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세르카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세르카프는 이집트 제5왕조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파라오이다. 그의 부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사후레가 그의 아들로 추정된다. 그는 7년에서 8년 동안 통치했으며, 아부 고랍에 태양 신전을 건설하고 엘-토드의 몬투 신전을 확장하는 등 종교적 활동을 펼쳤다. 우세르카프는 누비아로 군사 원정을 떠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파라오 - 사후레
사후레는 고대 이집트 제5왕조의 두 번째 파라오로, 기원전 25세기 전반에 통치했으며, 아부시르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하고 레바논, 시리아와의 교류 및 푼트 원정을 통해 활발한 외교 및 무역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아들 라네페르가 왕위를 계승하고 비왕족 출신 인물들의 고위 관직 진출이 확대되었다. - 기원전 25세기 파라오 - 니우세르레
니우세르레는 고대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로, 사제단과 관료제의 성장, 활발한 건축 활동, 태양신 숭배의 정점을 이루었으며, 아부시르에 피라미드 단지 건설, 아부 고랍에 태양 신전 건립, 기존 건축물 완공 및 복원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사후레
사후레는 고대 이집트 제5왕조의 두 번째 파라오로, 기원전 25세기 전반에 통치했으며, 아부시르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하고 레바논, 시리아와의 교류 및 푼트 원정을 통해 활발한 외교 및 무역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아들 라네페르가 왕위를 계승하고 비왕족 출신 인물들의 고위 관직 진출이 확대되었다.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니우세르레
니우세르레는 고대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로, 사제단과 관료제의 성장, 활발한 건축 활동, 태양신 숭배의 정점을 이루었으며, 아부시르에 피라미드 단지 건설, 아부 고랍에 태양 신전 건립, 기존 건축물 완공 및 복원 등의 업적을 남겼다.
우세르카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우세르카프 |
로마자 표기 | Userkaf |
다른 표기 | Ouserkaf Weserkaf Woserkaf Usercherês |
의미 | 그의 카는 강하다 |
통치 | |
통치 기간 | 기원전 2498년경 – 기원전 2491년경 (약 7년) |
선대 왕 | 셰프세스카프 (가장 유력) 또는 탐프티스 (제데프프타로 알려졌을 가능성 있음) |
후대 왕 | 사후레 |
왕조 | 이집트 제5왕조 |
가족 | |
아버지 | 알려지지 않음, 그러나 제4왕조 왕가의 한 분파에 속했을 것으로 추정됨 |
어머니 | 켄트카우스 1세? 또는 라제데트 (신화) |
배우자 | 네페르헤테페스 (가장 유력) 또는 켄트카우스 1세 |
자녀 | 사후레 ♂ 카마아트 ♀ |
칭호 | |
호루스 이름 | 호루스 이리마아트 |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
네브티 이름 | 이리마아트 |
네브티 이름 (상형문자) | |
황금 호루스 이름 | 비크 네부 네페르 |
황금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
즉위명 | 우세르카프 |
즉위명 (상형문자) | |
본명 | 우세르카프 |
본명 (상형문자) | |
의미 | 조화(마아트)를 보장하는 자 그의 카는 강하다 |
매장 | |
무덤 |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 |
건축물 | |
기념물 | 피라미드 와브-이수트-우세르카프 네페르헤테페스의 피라미드 태양 신전 네켄레 엘-토드의 몬투 신전 |
2. 가족 관계
우세르카프의 부모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집트 제4왕조의 통치자들과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집트학자 미로슬라프 베르너는 우세르카프가 멘카우레의 아들이자 세프세스카프의 친형제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니콜라스 그리말, 피터 클레이턴, 마이클 라이스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인 네페르헤테페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리말은 네페르헤테페스의 남편이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언급된 "라의 사제, 사케부의 군주"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에이던 도슨과 다얀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우세르카프 옆에 있는 피라미드에 묻혔다고 제안하며, 이 피라미드는 같은 이름을 가진 여성의 것이었다고 믿어진다.
