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한라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한라대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노형동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으로, 1969년 공립 제주간호학교로 설립되어 제주간호전문학교, 제주간호전문대학, 제주간호보건전문대학, 한라전문대학을 거쳐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국내 최초로 2년제, 3년제, 4년제 학위 과정을 통합 운영하며, 간호학과를 비롯하여 보건, 관광, 사회복지, 정보기술, 건축, 말산업,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한다. 부속·부설 기관으로 도서관, 한라아트홀, 국제교류센터 등을 갖추고 있으며, 호주 뉴캐슬 대학교 등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통해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문대학 -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는 1992년 개교하여 1998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전문대학으로, 2+4 대학 개편 인가를 통해 전문학사 및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16개국 83개 교육기관과 국제 교류, 야구부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문대학 - 한국폴리텍I대학
한국폴리텍I대학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캠퍼스를 두고 산업학사, 기능사, 기능장 과정을 운영하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이다. - 제주시의 학교 -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는 1992년 개교하여 1998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전문대학으로, 2+4 대학 개편 인가를 통해 전문학사 및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16개국 83개 교육기관과 국제 교류, 야구부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제주시의 학교 -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영평동에 위치한 사립 대학교이며, 1973년 개교 이후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탐라대학교와 통합하여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7개의 학부와 25개의 학과 및 대학원을 운영하며, 정부 재정 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된 이력이 있다. - 1969년 설립 - 스완가드 스타디움
스완가드 스타디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내비에 위치한 육상 경기장으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 FIFA U-20 월드컵 경기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 1969년 설립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제주한라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주한라대학교 |
영문명 | Cheju Halla University |
종류 | 사립 전문대학 |
개교 | 1979년 |
설립 | 1969년 |
표어 | 지성·창조·봉사 |
상징 | 은행나무, 진달래, 말 |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라대학로 38 (노형동) |
학생 수 | 9,653명 (2021년) |
교직원 수 | 전임교원: 152명 (2018년) 기타교원: 363명 (2018년) |
학교법인 | 한라학원 |
웹사이트 | 영문 웹사이트 중문 웹사이트 일문 웹사이트 국문 웹사이트 |
2. 연혁
제주한라대학교는 1969년 공립 제주간호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발전을 거듭해왔다. 1971년 제주간호전문학교로 개교한 후, 1979년 제주간호전문대학, 1983년 제주간호보건전문대학, 1991년 한라전문대학, 1998년 제주한라대학을 거쳐 2011년 제주한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 1982년에는 한라재단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1985년에는 현재의 제주시 노형동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69년 ~ 1997년)
1969년 공립 '''제주간호학교'''(초급대학과정)가 설립되었다.[1] 1971년 '''제주간호전문학교'''로 개교하였으며,[1] 1979년 '''제주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1] 1983년 '''제주간호보건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사립으로 변경되어 학교법인 한라학원이 되었다.[1] 1991년 '''한라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2. 2. 학교 발전 (1998년 ~ 현재)
1998년 '''제주한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2000년대 이후의 주요 발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내용 |
---|---|
2013년 | 대한민국 최초로 학사 학위 과정과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도록 승인받았다.[1] |
2012년 | 대학기관평가인증 대학으로 지정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1] |
교육역량강화사업 우수대학 5년 연속 선정 (교육과학기술부)[1] | |
LINC 사업 선정 (교육과학기술부)[1] | |
2011년 | 2011년 대학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 사업 관련 평생교육 거점대학으로 지정 (국가평생교육진흥원)[1] |
국제 산업체와 연계한 해외 유학생 교육 선도대학 생산 프로젝트 (교육과학기술부)[1] | |
WCC로 지정[1] | |
학교 이름을 제주한라대학교로 변경[1], 간호학과 4년제 학사 과정 설립 승인[1] | |
2010년 | 일본 시가 코켄 호텔 협회와 해외 취업 협약 체결[1] |
제주관광공사와 취업 협약 체결[1] | |
한국사학진흥재단 우수대학 선정[1] | |
제주 자유 국제도시 문화 관광 학술 심포지엄 개최[1] | |
2008년 | 호주 뉴캐슬 대학교 간호대학과의 공동 교육 프로그램 운영[1] |
2008년 졸업생 취업 우수대학상 수상 (교육과학기술부)[1] | |
학사학위 프로그램 운영 승인 - 관광학과 및 컴퓨터통신기술학과[1] | |
여성 졸업생의 적절한 취업 지원을 위한 지원 대상 선정 (여성가족부)[1] | |
2009년 최고의 취업 지원 대학 선정 (노동부)[1] | |
스위스 호텔경영학교(SSTH)와 복수학위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MOU 체결, 치체스터 대학교와 협력 교육 프로그램 및 복수 학위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MOU 체결[1] | |
2005년 | IT 전공의 학업 커리큘럼 개편 프로그램 지원 (정보통신부)[1] |
문화 콘텐츠 기관 지원 프로그램 연장 (문화관광부)[1] | |
지역혁신을 위한 신 대학(NURI) 프로그램 후원 대학 (교육인적자원부)[1] | |
지역혁신시스템(RIS) 후원 대학 (상공자원부)[1] | |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서 학생 잠재력을 창출하는 전문 대학 수상 (상공자원부)[1] | |
2003년 | 간호 및 공중 보건 분야의 학생 역량 강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스템 실천에 대한 특별 표창 (교육인적자원부)[1] |
문제 기반 학습(PBL) 방법을 통해 숙련되고 전문적인 인적 자원 육성에 대한 특별 표창 (교육인적자원부)[1] | |
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시스템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
직업계 고등학교 공개 경진 대회 개최 우수성에 대한 특별 표창 (교육인적자원부)[1] | |
2002년 | 문제 기반 학습 방법에 대한 특별 표창 (교육인적자원부)[1] |
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우수 대학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
직업계 고등학교 공개 경진 대회 개최 우수성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
2001년 | 문제 기반 학습(PBL) 방법 채택에 대한 특별 표창 (교육인적자원부)[1] |
2000년 | 응급 의학 교육 센터 설립 및 우수 경영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1999년 | 조리학과, 전문화 우수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국제 관광 교육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1998년 | 간호 및 보건 인력 교육상 수상 (교육인적자원부)[1] |
제주한라대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국내 최초의 2년제+3년제+4년제 대학이다. 다른 전문대학교와 달리 간호학과뿐만 아니라 모든 학과를 2, 3, 4년제로 통합 운영한다.
