, 제88포병대대로 구성된다.
사단으로 승격되자마자 강원도 원주시로 이동하였다가 6.25전쟁 직전에 당시 남북 분단선으로 춘천지역을 지나는 38도선을 지키게 되었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춘천 방어전투, 용문산 전투 등 전쟁 기간 동안 154여 회의 크고 작은 전투에 참가하여 적 92,669명을 사살하고 6,437명을 생포하는 등의 큰 전공을 세웠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국군 사단들은 6.25전쟁 초기에 북한군의 대대적인 기습공세에 밀려 엄청난 피해를 입어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몇 번씩 재편과정을 거쳤으나, 6사단은 춘천 방어에 성공하다가 서울 지역이 함락되고 나서야 전선 유지를 위하여 명령에 의한 전술상 후퇴를 하였다. 6.25전쟁 이전에 편성된 부대 가운데 현재까지도 초창기 편제를 유지해 온 유일한 부대이다. 또한, 서울 수복 이후 북진하여 당시 대통령이던 이승만 대통령에게 치열한 격전지였던 압록강 물을 떠서 헌수한 것은 이 부대의 자랑거리이기도 하다.
휴전 이후에는 1957년 3월부터 1963년 8월까지 강원도 화천군, 경기도 포천시로 이동하여 주둔하였고 1966년 현재 위치로 이동하여 155마일 휴전선 중부 지역의 경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제2땅굴 발견 등 약 30여 회의 대간첩작전을 통해 적 17명을 사살하고, 1명을 생포하는 등 전공을 올리고 있다.
2020년 12월부터 연대급 부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다.
3. 편성
직할대는 공병대대,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 수색대대, 의무근무대, 정보통신대대, 전차대대, 군사경찰대대, 화생방지원대, 토우중대, 방공중대, 보충중대, 본부대, 신병교육대대로 구성된다. 전차대대는 과거 맹호부대에서 전차와 대원을 편입하여 창설되었고, 신병교육대대는 과거 제19보병여단 3대대가 담당하다가 현재는 직할대로 변경되었다.[1]
3. 1. 여단
3. 2. 직할대
4. 주요 참전 전투 및 작전
6.25전쟁 당시 춘천 방어전투, 용문산 전투 등 154회의 크고 작은 전투에 참가하여 적 92,669명을 사살하고 6,437명을 생포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 특히, 6.25전쟁 이전에 편성된 부대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초창기 편제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 수복 이후 북진하여 이승만 대통령에게 압록강 물을 헌수한 것은 이 부대의 자랑거리이다.
휴전 이후에는 강원도 화천군과 경기도 포천시 등에서 주둔하다가 1966년 현재 위치로 이동하여 중부 지역의 휴전선 경계를 담당하고 있다. 제2땅굴 발견 등 30여 회의 대간첩작전을 통해 적 17명을 사살하고 1명을 생포하는 전과를 올렸다.[32]
4. 1. 한국전쟁
6.25전쟁 발발 당시 남침하는 조선인민군의 전차를 육탄돌격으로 파괴하여 유일하게 전선을 사수하며 3일간 남침을 저지하였다.[30] 그 뒤 용문산 전투, 무극리 전투(동락리 전투), 초산 진격 등의 전공을 세웠다.특히 동락리 전투에서 1개 대대 병력으로 1개 연대를 섬멸하는 전과를 올렸고, 전 부대 장병이 일계급 특진하는 기록을 세웠다.[30]
1950년 10월 26일에는 국군과 연합군 최초로 압록강변까지 진격에 성공하여 압록강 물을 떠다 이승만 대통령에게 헌수하였다.[31]
- 춘천 전투 (북한 인민군의 기습남침을 3일간 대한민국 국군이 유일하게 저지하였던 전투)
- 용문산 전투 (제2연대 혼자 중공군 3개 사단에 맞서 방어를 했던 전투)
- 화천호 전투
- 초산 진격 (분단이후 대한민국 국군이 한·중 국경선인 압록강까지 유일하게 국토를 수복하였던 전투)
- 희천 전투
- 온정리 전투
- 이화령-문경 전투
- 충주-수안보 전투
- 함창 전투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북한 제2군단(김광협 중장)의 제2사단(이청송 소장)이 춘천으로, 제12사단(전우 소장)과 독립전차연대가 홍천으로 침공했다(국경 전투). 제6사단은 지형을 이용한 방어로 북한 제2군단에 피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춘천의 함락이 늦어져, 북한군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 전투에서 제6사단은 '춘천의 바위', '화려한 제6사단'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매튜 B. 리지웨이는 잘 전투 준비가 된 용감한 부대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공격이 시작되었을 때, 한국 제6사단은 굳건히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들은 용감하게 싸웠고, 북한군이 경성으로 진격하는 것을 3일이나 저지했다."라고 평했다.
