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데프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데프레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가족으로는 형제의 미망인이자 누이인 헤테프헤레스 2세, 또 다른 왕비 켄텐테카가 있었다. 알려진 자녀로는 호르니트, 바카, 세트카, 네페르헤테페스 등이 있으며, 프랑스 발굴팀은 니카우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를 제데프레의 자녀로 추정했다. 제데프레는 토리노 왕 목록에 따르면 8년 동안 통치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에 대한 학계의 의견은 분분하다. 그는 아부 로아시에 자신의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지만, 현재는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푸 - 기자의 대피라미드
기자의 대피라미드는 기원전 26세기에 건설된 이집트 쿠푸왕의 무덤으로, 높이 약 147m, 밑변 길이 약 230m에 달하는 거대한 건축물이며, 내부에는 왕의 방, 왕비의 방, 대 회랑 등 복잡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멘카우레
멘카우레는 쿠푸의 손자이자 카프레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며, 기자의 제3 피라미드(멘카우레의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약 18년에서 28년간 통치하며 자비로운 통치를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멘카우레
멘카우레는 쿠푸의 손자이자 카프레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며, 기자의 제3 피라미드(멘카우레의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약 18년에서 28년간 통치하며 자비로운 통치를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 제데프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역할 | 파라오 |
| 통치 기간 | 기원전 2566년경 – 기원전 2558년경 (10년 ~ 14년) |
| 왕조 | 제4왕조 |
| 공동 통치 | 해당 없음 |
| 이전 통치자 | 쿠푸 |
| 다음 통치자 | 카프레 |
| 호루스 이름 | 호르-케페르 (Ḥr-ḫpr, Horus-Kheper, 호루스의 화신) |
| 네브티 이름 | 케페르-임-네브티 (Ḫpr-m-nb.tj, Kheper-im-nebti, 두 여신 안에 구현됨) |
| 황금 이름 | 비크주-네부 (Bjk.jw-nb.w, Bikju-nebu, 가장 황금빛 매) |
| 아비도스 왕 목록 | 제데프레 (Ḏd.f Rˁ, Djedefre, 라처럼 영원한 자) |
| 사카라 석판 | 제데프레 (Ḏḏ.f Rˁ, Djedefre, 라처럼 영원한 자) |
| 배우자 | 헤테페레스 2세, 켄테트카 |
| 자녀 | 세트카, 바카, 헤르네트, 네페르헤테페스, 헤테페레스?, 니카우제데프레? |
| 아버지 | 쿠푸 |
| 어머니 | 정보 없음 |
| 출생일 | 정보 없음 |
| 사망일 | 기원전 2558년경 |
| 매장지 | 제데프레의 피라미드 |
| 기념물 | 제데프레의 피라미드, 기자의 대스핑크스? |
| 이름 | |
| 본명 | 제데프레 (Djedefre) |
| 다른 이름 | 제데프라, 라제데프, 라토이세스, 람프시니트, 라우오시스 |
| 사 라 이름 | 사-라 제데프레 (Sȝ Rˁ ḏd.f Rˁ, Sa-Ra Djedefre, 라의 아들, 라처럼 영원한 자) |
2. 가족

제데프레는 형 카와브의 미망인이자 자신의 누이인 헤테프헤레스 2세와 결혼했다. 헤테프헤레스 2세는 제데프레 사후에 그의 또 다른 형제인 카프레와 결혼했을 가능성도 있다.[4] 제데프레의 또 다른 왕비로는 켄텐테카가 있었는데, 그녀는 아부 로아시 장례 신전에서 발견된 조각 파편을 통해 알려졌다.[5]
2. 1. 자녀
제데프레는 그의 형제인 카와브의 미망인이자, 그들 모두의 누이인 헤테프헤레스 2세와 결혼했으며, 헤테프헤레스 2세는 제데프레 사후 그들의 세 번째 형제인 카프레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4] 또 다른 왕비인 켄텐테카는 아부 로아시 장례 신전에서 발견된 조각 파편을 통해 알려져 있다.[5]현재까지 알려진 제데프레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이름 | 설명 |
|---|---|
| 호르니트 | "왕의 장자"로, 그와 그의 아내를 묘사한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6] |
| 바카 | "장자"로, 제데프레의 장례 신전에서 발견된 조각상 기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아내인 헤테프헤레스와 함께 묘사되어 있다. |
| 세트카 | "왕의 장자; 왕의 유일한 종"으로, 그의 아버지의 피라미드 단지에서 발견된 서기관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9] 그는 아버지의 사후 잠시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4] |
| 네페르헤테페스 | "왕의 딸; 신의 아내"로, 아부 로아시에서 발견된 조각 파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 그녀는 다음 왕조의 파라오인 우세르카프 또는 사후레의 어머니로 여겨졌다.[9] |
미셸 발로지아프랑스어가 이끄는 프랑스 발굴팀은 제데프레의 자녀로 추정되는 두 명의 이름을 피라미드 단지에서 추가로 발견했다.
