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멘카우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멘카우레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카프레의 아들이자 쿠푸의 손자이다. 그는 기자의 3대 피라미드 중 가장 작은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18년에서 28년으로 추정된다. 멘카우레는 자비로운 통치로 묘사되지만, 전설에 따르면 신들의 노여움을 사 짧은 통치 기간 후에 죽음을 맞이했다. 멘카우레의 피라미드 단지에서는 다양한 조각상과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그의 석관은 현재 유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쿠푸
    쿠푸는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의 대피라미드 건설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치세는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활동을 포함하고 후대 전승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쿠푸
    쿠푸는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의 대피라미드 건설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치세는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활동을 포함하고 후대 전승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멘카우레
기본 정보
이름멘카우레
다른 이름멘카우라, 미케리노스, 멘케레스
멘카우레의 섬록암 흉상
멘카우레의 섬록암 흉상,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소장
역할파라오
왕조이집트 제4왕조
선왕카프레 (가장 유력) 또는 비케리스
후왕솁세스카프
통치 기간
기간기원전 2532년 – 기원전 2503년경 (약 29년)
신상 정보
호루스 이름호르-카케트 (ῌr-k3-ḫt, 신성한 무리의 황소)
네브티 이름카-네브티 (Nbt.j-k3, 두 여신의 황소)
황금 호루스 이름네체르-비크-네부 (Nṯr-bjk-nb.w, 신성한 황금 매)
개인 정보
탄생명멘카우레 (mn-kꜣw-rꜥ, 그의 카-영혼은 라처럼 머물 것이다)
배우자카메레르네브티 2세, 레케트레 ?
자녀쿠엔레, 솁세스카프, 켄트카우스 1세 ?, 세켐레
아버지카프레
어머니카메레르네브티 1세
출생기원전 2550년경
사망기원전 2503년경 (약 47세)
매장지멘카우레의 피라미드

2. 가족

멘카우레는 카프레의 아들이자 쿠푸의 손자였다. 멘카우레의 장제전에서 발견된 부싯돌 칼에는 왕의 어머니 카메레르네브티 1세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카프레와 카메레르네브티 1세가 멘카우레의 부모였음을 시사한다.[3] 멘카우레는 적어도 두 명의 부인을 둔 것으로 생각된다.


  • 여왕 카메레르네브티 2세는 카메레르네브티 1세의 딸이자 왕자 쿠엔레의 어머니이다. 쿠엔레의 무덤 위치는 그가 멘카우레의 아들이었음을 시사하며, 그의 어머니가 이 왕의 부인이었음을 의미한다.[4]
  • 여왕 레케트레는 카프레의 딸로 알려져 있으며, 남편으로 멘카우레가 가장 유력하다.[3]


멘카우레에게는 많은 자녀가 확인되지 않았다.

  • 쿠엔레는 여왕 카메레르네브티 2세의 아들이었다. 멘카우레는 장남인 쿠엔레 왕자가 멘카우레보다 먼저 사망했기 때문에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못했고, 대신 이 왕의 또 다른 아들인 솁세스카프가 왕위를 계승했다.[5]
  • 솁세스카프는 멘카우레의 계승자였으며, 그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 세켐레는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멘카우레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 헤로도토스는 젊은 나이에 사망한 딸을 언급했다. 그녀는 사이스의 궁전 구역에 있는 장식된 홀에 안치되었으며, 꿇어앉은 소의 모양을 한 속이 빈 금으로 덮인 나무 동물 형상의 매장 시설에 묻혔는데, 외부에는 붉은 장식으로 덮여 있었고, 목과 뿔 부분만 적절한 양의 금으로 덮여 있었다.[6]
  • 켄트카우스 1세 – 멘카우레의 딸일 가능성[7]


왕실에는 멘카우레의 이복 형제 여러 명이 있었다. 그의 형제 네베마케트, 두아엔레, 니카우레, 이운민은 형제의 통치 기간 동안 재상으로 섬겼다. 그의 형제 세켐카레는 멘카우레보다 어렸을 수 있으며 멘카우레 사후 재상이 되었다.[8]

3. 통치

멘카우레의 통치 기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역사가 마네토는 63년이라고 기록했지만, 이는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토리노 왕 목록은 손상되었지만, "...+ 8년 통치"로 재구성할 수 있는데, 이집트학자들은 18년으로 추정하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한 시대 노동자들의 낙서에는 "11번째 가축 센서스 다음 해"에 대한 보고가 있는데, 가축 센서스가 2년에 한 번씩 열렸다면 멘카우레는 22년 동안 통치했을 수도 있다.[9]

2013년, 텔 하초르에서 도시 궁전 입구에 멘카우레의 스핑크스 조각이 발견되었다.[10]

여신 하토르(왼쪽)와 세세셰트 주의 의인화(오른쪽)에 둘러싸인 멘카우레. 카이로 박물관의 회백암 조각상.