그러나 네페르헤테페스에게 귀속된 피라미드의 위치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녀는 우세르카프의 후계자인 사후레의 어머니인 네페르헤테페스와 동일인물로 간주되어야 한다. 사후레의 참도에서 가져온 부조에는 이 왕과 그의 아내가 왕의 어머니와 함께 묘사되어 있는데, 그녀는 네페르헤테페스로 확인된다. 그리말과 마찬가지로 야로미르 말레크는 그녀를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로 본다. 마크 레흐너와 아리엘 코졸로프는 우세르카프의 어머니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슨과 힐턴은 우세르카프의 왕비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는 셀림 하산도 공유하는 가설이다. 클레이턴과 로잘리, 안토니 데이비드도 이에 동의하며, 켄트카우스 1세가 멘카우레의 딸이라고 가정한다. 베른하르트 그리델로프는 우세르카프가 파라오 제데프레의 후손으로서, 카프레와 멘카우레의 주요 왕실 혈통에서 온 여성과 결혼함으로써 왕실 내 두 경쟁 세력을 통합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는 우세르카프는 왕위에 오르기 전 라의 대사제였을 수 있으며, 그에게 세프세스카프의 미망인인 켄트카우스 1세와 결혼할 수 있는 충분한 영향력을 주었을 것이다.
== 배우자 ==
우세르카프의 부모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집트 제4왕조의 통치자들과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미로슬라프 베르너는 우세르카프가 멘카우레의 아들이자 세프세스카프의 친형제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편, 니콜라스 그리말, 피터 클레이턴, 마이클 라이스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인 네페르헤테페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이 가설에서 네페르헤테페스의 남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리말은 그가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언급된 "라의 사제, 사케부의 군주"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에이던 도슨과 다얀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우세르카프 옆 피라미드에 묻혔다고 주장하며, 이 피라미드는 이전에는 동명이인 여성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네페르헤테페스에게 귀속된 피라미드의 위치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녀는 우세르카프의 후계자인 사후레의 어머니인 네페르헤테페스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 사후레의 참도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왕과 그의 아내가 왕의 어머니와 함께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말과 야로미르 말레크는 그녀를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로 본다. 마크 레흐너와 아리엘 코졸로프는 우세르카프의 어머니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슨과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왕비 칭호를 받지 못했지만, 이것이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라고 지적한다. 그들은 우세르카프의 왕비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셀림 하산도 이 가설을 지지한다. 클레이턴과 로잘리, 안토니 데이비드는 켄트카우스 1세가 멘카우레의 딸이라고 가정한다. 베른하르트 그리델로프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의 후손으로서 카프레와 멘카우레의 왕실 혈통 여성과 결혼하여 왕조 투쟁을 종식시켰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는 우세르카프는 라의 대사제로서 세프세스카프의 미망인인 켄트카우스 1세와 결혼할 영향력을 가졌을 수 있다.
== 자녀 ==
베르너, 제미나, 데이비드, 베이커를 포함한 많은 이집트학자들은 서카르 파피루스에서 제안된 것처럼 사후레가 우세르카프의 형제가 아니라 아들이라고 믿고 있다. 주요 증거는 사후레와 그의 어머니 네페르헤테페스를 묘사한 부조로, 이 이름은 우세르카프 옆에 있는 피라미드를 소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왕의 이름이기도 하다. 사후레의 혈통을 뒷받침하는 추가적인 주장은 그의 피라미드가 우세르카프의 태양 신전과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프타셰프세스의 마스타바에서 발견된 비문에서 언급된 카마아트라는 딸을 제외하고는 우세르카프의 다른 자녀는 확인되지 않았다.
2. 1. 부모
우세르카프의 부모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집트 제4왕조의 통치자들과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집트학자 미로슬라프 베르너는 우세르카프가 멘카우레의 아들이자 세프세스카프의 친형제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니콜라스 그리말, 피터 클레이턴, 마이클 라이스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인 네페르헤테페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그리말은 네페르헤테페스의 남편이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언급된 "라의 사제, 사케부의 군주"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에이던 도슨과 다얀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우세르카프 옆에 있는 피라미드에 묻혔다고 제안하며, 이 피라미드는 같은 이름을 가진 여성의 것이었다고 믿어진다.
그러나 네페르헤테페스에게 귀속된 피라미드의 위치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녀는 우세르카프의 후계자인 사후레의 어머니인 네페르헤테페스와 동일인물로 간주되어야 한다. 사후레의 참도에서 가져온 부조에는 이 왕과 그의 아내가 왕의 어머니와 함께 묘사되어 있는데, 그녀는 네페르헤테페스로 확인된다. 그리말과 마찬가지로 야로미르 말레크는 그녀를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로 본다. 마크 레흐너와 아리엘 코졸로프는 우세르카프의 어머니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슨과 힐턴은 우세르카프의 왕비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는 셀림 하산도 공유하는 가설이다. 클레이턴과 로잘리, 안토니 데이비드도 이에 동의하며, 켄트카우스 1세가 멘카우레의 딸이라고 가정한다. 베른하르트 그리델로프는 우세르카프가 파라오 제데프레의 후손으로서, 카프레와 멘카우레의 주요 왕실 혈통에서 온 여성과 결혼함으로써 왕실 내 두 경쟁 세력을 통합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는 우세르카프는 왕위에 오르기 전 라의 대사제였을 수 있으며, 그에게 세프세스카프의 미망인인 켄트카우스 1세와 결혼할 수 있는 충분한 영향력을 주었을 것이다.