1950년 7월 초, 제6사단은 안성시 부근에서 충주까지 약 70킬로미터 범위에 전개하여 서부의 제1군단을 지원했다. 7월 7일부터 충주 부근에서 제12사단(최춘국 소장)의 공격을 받았지만, 단절적인 공격을 반복하며 12일까지 이를 저지했다.
같은 달 중순, 각지에서 저항하면서 후퇴했고, 15일에는 신편 제2군단에 편입되었다.
하순, 상주시 함창에서 증원된 제1사단과 함께 북한 제1사단, 제13사단과 공방전을 벌였다.
1950년 8월 2일, 제2군단의 명령에 따라 낙동강을 도하하여 낙동강 방어선의 방어에 임했지만, 다음 날인 3일에 이미 북한 제1사단이 공격을 시작했고, 제6사단은 저항하며 후퇴했다. 그 후, 육군 본부의 명령으로 의성군 방면으로 후퇴하여, 우익의 제8사단 담당 정면을 대신했다. 여기서 새롭게 북한 제8사단이 가세했다. 제6사단은 신녕까지 후퇴했고, 여기서 2개 사단의 공세를 저지했다.
1950년 9월 초, 북한군의 9월 공세가 시작되었고, 제6사단은 북한 제8사단과 교전했다.
1950년 9월 15일의 인천 상륙 작전을 시작으로 제8군은 공세로 전환했고, 제6사단도 다음 날인 16일에 공세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진전이 없었지만 21일에 북한 제8사단을 섬멸하고 북상했다.
1950년 10월 15일, 38도선을 넘어 북진하여 선봉대가 압록강에 도달했지만 25일 이후의 중공군의 제1차 공세로 예하 2개 연대가 포위되었고, 개전 이후 건제를 유지해 온 제6사단은 궤주했다.
1950년 11월 하순, 제6사단은 크리스마스 공세에 참가했지만, 중공군의 제2차 공세로 다시 궤주했다.
1951년 1월, 제2군단이 해체되었기 때문에 미국 제9군단에 배속되었다.
1951년 3월, 리퍼 작전에서 제2연대 제1대대가 한 명의 병사도 잃지 않고, 1개 대대를 전멸시키고, 대포 4문과 박격포 7문을 포함한 다수의 장비를 노획했다.
1951년 4월, 사창리에서 중공군 제20군의 공세를 받고 붕괴되었다.
1951년 5월, 용문산 전투에서 중공군 제63군을 격퇴했다.
1952년 1월 9일, 육군본부 직할이 되었고, 1월 12일부터 3월 20일까지 양구군에서 부대 정비와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1952년 4월, 재건된 제2군단에 배속되었다.
4. 2. 한국전쟁 이후
1975년 3월 19일, 강원도 철원군에서 북한의 기습 남침용 제2땅굴을 발견했다.[13]5. 논란 및 사건사고
한국 전쟁 당시 터키 여단이 제6사단을 중공군으로 오인하여 사격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제6사단의 직접적인 과실은 아니지만, 이로 인해 한국군 사상자와 포로가 발생했고, 서방 언론에는 터키군의 승리로 잘못 보도되었다.
5. 1. 터키 여단의 오인 사격 사건
1950년 11월 26일, 덕천에서 후퇴하던 제6사단과 제7사단 병력은 터키 여단에게 중공군으로 오인받아 공격당했다.[6][7][8] 이 사건으로 한국군 125명이 포로로 잡혔고, 그들 중 다수가 터키군에게 학살당했다.[6][7][8] 이 사건은 미국과 유럽 언론에서 터키군의 승리로 잘못 보도되었으며, 미국 언론에서 진실이 알려진 후에도 언론은 이 기사를 정정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6][7][8]6. 부대가
(1절)
조국 통일과 독립을 위하여 맹호의 기세로 싸워 이겨,
새 세기 선두에 이름을 떨치며 강철로 뭉쳐진 육사단이다.