3. 1. 전설과 멘카우레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멘카우레는 쿠푸카프레와 달리 자비로운 통치를 펼쳤다고 한다. 그러나 신들은 이미 "이집트 백성은 150년의 어려움에 처할 것이다"라는 신탁을 내렸고, 멘카우레의 선정은 신들을 부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신들은 부토의 수호신 우아제트의 신탁을 통해 멘카우레의 통치를 6년으로 정했다.[13]

멘카우레는 이 운명에 맞서 왕궁을 밤에도 낮처럼 밝게 만들어 밤낮을 없애고 기한을 늘리려 했다. 하지만 신들을 속일 수는 없었고, 결국 예언대로 6년 만에 죽었다고 전해진다.[13]

많은 이집트학 학자들은 이 전설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피터 클레이턴은 이 전설이 쿠푸와 카프레 시대의 거대 공사 때문에 멘카우레가 28년이나 통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만한 규모의 피라미드를 지을 수 없었던 현실을 반영한다고 보았다.[19] 실제로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는 쿠푸의 피라미드보다 훨씬 작은데, 이는 전설이 피라미드 규모가 작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처음 계획은 30미터 높이였으나 건축 도중에 계획이 변경되어 70미터가 되었다. 이러한 경위는 쿠푸와 카프레에 의한 초기 재정 압박과 이후의 개선에 기인한다고 보는 연구자도 있다.[16]

4. 피라미드 복합 단지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는 "Netjer-er-Menkaure"라고 불렸으며, "멘카우레는 신성하다"라는 의미이다. 이 피라미드는 기자의 3대 피라미드 중 가장 작으며, 밑변은 103.4m, 높이는 65.5m이다.[11] 멘카우레의 피라미드 주변에는 세 개의 부속 피라미드가 있는데, 왕비들을 위한 무덤으로 추정된다.[4][8]

기자의 제3 피라미드가 멘카우레의 것이라는 사실은 전승으로 전해져 왔으나, 1837년부터 1838년에 걸쳐 영국 군인 하워드 바이스의 조사를 통해 멘카우레의 왕명이 발견되면서 확정되었다. 하워드는 피라미드 현실에서 뚜껑이 없는 석관과 나무로 만든 인형 관을 발견했다. 석관은 고왕국 시대 초기의 특징을 보였지만, 인형 관은 후대에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석관은 대영 박물관으로 옮겨지던 중 리보르노 앞바다에서 유해와 함께 침몰했다.

1905년부터 1927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의 조지 라이스너 교수가 이끄는 보스턴 미술관 합동 조사반이 멘카우레 유적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강변 신전, 장제전 등 피라미드 부속 유적을 수리하고, 여러 점의 점판암 조각상을 발굴했다. 하토르노모스의 수호 여신 바트를 좌우에 배치한 멘카우레의 조상(3체상), 왕과 왕비의 조상(2체상) 등은 기술적으로도 뛰어났다. 알라바스터 조상과 미완성 조상도 다수 발견되어, 멘카우레가 급작스럽게 사망하여 사업이 중단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 1. 계곡 신전

계곡 신전은 주로 벽돌로 지어졌으며, 제5왕조 또는 제6왕조에 확장되었다. 이 신전에서는 멘카우레와 왕비, 멘카우레와 여러 신들의 조각상들이 발견되었다.[8]

발견된 유물들은 다음과 같다.

유물 종류세부 내용재질현재 소장처
노메 삼위일체하토르-무화과나무의 여주인, 왕, 토끼 노메 여신 입상회색 사암보스턴 미술관 09.200
노메 삼위일체왕, 하토르-무화과나무의 여주인, 테베 노메 신 입상회색 사암카이로 박물관 Ent. 40678
노메 삼위일체왕, 하토르-무화과나무의 여주인, 자칼 노메 여신 입상회색 사암카이로 박물관 Ent. 40679
노메 삼위일체왕, 하토르-무화과나무의 여주인, 바트-부적 노메 여신 입상회색 사암카이로 박물관 Ent. 46499
노메 삼위일체왕, 하토르, 노메 신 입상회색 사암중간 부분: 보스턴 미술관 11.3147, 왕의 머리: 브뤼셀 박물관, Mus. Roy. E. 3074
이중 조각상왕과 아내 (카메레르네브티 2세) 입상, 비문 없음회색 사암보스턴 미술관 11.1738
왕 좌상실물 크기, 파편석고카이로 박물관 Ent. 40703
왕 좌상하단 부분, 비문이 새겨진 좌석석고보스턴 미술관 09.202



왕과 왕비의 이중상(보스턴 미술관)