2. 2. 배우자
우세르카프의 부모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집트 제4왕조의 통치자들과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미로슬라프 베르너는 우세르카프가 멘카우레의 아들이자 세프세스카프의 친형제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한편, 니콜라스 그리말, 피터 클레이턴, 마이클 라이스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인 네페르헤테페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이 가설에서 네페르헤테페스의 남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리말은 그가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언급된 "라의 사제, 사케부의 군주"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에이던 도슨과 다얀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우세르카프 옆 피라미드에 묻혔다고 주장하며, 이 피라미드는 이전에는 동명이인 여성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네페르헤테페스에게 귀속된 피라미드의 위치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녀는 우세르카프의 후계자인 사후레의 어머니인 네페르헤테페스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 사후레의 참도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왕과 그의 아내가 왕의 어머니와 함께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그녀가 우세르카프의 아내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말과 야로미르 말레크는 그녀를 제데프레와 헤테프헤레스 2세의 딸로 본다. 마크 레흐너와 아리엘 코졸로프는 우세르카프의 어머니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슨과 힐턴은 네페르헤테페스가 왕비 칭호를 받지 못했지만, 이것이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라고 지적한다. 그들은 우세르카프의 왕비가 켄트카우스 1세였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셀림 하산도 이 가설을 지지한다. 클레이턴과 로잘리, 안토니 데이비드는 켄트카우스 1세가 멘카우레의 딸이라고 가정한다. 베른하르트 그리델로프는 우세르카프가 제데프레의 후손으로서 카프레와 멘카우레의 왕실 혈통 여성과 결혼하여 왕조 투쟁을 종식시켰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는 우세르카프는 라의 대사제로서 세프세스카프의 미망인인 켄트카우스 1세와 결혼할 영향력을 가졌을 수 있다.
2. 3. 자녀
베르너, 제미나, 데이비드, 베이커를 포함한 많은 이집트학자들은 서카르 파피루스에서 제안된 것처럼 사후레가 우세르카프의 형제가 아니라 아들이라고 믿고 있다. 주요 증거는 사후레와 그의 어머니 네페르헤테페스를 묘사한 부조로, 이 이름은 우세르카프 옆에 있는 피라미드를 소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왕의 이름이기도 하다. 사후레의 혈통을 뒷받침하는 추가적인 주장은 그의 피라미드가 우세르카프의 태양 신전과 아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프타셰프세스의 마스타바에서 발견된 비문에서 언급된 카마아트라는 딸을 제외하고는 우세르카프의 다른 자녀는 확인되지 않았다.3. 통치 기간 및 업적
우세르카프의 어머니는 네페르헤테프로 알려졌으나, 아부시르에서 최근 발견된 바로는 네페르헤테프는 사후레의 어머니이자 우세르카프의 아내였다고 한다.[3] 켄타카우에스 1세가 우세르카프의 어머니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 어머니가 누구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우세르카프는 제데프레의 손자이며 쿠푸의 후계자였다는 것은 분명하다.[5]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는 우세르카프의 흉상이 전시되어 있다. 이 두상은 Abu Gorab영어에 있는 5개의 태양 신전 중 하나에서 발견되었다. 높이 45cm의 이 두상은 경사암으로 만들어졌다. 하 이집트의 붉은 왕관을 쓴 고왕국 시대 군주 조각상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 조각상은 특히 중요하다. 이 두상은 1957년 독일과 스위스 합동 탐험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우세르카프는 사후레와 네페르이르카레 두 파라오의 아버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웨스트카 파피루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5왕조의 처음 세 파라오는 모두 켄타카우에스 1세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토리노 왕명록과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우세르카프는 7년간 통치했다.
3. 1. 연대기 및 왕 목록
우세르카프의 정확한 통치 기간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고왕국 왕실 연대기 분석에 따르면, 우세르카프의 통치는 최소 7년에 해당하는 기록을 보이지만 그 이상은 아니다. 토리노 왕 목록의 세 번째 열, 17행에는 7년의 통치 기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람세스 2세 통치 기간에 이전 자료를 복사한 것이다.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이집트학자들은 그가 이집트 제5왕조 초기에 7년에서 8년 동안 통치했다고 본다.