승리의 청성기를 높이 날리며 부르자 우렁차게 우리의 개가를
물과 불을 가리랴 우리는 용감히 싸운다. 육사단 육사단 대한의 육사단
(2절)
내 겨레 자유와 평화를 위하여 악랄한 오랑캐 휘몰아치며,
초산의 용문산 적들을 소탕한 전공에 빛나는 육사단이다.
승리의 청성기를 높이 날리며 부르자 우렁차게 우리의 개가를
물과 불을 가리랴 우리는 용감히 싸운다. 육사단 육사단 대한의 육사단
(3절)
반만년 역사에 빛나는 내 조국 삼천리 강산에 방패가 되어,
생명을 바쳐서 오늘도 싸우는 백전백승의 육사단이다.
승리의 청성기를 높이 날리며 부르자 우렁차게 우리의 개가를
물과 불을 가리랴 우리는 용감히 싸운다. 육사단 육사단 대한의 육사단
7. 드라마 촬영 협조
1996년 KBS 드라마 신고합니다 촬영에 협조하였다. 드라마 촬영 시기에 부대에 큰 장마 피해가 발생했는데, 부대 복구보다 드라마 촬영 협조가 우선이었다. 드라마 방영 초기에는 병사들에게 드라마 시청을 독려하였으나, 극중 타 부대 대원에게 굴욕을 당하는 장면과 다방 여종업원을 꾀어 여자친구인 양 면회를 오게 하여 무단으로 외출 및 외박하는 장면이 방영되었다. 이로 인해 전 대원에게 친족이 아니면 외출, 외박 금지령이 내려졌고, 드라마 시청 금지령도 내려졌다.[1]
2003년 SBS 드라마 야인시대 촬영에도 협조하였다.[2]
8. 역대 지휘관
대 | 성명 | 재임 기간 | 출신교·기수 | 전직 | 후임 | [10] rowspan="2">비고 | |
---|---|---|---|---|---|---|---|
한자 표기 | 원어 표기 | ||||||
1 | 채병덕 | 채병덕 | 1948.4.29 - 1948.10.11 | 일본 육사 49기 군영 2기 | 통위부 특별부대장 | 참모총장 | |
2 | 유재흥 | 유재흥 | 1948.10.11 - 1949.1.15 | 일본 육사 55기 | 제1여단 참모장 | 육군사관학교 부교장 | |
3 | 김백일 | 김백일 | 1949.1.15 - 1949.5.12 | 봉천 5기 군영 1기 | 제5여단장 | 유임 | |
1 | 김백일 | 김백일 | 1949.5.12 - 1949.5.14 | 봉천 5기 군영 1기 | 제6여단장(유임) | 옹진지구 전투사령관 | |
2 | 유재흥 | 유재흥 | 1949.5.14 - 1950.1.5 | 일본 육사 55기 | 제주지구 전투사령관 | 제2사단장 | |
3 | 신상철 | 신상철 | 1950.1.5 - 1950.6.10 | 일본 항사 58기 | 육본 정보국장 | 육본 인사국장 | |
4 | 김종오 | 김종오 | 1950.6.10 - 1950.10.31 | 군영 1기 | 제1연대장 | 제9사단장 | |
5 | 장도영 | 장도영 | 1950.10 - 1952.1 | 군영 1기 | 육본 정보국장 | 제1훈련소장 | |
6 | 백인엽 | 백인엽 | 1952.1 - 1953.6 | 군영 1기 | 제1훈련소장 | 제9사단장 | |
대 | 김용주 | 김용주 | 1953.5.9[10] - 1953.6.18 | 대령 부사단장 | |||
7 | 김점곤 | 김점곤 | 1953.6.29[10] - 1954.3 | 육사 1기 | 육본 인사국장 | 제1군 참모부장 | |
이창정 | 이창정 | 1954[11] | 육사 1기 | 연대장 | 국방부 정훈국장 | ||
이백우 | 이백우 | ? - 1957.8[12] | 군영 1기 | 육군대학교 입교 | |||
이원장 | 이원장 | 1957.8[12] - 1958.3.12 | 육사 1기 | 육본 인사국장[13] | 예비역 | ||
이창성 | 이창성 | 1958.3.12[14] - ? | 육군 보도실장 | 준장 | |||
이용 | 이용 | 1959.7 - 1960.4 | 육사 5기 | 제12사단장 | 보병학교장 | ||
12 | 최문호 | 최문호 | ? - ? | ||||
13 | 김태준 | 김태준 | ? - 1961.12.29 | 준장 | |||
14 | 윤택중 | 윤택중[15] | 1961.12.29[15] - 1963.9.4 | 준장 | |||
15 | 김재규 | 김재규 | 1963.9.4[16][15] - 1966.1.21 | 경사 2기 | 호남비료 사장 | 제6관구사령관[17] | |