3. 특징
학교법인 산하 금호유치원이 있고, 재단병원인 제주한라병원에서 실습할 수 있다. 관광계열 학과들은 실습용 금호세계교육관에서 수업을 진행하는데, 이곳의 객실, 연회장(한라컨벤션센터), 레스토랑, 조리 시설은 모두 5성급이다.
캠퍼스 주변에는 제주고등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제주시 탐라도서관이 있다.
3. 1. 부속·부설 기관
1970년에 설립된 도서관에는 열람석 632석, 개가자료실 198석, 장서 6만 8,272권 등이 갖추어져 있다.[1] 부속 기관으로는 정보전산센터, 한라아트홀, 한라학사(기숙사), 한라컨벤션센터 등이 있으며, 부설 기관으로는 평생교육원, 미래문화기술연구단, 언어교육센터, 국제교류센터, 종합인력개발센터, 창업보육센터, 한라·뉴캐슬 PBL교육연구원, 한라·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 예비군중대, 신문사, 방송국 등이 있다.[1] 부설연구소로는 문화관광교육연구소와 제주향토식품연구소가 있다.[1]
3. 2. 국제 교류
제주한라대학교는 호주 뉴캐슬 대학교와 복수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뉴욕주립대와도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 복수학위과정, 스위스 SSTH 호텔 관련 학과 졸업 후 진학 프로그램 등 해외 대학들과 연계가 매우 잘 되어 있다.
3. 3. 캠퍼스 환경
제주한라대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노형동에 있으며, 약 210000m2의 교지와 900000m2의 실습목장(국내 최대 규모 실내 승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전문대학교와 달리 간호학과뿐만 아니라 모든 학과를 2, 3, 4년제로 통합 운영한다.
부속·부설 기관으로 도서관, 정보전산센터, 한라아트홀, 한라학사(기숙사), 평생교육원, 미래문화기술연구단, 언어교육센터, 국제교류센터, 종합인력개발센터, 창업보육센터, 한라·뉴캐슬 PBL교육연구원, 한라·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 예비군중대, 신문사, 방송국, 한라컨벤션센터 등이 있다. 부설연구소로는 문화관광교육연구소와 제주향토식품연구소가 있다.
그 밖에 학교법인 산하 금호유치원이 있고, 재단병원인 제주한라병원으로 실습을 나갈 수 있다. 간호보건계열 뿐만 아니라 많은 학과들이 해외 대학(호주 뉴캐슬대와 복수학위과정, 미국 뉴욕주립대와 교류프로그램, 중국 복수학위과정, 스위스SSTH 호텔 관련 학과 졸업 후 진학 프로그램 등)과 연계가 잘 되어 있다.
또한 관광계열 학과들은 실습용도로 지어진 금호세계교육관에서 수업을 진행하는데, 이곳의 객실, 연회장(한라컨벤션센터), 레스토랑, 조리 시설과 같은 호텔 시설들은 모두 5성급으로 지어졌다.
캠퍼스 주변에는 제주고등학교와 제주제일고등학교가 있으며, 제주시 탐라도서관이 근처에 있어 학교 도서관의 장서 수를 보완할 수 있다.
; 도서관
1970년에 설립된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에는 열람석 632석, 개가자료실 198석, 장서 6만 8,272권 등이 있다.[1]
3. 4. 도서관
1970년에 설립된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에는 열람석 632석, 개가자료실 198석, 장서 6만 8,272권이 갖추어져 있다.
4. 학과
- 간호학과
- 보건과학대학
- 국제관광호텔학부
- 사회복지학과
- 정보기술건축학과
- 말산업학과
- 예술학과
5. 저명한 동문
이 문구는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 문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거해야 한다. 또한, 주어진 source에는 동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저명한 동문"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따라서 source에 기반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해야 한다.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출력: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제주한라대학교의 저명한 동문에 대한 정보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