우세르카프의 이름을 새긴 소형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점도 짧은 통치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여기에는 금으로 장식된 섬록암 항아리, 5데벤 무게의 석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된 엘레판티네 출토 석재 원통형 봉인,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상아 원통형 봉인, 불락 박물관에 소장된 또 다른 봉인 등이 있다.
반면, 마네토가 작성한 이집트 역사서인 ''아에깁티아카''(Αἰγυπτιακά)에서는 우세르카프가 28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고,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와 유세비우스의 후기 저작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비잔틴 학자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에 따르면, 아프리카누스는 ''아에깁티아카''가 제5왕조 초기에 "우세르케레스 → 세프레스 → 네페르케레스"의 계승을 언급했다고 기록했다. 우세르케레스, 세프레스, 네페르케레스는 각각 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르이르카레의 헬레니즘화된 형태로 여겨진다. 마네토의 제5왕조 초기 재구성은 아비도스 왕 목록과 사카라 석판에 제시된 내용과 일치한다.
3. 2. 제5왕조의 창시
고대 이집트 왕들을 왕조로 구분하는 것은 마네토의 『이집트사』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그리스 통치자들의 기대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4왕조와 제5왕조 사이의 구별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웨스트카 파피루스 이야기에서 발견되는 훨씬 오래된 전통에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서 제4왕조의 왕 쿠푸는 그의 왕조가 멸망하고 라의 아들인 세 형제가 이집트의 왕위에 오르면서 새로운 왕조가 등장할 것이라는 예언을 받는다. 이 이야기는 제17왕조 또는 어쩌면 제12왕조 시대에 쓰여진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증거 외에도 제4왕조와 제5왕조의 구분은 당시 이집트 종교, 특히 왕의 역할에서 일어난 실제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이집트 범신전에 대한 라의 우위와 라에게 쏟아진 왕실의 헌신이 그를 일종의 국가 신으로 만들었다. 이는 왕실의 매장에 더 중점을 두었던 제4왕조와 비교할 때 새로운 것이었다.
우세르카프가 왕위에 오르기 전 그의 지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말은 그가 헬리오폴리스 또는 웨스트카 파피루스에 언급된 라의 숭배 중심지인 사케부에서 라의 고위 사제였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제5왕조의 기원과 사케부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은 이집트학자 플린더스 페트리가 처음 제안했는데, 그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사케부의 이름이 마네토가 제5왕조의 발상지로 언급한 도시인 엘레판틴의 이름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페트리에 따르면, 웨스트카 파피루스가 제5왕조의 기원을 기억하는 전통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하면 마네토의 기록을 설명할 수 있는데, 특히 그렇지 않다면 엘레판틴과 제5왕조 파라오 사이에는 특별한 관련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
우세르카프의 어머니는 네페르헤테프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아부시르에서의 최근 발견으로, 네페르헤테프는 사후레의 어머니이자 우세르카프의 아내였다고 한다.[3] 켄타카우에스 1세가 우세르카프의 어머니였을 가능성도 있다.[4] 어머니는 확실하지 않지만, 우세르카프는 제데프레의 손자이며, 쿠푸의 후계자였던 것은 확실하다.[5]
우세르카프의 흉상은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두상은 Abu Gorab영어에 있는 5개의 태양 신전 중 하나에서 발견되었다. 우세르카프의 두상은 45cm 높이이며, 경사암으로 만들어졌다. 하 이집트의 붉은 왕관을 쓴 고왕국 시대의 군주의 조각상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조각상은 특히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두상은 1957년 독일과 스위스의 합동 탐험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는 사후레와 네페르이르카레라는 두 파라오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또한 웨스트카 파피루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5왕조의 처음 세 파라오는 모두 켄타카우에스 1세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토리노 왕명록』 및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7년 동안 통치했다.
3. 3. 주요 활동
우세르카프는 장례 단지와 태양 신전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짧은 통치 기간은 그가 파라오가 되었을 때 나이가 많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라의 아들"이라는 파라오의 칭호가 그의 통치부터 체계화되기 시작했다.상 이집트에서 우세르카프는 토드의 몬투 신전을 위임했거나 확장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가장 초기에 기록된 파라오이다. 구조적 변화로 인해 우세르카프의 원래 신전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것은 화강암 기둥을 포함하는 작은 진흙 벽돌 예배당이었다.