16 | 박현식 | 박현식 | 1966.1.21[15] - 1967.7.3[15] | 육사 5기 | 제9사단장 | ||
17 | 김종수 | 김종수 | 1967.7.3 - 1969 | 육사 3기 | 제30사단장[18] | 주월 한국군 작전부사령관 | 준장 |
17 | 김종호 | 김종호 | 1969[11] | 주월사령부 참모장 | 국방대학원 부원장 | ||
19 | 이건영 (1926년)한국어 | 이건영 | 1971 - 1972.1 | 육사 7기 | 제6부사단장 | 육대총장 | |
21 | 정명환 | 정명환 | 1973.8.18[19] - 1976 | 육사 8기 | 육본 인사운영관 | 준장, 75년 소장 | |
24 | 오자복한국어 | 오자복 | 1979 - 1980 | 갑종 3기 | 군사작전처장 | 국보위 문공분과위원장 | |
25 | 한철수 | 한철수 | 1980 - 1982 | 육사 12기 | 육본 관리참모부장 | ||
26 | 민경배 | 민경배 | 1982 - 1984.1.18 | 육사 14기 | |||
27 | 권영해 (1937년)한국어 | 권영해 | 1984.1.18 - 1986.1.16 | 육사 15기 | 제88여단장 | 올림픽 경비사령관 | |
28 | 이해룡[20] | 이해룡 | 1986.1.16 - 1988.1 | 육사 17기 | 육군본부 본부사령관 | 제3군 참모장[21] | 하나회 |
29 | 윤용남한국어 | 윤용남 | 1988 - 1990 | 육사 19기 | 제5군단 참모장 | 제5군단장 | |
31 | 한승의 | 한승의 | 1991 - 1993.10.27 | 육사 22기 |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처장 | 국방부 정책기획관 | |
32 | 박봉식 | 박봉식 | 1993.10.27[22][15] - 1995.10.23 | 육사 24기 | 국방부 인사복지국장 | ||
33 | 남재준 | 남재준 | 1995.10.23[15] - 1997.10.28 | 육사 25기 | 수방사 참모장 | 육본 인사참모부장 | |
34 | 김장수 | 김장수 | 1997.10.28[15] - 1999.11.9 | 육사 27기 | 제1군 작전처장 | 합참 작전부장[23] | |
35 | 김학연 | 김학연 | 1999.11.9[15] - 2001.1.17 | 육사 28기 | 예비역 | 성추행 혐의로 해임 | |
36 | 최광섭[24] | 최광섭 | 2001.1.17 - 2002 | 육사 29기 | 제27사단장 | ||
37 | 허평환한국어 | 허평환 | 2002 - 2004 | 육사 30기 | 국방부 인사복지국 차장 | 육군훈련소장 | |
38 | 임관빈 | 임관빈 | 2004 - 2006.5.2 | 육사 32기 | 육본 비서실장 | 육본 정책홍보실장[25] | |
39 | 윤영범 | 윤영범 | 2006.5.2 - 2007.4.29[26] | 육사 33기 | 육군작전참모부장 | 자이툰 부대장 | |
40 | 조병오 | 조병오 | 2007.4.29 - 2008.12 | 학군 16기 | 제2군단 부군단장 | GP 수류탄 투척 사건으로 경질 | |
41 | 황충식 | 황충식 | 2008.12.3 - 2010.12 | 육사 36기 | 육본 정보작전처장 | ||
42 | 임호영 (1959년)한국어 | 임호영 | 2010.12 - 2012.11.8 | 육사 38기 | 제1군단 참모장 | 육본 감찰실장 | |
43 | 이재형 | 이재형 | 2012.11.8 - 2014.10.16 | 학군 21기 | 육군포병학교 교수부장 | 육군포병학교장 | |
44 | 이국재 | 이국재 | 2014.10.16[27] - 2016 | 육사 42기 | 육본 정보작전부 제1차장 | 제3군 참모장 | |
45 | 이진형 | 이진형 | 2016 - 2018.11 | 육사 44기 | 합참 작전1처장 | 국방부 정책기획관 | |
46 | 심진선 | 심진선 | 2018.11 - 2020.12 | 육사 46기 | 제3군 작전처장 | 육군교육사령부 교리발전부장 | |
47 | 박정택 | 박정택 | 2020.12 - 현 | 학군 30기 | 지상작전사령부 작전처장 | 현직 |
참조
[1]
뉴스
"공격!" "엄호!"… 긴장감 넘치는 쌍방 교전 ‘실전 방불’
https://www.fnnews.c[...]