- 니카우제데프레 ("왕의 아들")는 아부 로아시의 F15 묘에 묻혔으며, 제데프레의 아들이 아니라 나중에 살았고 그의 칭호가 명예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9]
- 헤테프헤레스 ("왕의 딸")는 조각 파편에 언급되었다.[6]
3. 통치
토리노 왕 목록에는 제데프레가 8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마지막으로 언급된 해는 11번째 가축 조사의 해였다. 제데프레의 것으로 추정되는 익명의 11번째 조사 날짜는 쿠푸의 남쪽 배 구덩이를 덮고 있는 거대한 지붕 블록 빔 중 하나의 밑면에서 이집트 작업반에 의해 발견되었다.[10] 미로슬라프 베르너는 작업반의 석공 표시와 비문에 "제데프레의 즉위명 또는 그의 골든 호루스 이름이 독점적으로 나타난다"고 언급한다.[11]
베르너는 이 날짜를 제데프레에게 귀속시키는 것에 대한 학계의 의견이 이집트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라고 적고 있다. 라이너 슈타델만, 바실 도브레프(프랑스어), 페터 야노시(독일어)는 이 날짜를 제데프레 시대에 귀속시키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볼프강 헬크, 앤서니 스팔린저(독일어), 장 베르쿠트, W.S. 스미스는 "날짜가 기록된 천장 블록이 이미 쿠푸 시대에 배 구덩이 건설 현장으로 옮겨져 제데프레 시대에 장례용 배가 매장될 때까지 제자리에 놓이지 않았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이 날짜를 대신 쿠푸에게 귀속시킨다.
1981년 MDAIK 논문에서 독일 학자 디터 아놀드는 쿠푸의 배 구덩이에서 나온 블록의 표시와 비문이 제데프레의 작업반에 의해 실현된 동일한 건설 프로젝트의 다른 단계와 관련된 일관된 컬렉션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2] 베르너는 그러한 표시와 비문이 일반적으로 채석장에서 블록을 깨는 것, 운송, 건설 현장 자체에서 보관하고 조작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한다.[13] "이러한 맥락에서 배 구덩이의 모든 블록에 있는 단 하나의 비문, 더군다나 날짜가 있는 유일한 비문을 제데프레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귀속시키는 것은 매우 그럴듯해 보이지 않는다."[14]
베르너는 또한 제데프레의 피라미드를 발굴하는 프랑스-스위스 팀이 이 왕의 피라미드가 실제로 그의 통치 기간에 완성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언급한다. 발로지아에 따르면 제데프레의 피라미드는 핵심의 약 45%를 차지하는 자연 암석 곶을 대거 사용했으며, 피라미드의 측면은 약 182.88m, 높이는 약 114.30m였다.[15] 따라서 제데프레의 기념물의 원래 부피는 멘카우레 자신의 피라미드와 거의 같았다.[16] 그러므로 제데프레의 피라미드가 미완성 상태였기 때문에 그가 짧게 통치했다는 주장은 다소 신빙성을 잃었다.[17] 이는 제데프레가 가축 조사가 연간으로 이루어졌다면 최소 11년, 격년으로 이루어졌다면 22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르너 자신은 11년이라는 짧은 수치를 지지하며 "제데프레가 남긴 비교적 적은 수의 기념물과 기록은 이 왕의 매우 긴 통치를 선호하는 것 같지는 않다"고 언급한다.