네페르이르카레 또는 느세르레의 통치 기간 동안 쓰여진 고왕국 연대기에서 추가적인 국내 활동을 추론할 수 있다. 우세르카프가 그의 통치 2년과 6년에 헬리오폴리스의 신들에게 부양물을 주었으며, 그의 6년에 부토의 신들에게도 부양물을 주었는데, 이 두 가지 모두 우세르카프를 대신한 건축 프로젝트를 위한 것이었을 수 있다. 연대기는 우세르카프의 통치 6년에 호루스에게 토지를 기증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호루스의 신전 건설"을 언급하고 있다.
우세르카프가 존경한 다른 신들로는 라와 하토르가 있으며, 네크베트, 와제트, "상 이집트 신성한 궁전의 신들"과 빵, 맥주, 토지를 받은 "제바티 영지의 신들"도 포함된다. 민 또한 우세르카프의 기증으로 혜택을 받았을 수 있다. 당시 종교적 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는 중 이집트의 마스타바에 묻힌 행정 관료 니칸크의 왕실 칙령에 의해 제공된다. 이 칙령에 따라 우세르카프는 하토르 숭배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왕실 영지를 기증하고 개혁하며 니칸크를 이 숭배의 사제로 임명한다.
아메넴헤트 1세의 리슈트에 있는 피라미드 신전에 대한 발굴에서 우세르카프의 칭호를 새긴 부조로 장식된 블록이 발견되었다. 그 블록은 건축 자재로 재사용되었다. 부조에는 "피지배자를 통제하는 자 [...]"라고 불리는 배를 타고 왕이 바스테트 신전에 여행하는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다.
우세르카프는 자신의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하기 위해 사카라를 선택했지만, 당시 재상 세샤토테프 헤티를 포함한 관료들은 기자 묘지에 계속해서 무덤을 건설했다.

우세르카프의 치세 동안 이집트와 에게해 이웃 국가 간의 직접적인 무역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그의 장제전에 있는 일련의 부조에서 해군 원정에 참여한 것으로 보이는 배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의 태양 신전의 이름을 새긴 석기로, 키테라 그리스 섬에서 발견되었다. 이 꽃병은 이집트와 에게해 세계 간의 상업적 접촉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이다. 멘카우호르 카이우와 제드카레 이제시의 치세에 해당되는 아나톨리아에서의 발견은 이러한 접촉이 제5왕조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집트 남쪽에서 우세르카프는 누비아로 군사 원정을 시작했으며, 고왕국 연대기에는 그가 동부 사막 또는 가나안에서 1명의 족장과 70명의 외국인 그리고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 건설에 투입될 303명의 "평정된 반역자"의 형태로 조공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이집트 동쪽으로의 또 다른 군사 원정에서 포로가 되었거나, 우세르카프의 즉위 2년 전에 이집트에서 추방되었다가 현재 이집트 사회에 재통합하려는 반역자일 수 있다. 이집트학자 하르트비히 알텐뮐러에 따르면, 이 사람들은 제4왕조의 종말과 관련된 왕조 간의 갈등 이후 처벌받았을 수 있다. 우세르카프의 장제전에서 발견된 일부 부조는 우세르카프가 아시아계 베두인족을 쳐부수는 모습과 해군 원정을 묘사하며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보여준다.
4. 유물
4. 1. 조각상

우세르카프의 여러 조각상 파편이 발굴되었다. 아부시르에 있는 그의 태양 신전에서 발견되어 현재 이집트 박물관에 소장된 여신 네이트의 흉상이 있는데, 네이트는 우세르카프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 우세르카프의 두상은 높이가 45cm이며 회백암으로 조각되었다. 고왕국 시대의 몇 안 되는 원형 조각 중 하나로, 군주가 하 이집트의 데스레트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두상은 1957년 독일과 스위스 카이로 연구소의 합동 발굴 탐사에서 발견되었다. 상 이집트의 헤제트를 착용하고 칠해진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우세르카프의 것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두상은 클리블랜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우세르카프의 두상은 그의 삼위일체상에 묘사된 멘카우레의 모습과 매우 유사하다.