기자의 멘카우레 왕의 피라미드

4. 2. 장제전

장제전에서는 더 많은 조각상과 조각 파편들이 발견되었다. 흥미로운 발견 중 하나는 카메레르네브티 1세 왕비의 지팡이 조각으로, 현재 보스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조각에는 카메레르네브티 1세가 "왕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받았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8]

4. 3. 석관

1837년, 영국 육군 장교 리처드 윌리엄 하워드 바이스와 기술자 존 셰 페링은 멘카우레 피라미드 내부를 발굴했다. 피라미드의 주 매장실에서 그들은 길이 약 2.44m, 너비 약 0.91m, 높이 약 0.61m의 현무암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석관을 발견했다. 석관에는 상형 문자가 새겨져 있지 않았지만 궁전 정면 스타일로 장식되어 있었다. 매장실 옆에서는 멘카우레의 이름이 새겨진 나무 관 조각과 거친 천으로 감싼 부분적인 유골이 발견되었다.[12]

석관은 대영 박물관으로 옮겨졌으나, 이를 운반하던 상선 '비아트리스' 호는 1838년 10월 13일 몰타 항구를 떠난 후 실종되었다. 다른 자료들은 별도의 배로 보내져 현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나무 관의 잔해가 전시되어 있다.[12]

이 관은 원래 멘카우레의 장례식 이후 거의 2천 년이 지난 이집트 제26왕조의 후기에 만들어진 대체품으로 여겨진다. 발견된 뼈 조각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콥트 시대, 즉 서기 초기 수세기에 훨씬 더 늦은 시기로 나타났다.[12]

5. 후대의 기록

헤로도토스는 멘카우레가 쿠푸의 아들이었으며, 아버지의 통치로 인해 고대 이집트 주민들이 겪었던 고통을 완화시켰다고 기록했다. 헤로도토스는 멘카우레가 많은 불운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그의 유일한 딸은 그보다 먼저 죽었고, 시신은 나무로 만든 황소에 안치되었다. 그 후 부토(Buto)의 신탁은 그가 6년 더 통치할 것이라고 예언했다.[13]

헤로도토스는 멘카우레를 미케리누스(Mykerinos)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는데, 쿠푸카프레는 폭군이었으며 가혹한 통치를 했지만, 멘카우레가 왕이 되자 자비로운 통치로 바뀌었고, 그 때문에 그가 건설한 피라미드도 쿠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크기에 머물렀다고 한다. 그러나 신들은 "이집트 백성은 150년의 어려움에 처할 것이다"라는 신탁을 이미 내렸고, 멘카우레의 선정이 신들을 부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신들은 멘카우레를 용서하지 않고, 부토의 수호신 우아제트의 신탁 형태로 멘카우레의 통치를 6년으로 정했다. 멘카우레는 그 운명에 맞서 왕궁을 밤에도 낮과 같은 밝은 빛으로 가득 채웠지만, 신들을 속일 수는 없었고 신탁대로 6년 후에 사망했다.

6. 대중문화

멘카우레는 19세기 영국 시인 매슈 아놀드의 시 "미케리누스"의 주제였다.[1] 그는 자니인 프로스트의 소설 시리즈 ''나이트 헌트리스''에서 멘체레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2]

참조

[1]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2002
[2] 웹사이트 LacusCurtius • Manetho: History of Egypt (And other Fragments) https://penelope.uch[...]
[3] 서적 Ancient Egyptian Queens: A Hieroglyphic Dictionary Golden House Publications 2005
[4]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Thames & Hudson 2006
[5] 문서 Clayton, pp.57-58
[6] 문서 Herodotus, Historia, B:129-132
[7] 서적 Excavations at Gîza IV Government Press, Bulâq 1930
[8] 웹사이트 Topographical Bibliography of Ancient Egyptian Hieroglyphic Texts, Statues, Reliefs and Paintings Volume III: Memphis, Part I Abu Rawash to Abusir 1974
[9] 간행물 Archaeological Remarks on the 4th and 5th Dynasty Chronology 2001
[10] 뉴스 Ancient Egyptian leader makes a surprise appearance at an archaeological dig in Israel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com 2013-07-09
[11] 서적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2012
[12] 간행물 Menkaura's Anthropoid Coffin: A Case of Mistaken Identity? 2006-08
[13] 웹사이트 The Histories of Herodotus|Histories https://penelope.uch[...]
[14] 웹사이트 Head of King Menkaura (Mycerinus) https://collections.[...]
[15] 서적 The Scepter of Egypt: A Background for the Study of the Egyptian Antiquitie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Vol. 1,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iddle Kingdom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16] 문서 クレイトン(1999:73)
[17] 문서 クレイトン(1999:74)
[18] 문서 クレイトン(1999:75)
[19] 문서 건설 당시 높이를 비교하면, [[대피라미드]] 146m, [[제2피라미드]] 143m인데 비해, 제3피라미드는 70m에 불과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