4. 피라미드 단지
제데프레는 피라미드 건설 위치를 북쪽으로 옮겨 자신의 피라미드(현재는 파괴됨)를 아부 로아시에 건설했다. 이곳은 기자에서 북쪽으로 약 8km 떨어진 곳으로, 멤피스 네크로폴리스의 최북단 지역이다.
이집트학자들은 아부 로아시에 있는 제데프레의 피라미드가 심하게 훼손되어 그가 죽었을 때 미완성 상태였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 발굴을 통해 피라미드가 실제로 완공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가장 최근의 증거에 따르면 현재의 파괴된 상태는 후대 시대에 광범위한 약탈의 결과이며, "왕의 조각상들은 기원후 2세기에 파괴되었다." 로마 시대(약 2000년 전) 동안 제데프레의 피라미드는 석재 채석장으로 사용되었고, 따라서 오늘날에는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20세기 역시 이 기념물에 호의적이지 않았는데, 지난 세기 동안 군사 기지로 사용되었고, 카이로와 가깝다는 지리적 위치는 현대적 개발에 노출되었다.[19]
일부에서는 제데프레의 피라미드 단지의 일부였던 그의 아내 헤테페레스 2세의 스핑크스가 최초로 만들어진 스핑크스라고 믿는다. 2004년, 프랑스 이집트학자 바실 도브레프는 제데프레가 아버지의 모습을 본떠 기자의 스핑크스를 건설했다는 증거를 보고했다.[3]
아부 로아시의 열악한 보존 상태로 인해 그의 장례 단지에서는 작은 흔적만 발견되었다. 그의 진흙 벽돌 장례 신전의 대략적인 평면도만이 "피라미드의 동쪽 면에 있는 일반적인 위치"에서 추적할 수 있었다. 그의 피라미드 참도는 더 일반적인 동서 방향이 아닌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었고, 계곡 신전은 발견되지 않았다.[20]
참조
[1]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 1800 - 1550 B.C.
Museum Tusculanum Press, Copenhagen
1997
[2]
서적
Herodotus
[3]
웹사이트
Riddle of the Sphinx
https://www.document[...]
2009-12-23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간행물
Archaeological Remarks on the 4th and 5th Dynasty Chronology
2001
[11]
간행물
[12]
간행물
1981
[13]
서적
Baugraffiti der Ptahscepses-Mastaba
Praha
1992
[14]
간행물
[15]
간행물
Études sur l'Ancien Empire et la nécropole de Saqqara (Fs Lauer)
1997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서적
[19]
뉴스
Could Djedefre's Pyramid Be A Solar Temple?
https://archaeologyn[...]
Archaeology News Network
2010-05-13
[20]
서적
[21]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 1800 - 1550 B.C.
Museum Tusculanum Press, Copenhagen
1997
[22]
서적
Herodotus
[23]
웹사이트
The riddle of the Spinx
http://documentaryst[...]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4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간행물
Archaeological Remarks on the 4th and 5th Dynasty Chronology
2001
[31]
간행물
[32]
간행물
1981
[33]
서적
Baugraffiti der Ptahscepses-Mastaba
Praha
1992
[34]
간행물
[35]
간행물
Études sur l'Ancien Empire et la nécropole de Saqqara (Fs Lauer)
1997
[36]
서적
Vallogia, op. cit., p.418
[37]
서적
Verner, p.377
[38]
웹사이트
Riddle of the Sphinx
http://documentaryst[...]
[39]
서적
Clayton, pp.50-51
[40]
서적
Clayton, p.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