현재 이집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우세르카프의 거대한 스핑크스 조각상 머리는 1928년 세실 맬러비 피르스에 의해 사카라에 있는 그의 장제 단지 사원 안뜰에서 발견되었다. 이 거대한 아스완 핑크 화강암 머리는 왕이 그의 이마에 코브라가 있는 네메스 머리 장식을 착용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머리는 기자의 대 스핑크스를 제외하고 고왕국 시대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머리이며, 이 시대의 유일한 거대한 왕실 조각상이다. 같은 장소에서 방해석, 사문석,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왕의 조각상 파편이 더 많이 발견되었지만 석회암으로 만들어진 것은 없었다. 일부에는 우세르카프의 카르투슈와 호루스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코즐로프는 우세르카프가 묘사된 대부분의 모습에서 그의 젊은 특징을 언급하며, 이것이 그의 나이를 잘 나타내는 것이라면 그는 청소년기에 왕위에 올라 20대 초반에 사망했을 것이라고 결론 내린다.
4. 2. 기타 유물
5. 유산
5. 1. 장례 의식
우세르카프는 다른 제4왕조와 제5왕조의 파라오와 마찬가지로 사후에 장례 의례를 받았다. 이 의례는 국가가 후원했으며, 그의 생전에 설립된 전용 농업 영지에서 생산된 제물과 "은의 집"(보고)에서 가져온 직물과 같은 자원에 의존했다.
이 의례는 제5왕조 초중반에 번성했으며, 우세르카프와 네페르에프레의 의례를 수행한 니카우레와 같은 사제와 관리들의 무덤과 인장에서 알 수 있다. 니칸크와 크눔호텝은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 단지에서 봉사했다. 프타호텝은 네켄레와 우세르카프의 장제전의 사제였으며 테페만크, 넨케프트카와 세누안크는 우세르카프와 사후레의 의례에 참여했다. 페헤누카이는 사후레와 네페르이르카레 카카이 시대의 재상이었으며, 니쿠호르는 판사이자 서기관 감찰관, 추밀 고문이자 우세르카프와 네페르에프레의 장례 의례 사제였다.
우세르카프의 공식적인 숭배가 장기간에 걸쳐 중요했는지는 제5왕조 말기에 그것이 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우세르카프의 적어도 한 명의 후계자인 니우세르레 이니의 공식 장례 숭배는 중왕국 시대까지 지속되었을 수 있다. 우세르카프의 장제전은, 예를 들어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에서 건축 자재로 재사용된, 왕이 의식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에서 알 수 있듯이 제12왕조 시대에 폐허가 되었거나 해체되었음에 틀림없다. 우세르카프는 장제전이 이런 운명을 맞이한 유일한 왕이 아니었다. 니우세르레의 신전은 당시 마지막 사제들이 그곳에서 봉사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표적이 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구왕국 통치자들의 국가 지원 장례 숭배에 대한 왕실의 관심이 감소했음을 시사한다.
개인적인 헌신의 사례는 훨씬 더 오래 지속되었다. 예를 들어, 우세르카프는 람세스 왕조 시대(기원전 1292~1189년)에 살았던 사제 메후의 사카라 무덤 부조에 묘사되어 있다. 이 시기 초, 람세스 2세 치세 동안 람세스의 넷째 아들 카엠와세트(활동 기원전 1280~1225년)는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뿐만 아니라 제5왕조의 다른 피라미드 복원 작업을 명령했다. 우세르카프의 경우, 이는 카엠와세트가 제물을 바치는 사람들과 함께 있는 모습이 새겨진 피라미드 부지의 석재 클래딩에 있는 비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우세르카프의 장례 단지에서 나온 부조는 말기 왕조 시대인 제26왕조에 복사되었다. 그 특별한 예는 우세르카프가 뱃사공의 고리와 깃발, 그리고 우라에우스(뱀)에 아테프(Atef) 왕관의 뿔이 달린 모습을 묘사한 부조로, 이는 우세르카프 시대 이후 이집트 미술에서 사라진 모티프이다.
5. 2. 현대 문화
이집트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나기브 마흐푸즈는 1945년에 우세르카프에 관한 단편 소설 "Afw al-malik Usirkaf: uqsusa misriya"를 발표했다. 이 소설은 레이먼드 스톡에 의해 "King Userkaf's Forgiveness"로 번역되었으며, "Sawt min al-ʻalam al-akhar"라는 단편집에 수록되었는데, 이 단편집의 제목은 "Voices from the other world: ancient Egyptian tales"로 번역된다.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Userkaf's sun temple
http://www.touregypt[...]
[2]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1994
[3]
웹사이트
Archaeogate Egittologia: Sahure's Causeway
http://www.archaeoga[...]
[4]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A Genealogical Sourcebook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2004
[5]
문서
Clayton, p.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