Fnnews Korea
2022-09-06
[2]
웹사이트
6th Infantry Division
http://www.globalsec[...]
[3]
웹사이트
2nd Infantry Regiment
http://www.globalsec[...]
[4]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4
[5]
웹사이트
The Korean War: The UN Offensive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6]
서적
Appleman 2008
https://books.google[...]
[7]
서적
Leckie 1996
https://books.google[...]
[8]
서적
Leckie 1962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Korean War: The Chinese Intervention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14
[10]
뉴스
師團長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1]
웹사이트
李源長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6-05-26
[12]
뉴스
六師團長에 李 准將
http://www.busan.com[...]
2021-09-07
[13]
뉴스
金載圭前中情部長、南在俊前陸軍総長 写真はなぜ並んでかかる(''김재규 전 중정부장, 남재준 전 육군총장 사진은 왜 나란히 걸렸나 '')
https://www.khan.co.[...]
2021-09-05
[14]
웹사이트
有故(2)―金泳三総裁の登場と金載圭の葛藤(3)
http://www.chogabje.[...]
趙甲濟ドットコム
2016-07-15
[15]
웹사이트
金載圭
http://encykorea.aks[...]
民族文化大百科事典
2016-07-15
[16]
뉴스
白馬部隊長に朴賢植少将(''백마 부대장에 박현식 소령'')
http://news.joins.co[...]
2015-12-15
[17]
웹사이트
서울 근교 지하 기계음(2) 한국의 심장부로...(3)
https://www.chogabje[...]
[18]
웹사이트
한국의 人脈 : 系譜와 派閥의 뿌리
http://m.riss.kr/sea[...]
[19]
뉴스
観公新監査 李海龍さん(''백마 부대장에 박현식 소령'')
http://www.traveltim[...]
2015-12-15
[20]
뉴스
仕上げ入った「軍の脱政治化」/ 3群中・少将人事背景 (''마무리 접어든 「군의 탈정치화」/3군 중·소장인사 배경'')
http://news.joins.co[...]
2016-05-26
[21]
뉴스
[プロフィール]金章洙駐中国大使内定者(''[프로필]김장수 주중국대사 내정자'')
http://www.newsis.co[...]
2016-05-26
[22]
뉴스
国防部、資源管理本部長特別採用 (''국방부, 자원관리본부장 특별채용'')
http://www.newswire.[...]
2016-05-26
[23]
뉴스
「戦作権」韓国代表 任官彬って誰?忠州出身国防部政策室長...陸士32期・中将(''‘전작권’ 한국대표 임관빈은 누구충주 출신 국방부정책실장… 육사 32기·중장'')
http://www.sjdailyne[...]
2016-05-26
[24]
뉴스
ザイトゥーン部隊の師団長 尹英範少将 29日に就任(''자이툰 부대 사단장 윤영범 소장 29일 취임'')
http://www.kado.net/[...]
2016-05-26
[25]
뉴스
最前方鉄原で国防守護尽くす青星部隊(''최전방 철원서 국방수호 다하는 청성부대'')
http://www.shinailbo[...]
2016-05-26
[26]
웹사이트
http://premium.chosu[...]
[27]
문서
미국 육군 6사단
[28]
문서
6사단은 이 날을 창설일로 기념한다.
[29]
문서
예전의 전투지원중대가 2020년 12월에 포병대로 확대 개편되었다.
[30]
뉴스
(전쟁사 돋보기) 국군 6사단
https://archive.toda[...]
2010-02-24
[31]
뉴스
압록강물 헌수 재연
https://news.naver.c[...]
[32]
뉴스
제2땅굴 발견 33주년 기념식 거행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